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29 07:15:13

츠치노코

쓰치노코에서 넘어옴
파일:Chinese_dragon_asset_heraldry.svg.png 동아시아 상상의 동물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한반도
강길 · 거구귀 · 거대하 · 거루 · 거치녀 · 경강적룡 · 고관대면 · 고수여칠 · 구렁덩덩 선비 · 귀마왕 · 귀수산 · 귀태 · 그슨대 · 그슨새 · 금갑장군 · 금강호 · 금돼지 · 금현매 · 금혈어 · 길달 · 김녕사굴 구렁이 · 김현감호 · 나티 · 노구화호 · 노앵설 · 노옹화구 · 노호정 · 녹정 · 달걀귀신 · 닷발괴물 · 대선사사 · 대인 · 도피사의 · 도깨비 · 두두리 · 두억시니 · 두병 · 마귀 · 매구 · 맹용 · 모선 · 묘두사 · 묘수좌 · 무고경주 · 무수대망 · 백두산야차 · 백발노인 · 백여우 · 백제궁인 · 백포건호 · 백화륜 · 보은섬여 · 불가사리 · 불개 · 불여우 · 사풍흑호 · 산귀 · 살쾡이 요괴 · 삼기호신 · 삼두구미 · 삼두일족응 · 삼목구 · 상사석탕 · 새우니 · 새타니 · 선묘 · 소인신지께 · 손님 · 신구 · 쌍두사목 · 손돌 · 신기원요 · 야광귀 · 어둑시니 · 여귀 · 여우누이 · 역귀 · 요하입수거인 · 우렁각시 · 우와 을 · 유엽화 · 육덕위 · 육안귀 · · 이매망량 · 이무기( 강철이 · 영노 · 이시미) · 이수약우 · 인두조수 · 일촌법사 · 장두사 · 장산범 · 장인 · 장자마리 · 장화훤요 · 저퀴 · 적염귀 · 제생요마 · 조마귀 · 주지 · 죽엽군 · 죽우 · 죽통미녀 · 중종 시기의 괴수 출현 소동 · 지귀 · 지하국대적 · 착착귀신 · 청너구리 · 청단마 · 청양 · 취생 · 칠우부인 · 탄주어 · 탐주염사 · 토주원 · 하조 · 호문조 · 홍난삼녀 · 허주
사령( 응룡 · 봉황 · 기린 · 영귀) · 사흉( 도철 · 궁기 · 도올 · 혼돈) · 사죄( 공공 · 단주 · · 삼묘) · 가국 · 강시 · 계낭 · 건예자 · 고획조 · 1 · 2 · 교룡 · 구령원성 · 구영 · 구주삼괴 · 규룡 · 금각은각형제 · 나찰 · 나찰녀 · 나찰조 · 남해의 거대한 게 · 농질 · 도견 · 마반사 · 마복 · · 명사 · 무손수 · 무지기 · · 백악 · 백택 · 봉희 · · 분양 · 분운 · 부혜 · 불쥐 · 블루 타이거 · · 비두만 · 비위 · 사오정 · 산화상 · 상류 · 상양 · 새태세 · 서거 · 세요 · 손오공 · 승황 · 시랑 · 식양 · 알유 · 야구자 · 영감대왕 · 오색사자 · 오통신 · 우마왕 · 인면수 · 인랑 · 자백 · 저파룡 · 저팔계 · 전당군 · 조거 · 주유 · 주충 · 짐새 · 착치 · 창귀 · 천구 · 청부 · 청조 · 촉룡 · 추이 · 치우 · 치조 · 칠대성 · · 태세 · 파사 · 팽후 · 폐폐 · 표견 · 풍생수 · 홍예 · 홍해아 · 화백 · 화사 · 1 · 2 · 활 · 황요 · 황포괴 · 해태 ·
