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2 17:49:27

글뤽스부르크 왕조

글뤽스부르크 가문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세이소 왕조
빌럼알렉산더르 하랄 5세 프레데리크 10세 레치에 3세
테멩공 가문
앙리 한스아담 2세 이브라힘 이스칸다르 알베르 2세
모하메드 6세 하마드 빈 이사 알할리파 프란치스코 필리프
볼키아 왕조
지그메 케사르 남기엘 왕축 하사날 볼키아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칼 16세 구스타프
펠리페 6세 무함마드 빈 자이드 알나얀 조안엔리크 비베스 이 시실리아 에마뉘엘 마크롱
들라미니 왕조
음스와티 3세 찰스 3세 하이삼 빈 타리크 알사이드
노로돔 왕조
압둘라 2세 나루히토 타밈 빈 하마드 알사니 노로돔 시아모니
미샬 알아흐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라마 10세 투포우 6세
왕위 계승자 · 대통령 및 총통 · 공산국가 지도부
총리 및 수상
}}}}}}}}}

<colbgcolor=#ec0013><colcolor=#fff>
글뤽스부르크 왕조
Haus Glücksburg
파일:1920px-Coat_of_arms_of_Duché_Schleswig-Holstein-Sondebourg-Glucksbourg.svg.png
창립일 1826년 3월 25일
창립자 프리드리히 빌헬름
現 수장 프리드리히 페르디난트
본가 올덴부르크 왕조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 왕조
국가 덴마크 왕국
아이슬란드 왕국
그리스 왕국
노르웨이 왕국
그레이트브리튼 및 북아일랜드 연합왕국
1. 개요2. 언어별 표기3. 부계 조상4. 글뤽스부르크 왕조 본가
4.1. 역대 수장
5. 덴마크(1863년 ~ )6. 노르웨이(1905년 ~ )7. 그리스(1863년 ~ 1974년)8. 영국(2022년 ~ )9. 계보

[clearfix]

1. 개요

유럽 왕조. 정식명칭은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글뤽스부르크 왕조로 현 덴마크, 노르웨이, 전(前) 그리스 왕국 아이슬란드의 왕조다.

본가는 올덴부르크 왕조로 글뤽스부르크 가문은 올덴부르크 왕조의 주요 분가 중 하나인[1]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 왕조의 분가다. 전신은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베크 가문으로 1825년 지금의 가문명으로 바꿔서 현재까지 이어진다.

2. 언어별 표기

독일어 Haus Glücksburg
덴마크어 Huset Lyksborg
노르웨이어 Huset Lyksborg[2]
아이슬란드어 Lukkuborgarætt
그리스어 Οίκος του Γκλύξμπουργκ

3. 부계 조상

4. 글뤽스부르크 왕조 본가

파일:1920px-Coat_of_arms_of_Duché_Schleswig-Holstein-Sondebourg-Glucksbourg.svg.png
글뤽스부르크 왕조의 수장은 덴마크 글뤽스부르크 왕조, 노르웨이 글뤼스부르크 왕조, 그리스 글뤽스부르크 왕조, 영국 윈저 왕조, 러시아 홀슈타인고토르프로마노프 왕조, 올덴부르크 홀슈타인고토르프 왕조를 아우르는 올덴부르크 왕조의 수장이다.

4.1. 역대 수장

5. 덴마크(1863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d000f 0%, #ec0013 20%, #ec0013 80%, #bd000f);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크누트 왕조
고름 가믈리 하랄 1세 블로탄 스벤 1세 하랄 2세 크누드 2세
<rowcolor=#fff> 크누트 왕조 에스트리드 왕조
크누드 3세 망누스 1세 스벤 2세 에스트리드센 하랄 3세 크누드 4세
<rowcolor=#fff> 에스트리드 왕조
올루프 1세 에리크 1세 닐스 에리크 2세 에리크 3세
<rowcolor=#fff> 에스트리드 왕조
스벤 3세 크누드 6세 발데마르 2세 에리크 4세 아벨
크누드 5세
발데마르 1세
<rowcolor=#fff> 에스트리드 왕조
크리스토페르 1세 에리크 5세 에리크 6세 크리스토페르 2세 발데마르 3세
<rowcolor=#fff> 에스트리드 왕조 그라이펜 가문
크리스토페르 2세 발데마르 4세 올루프 2세 마르그레테 1세 에리크 7세
<rowcolor=#fff> 팔츠노이마르크트 왕조 올덴부르크 왕조
크리스토페르 3세 크리스티안 1세 한스 크리스티안 2세 프레데리크 1세
<rowcolor=#fff> 올덴부르크 왕조
크리스티안 3세 프레데리크 2세 크리스티안 4세 프레데리크 3세 크리스티안 5세
<rowcolor=#fff> 올덴부르크 왕조
프레데리크 4세 크리스티안 6세 프레데리크 5세 크리스티안 7세 프레데리크 6세
<rowcolor=#fff> 올덴부르크 왕조 글뤽스부르크 왕조
크리스티안 8세 프레데리크 7세 크리스티안 9세 프레데리크 8세 크리스티안 10세
<rowcolor=#fff> 글뤽스부르크 왕조
프레데리크 9세 마르그레테 2세 프레데리크 10세 }}}}}}}}}

