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earfix]
1. 개요
악기를 사용하여 연주하는 음악을 연구하고 연주 기술을 연마하는 학과.대부분 서양음악에서의 기악 전공을 중심으로 운영된다.[1] 학교에 따라 피아노과와 관현악과로 분리해서 운영하는 경우도 많다.
2. 전공
관악 | 목관, 금관 |
현악 | |
타악 | |
건반 | 피아노, 오르간, 하프시코드[2] |
2.1. 관악기
2.2. 현악기
바이올린 입시의 경우 사람이 많기 때문에 굵직한 대학들은 지정곡으로 정하는 경우가 많으며, 시간 단축을 위해 일정 부분만 듣는 경우가 많다. 2~3개의 곡 목록을 주고 선택하거나 모두 하거나, 아예 100% 자유곡으로 실시하기도 한다. 학생 스스로의 자신있고 개성을 살린 선곡과 음악성을 보기 위해서이다. 지정곡이 있는 경우 학교 성향에 따라 협주곡, 소품, 소나타, 연습곡 등 장르를 가리지 않고 나오거나, 특정 장르의 곡이 나오는 경우도 있다.좀 소외받는 다른 악기는 편하게 자유곡이거나 나이대에 맞는 지정곡 한두 곡으로만 정해서 심사위원들이 편하도록 한다.
2.3. 타악기
보통 팀파니, 스네어, 마림바 3개로 여러곡을 보지만, 가끔씩 실로폰을 추가 해서 볼때도 있다자유곡인 경우도 있고 지정곡인 경우가 있는데 보통 지정곡이면 아래 있는곡이 거의 99% 나온다
스네어의 대표적인 입시곡:Portrait in Rhythm No.50
마림바의 대표적인 입시곡:Modern School For Xylophone Marimba Vibraphone
2.4. 건반악기
피아노 입시의 경우 보통 쇼팽 에튀드 1곡(느리거나 쉬운 몇 곡 제외하고) + 베토벤 소나타 빠른악장 (학교별로 리스트 등 다른 사람의 곡들 가운데 한 곡 자유곡) 정도가 일반적이며, 에튀드 혹은 소나타를 자유곡으로 지정할 경우 에튀드는 리스트 또는 라흐마니노프 에튀드, 소나타는 낭만주의 이후 작품으로 응시하는 사례도 꽤 있다. 수백 명이 시험을 치다보니 당연히 콩쿠르처럼 과제곡을 처음부터 끝까지 전부 치지는 않으며, 실제로는 연주시간을 초 단위로 잘라서 시험을 친다. 해보면 알겠지만 상당히 허무하고 바보 같을 수도 있다.3. 입시 및 유학
대한민국 입시는 보통 1,2차 시험이 있어 이틀 이상 시험을 치르기도 하고, 하루 만에 끝나는 경우도 있다. 각 학교 별 구체적인 입시 요강은 개별 대학 문서를 참고하자. 유럽이나 미국의 음대들은 입시 과제곡이 학교마다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지원하는 학교의 요강을 반드시 자세히 살펴보는 것이 좋다. 그리고 유학을 준비하고 있다면 해외 음대에서 요구하는 공인 외국어 점수는 미리미리 만들어두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미국은 TOEFL, 영국은 IELTS 등등)영국의 경우 주로 11월 말에, 미국의 경우 1월부터 (9월학기 입학) 입학 실기시험이 있는데 실기시험에 합격했을 경우 다음 해 5월 전까지는 공인 영어 성적을 반드시 제출해야 하고, 학교에서 제시한 커트라인을 넘어야만 최종 합격 처리된다. 우수한 성적으로 입학 실기시험에 기껏 합격해놓고 외국어 성적 커트라인에 단 몇점이 모자라 불합격 처리되어 대성통곡하는 유학생들이 정말 많이 나온다. 농담 아니다.
