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도시학에 대해서 배우는 학과이다. 도시학은 도시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거나 도시의 미래생을 그리는 학문이기 때문에 토목공학, 환경공학, 행정학, 정책학, 지리학, 경제학 등 다양한 영역의 지식을 필요로 한다.그렇기 때문에 도시학과란 이름을 그대로 사용하기보다는 도시공학과(Department of Urban Engineering), 도시계획학과(Department of Urban Planning & Regional Planning), 도시행정학과, 부동산학과 등 해당 학교가 지향하는 바에 따라 나름 세분화가 되어있는 상태이다. 경우에 따라 인접학문인 교통공학과, 조경학과, 토목공학과, 부동산학과와 함께 있는 곳도 많다.
2. 한국에서
2.1. 역사
대한민국의 도시학과는 기원이 크게 두가지이다. 이는 재료공학과와의 관계랑 유사하다. 금속공학과, 섬유공학과, 요업공학과 등 별개의 학과들이 이후 같은 신소재공학과로 개명하였듯이, 도시학과도 농과대학 지역개발학과랑[1] 사회과학대학 및 공과대학의 도시계획학과라는 두 가지의 전신이 있다. 대표적인 예로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에서 도시학 전공이 독립하지 못했던 이유가 이미 서울대 농대에 유사학과가 있었기 때문이다.도시계획학과 쪽으로는 1965년 동아대학교가 제일 먼저 설립했으며, 이어 1967년 한양대학교, 홍익대학교가 뒤를 이었다. 지역개발학과 쪽으로는 1963년에 중앙대학교, 1975년 단국대학교, 전남대학교 1979년 국립강릉원주대학교 등이 있다. 국립공주대학교 같은 경우에는 산업과학대(농대)에 지역사회개발학과, 공대에 도시교통공학과로 둘 다 존재하고, 중앙대학교도 사회과학대에 도시계획부동산학과[2], 공대에 사회기반시스템공학부 도시시스템공학전공[3]으로 둘 다 남아있다.
따라서 같은 도시학이란 명칭을 써도 학문의 스펙트럼이 넓기 때문에 학교마다 커리큘럼이 저마다 차이가 큰 편이다. 도시계획을 위주로 가르치는 곳도 있고, 부동산을 위주로 가르치는 곳도 있으며, 지적이나 GIS를 위주로 가르치는 곳도 있다. 따라서 똑같이 도시공학과란 명칭을 쓰는 학교도 공학적 요소가 많이 들어갈 수도 적게 들어갈 수도 있는 학과이다. 문과와 이과가 섞여있다해도 과언이 아니다. 교수님들의 학부/석사/박사 전공이나 학위도 다양하다. 건축학과와 더불어 문과생의 교차지원을 활발히 받는 공과대학 학과 중 하나이다. 컴퓨터공학과처럼[4] 애매한 부분이 있음에도 대부분의 학교에서 학부 졸업시에 공학사를 수여하나, 행정학사 등 다른 학위를 부여하는 곳도 일부 있다. 석사와 박사는 도시계획학 석/박사, 도시 및 지역계획학 석/박사 등으로 다양해진다.
2019년 기준으로 4년제 대학에 개설된 학과 수 총 12,595개 중에서 도시·지역 계열은 33개 개설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사
2.2. 교육과정
- 갈등관리론
- 개발규제론
- 공간구조론
- 공공시설계획론
- 교통계획론
- 교통정책론
- 국토 및 지역계획론
- 그린뉴딜과 도시개발
- 글로벌부동산
- 단지계획론
- 도시개발세미나
- 도시경과론
- 도시경제론
- 도시계획론
- 도시개발론
- 도시공간정책론
- 도시공공시설론
- 도시관리론
- 도시건축디자인
-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사업론
- 도시 및 지역경제
- 도시 및 지역문제
- 도시부동산입지론
- 도시브랜드마케팅
- 도시사회학
- 도시설계론
- 도시재생론
- 도시재생사업론
- 도시재생사례연구
- 도시정비론
- 도시조사 및 통계분석
- 도시지리학개론
- 도시행정론
- 도시환경론
- 부동산개발론
- 부동산공법
- 부동산사법
- 부동산금융론
- 부동산보상론
- 부동산빅데이터분석방법론
- 부동산학개론
- 부동산학원론
- 비용-편익분석론
- 성장관리론
- 신도시개발론
- 어반거버넌스
- 입지론
- 재개발재건축
- 주거단지계획론
- 주거복지론
- 주택정책론
- 중심지활성화론
- 지리정보체계
- 지속가능도시와 교통
- 지역개발론
- 지역발전론
- 토지이용계획론
- 토지정책론
- 투자론
- 현대도시론
- SOC계획및투자
그외 인접학문으로는 경제학, 사회학, 정치학, 정책학, 지리학, 행정학, 부동산학 등이 있으며, 토목공학, 건축학, 건축공학, 교통공학, 환경공학 등과도 밀접하다.
