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8 15:52:01

로타르 렌둘릭

[[독일의 전쟁범죄|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의 전쟁범죄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0> 전범과 재판 뉘른베르크 국제군사재판

루돌프 헤스 | 마르틴 보어만궐석재판 | 발두어 폰 시라흐 | 발터 풍크 | 빌헬름 카이텔 | 빌헬름 프리크 | 아르투어 자이스잉크바르트 | 알베르트 슈페어 | 알프레트 로젠베르크 | 알프레트 요들 | 에른스트 칼텐브루너 | 에리히 레더 | 요아힘 폰 리벤트로프 | 율리우스 슈트라이허 | 카를 되니츠 | 콘스탄틴 폰 노이라트 | 프리츠 자우켈 | 한스 프랑크 | 헤르만 괴링자살

카를 브란트 | 카를 게프하르트 | 볼프람 지퍼스 | 루돌프 브란트 | 발데마르 호펜 | 카를 겐츠켄

에르하르트 밀히

오스발트 폴 | 아우구스트 프랑크 | 게오르크 뢰르너 | 한스 뢰르너 | 프란츠 아이렌슈말츠

빌헬름 리스트 | 로타르 렌둘릭 | 발터 쿤체

울리히 그라이펠트 | 베르너 로렌츠 | 리하르트 힐데브란트

오토 올렌도르프 | 에리히 나우만 | 파울 블로벨 | 베르너 브라우네 | 에두아르트 슈트라우흐 | 마르틴 잔트베르거 | 오이겐 슈타임레 | 발데마르 클링겔회퍼 | 하인츠 요스트 | 구스타프 아돌프 노스케 | 프란츠 직스

헤르만 호트 | 빌헬름 리터 폰 레프 | 게오르크 폰 퀴힐러 | 게오르크한스 라인하르트

에른스트 폰 바이츠제커 | 빌헬름 케플러 | 에른스트 빌헬름 볼레 | 리하르트 발터 다레 | 한스 라머스 | 빌헬름 슈투카르트 | 오토 디트리히 | 고틀로프 베르거 | 발터 셸렌베르크 | 루츠 그라프 슈베린 폰 크로지크
별개의 재판
미국 마우트하우젠 재판

