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6 05:58:59

제국원수

1. 개요

제국원수(帝國元帥) 란 일부 유럽 국가들에서 사용하였던 군사 계급 또는 관직이다.

일반적으로는 최고 등급의 군사계급으로써 대원수에 상응했으나 국가별 군사 전통에 따라서는 원수에 상응하기도 하였다. 또한 각국의 다양한 언어적 특성으로 인해, 일부 국가의 경우 원어의 의미가 ' 제국'에 한정되지 않는다.

2. 국가별 사례

2.1. 라틴어 " Imperium" 계열

2.1.1. 프랑스 제1제국 대육군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2654><tablebgcolor=#002654>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2654><tablebgcolor=#002654> 파일:프랑스 제1제국 국장.svg || Maréchal ďEmpire
프랑스 제1제국 제국원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대육군 <colcolor=#000,#ddd>
제정 초기 18원수
피에르 오주로 | 장바티스트 베르나도트 | 루이알렉상드르 베르티에 | 장바티스트 베시에르 | 기욤 마리 안 브륀 | 루이니콜라 다부 | 장바티스트 주르당 | 프랑수아 크리스토프 켈레르만 | 장 란 | 프랑수아 조제프 르페브르 | 앙드레 마세나 | 아드리안 쟈노 드 몽세 | 에두아르 모르티에 | 조아킴 뮈라 | 미셸 네 | 도미니크 카트린 드 페리뇽 | 장 마티유 필리베르 세뤼리에 | 장드디외 술트
제4차 대프랑스 전쟁
클로드 빅토르
제5차 대프랑스 전쟁
자크 마크도날 | 오귀스트 마르몽 | 니콜라 우디노
이베리아 전쟁
루이가브리엘 쉬셰
러시아 원정
로랑 구비옹 생 시르
제6차 대프랑스 전쟁
유제프 안토니 포니아토프스키
백일천하
에마뉘엘 그루시
<colcolor=#000,#ddd>※ 윗첨자 †: 전사 }}}}}}}}}

파일:장란.jpg
▲ 1804년 제국원수 칭호를 받은 장 란.

제국원수 (Maréchal ďEmpire). 나폴레옹이 세운 프랑스 제1제국 대육군의 군사 칭호이다. 현대의 원수에 해당한다. 프랑스 왕국 시절 최고 등급의 군사칭호인 프랑스 원수(Maréchal de France)와 동급이다. 정확히 말하자면 폐지되었던 프랑스 원수 칭호를 이름을 바꾸어 복원한 것에 가깝다. 기존의 원수 칭호는 군주제의 냄새가 강하게 난다는 이유로 프랑스 제1공화국 정부가 폐지하였는데, 이를 나폴레옹의 제정이 수립되면서 복구한 것이다.

1804년 최초로 16명이 제국원수 칭호를 받았다. 이후에도 제국의 팽창에 따라 차츰 수여자를 늘려나가다 1815년 최후로 임명된 에마뉘엘 그루시까지 총 26명이 원수봉을 쥐었다. 이들은 대부분 나폴레옹 전쟁 당시 급격하게 팽창하던 프랑스 제국의 최고급 군사 지휘관들을 의미하며, 대부분 군단장이었다. 그들의 황제였던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이름을 따 '나폴레옹의 26인 원수'라고도 불린다. 제국 의전서열에서는 5위에 놓여 있었다.

나폴레옹의 패망 이후 부르봉 왕가가 복귀한 이후에는 다시 '프랑스 원수'로 명칭이 환원되어 지금에 이른다.

2.1.2. 이탈리아 왕국군

파일:Benito_Mussolini_colored.jpg
▲ 유이한 이탈리아 제국원수였던 두체 베니토 무솔리니.

제국선임원수(Primo Maresciallo delľImpero) 이탈리아 왕국군의 최고 등급 계급으로 현대의 대원수에 해당한다. 1938년 기존의 '이탈리아 원수(Maresciallo ď Italia)'의 상위 계급으로 도입되어 두체 베니토 무솔리니와 국왕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가 사용했다.

대원수 계급이 대부분 그렇듯 군사적인 의미가 있다기보다는 정치적인 의미가 강했다. 이 계급은 군사 통수권을 포함했다. 따라서 무솔리니가 국왕과 동등하게 이 계급을 수여받았다는 사실은 사실상 두체 무솔리니와 파시스트당이 사보이아 가문보다 더 큰 권한을 쥐고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나 다름없었다. 무솔리니가 1945년 처형당하고 이듬해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가 퇴위함에 따라 사실상 사라졌으나, 법적으로는 2008년에야 사라졌다.

