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6 17:35:00

헤르만 괴링

괴링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괴링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인물의 동생에 대한 내용은 알베르트 괴링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70101, #cc0000 20%, #cc0000 80%, #b70101); color: #fff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c224> 제1대 제2대
프란츠 폰 파펜 헤르만 괴링
}}}}}}}}}
헤르만 괴링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70101, #cc0000 20%, #cc0000 80%, #b70101); color: #fff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제1대 제2대 제3대 제4대 제5대
알프레트 후겐베르크 쿠르트 슈미트 얄마르 샤흐트 헤르만 괴링 발터 풍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70101, #cc0000 20%, #cc0000 80%, #b70101); color: #fff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c224> 제1대
헤르만 괴링
}}}}}}}}}

파일:나치 독일 국장.svg
독일 국방군 원수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제국원수
Reichsmarschall
파일:Si_1ab.png
공군
Luftwaffe
1940
헤르만 괴링
원수
General-feldmarschall / Großadmiral

파일:Si_2a.png · 파일:Si_2c.png · 파일:LGFME.png / 파일:AA-1A.png
육군
Heer
1936
베르너 폰 블롬베르크
1940
발터 폰 브라우히치 | 페도어 폰 보크 | 빌헬름 카이텔 | 귄터 폰 클루게 | 빌헬름 리터 폰 레프 | 빌헬름 리스트 | 발터 폰 라이헤나우 | 게르트 폰 룬트슈테트 | 에르빈 폰 비츨레벤
1942
게오르크 폰 퀴힐러 | 에리히 폰 만슈타인 | 에르빈 롬멜
1943
프리드리히 파울루스 | 에른스트 부슈 | 에발트 폰 클라이스트 | 막시밀리안 폰 바익스
1944
발터 모델
1945
페르디난트 쇠르너
명예
에두아르트 폰 뵘에르몰리
해군
Kriegsmarine
1939
에리히 레더
1943
카를 되니츠
공군
Luftwaffe
1940
알베르트 케셀링 | 에르하르트 밀히 | 후고 슈페를레
1942
볼프람 폰 리히트호펜
1945
로베르트 리터 폰 그라임
파일:Si_2a.png : 1942년전까지 적용된 원수 계급장
파일:Si_2c.png : 1942년부터 적용된 원수 계급장
{{{#!wiki style="margin: -12.5px -5px; color: #000; border-radius: 30px; font-size: 0.8em" ※ 둘러보기 }}}
}}}}}}}}}

파일:나치 독일 공군 엠블럼.svg
나치 독일 공군 최고사령관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99a53, #c99a53 20%, #c99a53 80%, #c99a53); color: #0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0> 초대 제2대
헤르만 괴링 로베르트 리터 폰 그라임 }}}}}}}}}

<colbgcolor=#cc0000><colcolor=#fff> 나치 독일 제2대 부총리
헤르만 빌헬름 괴링
Hermann Wilhelm Göring
파일:reichsmarschall.jpg
출생 1893년 1월 12일
독일 제국 바이에른 왕국 로젠하임
(現 독일 바이에른주 오버바이에른현 로젠하임)
사망 1946년 10월 15일 (향년 53세)
연합군 점령하 독일 바이에른 뉘른베르크
묘소 없음[1]
재임기간 제2대 부총리
1933년 4월 11일 ~ 1945년 4월 23일
초대 공군 최고사령관
1935년 3월 1일 ~ 1945년 4월 24일
서명 파일:헤르만 괴링 서명.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cc0000><colcolor=#ffffff> 부모 아버지 하인리히 에른스트 괴링[2]
어머니 프란치스카 티펜브룬
형제자매 누나 올가 테레제 조피 괴링,
누나 파울라 엘리자베트 로자 괴링,
남동생 알베르트 괴링
배우자 카린 괴링(1923 ~ 1931; 사별)[3]
에미 괴링(1935 ~ 1946)[4]
자녀 에다 괴링(1938 ~ 2018)[5]
학력 뮌헨 대학교 ( 경제학· 사학 / 학사)
종교 개신교 ( 루터회) → 무종교[6]
신체 178cm / 118kg / IQ 138 ( 웩슬러 벨뷰 지능검사)
소속 정당
복무 독일 제국 육군
독일 제국 항공군
돌격대
1923년 ~ ?
독일 국방군 공군
1935년 ~ 1945년
최종 계급 제국원수 ( 독일 국방군 공군)[7]
주요 참전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