덴마크의 역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고중세 중세 초기 중세 식민제국 현대
유트 족 데인 족 바이킹 시대 <colbgcolor=#6495ed> 덴마크
왕국
북해
제국

덴마크
왕국
내전기 덴마크
왕국
내전
-
대공위 시대
덴마크 왕국 칼마르 동맹 덴마크-노르웨이 왕국 덴마크 왕국 나치 독일
덴마크 보호령
덴마크 왕국
하랄 1세 크누트 발데마르
}}}}}}}}} ||

파일:덴마크 왕국 대형 문장.svg
덴마크 왕실의 문장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덴마크 왕실 인스타그램
문장의 왼쪽 윗부분과 오른쪽 아랫부분은 덴마크를, 오른쪽 윗부분은 슐레스비히를, 왼쪽 아랫부분 에서 세 왕관은 스웨덴[3]을, 염소 페로 제도를, 북극곰 그린란드를 나타낸다. 가운데 위치한 문장은 본가인 올덴부르크 왕조의 상징이다.

덴마크 국왕 프레데리크 7세에게 자녀가 없자 슬레스비-홀스텐-쇤더보르-글뤽스보르 공작 프레데리크 빌헬름의 4남 크리스티안이 후계자로 지명되어 올덴부르크 본가가 단절된 이후에 덴마크 왕위에 올랐다.

크리스티안 9세의 장남은 프레데리크 8세로 덴마크 왕위를 물려받고, 장녀 알렉산드라 영국 국왕 에드워드 7세의 왕비가 되었으며, 차남 빌헬름은 그리스 왕국 요르요스 1세[4]로 즉위하였고, 차녀 다그마르는 러시아 제국 황제 알렉산드르 3세의 황후가 되는 등, 크게 번창하였다.

아울러 프레데리크 8세의 장남 크리스티안 10세는 1918년~1944년 사이에 아이슬란드의 왕위 동군연합으로 차지하였으며, 차남 칼은 노르웨이 호콘 7세로 즉위하였다.

현 수장은 프레데리크 10세 국왕이다.

원래 살리카법이었으나 1953년에 국민투표로 아들 우선 상속법으로 바뀌고, 2009년에 절대적 맏이 상속법으로 바뀌었다.

현재는 부계혈통에서 모계혈통으로 바뀌었다. 덴마크의 왕조교체가 올덴부르크-글뤽스부르크의 경우를 제외하면 전부 모계혈통[5]으로 인한 교체라 이것도 어찌보면 전통을 따른것.

프레데리크 1세부터 군주가 될 장남의 이름으로 프레데리크- 크리스티안이라는 이름을 교대로 사용해왔다.[6] 프레데리크 8세- 크리스티안 10세- 프레데리크 9세- 마르그레테 2세- 프레데리크 10세- 크리스티안 왕세자 이런 식. 물론 마르그레테 전 여왕의 아버지는 프레데리크이기에 현재도 프레데리크라 프레데리크-크리스티안 명명법이 끊어지진 않았다.