2.2. 독일어 " Kaiser" 계열

2.2.1.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제국원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Franz Conrad von Hötzendorf(portrait photography).jpg
▲ 세계대전 당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육군 제국원수 프란츠 콘라트 폰 회첸도르프. 원수 칼라장을 착용하고 있다.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육군 제국원수 계급장.svg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육군 제국원수 칼라장

오스트리아 육군, 일명 제국 및 왕국 원수를 줄인 제국원수(독: Kaiserlicher und königlicher Generalfeldmarschall, 헝: Császári és királyi tábornagy) 계급은 신성 로마 제국의 전통을 이어받은 k.u.k. 육군의 최고 계급으로, 오스트리아 제국이 설립된 직후인 1805년부터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멸망하는 1918년까지 존속했다. 오헝 제국 육군 장성급 장교 계급은 준장이 없이 소장- 중장- 병과대장, 그리고 바로 제국원수로 넘어가는 구조라서 대원수보다는 대장에 상응되었지만, 제1차 세계 대전 당시인 1915년에 도입된 제국상급대장의 존재로 비로소 원수에 상응하게 된 계급이다.

주의해야할 점은 나치 독일의 Reichsmarschall 또한 제국원수라고 번역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혼동하기 쉬운데, 사실 Reichsmarschall를 가리키는 단어로 사용하기엔 제국원수는 적절한 번역이 아니다. 다만 번역어 문제는 비록 오류를 내포하더라도 한 번 정착을 하면 변경이 어려운 문제가 있어서 '부득이하게' 제국원수로 표기하는 것이다. 반면에 k.u.k. Feldmarschälle의 k.u.k.는 Kaiserlich und Königlich를 줄인말로, 번역하자면 제왕국(帝王國)이라고 읽는다. 따라서 이쪽이 더 제국원수라는 의미에 들어맞는 번역이다.

2.3. 게르만어 " Rīhhi" 계열

2.3.1. 독일 국방군

파일:나치 독일 국장.svg
독일 국방군 원수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제국원수
Reichsmarschall
파일:Si_1ab.png
공군
Luftwaffe
1940
헤르만 괴링
원수
General-feldmarschall / Großadmiral

파일:Si_2a.png · 파일:Si_2c.png · 파일:LGFME.png / 파일:AA-1A.png
육군
Heer
1936
베르너 폰 블롬베르크
1940
발터 폰 브라우히치 | 페도어 폰 보크 | 빌헬름 카이텔 | 귄터 폰 클루게 | 빌헬름 리터 폰 레프 | 빌헬름 리스트 | 발터 폰 라이헤나우 | 게르트 폰 룬트슈테트 | 에르빈 폰 비츨레벤
1942
게오르크 폰 퀴힐러 | 에리히 폰 만슈타인 | 에르빈 롬멜
1943
프리드리히 파울루스 | 에른스트 부슈 | 에발트 폰 클라이스트 | 막시밀리안 폰 바익스
1944
발터 모델
1945
페르디난트 쇠르너
명예
에두아르트 폰 뵘에르몰리
해군
Kriegsmarine
1939
에리히 레더
1943
카를 되니츠
공군
Luftwaffe
1940
알베르트 케셀링 | 에르하르트 밀히 | 후고 슈페를레
1942
볼프람 폰 리히트호펜
1945
로베르트 리터 폰 그라임
파일:Si_2a.png : 1942년전까지 적용된 원수 계급장
파일:Si_2c.png : 1942년부터 적용된 원수 계급장
{{{#!wiki style="margin: -12.5px -5px; color: #000; border-radius: 30px; font-size: 0.8em" ※ 둘러보기 }}}
}}}}}}}}}

파일:헤르만 괴링 사진.jpg
▲ 유일한 제국원수였던 헤르만 괴링.
파일:Si_1a.jpg
▲ 계급장.

제국원수 (Reichsmarschall) 독일 국방군의 계급으로, 대원수에 해당한다. 흔히 '제국원수'로 번역되지만 정작 나치 독일은 제국이 아닌 공화국인데, 이는 독일어 단어 라이히(das Reich)의 특성 때문이다. 라이히라는 단어는 제국도 포함하지만 본래 의미는 '지배령' 내지는 '국가'에 더 가깝다.[1] 다만 이를 국가로 번역할 경우, 한국어에서는 국가의 수뇌를 뜻하는 국가원수(國家元首)와 의미가 중첩될 수 있기 때문에 부득이하게 제국원수라고 번역한 것.[2]

1933년, 수권법의 통과로 역사에 모습을 드러낸 나치 독일은 기존 바이마르 공화국군 독일 국방군으로 재편한다. 재편과 동시에 조직 규모를 키우면서 자연스럽게 나치 정권 이전에 공화국군을 떠난 여러 인재들이 다시 군으로 복귀하는데,[3] 나치당의 거물이기 전에 1차 대전 전쟁 영웅이었던 헤르만 괴링도 국방군에 합류하게 된다.