아우구스트 아이그루버 | 에두아르트 크렙스바흐 | 아돌프 추터
미국 부헨발트 재판

요시아스 추 발데크피르몬트 | 일제 코흐
미국 말메디 재판

요제프 디트리히 | 헤르만 프리스 | 요아힘 파이퍼
영국 하멜른 재판

카를 에버하르트 쇤가르트 | 요제프 크라머 | 이르마 그레제
영국 아우리히 재판

쿠르트 마이어
영국 헤롤트 재판

빌리 파울 헤롤트
네덜란드 리페르트 재판

미하엘 리페르트
소련 리가 재판

프리드리히 예켈른
프랑스 님스 재판

빌헬름 비트리히
프랑스 보르도 재판

하인츠 라머딩결석재판

아르투어 그라이저 | 아몬 괴트 | 요제프 마이징거 | 루돌프 회스 | 요제프 뷜러 | 알베르트 포르스터
폴란드 슈트로프 재판

위르겐 슈트로프
폴란드 코흐 재판

에리히 코흐
체코슬로바키아 리디체 재판

쿠르트 달루게 | 카를 헤르만 프랑크
서독 만슈타인 재판

에리히 폰 만슈타인
서독 부흐 재판

발터 부흐
서독 모아빗 재판

에리히 바우어
이스라엘 아이히만 재판

아돌프 아이히만
동독 블뢰체 재판

요제프 블뢰체
서독 뒤셀도르프 재판

프란츠 슈탕글
서독 트레블링카 재판

쿠르트 프란츠 | 빌리 멘츠
서독 소비보르 재판

쿠르트 볼렌더자살
서독 볼프 재판

카를 볼프
이탈리아 프리프케 재판

에리히 프리프케
프랑스 바르비 재판

클라우스 바르비
21세기 이후 나치 전범 재판

요제프 쉬츠
학살 사건 홀로코스트 | 독일 국방군의 전쟁 범죄 | 바빈야르 학살 |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의 벨라루스 점령 | 오라두르쉬르글란 학살 | 말메디 학살 | 그래뉴 학살 | 르 파라디 학살 | 바르샤바 봉기 진압
종전 전 사망한
전쟁범죄
혐의자
아돌프 히틀러 | 요제프 괴벨스 | 마르틴 보어만 | 하인리히 힘러 | 리하르트 글뤽스 | 오딜로 글로보츠닉 | 에른스트 로베르트 그라비츠 | 이름프리트 에베를 | 쿠르트 폰 고트베르크 | 에두아르트 바그너 | 프리드리히 크뤼거 | 필리프 보울러 | 한스-아돌프 프뤼츠만 | 헤르베르트 바케 | 베른하르트 루스트 | 헤닝 폰 트레슈코프 | 발터 모델 | 한스 크렙스 이상 자살
헤르만 페겔라인처형 | 아르투어 네베처형 | 카를 오토 코흐처형 | 에리히 회프너처형 | 빌헬름 카나리스처형 | 카를-하인리히 폰 슈튈프나겔처형 | 볼프 하인리히 그라프 폰 헬도르프처형 | 지크문트 라셔처형 | 라인하르트 하이드리히암살 | 프란츠 발터 슈탈레커암살 | 테오도어 아이케전사 | 브로니슬라프 카민스키암살 | 페르디난트 폰 자메른 프랑케네크암살 | 오스카 디를레방어의문사 | 롤란트 프라이슬러폭사 | 프리츠 비트전사 | 카를 항케 | 에른스트 하인리히 슈마우저 | 프란츠 치라이스
실종된
전쟁범죄
혐의자
하인리히 뮐러
기소되지 않은
전쟁범죄
혐의자
하인츠 라이네파르트 | 쿠르트 발트하임 | 디트리히 폰 콜티츠
생체 실험 T4 작전
생체실험 관련인물
요제프 멩겔레 | 에른스트 로베르트 그라비츠 | 카를 브란트 | 카를 게프하르트 | 호르스트 슈만 | 아리베르트 하임 | 카를 클라우베르크 | 지크문트 라셔
강제수용소 틀:나치의 주요 절멸수용소 | 다하우 강제수용소
기타 라이헤나우 강조 명령 | 정치장교 명령 | 국방군 무오설 | 나치독일 피해자 만들기
나치 전쟁범죄 부역자 안테 파벨리치 | 요제프 티소 | 살러시 페렌츠 | 비드쿤 크비슬링 | 이온 안토네스쿠 | 호리아 시마 | 브로니슬라프 카민스키 | 스테판 반데라 | 안톤 뮈서르트 | 그러시 요제프 | 루돌프스 방게르스키스 | 페케테헐미-체이드네르 페렌츠 | 헹크 펠드메이어르 | 루스커이 예뇌 | 아민 알후세이니 | 프란시스코 프랑코중립국
※ 문서가 있는 경우에 한해서 서술. 기소 여부 및 판결에 대해서는 각 뉘른베르크 국제군사재판 문서를 참고
※ 둘러보기: 틀:파시즘, 틀:나치즘, 틀:뉘른베르크 군사법정 전범재판 }}}}}}}}}

