1. 개요
철도 선로, 차량, 건축물 등 철도 설비에 관한 기술을 연구하는 학문이자 수송 공학의 한 분야이다.철도공학과는 철도 교통, 철도 선로, 철도 차량, 철도역 등을 제작하는 학과로써 연계되는 전공이지만 철도 기관사를 양성하는 철도운전관제과와 사실상 다를바 없다.
무라카미 하루키의 소설 색채가 없는 다자키 쓰쿠루와 그가 순례를 떠난 해에서 주인공 다자키 쓰쿠루의 대학 전공이 건축학부 철도공학 전공이다. 작중에서도 철도역 건축가로 활동하는 장면이 등장한다. 그렇기 때문에 철도공학 전공이 인기가 더욱 높아지기도 했었다.
1.1. 학과 명칭
-
대학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철도전문대학원 글로벌철도시스템학과, 철도건설공학과, 철도안전공학과, 철도전기신호공학과, 철도차량시스템공학과
우송대학교 일반대학원 철도시스템학과(철도전기공학코스, 철도차량공학코스, 글로벌철도시스템코스)
철도융합대학원 철도전기시스템공학과, 철도건설시스템공학과
한국교통대학교 일반대학원 철도차량운전시스템공학과, 철도시설공학과, 철도전기전자공학과, 철도융합시스템학과
교통대학원 SMART철도시스템학과
-
4년제 학부
경일대학교 SMART인프라대학 철도학부
원광대학교 창의공과대학 철도시스템공학부
한라대학교 공과계열 철도운전시스템학과
동양대학교 철도대학 철도운전관제학부(철도관제전공, 철도전기전공), 철도운전제어학부(철도제어전공, 철도차량전공), 철도건설안전공학과
배재대학교 AI·SW창의융합대학 드론·철도·건설시스템공학과 철도건설시스템공학전공
송원대학교 철도대학 철도건설환경시스템학과
우송대학교 철도물류대학 철도차량시스템학과, 철도시스템학부(철도전기시스템전공, 철도소프트웨어전공), 철도건설시스템학부
SOL International School 글로벌철도교통물류학부
한국교통대학교 철도대학 철도차량시스템공학과, 철도인프라공학과, 철도전기정보공학과, 철도운전시스템공학과, 스마트철도교통공학과(야간)
-
2/3년제
가톨릭상지대학교 철도학부 철도전기과, 철도운전시스템과
경북전문대학교 공학계열 철도건설과, 철도전기기관사과
대원대학교 공학계열 철도건설과
영진전문대학교 신재생에너지전기계열 전기철도반
우송정보대학 철도건축소방계열 철도전기전자학부, 철도교통학부, 철도토목과
김포대학교 경영계열 철도경영과
-
고등학교
대전생활과학고등학교 철도건축시설과, 철도전기신호과
상주공업고등학교 철도전기과
용산철도고등학교 철도운전기계과, 철도전기신호과, 철도전자통신과, 철도건설과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 철도차량과
2. 대학생활
3. 나무위키에 등록된 철도공학 전공자
※ 가상의 철도공학 전공자는 작품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전공 문서 참조.
4. 진로
5. 시험, 자격증
철도 분야 자격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5f5f5,#333> 국가기술자격 | 09. 운전/운송>>091.운전/운송 | - | → | 철도운송산업기사 | → | - | → | - |
14. 건설>>142.토목 | 철도토목기능사 |
(2022년 폐지) |
철도토목기사 | 철도기술사 | |||||
16. 기계>>163. 철도 | 철도차량정비기능사 | 철도차량산업기사 | 철도차량기사 | 철도차량기술사 | |||||
철도차량정비기능장 | |||||||||
20. 전기전자>>201. 전기 | 철도전기신호기능사 |
전기철도산업기사 철도신호산업기사 |
전기철도기사 철도신호기사 |
→ |
전기철도기술사 철도신호기술사 |
||||
국가전문자격 | 철도교통안전관리자, 철도교통 관제자격증명, 도시철도 관제자격증명, 철도차량 운전면허 |
이 단락은 기술자격/자격증의 명칭에 직접적으로 '철도'가 명시, 언급되거나 주 업무가 철도현장에서 이뤄지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자격증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이외에 보조적으로 철도 업무와 연관지을 수 있는 자격증(예를 들어 물류관리사 같은)은 아래에 기술된 것 이외에도 더 많다. 과거에는 객화차정비기능사 1, 2급이나 철도동력차기관정비기능사 1, 2급, 보선기능사 1, 2급, 열차조작기능사같이 세분화되어 그 수가 훨씬 많았던 적도 있으나 이들 모두를 통폐합하면서 지금에 이른다.