국방군에 합류한 괴링은 루프트바페를 창설하는 등, 군의 전력 강화에 큰 공을 세워 원수 자리는 확정이었다. 그러나 젊은 시절부터 과시욕이 강한 성격이었고, 여기에 나치 특유의 도를 넘은 허세에 물든 괴링은 권위에 집착해 '제국원수'라는 새로운 계급을 만들고, 스스로를 임명했다. 따라서 괴링의 전용 계급이나 다름 없었으며, 괴링의 뒤를 이어 독일 공군 최고 사령관이 된 로베르트 리터 폰 그라임도 해당 직위는 못 받았다.
2.3.1.1. 대우
서류상 서열은 엄연히 원수보다 높았지만, 대부분의 국방군 원수들은 제국원수를 상급자가 아닌 그저 원수들 중 의전 서열 1위 정도로만 여겼다. 그리고 뒤에서는 괴링을 되려 비웃었다. 괴링 본인도 적어도 타군의 최선임 원수들인 육군의 빌헬름 카이텔 장군이나 해군의 에리히 레더, 카를 되니츠 제독 앞에선 딱히 상관 행세를 하지 않았다.
2.3.1.2. 비슷한 사례
친위대 국가지도자란 계급도 제국원수와 비슷하게 힘러의 전용 계급으로 쓰였다. 다만 괴링과 달리 힘러는 원래 있던 직책을 자기 것으로 만든 것이라, 힘러 외에 인물들도 이런저런 이유로 해당 계급을 받는 경우가 있었다. 예를 들어서 율리우스 쉬렉은 사후 명예직으로[4], 힘러의 전임자인 에어하르트 하이덴은 친위대를 독립 조직으로 만드는데 큰 공을 세워서 해당 계급을 받았다. 카를 항케 또한 브레슬라우 공방전에서의 분전으로 국가지도자에 임명된 바 있다.

위와 별개로 친위대는 국방군의 제국원수 및 원수와 상응하며, 무장친위대 전체를 지휘하는 '민족원수(Volksmarschall)'란 계급을 만들려고 했다. 아르덴 대공세가 독일군의 승리로 끝나면 무장친위대 기갑 상급대장인 요제프 디트리히가 해당 계급으로 임명될 예정이었으나, 알 사람은 다 알다시피 아르덴 대공세가 독일군의 패주로 끝나면서 없던 일이 되었다.

2.3.2. 덴마크

제국원수 (Rigsmarsk)는 15세기 말에서 17세기까지 덴마크에 존재했었던 관직이다. 덴마크 국왕에게 군사적인 조언을 하는 위치였다. 근대에 들어 계급화되기 이전 전통적인 최고사령관으로서의 원수(Marshal)직에 가깝다.

' 제국'이라고 번역했지만 실제로는 덴마크어 Rige가 독일어 Reich나 영어 Realm과 동원어이기 때문에 ' 왕국' 내지는 ' 왕령'으로도 번역 가능하다.

2.3.3. 스웨덴 왕실

파일:riksmarskalken.jpg
▲ 현임 스웨덴 제국원수 프레드리크 베르셀(Fredrik Wersäll).

국왕 폐하의 제국원수(Hans Majestät Konungens Riksmarskalk) 는 1607년 설치된 이래 지금까지 남아있는 스웨덴의 관직이다. 이 역시 사실은 덴마크나 독일의 경우처럼 정확한 번역은 아닌데, 스웨덴어 Rike 역시 실제로는 ' 국가'에 더 가깝다.

현재는 군사관직이라기보다는 왕실을 보좌하는 일종의 궁내부장직이자 법조인에 가깝다. 산하에 원수실을 두고 있으며 스웨덴 왕실과 각종 정부 기관들의 접촉, 그리고 법적 문제에 대한 자문을 담당한다. 대외 홍보 업무도 맡고 있고, 기록물도 관리한다. 자세한 내용은 스웨덴 왕실 홈페이지에서 알 수 있다. #

3. 둘러보기


[1] 가령 1945년 이전의 통일 독일을 지칭하는 독일국(Deutsches Reich)라는 표현은 군주제 국가인 독일 제국, 민주주의 공화국인 바이마르 공화국, 그리고 일당 독재 국가인 나치 독일을 전부 포괄한다. 독일국이라는 표현은 전후에 사어가 되었지만, 현재도 독일에서는 프랑스를 프랑크라이히(Frankreich), 오스트리아를 외스터라이히(Österreich)라고 부른다. 직역하면 '프랑크인의 국가', 그리고 '동쪽의 국가'이라는 뜻이다. [2] 그러나 이는 '국가'가 실질적으로 가르키는 대상인 '독일'을 나타내면 해결 할 수 있는 문제로, 소련의 '소비에트 연방원수' 처럼 '독일 공화국 원수'로 표기할 수 있다. 다만 번역어 문제는 비록 오류를 내포하더라도 한 번 정착을 하면 변경이 어려운 문제가 있어서 '부득이하게' 제국원수로 표기하는 것이다. [3] 슈츠슈타펠에 합류한다. [4] 생전 최종 계급은 친위대 여단지도자(소장)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