1. 개요2. 생애3. 소속 정당4. 선거 이력5. 기타6. 대중매체7. 어록8. 이력9. 진급 내역10. 주요 서훈 내역11.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헤르만 괴링 사진.jpg
나는 언제나 마지막 르네상스인이다.
헤르만 괴링
독일의 군인으로 최종 계급은 제국원수(Reichsmarschall)[8] 겸 공군최고사령부(Oberkommando der Luftwaffe,OKL)의 최고사령관(Oberbefehlshaber der Luftwaffe). 민간 관직으로는 국가의회 의원, 16대 국가의회 의장[9], 프로이센주(州) 총리[10][11] 내무부 장관, 4개년 경제계획부 장관, 산림청장, 항공부 장관,[12] 돌격대 대장을 겸했다. 마지막으로 아돌프 히틀러가 직접 임명하고, 법령으로 선포한 제3제국의 공식적인 2인자.

2. 생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헤르만 괴링/생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소속 정당

소속 기간 비고

1922 - 1923 정계 입문


[[무소속(정치)|
무소속
]]
(
)
1923 - 1927 해외 도피

1927 - 1945 복당
출당 및 제명[13]

4. 선거 이력

연도 선거 종류 선거구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1928 바이마르 공화국 총선 비례대표
(포츠담 제1번
비례선거구)
[14]

810,127 (2.6%) 당선 (9위) 초선
1930 바이마르 공화국 총선 6,379,672 (18.25%) 당선 (2위) 재선
1932.7 바이마르 공화국 총선 13,745,680 (37.27%) 3선[의장]
1932.11 바이마르 공화국 총선 11,737,395 (33.09%) 당선 (1위) 4선[의장]
1933.3 바이마르 공화국 총선 17,277,180 (43.91%) 5선[의장]
1933.11 나치 독일 총선 39,655,244 (92.11%) 6선[의장]
1936 44,462,458 (98.8%) 7선[의장]
1939 48,751,587 (98.93%) 8선[의장][21]

5. 기타

6. 대중매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헤르만 괴링/대중매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어록

베르사유 조약은 우리에게 이 무기의 사용을 금지시켰다. 퓌러인 아돌프 히틀러와 많은 사람들은 이 무기의 힘을 예상 못했다. 이 무기만 있다면, 승리자는 라이히가 될 것이며 폴란드는 물론, 영국과 프랑스와의 전쟁에서도 승리하게 될 것이다.
괴링의 육성 기록 26분 48초 부터
퓌러가 결정한다면 나는 한다.
"퓌러의 말은 모두 진실이다. 퓌러께서 2+2=5라면 그런 것이다!"[36]
나는 독일국에서 독보적인 권위를 가지고 있던 퓌러 다음 가는 사람이었다. 국민들은 퓌러를 사랑했으나 그는 대중과 너무 멀리 떨어져 있었다. 그래서 나를 따른 것이다.
- 뉘른베르크 재판에서[37]
“물론 국민들은 전쟁을 원치 않는다. 러시아 국민들도 전쟁을 원치 않고, 영국 국민들도 전쟁을 원치 않고, 심지어 독일 국민들도 전쟁을 원치 않는다. 그건 누구나 다 아는 얘기다. 하지만 정책은 국가의 지도자가 정하는 것이고, 국민들을 따라오게 만드는 것은 간단한 일이다. 민주주의 국가든, 파시스트 독재 국가든, 의회 민주주의 국가든, 공산주의 독재 국가든, 다 마찬가지다.”
“국민이 목소리를 내든 말든, 지도자는 언제든 국민을 따라오게 만들 수 있다. 그건 쉬운 일이다. 지금 국가가 외부로부터 공격을 받고 있다고 국민들에게 얘기하고, 평화를 부르짖는 자들은 애국심이 없고 국가를 위험한 지경에 빠트리고 있는 자들이라고 매도하기만 하면 된다. 어느 나라에서든 이 전략은 통하게 되어 있다.
" 쇠는 항상 국가를 강하게 만들어 왔다. 버터 돼지기름은 사람들을 그저 비만이 되게 할 뿐이다."[38]
"졌어. 우리는 이미 전쟁에서 진 거야."
- 베를린 상공에 P-51이 날아오는 것을 보고 좌절하며 한탄했다는 말로 전해진다.
"적 폭격기는 루르에 도달할 수 없다. 한 기라도 그럴 수 있다면 난 괴링이 아니다. 마이어[39]라고 불러라."
- 헤르만 마이어[40]