덧붙여, 철도 관련 기술자격증이라고 되어 있지만 사실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이 자격종목들을 분류해놓은 분류군을 보면 의외로 제법 흩어져있다. 다시 말해, '철도'라는 분류에 들어가는 자격종목은 의외로 몇 없다는 이야기. 일례로 철도토목 관련 자격종목은 '토목'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철도신호 및 전기철도 관련 자격종목은 '전기'로, 철도운송산업기사는 '운전운송'으로 분류되어 있다. 제대로 '철도' 분류군에 속한 자격종목은 차량 및 차량정비가 전부.
2021년부터는 필기시험 응시 가능 횟수가 2년에 한 번씩으로 줄어드는 종목도 있다. 2022년 검정시행 조정제도 안내문( 1 2)을 보면, 22년 검정시행 조정(22년 필기시험 미실시) 제도 적용 대상 종목이 나오는데 그 대상은 최근 3년간(공고 당시 기준은 2017년~2019년) 필기시험 연평균 응시인원이 50명 미만인 종목이다. 이 공고문에서 언급된 종목은 바로, 철도토목기능사, 철도차량정비기능사, 철도차량산업기사, 철도차량기사이다. 철도토목기능사는 3년간 평균 필기응시인원이 40.7명, 철도차량정비기능사는 3년간 평균 필기응시인원이 21.4명, 철도차량산업기사는 3년간 평균 필기응시인원이 9명, 철도차량기사는 3년간 평균 필기응시인원이 8.8명이라, 그 대상에 포함된 것이다. 2021년에 필기가 시행되었으니, 2022년에는 필기가 시행되지 않고, 2023년이 되어야 다음 필기시험이 시행된다.
그리고, 철도토목산업기사는 2022년에 폐지되었다.
철도 관련 기술자격증 일람 | |
기능사 | 철도차량정비기능사 |
철도전기신호기능사 | |
철도토목기능사[1] | |
산업기사 | 철도운송산업기사[2] |
철도차량산업기사 | |
철도신호산업기사 | |
전기철도산업기사 | |
철도토목산업기사[3] | |
기사 | 철도차량기사 |
철도신호기사 | |
전기철도기사 | |
철도토목기사 | |
기능장 | 철도차량정비기능장 |
기술사 | 철도차량기술사 |
철도신호기술사 | |
전기철도기술사 | |
철도기술사[4] 참고로 '철도' 분류는 '기계' 직무분야에 속하기 때문에 철도차량 관련 자격증이 속한다. | |
기타 | 철도교통안전관리자 |
철도교통 관제자격증명 | |
철도차량 운전면허 | 고속철도차량운전면허 |
제1종 전기차량 운전면허 | |
제2종 전기차량 운전면허 | |
디젤차량운전면허 | |
철도장비운전면허 | |
노면전차운전면허 |
6. 관련 학문
6.1. 하위 학문
[1]
당초 본 문서에는 보선기능사(1998년 5월 9일 대통령령 제 15794호에 의해 보선기능사 2급에서 보선기능사로 통폐합됨.)로 등재되어 있었으나 해당 자격증이 2012년 12월 21일 고용노동부령 제 71호에 의해 철도토목기능사로 변경되었다. 다른 자격증 명칭 개정보단 상당히 늦은 편이다. 예를 들어 철도운송산업기사만 해도 2005년에 개정된 것이다.
[2]
열차조작기능사로 시작된 이 자격증은, 현재 이 문서에 명시된 철도 관련 및 운전운송 분류군의 국가기술자격증 중에서 유일하게 비상대비자원관리법의 관리 하에 있는 자격증이기도 하다. 다시 말해, 이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으며 더불어 관련 업종에 근무하고 있는 사람이라면 전시에 군사작전지원, 군수지원업무 등에 기술인력으로 차출될 가능성이 높다는 이야기다.
[3]
2022년 폐지
[4]
이 자격종목은 상기한 철도토목 관련 자격종목과 함께 '토목' 분류에 분류했다. 이는 1974년 10월 16일 대통령령 제 7283호에 의해 이 자격종목이 시작될 당시에는 '토목기술사(철도)'였기 때문이기도 하고 이 자격종목이 목표하는 인재상 역시 철도 분야의 토목 기술에 관한 고도의 전문지식을 요하는 직무를 수행하는 것이기 때문. 이후 1991년 10월 31일 대통령령 제 13494호에 의해 '철도기술사'로 개명되고서도 죽 이어져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