6. 노르웨이(1905년 ~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노르웨이/왕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2001b 0%, #EB0021 20%, #EB0021 80%, #c2001b); color: #ffe055;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e055> 하르파그리 왕조 크누트 왕조
하랄 1세 에이리크 1세 호콘 1세 하랄 2세 하랄 블로탄
<rowcolor=#fff> 비켄 왕조 크누트 왕조 성 올라프 왕조 크누트 왕조
올라프 1세 스베인 튜게셰그 올라프 2세 크누트 대왕 스베인 크누트손
<rowcolor=#fff> 성 올라프 왕조 하르드라다 왕조
망누스 1세 하랄 3세 망누스 2세 올라프 3세 호콘 망누손
<rowcolor=#fff> 하르드라다 왕조
망누스 3세 올라프 망누손 외위스테인 1세 시구르 1세 망누스 4세
<rowcolor=#fff> 길리 왕조
하랄 4세 시구르 2세 잉에 1세 외위스테인 2세 망누스 하랄손
<rowcolor=#fff> 길리 왕조 하르드라다 왕조 스베리르 왕조
호콘 2세 망누스 5세 스베레 시구르손 호콘 3세 구토름 시구르손
<rowcolor=#fff> 길리 왕조 스베리르 왕조
잉에 2세 호콘 4세 망누스 6세 에이리크 2세 호콘 5세
<rowcolor=#fff> 폴쿵 왕조 칼마르 동맹
망누스 7세 호콘 6세 올라프 4세 마르그레테 1세 에리크 3세
<rowcolor=#fff> 칼마르 동맹 올덴부르크 왕조
크리스토페르 칼 1세 크리스티안 1세 한스 크리스티안 2세
<rowcolor=#fff> 올덴부르크 왕조
프레데리크 1세 크리스티안 3세 프레데리크 2세 크리스티안 4세 프레데리크 3세
크리스티안 5세 프레데리크 4세 크리스티안 6세 프레데리크 5세 크리스티안 7세
<rowcolor=#fff> 올덴부르크 왕조 홀슈타인고토르프 왕조 베르나도테 왕조
프레데리크 6세 크리스티안 8세 칼 2세 칼 3세 요한 오스카르 1세
<rowcolor=#fff> 베르나도테 왕조 글뤽스부르크 왕조
칼 4세 오스카르 2세 호콘 7세 올라프 5세 하랄 5세 }}}}}}}}}

노르웨이의 역사
Norges historie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고대 중세 종속기 근대 현대
바이킹 시대 하르드라다 왕조 내전기 스베레 왕조 칼마르 동맹 덴마크-노르웨이 왕국 스웨덴-노르웨이 연합 왕국 노르웨이 왕국 노르웨이 국가판무관부
국민정부
노르웨이 왕국
}}}}}}}}} ||

파일:노르웨이 왕실 대형 문장.svg
덴마크 국왕 프레데리크 8세의 차남 칼 왕자가 1905년에 노르웨이 국왕 호콘 7세로 즉위하였다. 왕위 계승은 살리카법이다가 1990년에 절대적 장자상속법으로 바뀌었다.

현 수장은 하랄 5세 국왕이다.

덴마크 왕실이 뿌리이지만 덴마크 왕실처럼 군주가 될 맏이의 이름을 격대로는 사용하지 않는다. 호콘 7세- 올라프 5세- 하랄 5세- 호콘 왕세자- 잉리드 왕세손녀 이런 식.

7. 그리스(1863년 ~ 1974년)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94580, #0d5eaf 20%, #0d5eaf 80%, #094580);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글뤽스부르크 왕조
오톤 요르요스 1세 콘스탄티노스 1세 알렉산드로스
글뤽스부르크 왕조
콘스탄티노스 1세 요르요스 2세 파블로스 콘스탄티노스 2세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상고대 미노스 문명
미케네 문명
암흑시대
고졸기
고대 고대 그리스
아테네 스파르타 테베 마케도니아 에페이로스 왕국
헬레니즘 제국
리시마코스 안티파트로스
안티고노스
안티고노스 아카이아 보이오티아 에페이로스
로마 제국
중·근세 동로마 제국
니케아 제국 라틴 제국 이피로스 전제군주국 트라페준타 제국
동로마 제국
모레아 전제군주국
오스만 제국
근대 제1공화국
그리스 왕국
비텔스바흐 왕조
글뤽스부르크 왕조
제2공화국
그리스 왕국
글뤽스부르크 왕조
그리스국
그리스 망명 정부
현대 그리스 내전
그리스 왕국 | 인민해방전선
그리스 왕국
글뤽스부르크 왕조
군사정권
제3공화국
}}}}}}}}} ||

파일:그리스 왕국 국장.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그리스 왕실 인스타그램
그리스 왕가의 문장. 아래 적혀 있는 글씨는 왕실 모토인 "Ισχύς μου η αγάπη του λαού(국민의 사랑은 나의 힘)[7]"