8. 이력

9. 진급 내역

10. 주요 서훈 내역

11. 둘러보기

파일:파르티아이들러(당수리).svg
나치즘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이념 파시즘 · 군국주의 · 인종주의 · 범게르만주의 · 반유대주의 · 국가주의 · 국수주의 · 전체주의 · 지도자 원리 · 푈키셔 내셔널리즘 · 반공주의
분파 나치즘 · 슈트라서주의 · 네오 나치즘
정치 조직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 · 독일 소녀 동맹 · 툴레 협회 · 히틀러 유겐트
국가사회주의 오스트리아 노동자당 · 주데텐 독일인당 · 네덜란드 국가사회주의 운동 · 영국 파시스트 연합 ·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자 조직 · 화살십자당 · 스위스 국민운동 · 칠레 국가사회주의 운동 · 오제바브란트바흐 · 그리스 민족사회당 · 국가사회주의 덴마크 노동자당 · 독일계 미국인 동맹 · 불가리아 국민군단연합· 국가사회주의 스웨덴 노동자당
군사 조직 국방군,(Wehrmacht), · 국방군최고사령부,(OKW), · 방첩국,(Abwehr), · 육군최고사령부,(OKH), · 비밀야전경찰,(GFP), · 공군최고사령부,(OKL), · 해군최고사령부,(OKM), · 돌격대,(SA), · 친위대,(SS), · 비밀국가경찰,(Gestapo), · 보안국,(SD), · 아넨에르베,(Ahnenerbe), · 무장친위대,(Waffen-SS), · 아인자츠그루펜,(Einsatzgruppen), · 질서경찰,(OrPo),
인물 아돌프 히틀러( 퓌러) · 마르틴 보어만 · 하인리히 힘러 · 파울 요제프 괴벨스 · 헤르만 괴링 · 알프레트 로젠베르크 · 루돌프 헤스 · 그레고어 슈트라서 · 에른스트 룀 ·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 · 오토 슈트라서 · 아돌프 아이히만· 카를 슈미트 · 조지 링컨 록웰 · 프리츠 쿤 · 카를 하우스호퍼 · 루트비히 뮐러
계획 게르마니아 · 레벤스라움 · 아르한겔스크-아스트라한 선 · 벨라루스 초토화 · 레벤스보른 · T4 작전 · 홀로코스트 · 대게르만국 · 부르군트 SS국
선전물 나의 투쟁 · 의지의 승리 · 올림피아 · 호르스트 베셀의 노래 · 뉘른베르크 전당대회 · 독일 주간 뉴스 · 푈키셔 베오바흐터
국가(國家) 나치 독일 · 헝가리 국민단결정부
상징 나치식 경례 · 블루트파네 · 슈바르체존네 · 콜로브라트 · 철십자 · 하켄크로이츠
관련 틀 나치당 당수 · 네오 나치즘 · 아돌프 히틀러 · 추축국 · 파시즘
}}}}}}}}} ||

[[독일의 전쟁범죄|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의 전쟁범죄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0> 전범과 재판 뉘른베르크 국제군사재판

루돌프 헤스 | 마르틴 보어만궐석재판 | 발두어 폰 시라흐 | 발터 풍크 | 빌헬름 카이텔 | 빌헬름 프리크 | 아르투어 자이스잉크바르트 | 알베르트 슈페어 | 알프레트 로젠베르크 | 알프레트 요들 | 에른스트 칼텐브루너 | 에리히 레더 | 요아힘 폰 리벤트로프 | 율리우스 슈트라이허 | 카를 되니츠 | 콘스탄틴 폰 노이라트 | 프리츠 자우켈 | 한스 프랑크 | 헤르만 괴링자살

카를 브란트 | 카를 게프하르트 | 볼프람 지퍼스 | 루돌프 브란트 | 발데마르 호펜 | 카를 겐츠켄

에르하르트 밀히

오스발트 폴 | 아우구스트 프랑크 | 게오르크 뢰르너 | 한스 뢰르너 | 프란츠 아이렌슈말츠

빌헬름 리스트 | 로타르 렌둘릭 | 발터 쿤체

울리히 그라이펠트 | 베르너 로렌츠 | 리하르트 힐데브란트

오토 올렌도르프 | 에리히 나우만 | 파울 블로벨 | 베르너 브라우네 | 에두아르트 슈트라우흐 | 마르틴 잔트베르거 | 오이겐 슈타임레 | 발데마르 클링겔회퍼 | 하인츠 요스트 | 구스타프 아돌프 노스케 | 프란츠 직스