가고제 · 가샤도쿠로 · 구두룡 · 규키 · 나마하게 · 네코마타 · 노데포 · 노부스마 · 노즈치 · 놋페라보우 · 누라리횬 · 누레온나 · 누리보토케 · 누리카베 · 누마고젠 · 누에 · 누케쿠비 · 눗페라보우 · 뉴도 · 다이다라봇치 · 도도메키 · 도로타보우 · 두부동승 · 땅상어 · 라이쥬 · 라이진 · 로쿠로쿠비 · 료멘스쿠나 · 마이쿠비 · 마쿠라가에시 · 망령무자 · 메쿠라베 · 모몬가 · 모노홋후 · 모쿠모쿠렌 · 목 없는 말 · 미미치리보지 · 바케가니 · 바케네코 · 바케다누키 · 바코츠 · 베토베토상 · 빈보오가미 · 사자에오니 · 사토리 · 산괴 · 산모토 고로자에몬 · 쇼케라 · 스나카케바바 · 스네코스리 · 스즈카고젠 · 시라누이 · 시리메 · 아마노자쿠 · 아마비에 · 아미키리 · 아부라스마시 · 아부라토리 · 아시아라이 저택 · 아즈키아라이 · 아야카시 · 아오안돈 · 아카나메 · 아카시타 · 아타케마루 · 야교상 · 야타가라스 · 야나리 · 야마비코 · 야마아라시 · 야마오토코 · 야마이누 · 야마지 · 야마치치 · 야마타노오로치 · 야만바 · 오니 · 오니구마 · 오니바바 · 오바리욘 · 오바케 · 오보로구루마 · 오사카베히메 · 오오가마 · 오오무카데 · 오이테케보리 · 오쿠리이누 · 오토로시 · 오하요코 · 온모라키 · 요스즈메 · 우미보즈 · 우부메 · 유키온나 · 유킨코 · 와이라 · 이나리 · 이누가미 · 이누호오 · 이바라키도지 · 이소나데 · 이소온나 · 이지코 · 이즈나 · 이츠마데 · 이쿠치 · 인면견 · 일목련 · 일본삼대악귀(오오타케마루 · 슈텐도지 · 백면금모구미호) · 잇탄모멘 · 잇폰다타라 · 자시키와라시 · 조로구모 · 지초 · 쵸친오바케 · 츠루베오토시 · 츠치구모 · 츠치노코 · 츠쿠모가미 · 카마이타치 · 카미키리 · 카와우소 · 카타와구루마 · 캇파 · 케라케라온나 · 케우케겐 · 코나키지지 · 코마이누 · 코쿠리바바 · 코토부키 · 쿠다키츠네 · 쿠단 · 쿠비카지리 · 큐소 · 키도우마루 · 키요히메 · 키지무나 · 키츠네비 · 테나가아시나가 · 테노메 · 텐구 · 텐죠나메 · 텐죠사가리 · 하시히메 · 한자키 · 화차 · 효스베 · 후우진 · 후나유레이 · 후타쿠치노온나 · 훗타치 · 히노엔마 · 히다루가미 · 히와모쿠모쿠 · 히토츠메코조 · 히히
기타
사신( 청룡 · 주작 · 백호 · 현무) · 오룡( 흑룡 · 청룡 · 적룡 · 황룡 · 백룡) · 교인 · 구미호 · 독각귀 · 유성신 · 뇌수 · 계룡 · 달두꺼비 · 옥토끼 · · 용생구자 · 삼족오 · 선녀 · · 염파 · 인면조 · 천구 · 추인 · 해태 · 봉황 · 인어 · 목어 · 비익조 · 가릉빈가 · 요정 · 액귀 · 마두 & 우두
세계의 상상의 생물 둘러보기
구분 북아시아·중앙아시아
아메리카 유럽 동아시아
오세아니아 동남아·남아시아
남극
}}}}}}}}} ||