전술했듯이 크리스티안 9세의 차남 빌헬름이 1863년, 그리스 왕국 요르요스 1세가 되어 50년간 재위하였다. 즉위 당시 17살이었는데, 자신이 그리스 의회에서 그리스 국왕으로 선출되었다는 소식을 점심 먹으면서 신문을 보고서야 알았다고 한다. 그도 그럴 것이, 그 전 해 비텔스바흐 가문 출신의 오토 왕이 쫓겨나고 새 국왕을 뽑는 국민투표가 있었을 때, 빅토리아 여왕의 차남인 에든버러 공작 알프레드[8]가 95%의 압도적 지지를 얻었기 때문. 참고로 24만 1,202표 가운데 공화국을 원한다는 표는 93표, 빌헬름 본인은 6표, 나폴레옹 3세는 2표, 전 국왕인 오토의 복위는 1표(...)를 얻었다. 그러나 그리스가 어느 열강의 영향권 안으로 편입되는걸 막기 위해 열강 왕가 출신의 인물을 그리스 왕위에 올리는걸 배제한다는 열강들 사이의 합의에 따라 알프레드가 국왕 후보에서 배제되고, 빌헬름이 선택된 것이다.

1924년부터 11년간 그리스가 공화국이 된 적도 있었으나, 다시 왕실이 복위했다가 군사 쿠데타를 거쳐 1973년 여름의 국민투표로 제3공화국이 됨에 따라 국왕 콘스탄티노스 2세는 폐위당했다. (단, 실질적인 왕정의 종식은 콘스탄티노스 2세가 역쿠데타를 시도했다가 실패하고 망명간 1967년 12월로 보기도 한다.) 1974년에 군사정권이 쫓겨난 이후 그해 겨울 다시 왕정복고 국민투표가 치러졌으나 7:3으로 왕당파가 떡실신. 그 뒤로 그리스는 민주공화정으로 완전히 전환되었다.

현 수장은 콘스탄티노스 2세의 아들 파블로스 왕세자[9]이다. 이쪽도 살리카법이었으나 1952년 헌법에서 아들 우선 장자상속법으로 바뀌었다.[10]

쫓겨난 왕가인데다 외래 왕가였다는 이유로 그리스에서의 취급은 박해서, 콘스탄티노스 2세는 폐위된 후 1981년 2월 모후인 프리데리케 루이제의 장례식 참석을 위해 당일로 아테네를 찾은 것과 93년 여름에 휴양을 위해 잠시 입국했었던 것을 빼고는 계속 외국을 전전해야 했다. 여권상의 그의 이름은 'Constantine, former King of the Hellenes'였는데, 1994년에 법이 개정되어 적법한 성(family name)이 없다는 이유로 그리스 시민권과 여권도 몰수당했다. 2004년에는 IOC 명예 위원으로서 아테네 올림픽 참석을 위해 그리스를 찾았는데, 이 때는 덴마크 여권을 통해 입국하였다. 덴마크는 크리스티안 9세 헤센카셀의 루이제 사이에서 태어난 자손들 모두를 덴마크 왕족으로 취급하여 여권을 발급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왕가는 46년 동안이나 런던에서 체류하다가 2013년에서야 그리스로 돌아와(실질적으로는 아테네 올림픽 이후. 2004년~2013년에는 아테네와 런던을 오갔다.) 펠로폰네소스 반도의 포로토 헬리(Πορτοχέλι)에 살다가 2022년에 아테네로 이사했다. 그나마 최근(2010년대 이후)에 들어서는 그리스 경제위기 등으로 기존 그리스 정계의 이미지가 나빠지면서 옛 왕가의 이미지가 조금 회복되었다. 2024년 12월 20일에 국적 회복을 신청했다. # 하지만 글뤽스부르크가 아니라 프랑스식 성인 데 그레스(de Greece)라는 성을 사용하면서 논란이 일었다.

2023년 1월 10일, 마지막 국왕이었던 콘스탄티노스 2세 뇌졸중으로 숨을 거두었다.

콘스탄티노스 2세와 아네-마리에 왕비[11] 사이에서 태어난 자녀 및 손주들은 'Prince(또는 Princess) of Greece and Denmark'를 자칭하고 있다.[12][13]

영국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부군 필립 마운트배튼이 요르요스 1세의 4남 안드레아스 왕자의 아들이다보니 찰스 3세의 부계가 이 가문에 해당한다.

이 가문도 뿌리인 덴마크 왕실처럼 군주가 될 맏이의 이름을 격대로 사용한다. 콘스탄디노스 1세- 파블로스[14]- 콘스탄디노스 2세- 파블로스 왕세자[15]-콘스탄티노스-알렉시오스 이런 식.