4. 개설 교육기관
- 가천대학교 예술체육대학 음악학부 (기악)
- 가톨릭대학교 음악과(관현악, 피아노, 오르간)
- 강남대학교 예체능학부 음악학전공
- 강릉원주대학교 예술체육대학 음악과
- 강원대학교 문화예술공과대학 음악학과
- 광신대학교 음악학과(관현악, 피아노, 오르간)
- 경북대학교 예술대학 음악학과(관현악, 피아노)
- 경성대학교 예술종합대학 음악학부
- 경희대학교 음악대학(기악[3])
- 계명대학교 음악공연예술대학 음악학부(관현악, 피아노)
- 고신대학교 보건복지대학 음악과(관현악 및 타악, 피아노[4])
- 국민대학교 예술대학 음악학부(관현악, 피아노)
- 군산대학교 예술대학 음악과
- 단국대학교 음악예술대학 음악학부(기악)
- 대구가톨릭대학교 음악대학(관현악, 피아노)
- 동덕여자대학교 예술대학(관현악, 피아노)
- 동아대학교 예술체육대학(관현악, 피아노)
- 동의대학교 예술디자인체육대학 음악학과(관현악, 피아노)
- 명지대학교 예술체육대학 예술학부(피아노)
- 목원대학교 음악대학(관현악, 피아노)
- 목포대학교 생활과학예술체육대학 음악과(관현악, 피아노)
- 배재대학교 문화예술대학 공연예술학부(피아노)
- 백석대학교 문화예술학부(피아노)
- 부산대학교 예술대학 음악학과
- 삼육대학교 문화예술대학 음악학과(관현악, 피아노)
- 상명대학교 문화예술대학 음악학부(관현악, 피아노)
- 서경대학교 예술대학(관현악, 피아노)
- 서울기독대학교 음악전공
- 서울대학교 음악대학(관현악, 피아노)
- 서울시립대학교 예술체육대학 음악학과
- 서울신학대학교 교회음악과 (파이프오르간, 피아노)
- 성결대학교 예술대학 음악학부(피아노)
- 성신여자대학교 음악대학(기악)
- 세종대학교 예체능대학 음악과(관현악, 피아노)
- 수원대학교 음악대학(관현악, 피아노)
- 숙명여자대학교 음악대학(관현악, 피아노)
- 순천대학교 인문예술대학(피아노)
- 신라대학교 창조공연예술학부 음악전공
- 안동대학교 인문예술대학 음악과
- 안양대학교 예술대학 음악학부(관현악, 피아노)
- 연세대학교 음악대학(관현악, 피아노)
- 영남대학교 음악대학(기악)
- 울산대학교 예술대학 음악학부(관현악, 피아노)
- 이화여자대학교 음악대학(관현악, 건반악기)
- 인제대학교 음악학과
- 전남대학교 예술대학 음악학과(관현악, 피아노)
- 전북대학교 예술대학 음악과
- 전주대학교 문화융합대학 음악학과(관현악, 피아노)
- 제주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 음악학부(관현악, 피아노)
- 중앙대학교 예술대학[5] 음악학부(관현악, 피아노)
- 창신대학교 음악학과
- 창원대학교 예술대학 음악과
- 추계예술대학교 음악대학(관현악, 피아노)
- 충남대학교 예술대학 음악과
- 평택대학교 문화예술대학 음악학과
- 한국교통대학교 인문사회대학 음악학과
-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기악)
- 한세대학교 예술학부 음악학과(관현악, 피아노)
- 한양대학교 음악대학(관현악, 피아노)
- 협성대학교 예술대학(관현악, 피아노)
- 호남신학대학교 음악학과
[1]
국악에서의 기악 전공은 주로
국악과의 하위 전공으로 소속되어 있다.
[2]
쳄발로라고도 통칭하며
한국예술종합학교가 대표적이다.
[3]
피아노+관현악
[4]
오르간전공은 없어졌음.
[5]
다빈치캠퍼스 소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