2.3. 취업
취업률에 관해서는 학교 별로, 도시학과의 특성에 따라 큰 차이가 있다. 서울시립대의 경우 80%~90%라는 취업률을 보인다. 이는 시립대가 도시학 특화 대학이기 때문이다. 한양대를 비롯한 '도시공학과' 출신이라도 토목공학과와 유사하게 취업을 하기도 하지만 복수전공 등을 하여 증권쪽 진로를 잡는 경우도 있으며, 연세대에서는 부동산이나 신탁회사를 거론하는 등 문과 같은 모습을 보이기도 한다. 중앙대의 도시계획부동산학과는 이름과는 달리 부동산 관련 회사들인 LM, PM, AM사나 관련 건설사, 금융사로의 취업을 많이 한다. 취업 양상을 보면 건국대의 부동산학과[5]와 유사한 점이 많다. 덕분에 취업률도 70% 후반에서 80% 초반을 유지한다.이들 사례를 보면 시립대 같은 케이스 외에도 사실상 토목공학이나 상경계열에 가까운 도시학과들은 상당히 취업이 잘 된다. 다만 링크에서 보다시피 연세대, 한양대, 중앙대 재학생도 일단은 상경계 느낌이 있다. 그리고 절대적인 회사 수만 보면 상경계보다 시장 규모는 작다. 그렇기 때문에 취업이 힘들 수 있지만, 결국 취업은 자기 하기 나름이고 전공에 흥미가 있다면 먹고 사는 데는 지장이 없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실제로 각 학과들의 취업률이 대학 내에서도 상위권에 랭크되어 있는 것도 이 주장을 뒷받침한다. 하지만 반대로 대학원의 세부 학문을 학부에서 가르친다는 인식이 일부 있어 학부 수준으로는 전공을 살리기 힘들다는 생각도 있다. 물론 길이 없는 것이 아니라는 인식도 있다.
최근에는 4차 산업혁명과 맞물려 스마트 도시의 국가적 차원 밀어주기가 본격화되었다. 국토교통부 주관으로 스마트 도시 핵심인력 육성 사업 아래 재정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도시학도들에게 커다란 기회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학 관련 공공기관이 대거 지방으로 이전하면서 지방대들의 산학협력이나 지역 할당제의 수혜가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아직도 많은 도시학과들의 교과과정이 과거에 머무른 경우가 많고, 정부 주도 사업의 한계가 확실해 도시학도들의 자발적 공부가 필요한 시점이다. 결국 스마트 도시라는 개념도 아직 걸음마 단계이며 연구자들 끼리도 아직 논의의 합의점이나 구심점이 없는 상태이이다. 결국 이쪽 분야로의 취업을 생각하는 학부생이라면 해당 연구를 하는 대학원의 연구소를 가든, 분야과 관련된 기술적인 전문성을 갖추든 해야할 것이다.
3. 설치 대학
3.1. 한국
3.1.1. 수도권
사립대학
* 가천대학교 * 강남대학교 부동산건설학부 스마트도시공학전공
* 경기대학교 창의공과대학 스마트시티공학부 도시교통공학전공
* 단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도시계획부동산학부 도시지역계획학전공
* 대진대학교 공과대학 스마트건설·환경공학부 스마트시티전공
* 서경대학교 이공대학 도시공학과
* 성결대학교 도시디자인정보공학과
* 수원대학교 건축도시부동산학부 도시부동산학전공
* 안양대학교 창의융합대학 도시정보공학과, 스마트시티공학부
*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도시공학과
* 중앙대학교 * 평택대학교 국제물류대학 도시계획부동산학과
* 한성대학교 미래융합사회과학대학 사회과학부 스마트도시·교통계획트랙
*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도시공학과[6]
* 협성대학교 도시공학과, 도시행정학과
*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 도시공학과
* 가천대학교 * 강남대학교 부동산건설학부 스마트도시공학전공
* 경기대학교 창의공과대학 스마트시티공학부 도시교통공학전공
* 단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도시계획부동산학부 도시지역계획학전공
* 대진대학교 공과대학 스마트건설·환경공학부 스마트시티전공
* 서경대학교 이공대학 도시공학과
* 성결대학교 도시디자인정보공학과
* 수원대학교 건축도시부동산학부 도시부동산학전공
* 안양대학교 창의융합대학 도시정보공학과, 스마트시티공학부
*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도시공학과
* 중앙대학교 * 평택대학교 국제물류대학 도시계획부동산학과
* 한성대학교 미래융합사회과학대학 사회과학부 스마트도시·교통계획트랙
*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도시공학과[6]
* 협성대학교 도시공학과, 도시행정학과
*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 도시공학과
3.1.2. 관동권
국립대학
* 국립강릉원주대학교 도시계획부동산학과
* 국립강릉원주대학교 도시계획부동산학과
3.1.3. 호서권
3.1.4. 영남권
사립대학
* 경성대학교 도시공학과
* 계명대학교 공과대학 도시학부 도시계획학전공
* 대구대학교 도시조경학부 도시계획공학전공
* 동아대학교 도시공학과
* 동양대학교 도시문화콘텐츠학과
* 동의대학교 공과대학 건설공학부 도시공학전공
* 영남대학교 도시공학과, 새마을국제개발학과
* 한동대학교 공간환경시스템공학부 도시환경공학전공
* 경성대학교 도시공학과
* 계명대학교 공과대학 도시학부 도시계획학전공
* 대구대학교 도시조경학부 도시계획공학전공
* 동아대학교 도시공학과
* 동양대학교 도시문화콘텐츠학과
* 동의대학교 공과대학 건설공학부 도시공학전공
* 영남대학교 도시공학과, 새마을국제개발학과
* 한동대학교 공간환경시스템공학부 도시환경공학전공
3.1.5. 호남권
3.2. 해외
- 프랑스
- École des ingénieurs de la Ville de Paris 도시공학
- 영국
- 미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