8. 영국(2022년 ~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윈저 왕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Coat of Arms of Philip, Duke of Edinburgh2.png
영국 찰스 3세의 아버지 필립 마운트배튼이 그리스 글뤽스부르크 왕조 출신이다. 필립 마운트배튼이 본래 폐위된 콘스탄티노스 1세의 남동생 안드레아스 왕자의 아들이기 때문이다.

부계혈통으로 따지면 찰스 3세 및 후계자 웨일스 공 윌리엄, 웨일스의 조지 공자 등은 글뤽스부르크 왕조의 후예이다. 게다가 영연방 국가들 중 영국 국왕을 군주로 모시는 국가들까지 따져보면[16]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등등의 국가들도 글뤽스부르크 왕조이다.

다만 필립공은 영국으로 귀화하며 그리스 국적과 같이 왕자 작위, 왕위 계승권과 전하 칭호를 포기하고[17] 성도 외가의 성인 ' 마운트배튼'[18]으로 바꿨고,[19] 영국 왕실은 부계혈통을 이어받든 모계혈통을 이어받든 왕실의 피를 이어받았으면 후대의 왕조 이름도 윈저 왕조로 계속 간다고 선언하였기 때문에[20] 왕조명은 글뤽스부르크가 아니다.

9. 계보

올덴부르크 왕조의 수장이자 글뤽스부르크 왕조 수장의 계승 순위는 올덴부르크 왕조의 가문 전체 구성원 및 계승 순위 참고.

남색 바탕은 올덴부르크 왕조의 수장이자 글뤽스부르크 왕조의 수장, 붉은 바탕은 덴마크의 국왕, 연붉은 바탕은 노르웨이의 국왕, 연파란 바탕은 그리스의 국왕, 파란 바탕 영국 국왕이다.

아래 계보도는 공통조상인 프리드리히 빌헬름부터 크리스토프의 대까지 작성되었으며, 이름 앞의 숫자는 계승 순위이다.
프리드리히 빌헬름 프리드리히 프리드리히 페르디난트 빌헬름 프리드리히 페터 크리스토프
6.알렉산더
크리스티안 9세 프레데리크 8세 크리스티안 10세 프레데리크 9세 마르그레테 2세
크누드 8.잉골프
호콘 7세 올라프 5세 9.하랄 5세
하랄 올루프 12.울리크
요르요스 1세 콘스탄티노스 1세 요르요스 2세
알렉산드로스
파블로스 콘스탄티노스 2세
안드레아스 필립 마운트배튼 21.찰스 3세
27. 앤드루
28. 에드워드
크리스트포로스 미하일
발데마르 악셀 플레밍 발데마르 30.악셀
33.비거
34.카를 요한
에리크 크리스티안 35.발데마르
크리스토프 이후 계보.
크리스토프 프리드리히 페르디난트 1.알프레드
2.알베르트
3.콘스탄틴 4.타실로
5.레오폴드
6.알렉산더 7.율리안
8.잉골프
9.하랄 5세 10. 호콘 망누스 11. 스베레 망누스
12.울리크 13.필리프
콘스탄티노스 2세 14. 파블로스 왕세자 15.콘스탄티노스 알렉시오스
16.아킬레아스 안드레아스
17.오디세아스 키몬
18.아리스티디스 스타보로스
19.니콜라오스
20.필리포스
21.찰스 3세 22. 윌리엄 23. 조지
24. 루이
25. 해리 26. 아치
27. 앤드루
28. 에드워드 29. 제임스 마운트배튼윈저
30.악셀 31.카를 요한
32.알렉산더
35.발데마르 36.니콜라이