헤르만 호트 | 빌헬름 리터 폰 레프 | 게오르크 폰 퀴힐러 | 게오르크한스 라인하르트
학살 사건 홀로코스트 | 독일 국방군의 전쟁 범죄 | 바빈야르 학살 |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의 벨라루스 점령 | 오라두르쉬르글란 학살 | 말메디 학살 | 그래뉴 학살 | 르 파라디 학살 | 바르샤바 봉기 진압
생체 실험 T4 작전
생체실험 관련인물
요제프 멩겔레 | 에른스트 로베르트 그라비츠 | 카를 브란트 | 카를 게프하르트 | 호르스트 슈만 | 아리베르트 하임 | 카를 클라우베르크 | 지크문트 라셔
강제수용소 틀:나치의 주요 절멸수용소 | 다하우 강제수용소
기타 라이헤나우 강조 명령 | 정치장교 명령 | 국방군 무오설
※ 문서가 있는 경우에 한해서 서술. 기소 여부 및 판결에 대해서는 각 뉘른베르크 국제군사재판 문서를 참고
※ 둘러보기: 틀:파시즘, 틀:나치즘, 틀:뉘른베르크 군사법정 전범재판 }}}}}}}}}

[1] 시신이 유족에게 인계되지 않고 소련의 요구대로 다음날 교수형에 처해진 핵심 전범 11명과 함께 입관되어 뮌헨 근교의 화장장에서 화장되었고, 유골 역시 소련의 요구에 따라 극우파들에 의한 우상화를 막기 위해서 이자르 강의 지류인 콘벤츠 강에 뿌려졌다. 정확한 위치는 나치 잔당들의 성지가 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비공개로 처리됐다. [2] 괴링의 아버지인 하인리히가 헤레로족과 나마족 학살의 주범이라는 소문이 떠돌고 있지만 그것은 사실이 아니며 진범은 로타르 폰 트로타. 물론 헤레로족 반란 진압 책임자로 트로타를 임명한 빌헬름 2세 역시 책임을 피할 수 없다. [3] 스웨덴 출신으로 남편이 있을 때 괴링을 만나서 재혼했으며, 결혼 후 결핵으로 병사했다. [4] 원래 이름은 에미 존네만. 영화배우로 1935년 괴링과 결혼하고 히틀러가 싱글인 관계로 파울 요제프 괴벨스의 아내인 '마그다 괴벨스'와 함께 제 3제국의 퍼스트 레이디 역할을 했다고 한다. 의외로 마그다와 사이는 친했다고 전해진다. [5] 괴링과 후처 에미 괴링 사이에서의 딸. [6] Leon Goldensohn, The Nuremberg Interviews: An American Psychiatrist's Conversations with the Defendants and Witnesses, p. 132 [7] 1945년 4월 29일부로 군적 박탈. [8] Reich의 번역 명은 제국보다는 국가가 더 맞긴 하지만 국가원수(國家元帥)라고 번역하면 국가원수(國家元首)와 발음이 같아 헷갈리니 제국원수로 번역한다. [9] 마지막 의장이자 공화국 역대 최장기 의장으로 12년 236일간 재임했다. [10] 그리고 프로이센 역사상 마지막 수반이기도 하다. [11] 헌법상으로는 지방자치제 였으나, 바이마르 말기 초법적인 대통령 비상대권으로 수도 베를린을 포함한 인구 및 영토의 60%를 차지하는 프로이센 주를 중앙정부에서 직할 통치했다. [12] 초기에는 무임소 장관 이었다가 항공부가 신설되며 장관이 되었다. [13] 모든 직책에서 해임된 것은 23일이었지만, 당적 자체는 유지하고 있었다. 괴링이 당에서도 완번히 출당된 것은 히틀러가 자살하기 하루 전인 29일에 남긴 유언으로 괴링과 힘러를 반역자로 선언하고 출당시킬 것을 명령하면서 부터다. [14] 제4선거구 [의장] 바이마르 공화국 국회의장 역임 [의장] 바이마르 공화국 국회의장 역임 [의장] 바이마르 공화국 국회의장 역임 [의장] 바이마르 공화국 국회의장 역임 [의장] 바이마르 공화국 국회의장 역임 [의장] 바이마르 공화국 국회의장 역임 [21] 1945.04.23 국회의장 및 의원직 사임 [22] 원래 러시아어에는 [h\] 발음이 없다. 