파일:나치 독일 국장(화이트).svg 독일 국방군의 장성급 장교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상급대장 OF-9
Generaloberst / General admiral
파일:Si_4a.png / 파일:130px-WMacht_Lw_OF9_GenOberst_1945.png / 파일:AA-2A.png
육군
상급대장
한스 폰 젝트 | 쿠르트 폰하머슈타인에크보르트 | 게오르크 린데만 | 베르너 폰 프리치 | 루트비히 베크 | 요하네스 블라스코비츠 | 프리드리히 프롬 | 하인츠 구데리안 | 오이겐 리터 폰 쇼베르트 | 쿠르트 하제 | 에리히 회프너 | 프란츠 할더 | 헤르만 호트 | 게오르크한스 라인하르트 | 고트하르트 하인리치 | 알프레트 요들 | 로타르 렌둘릭 | 에르하르트 라우스 | 에버하르트 폰 마켄젠 | 요하네스 프리스너 | 한스 위르겐 폰 아르님 | 에두아르트 디틀 | 카를 힐페르트 | 니콜라우스 폰 팔켄호르스트
공군
상급대장
쿠르트 슈투덴트 | 에른스트 우데트
해군
상급대장
알프레트 잘베히터 | 오스카 쿠메츠 | 한스 게오르크 폰 프리데부르크 | 빌헬름 마르샬 | 발터 빌헬름 율리우스 바르체하
병과대장 OF-8
General der Waffengattung / Admiral
파일:Si_4b.png / 파일:200px-WMacht_Lw_OF8_GenWaGtg_h_1945.svg.png / 파일:AA-3A.png
육군
병과대장
보병대장
프란츠 마텐클로트 | 안톤 도슈틀러 | 프리드리히-빌헬름 뮐러 | 쿠르트 폰 티펠슈키르히 | 테오도어 부세 | - 한스 크렙스 | 빌헬름 부르크도르프 | 알렉산더 폰 팔켄하우젠 | 디트리히 폰 콜티츠 | 카를 에두아르트 | 카를-하인리히 폰 슈튈프나겔 | 프리드리히 올브리히트
명예 파울 폰 레토포어베크
기갑대장
핫소 폰 만토이펠 | 발터 벵크 | 빌헬름 리터 폰 토마 | 발터 네링 | 발터 크뤼거
포병대장
발터 폰 자이틀리츠-쿠르츠바흐 | 헬무트 바이틀링 | 에두아르트 바그너 | 에리히 마르크스 | 에른스트에버하르트 헬 | 프리츠 린데만
통신대장
에리히 펠기벨 | 알베르트 프라운
산악대장
카를 에글제어 | 프란츠 뵈메
공병대장
발터 쿤체
공군
병과대장
브루노 브로이어공수 | 오이겐 마인들공수 | 울리히 케슬러조종
해군
대장
빌헬름 카나리스 | 오토 칠리악스 | 귄터 뤼첸스
중장 OF-7
Generalleutnant / Vizeadmiral
파일:Si_5a.png / 파일:1256px-WMacht_Lw_OF7_GenLt_h_1945.svg.png / 파일:AA-4A.png
육군
중장
한스 폰 보이네부르크-렝스펠트 | 히아친트 그라프 슈트라흐비츠 | 헬무트 폰 판비츠 | 한스 슈파이델 | 오스카 폰 힌덴부르크 | 아돌프 호이징거 | 아구스틴 무뇨스 그란데스 | 에밀리오 에스테반 인판테스
공군
중장
발터 베버 | 아돌프 갈란트 | 테오도어 오스터캄프
해군
중장
-
소장 OF-6
Generalmajor / Konteradmiral
파일:Si_6a.png / 파일:200px-WMacht_Lw_OF6_GenMaj01_h_1945.svg.png / 파일:AA-5A.png
육군
소장
발터 도른베르거 | 카를 게프하르트 | 카를 브란트 | 헤닝 폰 트레슈코프 | 하인리히 크라이페 | 하인리히 폰 베어 | 한스 오스터 | 오토-에른스트 레머 | 루돌프-크리스토프 폰 게르스도르프
공군
소장
디트리히 펠츠
해군
소장
-
※ 문서가 있는 경우만 기재
※ 준장 계급은 독일 국방군 해군, 즉 크릭스마리네에만 존재.
※ 윗 첨자 : 전사
{{{#!wiki style="margin: -6px -5px; font-size: 0.8em; color:#FFF" ※ 둘러보기 }}}
}}}}}}}}}
파일:Bundesarchiv_Bild_146-1995-027-32A,_Lothar_Rendulic.jpg
이름 로타어 렌둘릭 ( 독일어)
Lothar Rendulic
로타르 렌둘리치 ( 크로아티아어)
Lothar Rendulić
출생 1887년 8월 23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니더외스터라이히 대공국 비너노이슈타트
사망 1971년 1월 17일 (향년 83세)
오스트리아 오버외스터라이히주 에페르딩
복무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
오스트리아군
독일 국방군
{{{-1 14보병사단장
50보병사단장
35군 사령관
20산악군 및 북부전선 사령관
북부집단군 사령관
오스트마르크 집단군 사령관}}}
최종계급 파일:Si_4a.png 상급대장
주요참전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서훈 백엽 검 기사십자 철십자 훈장
1. 개요2. 생애
2.1. 안슐루스2.2. 동남부전선
2.2.1. 이탈리아군과의 마찰
2.3. 라플란드 전쟁2.4. 항복과 재판
3. 대중매체

[clearfix]

1. 개요

오스트리아의 군인이다.