[1] 다른 하나는 홀슈타인고토르프 왕조. [2] 보크몰은 뤽스보르(Lyksborg)에 가깝게 표기하지만, 뉘노르스크는 글뤽스부르크(Glücksburg)에 가깝게 표기한다. [3] 칼마르 연합때부터 덴마크는 스웨덴의 상징인 세 왕관을 넣었는데 두 나라는 이 문제를 두고 엄밀히 말하면 스웨덴의 문장 사용은 부차적인 문제였고 주된 갈등 원인은 핀마르크주 문제였지만 크리스티안 4세 칼 9세 때 전쟁까지 벌인 적이 있다. [4] 그리스계 글뤽스부르크 왕조의 초대 왕이자 필립 마운트배튼의 조부이기도 하다. [5] 에스트리드 왕조는 크누트 왕조 크누트 대왕의 여동생 에스트리드 스벤스다테르의 아들 스벤 2세가 개창하였고, 올덴부르크 왕조의 시조 크리스티안 1세도 에스트리드 왕조 에리크 5세의 딸 리키자의 후손이었던 덕분에 덴마크 국왕으로 선출되었다. [6] 앞에 크리스티안 2세도 있긴 하지만 크리스티안 2세는 프레데리크 1세의 형 한스 왕의 아들이었다. 크리스티안 2세는 본인 맏아들 이름을 한스로 지었다. [7] 덴마크 국왕 프레데리크 7세의 표어였다. 덴마크어로는 Folkets kærlighed, min styrke. [8] 훗날의 작센코부르크고타 공국 공작, 알프레트가 된다. [9] 콘스탄티노스 2세가 2023년 1월 10일 사망함에 따라 자동으로 승계. 수장의 호칭은 언급이 없지만 따로 왕을 칭하지는 않고 있다. [10] 당시 그리스 왕가에 남자 계승자가 사실상 왕세자 한 사람 뿐이었는데, 다른 남자 왕족들은 귀천상혼을 하면서 계승권을 박탈당한데다 다들 자식 없이 죽거나 딸만 낳아서 그렇다. 요르요스 1세의 친손자들중에서 아들을 낳은 사람은 파블로스 필리포스 왕자가 유이했다. 그마저도 필리포스 왕자는 엘리자베스 공주와 결혼을 위해 영국으로 귀화하면서 계승권을 포기했으며, 그 장남이 대신 영국의 왕위를 이었다. [11] 덴마크 국왕 프레데리크 9세의 세 딸 중 막내이자 마르그레테 2세 여왕의 막내 여동생. 참고로 부부는 부계로 모두 크리스티안 9세의 후손인 8촌 관계이고, 둘다 빅토리아 여왕의 후손이기도 하다. 크리스티안 9세-프레데리크 8세-크리스티안 10세-프레데리크 9세-안나-마리아 왕비 / 크리스티안 9세-요르요스 1세-콘스탄티노스 1세-파블로스 1세-콘스탄티노스 2세 [12] 덴마크 출신인 아네-마리에 왕비 때문이 아니라, 그리스 글뤽스부르크 왕가의 시조인 요르요스 1세부터가 덴마크 왕실 출신이기 때문. 콘스탄티노스 2세 이전 세대 사람인 필립 공(결혼 이전)이나 필립 공의 아버지 안드레아스 왕자도 'Prince(또는 Princess) of Greece and Denmark'가 칭호에 붙어 있었다. 미하일 왕자(요르요스 1세의 5남 크리스토폴로스 왕자의 외아들)의 경우, 미하일 왕자가 그리스인 평민 마리나 카렐라와 결혼했을 때 그리스 왕실에서는 계승권 포기를 조건으로 동등결혼으로 인정해 주었지만(그러나 그의 아내는 Princess 칭호를 못받았다.) 덴마크 왕실에서는 승인을 해 주지 않았기 때문에 미하일 왕자의 두 딸은 덴마크 공주 칭호는 쓰지 못하고 있다. [13] 그리스어로 표기할 경우 Πρίγκιπας(또는 Πριγκίπισσα) της Ελλάδας και της Δανίας(프링기파스/프링기피사 티스 엘라다스 케 티스 다니아스)가 되며, 만일 덴마크어로 표기하게 되다면 Prins(또는 Prinsesse) af Grækenland og Danmark(프린스/프린세세 아프 그레켄란 오그 단마르크)가 된다. [14] 3남이라 할아버지인 요르요스 1세의 이름을 쓰지 못했다. 큰 형이 요르요스 2세였지만 자녀 없이 죽어서 요르요스라는 이름은 이어지지 못했다. [15] 만약 왕으로 즉위한다면 파블로스 2세라고 칭할 수 있겠지만, 이미 그리스 왕정이 폐지되었으므로 이후로는 구 왕족 개인의 이름일 뿐이다. [16] 제2차 세계 대전을 기점으로 기존의 대영제국은 해체되었고 여러 나라들이 독립했지만, 정부로서는 독립해도 영국의 왕을 국가원수로 모시는 나라들은 현재도 남아있다. [17] 물론 여왕과 결혼하고 전하 칭호로 불린다. [18] 헤센 가문의 분가인 헤센다름슈타트 가문의 방계. [19] 실제로 부부의 결혼증명서에도 아버지의 성과 아들의 성이 다르게 기록되어 있다. [20] 다만 이 선언문은 법적으로 유효한 것은 아니라서 나중에 군주가 왕조명을 바꿀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