흔히 'ㅎ'으로 전사되는 글자는 Х로 이 글자의 발음은 [x\]이다. 한국인 입장에서 [h\] 발음은 [g\] 보다는 [x\]에 가깝게 들리지만, 전통적으로 슬라브어 화자들은 [h\]를 Х보다는 Г에 가까운 발음이라고 인식해 왔기에 [h\]는 러시아어에서 'Г'로 정착되었다. 그래서 이름 한니발(Hannibal)은 러시아에서 간니발(Ганнибал)이 되었고 그리스어 헤로스(ἥρως)는 라틴어 헤로스(hērōs)를 거쳐 러시아어에서 게로이(герой)가 되었다. 현재는 어지간해서는 Х로 전사하는 관행이 자리잡긴 했는데, 여전히 독일계 고유명사의 경우 Г를 고집하는 경우가 드물지 않다. [23] 독일어 ö는 [ø\]로 발음하는데 이 발음 또한 러시아어에는 없다. 러시아에서는 일반적으로 이 글자를 [jo\]로 발음하는 ё로 음차한다. (예: 쾨니히스베르크(Königsberg > 쿄니크스베르크(Кёнигсберг) 그런데 소련 초기 및 스탈린 시절은 ё를 사용하는 것이 반쯤 강제되던 시절이었음에도 불구하고 괴링의 경우는 교린그(Гёринг)가 아닌 게린그(Геринг)라는 표기로 정착되었고, 파울 요제프 괴벨스 또한 교벨스가 아닌 게벨스(Пауль Йозеф Геббельс)로 자리잡았다. [24] 사실 마르틴 보어만은 히틀러가 그저 끄덕끄덕이거나 좋아라고 말만 했다 하면 그걸 본인이 수십 장의 문서로 만들고, 그러면서 정적의 행적을 히틀러의 망상에 맞추어 해석, 가공 및 예전 행적을 양념 쳐서 파묻어버리는 것 때문에 나치당 인사들은 물론이고 국방군과 행정부처의 모두가 증오했다. 거기에 히틀러 집무실의 여비서들을 시도 때도 없이 성적으로 건드려서 모든 이들이 역겨워했다. [25] 힘러는 사교적이지 못했으나 자신을 건드리지 않는 이들은 깍듯이 대했다. 힘러는 특히 사석에서 괴링을 선배님이라고 칭하며 예의를 지켰고(아마 괴링이 스스로 조직한 게슈타포 장검의 밤 직전에 힘러에게 넘겼고, 바로 그 게슈타포가 힘러의 영향력 증가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기 때문에 어느 정도 고마워하는 감정이 있었던 모양이다.), 괴링 또한 힘러 편을 들어주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말기에 보어만이 힘러의 군사적 재능 부재를 비난했을 때도 괴링은 '당신이라면 그 정도는 했겠느냐.'고 보어만에게 일갈했다. [26] 실제로 보어만은 제1차 세계 대전 말기에 입대한 인물인데다가 그나마도 전투병이 아닌 장교 당변병이라 전투에는 한 번도 참여하지 못하고 종전을 맞았다. 전투에 직접 참가하지 못했다는 사정은 힘러도 다를 게 없었으나, 최소한 힘러는 사관후보생으로 고급 지식 및 지휘 과정 교육을 받았으니 재능이라면 모를까 확실히 군사적 지식에 있어서 보어만보다 더하면 더하지 못하진 않았다. 괴링이야 1차 대전에 육군 항공대 소속 장교로 직접 참전해 에이스 자격을 획득한 우수 파일럿이었으니 이 쪽에서야 더 말할 바 없고. [27] 물론 살려주는 대가로 전재산을 조공으로 탈탈 털어가기는 했다. 1차 대전 전우였던 프리츠 베크하르트의 경우도 자신이 직접 게슈타포와 친위대를 갈궈서 수용소에서 빼냈다. [28] 그 외에도 갈란트와의 대화에서 "탈출한 적 조종사를 사살하는 것을 어떻게 생각하는가?"고 묻고 갈란트가 "내 모든 권한을 이용해서 그 명령을 정지시키겠습니다."고 답하자 괴링이 "그것이 바로 내가 듣고 싶던 대답이었다."