1943년 8월 말경에 2기갑군의 사령관을 역임하였고 6월부터는 20산악군의 사령관 및 북부전선 사령관의 직을 겸직하였다가 1945년 1월에는 페르디난트 쇠르너 원수의 후임으로 북부집단군 사령관 직을 수행하였다.

종전 이후 체포되어 뉘른베르크 인질 재판에서 전쟁범죄로 유죄판결을 받았으나 이후 석방된다.

2. 생애

렌둘릭은 1887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서 태어났으며 크로아티아인 출신의 군인 집안이었다. 그는 빈과 로잔에서 법학과 정치학을 공부하다가 1907년에는 테레지아 군사학교(Theresianische Militärakademie)에 입교하여 1910년에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에 입대한다. 1914년부터 1918년 동안 1차대전에 종군하였다. 1차대전 동안 이탈리아 전선에서 머리에 부상을 입고 행정직으로 빠지게 된다. 전후 빈 대학교로 돌아와서 법학 박사 학위를 수료하였다.[1]

1932년에는 새로 창설된 오스트리아군에 입대하였으며 당시 금지되었던 오스트리아 나치당에 가입하였다. 군에 있는 동안 전술 및 조직에 대해 교육하는 직책을 맡기도 하였다. 1934년에는 프랑스와 영국의 주재무관으로 근무하였으며 2년뒤 오스트리아 나치당 활동 전력이 적발되면서 전역 조치를 받게 된다. 전역 조치 이후에 렌둘릭은 법학과 정치학 연구를 잠시나마 이어갔다.

하지만...

2.1. 안슐루스

"당신은 내가 알고 있는 부대 중에서 산악지역에서 활약하는 최고의 군대를 책임지고 있는 장군이오. 많은 동향사람들과 함께할 수 있을 것일세."
아돌프 히틀러. 1944년, 로타르 렌둘릭에 대한 평가.
1938년 오스트리아 연방국 나치 독일 병합되면서 렌둘릭에게 다시 기회가 주어졌고 1939년부터 1940년까지 14보병사단장, 1942년까지는 50보병사단장을 역임하였다. 41년에는 바르바로사 작전 아래에 중부집단군에 편제되어 로가체프에서 3개 소련군 사단을 격파하는 데에 성공하였다.

렌둘릭은 이후 진급하여 제35군단 군단장으로 1943년까지 재직한다. 제35군단장 재직 시절에는 소련군 반격의 전초였던 쿠르스크 전투에서 조공 담당 및 전선 유지의 작전을 수행하였다. 5월 17일, 대규모 소련군 병력이 집결되어 있었던 오렐 돌출부를 담당하였고 반격 전략을 선택하여 대전차 무기 및 지뢰를 통해 소련군의 대규모 기갑러쉬를 막고 전선을 사수하였다. 대규모 기갑 웨이브를 막은 그 주에 또 연이은 소련군의 2차 공습이 이어졌지만 다시 오렐 지역을 사수하하는 데 성공하였다. 쿠르스크 전투 기가나 동안 독일군의 피해도 극심했지만 소련군의 피해는 그 이상으로 컸다. 소련군은 대략 2400여대의 전차가 파괴되는 피해를 입었다. 그 중 제35군단이 800여 대의 전차를 파괴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한편 독소전쟁 기간 동안 히틀러에 의해서 동부전선에 내려진 소련군 정치장교 무조건 처형 명령을 충실히 수행하기도 하였다.[2]

2.2. 동남부전선

1943년부터 1944년 동안 제2기갑군 사령관으로 재직하였다. 제2기갑군은 쿠르스크 전투 이후 동부전선에서 유고슬라비아 지역으로 이동하여 파르티잔 토벌전을 수행했다. 명칭은 '기갑군'이지만 당연히 금쪽같은 기갑사단은 동부전선에 싹 두고 와야했다. 이 시기에 무수한 사상자만 내고 실패한 요시프 브로즈 티토 토벌 작전에 참여하기도 하였다. 사령관으로 있을 때 군 지휘본부가 자리했던 크로아티아의 주요 기간시설 및 주요 점령지역을 경비하는 임무를 지시하게 된다. 크로아티아를 포함한 동유럽은 파르티잔 활동이 격렬했던 지역이기도 하다.

