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단일학과로써는 현재 공주대학교에 유일하게 개설되어있다. 이는 기존의 가정교육과가 2011년 개편된 것이다.기술학과 가정학에 대한 전문적 역량과 교사로서의 인성을 가지고 중·고등학교 기술·가정교육을 실천할 수 있는 기술·가정교사 양성을 목적으로 한다. 중등 기술, 가정 임용시험에 합격하면 중학교에서는 기술가정 인문계 고등학교에서는 기술가정, 공학일반, 가정과학 등을 가르치게 된다.
기술·가정교육과를 졸업하면 '기술 교원자격증'과 '가정 교원자격증' 총 2개를 받는 것이 아니고, '기술·가정 교원자격증' 한 개를 받는다. '기술·가정 교원자격증'을 가지고 있으면 기술교과 임용과 가정교과 임용 중 하나를 본인이 자유롭게 선택해서 응시하여 기술교사와 가정교사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2. 교육과정
2.1. 기술교육
2.2. 가정교육
3. 설치 대학
학과는 공주대학교에만 설치되어 있다. 하지만 복수전공과 유사하게 연계전공을 하는 방법도 있다. 경남대와 경북대의 가정교육과 학생과[1] 영남대와 제주대의 가정 교직과정 이수자만 이수가능하다.[2]이러한 연계전공의 주의할 점은 수업하는 교수가 기술교육, 임용 출제 경험이 없는거에 더불어, 기술임용 세부파트의 연관된 과목과 교수님이 없기 때문에 기술교육과 및 기술가정교육과보다 기술 임용을 준비하기 불리하다. [3]
본전공인 '가정'을 50학점 이상을 듣고 '기술' 학점을 최소 35학점 이상을 추가로 들으면 ‘가정’ 자격증과 연계전공인 ‘기술·가정’ 자격증 두 개가 나온다. 본 전공인 가정으로 응시하지 않고 연계전공으로 정교사로 임명되는 경우에는 사범계 학과보다 가산호봉이 1호봉 적게 시작된다. 통상 8호봉 시작.
3.1. 학부
- 공주대학교 사범대학 기술가정교육과[4]
3.2. 대학원
[1]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기술·가정 연계전공(최대 18명 이내),
경남대학교 사범대학 기술·가정 연계전공(최대 30명 이내).
[2]
영남대학교 생활과학대학 기술·가정 연계전공,
제주대학교 자연과학대학 기술·가정 연계전공.
[3]
가정이 본전공이고 기술은 제2의 전공으로 대충 듣는 느낌이라
[4]
연계전공과 달리 ‘기술·가정’ 자체가 본전공이므로 일반적인 9호봉으로 가산을 모두 받는다.
[5]
기술교육과,가정교육과,기술가정교육과,공업교육과(기계, 전기전자,화공, 건설등)졸업생들만 입학 가능.
[6]
현직 교원만 입학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