라고 말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29] 물론 소련은 이런 병사들의 일탈 행위를 금지시켰고, 이를 어기면 엄격히 처벌했으니 감히 나치 따위와는 비교할래야 비교할수가 없다. 소련은 최소한 제네바 협약은 어느 정도 준수했다. [30] 자살하기 직전에 동생 알베르트 괴링과 단 한번 면회 할 수 있었는데, 이때 동생에게 남긴 말이 가족을 부탁한다는 말이었다. [31] 자살 후의 사체는 혹시라도 나치 추종자의 성지가 될까 우려되어 다른 인물들과 섞여서 독일 내 모처에서 화장하고 이자르 강의 콘벤츠 지류에 뿌려졌다. [32] 자기가 사인한 구체적인 문서나 연합국 측의 비디오 자료 제출로 데꿀멍하기 전에 "500만 이상의 인원을 죽이는 건 기술적으로 불가능하다."라고 주장했다. [33] 수정주의 역사가 데이빗 어빙은 이 설을 강력하게 주장한다. 게다가 해외에서 독일로 못 돌아온 유대계 독일인들도 해외추방으로 볼 수 있다. [34] 이 사람은 유타 주 솔트레이크 시티에서 몰몬교회 정원사를 하던 사람인데, 상술하다시피 괴링 가문은 귀족만 아닐 뿐 명망 있는 가문이었다. 그런 집안의 아들이 미국에 이민 와서 고작 정원사나 할 리가… [35] 되니츠 원수의 회고에 의하면, 1943년 초 연합국 공군의 연안 공습으로 항구에 정박중이던 슈넬보트 몇 척이 큰 손상을 입었는데, 히틀러도 참석한 큰 회의 석상에서 괴링이 이를 헐뜯은 일이 있었다. 분산과 위장을 태만히 하였으므로 해군은 비난받아야 마땅하다고 말하는 괴링에게 되니츠는 "원수! 해군 비난 발언을 도저히 참고 들을 수 없소! 당신은 당신이 신경 써야 할 일이 산적한 공군이나 잘 건사하십시오!"(괴링이 해군을 헐뜯은 이유도 자신들, 즉 공군이 원래 막아야 되는 폭격기(당시 해군은 괴링의 꼬장때문에 따로 항공대를 조직하지 못했다. 그래서 비행기가 필요하면 공군에서 파견을 보내는 형식으로 이용하거나 심지어는 공군에 허락을 맡고 사용해야하는 대단히 비효율적인 구조를 가졌다.)를 못막아서 적 비행기가 정박한 해군 함정을 공격한 것인데 이게 공군탓이라 욕먹으면 쪽팔리니까 일부러 해군탓으로 돌리려고 하는 것이다.) 라 일갈하였고, 히틀러는 이 발언을 문제삼기는커녕 회의 후 괴링을 악수로 전송하고는 되니츠와 조찬을 함께하였다. 이후 괴링은 화려하게 장식된 공군 기념품을 되니츠에게 보내 화해를 청했다고 한다. [36] 조지 오웰의 "1984" 에서도 많이 등장하는 예이다. 대중들에게 절대권력에 복종하라는 말. 2+2=5라는 표현은 괴링이나 1984 이전에도 많이 사용된 표현이다. [37] 재밌는건 헤르만 괴링은 공식적 2인자 자리와 그에 맞는 선전 스포트라이트를 받았지만 실질적으로 대중과 가장 밀접했던 존재는 국가선전장관 요제프 괴벨스였으며 정치적 영향력이 가장 강력했던 이는 괴벨스와 히틀러의 비서실장이었던 보어만 그리고 친위대 대장이었던 힘러였다. [38] 알다시피 정작 헤르만 괴링 본인부터가 심각한 비만이었으며 패전 전까지는 고치려 하지도 않았다. 그리고, 한 화가 가족들이 식탁에 모여 앉아 접시에 놓인 쇠붙이를 식사로 먹는 풍자를 그려 대놓고 깠다. [39] 자신이 틀리면 성을 갈 정도로 호언장담한다는 의미이다. [40] 그러나 영국 공군의 아브로 랭커스터에 루르의 주요 공업 지대와 산업 기반 시설들이 초토화되어 버린다(…) [41] 권한이나 봉급은 중위와 같다. 실질적으로 명예직. [42] 서훈자는 독일국방군 전군에서 괴링 1명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