1941년에 히틀러는 이미 살해, 부상당한 독일군 1명당 포로[3] 100명을 죽일 것을 명령해 두었던 상태였다. 렌둘릭이 2기갑군 사령관에 보임받기 이전부터 이러한 지시사항은 유고슬라비아 주둔 독일군 전체에 하달되어져 있었다.

렌둘릭은 이러한 명령을 충실히 수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내용을 부대에 전파한 바 있다. 독일 국방군에 대한 공격 및 중요한 시설에 대한 피해는 무기를 들 수 있는 남성, 즉 인근 지역의 민간인을 사로잡아 총살, 교수형 및 주변 민가를 파괴하는 방법으로 해결되어야만 하며, 그러한 본보기가 있은 다음에야 파르티잔들이 보복조치를 두려워하여 피하게 될 것이라고 판단하였던 것이 바로 히틀러의 명령이었다.

보복조치는 구체적으로 1명의 독일군이 사망하면 50명의 인질, 1명의 독일군이 부상당하면 25명의 인질에 상응한다고 명시하였다. 또 독일군이 인질로 잡히면 반대로 포로가 된 독일군이 설령 죽지 않았더라도 일정 기간 내로 송환하지 않으면 살해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군사시설 및 주요 기간시설에 파르티잔 활동을 하는 경우 그 정도에 따라서 해당 범인이 40시간 내에 잡히지 않는다면 인질들은 100명씩 총살, 교수형당할 것임을 휘하 부대로 하달하였다. 실제로 이러한 활동들은 기갑군 소속의 173, 187 예비사단에 의해서 이루어졌으며 그 보고가 남아있었다. 히틀러의 명령은 오로지 독일 국방군 내에서만 전파된 것으로 실제로 2기갑군 주둔 지역 내의 민간인들에게 공식적으로 알려지지도 않았으며 민간인, 파르티잔 인질 및 포로에 대한 재판도 불법적 법률절차를 거쳐 사형을 선고하였다.

2.2.1. 이탈리아군과의 마찰

이탈리아가 1943년 항복하면서 로마 연합국의 우선 목표가 되었기 때문에 독일군은 해안 방어선을 형성하기 위해 잔존 이탈리아 왕국군을 무장해제하고 각 개별 제대를 항복시키는 임무가 최우선시되었다. 하지만 이탈리아군은 헤이그 조약에 따라서 정당하게 전쟁포로로서 처리받고자 하였기 때문에 일방적으로 무장해제를 요구하는 독일군과의 마찰은 불가피했다. 렌둘릭은 이러한 정황을 일찍이 우려하고 있었고 주둔지 인근의 디알마조 장군이 이끄는 베르가모 사단과 전투를 치르게 된다. 베르가모 사단의 무장해제 및 항복 절차를 밟기 전에 포로가 되었던 일부 이탈리아 장교를 역시나 똑같은 방법으로 처형하기도 하였다.

2.3. 라플란드 전쟁

파일:LROROR.jpg
▲ 20산악군 사령관 시절.
1944년 렌둘릭은 비행기 추락 사고로 사망한 에두아르트 디틀의 뒤를 이어 제20산악군 사령관으로 핀란드 노르웨이에 파견되었다. 렌둘릭이 20산악군 사령관이자 북부전선 사령관으로 재직하던 시기에 핀란드 소련과의 정전협정을 추진하였다. 때문에 렌둘릭의 부대는 핀란드에서 퇴거명령을 받게 되는데 지도를 참고하면 알겠지만 렌둘릭이 노르웨이까지 빠져나가려면 약 1,000km 가량이나 되는 거리를 이동해야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3일만에 핀란드에서 나갈 것을 요구받았으며 소련 국경에서 150km 정도 떨어진 휘하 제대 중의 일부는 소련군의 공격을 받기도 하였다. 소련은 핀란드를 압박하여 독일 국방군을 추격할 것을 요구하였기 때문에 독일 국방군은 핀란드군과 소련군을 상대해야하는 상황에 맞닥뜨리게 된다.

하지만 퇴각하는 주요 간선 도로의 상태는 열악하였고 환경 또한 진군에 용이하지 못한 상황이었다. 그리고 라플란드 전쟁 발발 이전에 동부전선으로 20산악군 예하 4개 산악사단이 재배치되어 군 전투력의 절반 가까이가 줄어들어 있었다.