1. 개요2. 각종 매체에서의 츠치노코

1. 개요

파일:attachment/츠치노코/tsu01.jpg

책 "이상한 생물 이야기"에 실린 삽화. 가장 일반적인 츠치노코 모습의 상상도이다.

ツチノコ (槌の子)

일본의 유명한 크립티드. 일본 내에서 가장 유명한 미발견생명체다.

옛날 전승에 의하면 초기엔 도마뱀처럼 다리가 있는 생물로 묘사되었지만, 모 만화에서 묘사된 형태(삼격형의 머리에 맥주병처럼 굵고 짧은 몸통)가 유명해져 현재는 해당 모습으로 인식되는 경우가 일반적. 현대에도 목격담은 끊이지 않고 이어지고 있으며, 매년 1억원의 현상금을 건 채로 수색대회가 벌어지는 중이기도 하다.

특히 일본에서는 츠치노코로 보이는 그림이 그려져 있는 옛날 조몬 시대 토기도 있고 일본서기 등 일본의 여러 옛날 고서적에도 츠치노코 목격담이나 그림이 나오고 민간 전설 등에도 자주 등장하는 등 역사가 오래된 요수이다. 특히 현대 일본에서는 1973년경에 크게 붐을 이룬 적이 있는데 일본의 여러 지방에서 목격담이 등장하고 이를 사진을 찍거나 잡으면 거액의 상금을 주겠다는 현상금도 여러번 걸렸다. 생포시에는 최고 1억엔의 상금을 주겠다는 현상금도 있었다. 그래서 츠치노코 탐색대회 같은 행사도 여러 지방에서 개최되기도 했다. 이런 츠치노코 붐의 영향으로 한동안 TV탐사 프로그램이나 잡지 등에서도 이를 특집등으로 자주 다루었고 아동잡지나 아동만화등에서도 자주 다루었으며 도라에몽 같은 작품에도 아이들이 츠치노코를 잡으러 가는 에피소드도 있다.

워낙 오래된 크립티드라 각 지방마다 목격담이 존재하는데, 지역별로 행동양식에 차이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예를 들어 먹이를 보면 펄쩍 튀어올라 독니로 문다던가, 우로보로스처럼 꼬리를 문 채로 둥근 형태가 되어 굴렀다던가, 위협할 때 뿔을 세웠다던가...어쨌든 정말 다양한 양상을 보이는 중이다.

일부의 목격담에 대해서는 현대의 다른 생물을 잘못 본 것으로 결론짓는 경우도 많은데, 해외에는 아예 일반적으로 묘사되는 츠치노코와 거의 유사하게 생긴 파충류도 실존하는 상황. 예를 들어 사진 속 푸른혀도마뱀은 통통하게 생긴데다 다리가 짧고 가늘어서 얼핏보면 츠치노코처럼 통통한 뱀으로 보인다. 특히 이 푸른혀도마뱀은 1970년도부터 일본에서 기르는 사람이 늘어났는데 츠치노코의 목격이 증가한 시기와 일치한다. 다만 꼬리가 가는 츠치노코와 달리 꼬리가 굵은 편. 또한 호주 뉴기니에 서식하는 독사 데스애더도 츠치노코와 매우 비슷한 외양이 특징으로, 실제로 데스애더를 데려다 놓고 츠치노코가 잡혔다고 사기극을 벌인 일화도 있다. 아프리카에 서식하는 가분살무사 또한 유사하게 생긴 편. 움직이는 방식이 특이한 것도 츠치노코와 비슷하다. 또, 뱀은 자기 몸뚱아리보다 훨씬 굵은 먹이를 먹을 수 있으므로 배가 빵빵하게 부풀어오른 것을 보고 착각을 했을 가능성도 높다. 물론 그렇다 해도 워낙 다양한 지역에서 목격담이 보고되고 있기 때문에 떡밥거리가 끊이지 않는 생물이다.

국내에서는 어째서인진 모르지만 백사, 망치뱀 또는 땅의 아들로 번역된다. 땅의 아들은 '츠치'를 땅(土)으로 착각한 오역. 실제로는 땅이 아니라 망치를 닮은 농기구 요코즈치(横槌)에서 딴 것으로 槌の子라고 표기한다. 포요포요 관찰일기에서는 졸지에 왕도마뱀이 되었다.

2. 각종 매체에서의 츠치노코



[1] 도라에몽은 몰래 진구에게 도시락만 주고 집에 갔다. [2] 한글 위키백과 #1 #2 [3] 더빙판에서는 '럭키 스네이크'로 이름이 변경되어 나왔다. [4] 곤충은 아니나 인게임에서 잠자리채로 잡을 수 있으며 곤충도감에 등록된다. [5] 물론 이 한자는 UMA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 일본에서 가장 유명한 온천마을 중 하나인 아리마온천(ありま, 有馬温泉)이다. 일본 효고현 고베시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