그래서 렌둘릭은 이에 대한 대책으로 이미 동부전선에서 써먹은 적이 있었던 소위 "초토화 작전"을 감행하여 민가는 물론 통신, 교통, 기타 주요시설을 모두 파괴하는 방법으로 퇴각을 진행하게 된다. 때문에 추격해오던 핀란드군은 로바니에미에서 독일군에 결정적인 타격을 입히는 데 실패하고 렌둘릭은 비교적 온전히 병력을 노르웨이까지 철수시키는 데에 성공한다.

하지만 이는 엄연한 전쟁범죄였기 때문에 나중에 뉘른베르크 인질 재판에서 같이 기소되게 되었다. 이러한 사실을 처음에는 부정하였으나 핀란드 영토 내에서는 라플란드 전쟁을 제외하면 무력 충돌이 없었기 때문에 총탄의 흔적과 파괴흔적을 통해서 그 사실이 증명되었고 은폐하려던 정황이 확인되었다.

다만 재판에서 이에 부분에 대한 처벌을 목적으로 한 것이 아니었고 핀란드와 소련의 통수작전을 어느 정도 이해하는 뉘앙스를 내비치기도 하였다. 하지만 분명 이는 완전한 전쟁, 군사적 직접적 위협이 없던 상황에서 이루어진 것이라고 판단하였기 때문에 렌둘릭은 핀란드에서의 전쟁범죄로는 죄를 치르지 않게 되었다.

한편, 온전히 부대 병력을 보존한 것에 대해서 히틀러가 독일 최고의 부대를 고스란히 구해내었다고 평가하기도 하였다.

2.4. 항복과 재판

파일:external/www.deutschlandradiokultur.de/b85bc04cffd9d6b398b94f26ef172ae6v2_max_512x384_b3535db83dc50e27c1bb1392364c95a2.jpg
뉘른베르크 인질 재판. 좌측부터 막시밀리안 폰 바익스 원수, 렌둘릭 상급대장, 에른스트 데너 보병대장, 에른스트 폰 라이저 보병대장.

쇠르너의 후임으로 북부집단군 사령관직을 1개월 남짓 수행하다가, 오스트마르크 집단군으로 재편성된 남부 집단군 사령관으로 새롭게 배치받는다. 당시 렌둘릭은 파울 요제프 괴벨스가 연합국과 평화협상을 맺고 난 뒤 소련과의 전쟁을 이어나가게 한다는 계획을 믿고 있었다. 하지만 그러한 계획이 실현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알고 나서는 연합국을 찾아서 서쪽으로 진격해 나갔고 결국 연합국에 항복하는 데에 성공한다.

이후 뉘른베르크 국제군사재판의 이어진 7번째 재판인 뉘른베르크 인질 재판에서 대량학살 및 포로에 대한 규정 위반 등의 이유로 기소되었다. 판결 기준 4가지 모두 기소되었으며 3가지 부문에서 유죄판결을 받고 20년형을 선고받는다.

하지만 오스트리아 출신 군인 6,000여명의 지속적인 탄원 끝에 나중에 감형되었다가 1951년에 석방된다.

전후에는 군사(軍史) 서적 등을 집필하였으며 독일 국방군이 질 수 밖에 없었던 이유에 대한 군사적 고찰 등의 주제로 많은 서적을 출간하였다. 내용은 일반적으로 독일군이 갖고 있었던 항공전력의 보조적 활용이나 지나치게 힘러에게 많은 권한과 부대가 배치되어 보급이 소모된 점, 그리고 가장 결정적으로 히틀러의 문제점 전부가 원인인 것으로 요약되었다. 이후 1971년에 오스트리아에서 사망한다.

3. 대중매체

Hearts of Iron IV의 유명 모드 카이저라이히에서 오스트리아 제국의 참모와 장군으로 등장한다. 하지만 율리우스 링겔, 프란츠 뵈메와 함께 제국의 다민족 체제에 반대하고 있어 제국에 대한 충성심이 의심된다는 설정을 가지고 있다.


[1] 때문에 종종 로타르 렌둘릭 박사라고 표기되는 경우도 있다. [2] 이 부분 또한 나중에 재판에서 기소된다. [3] 말이 포로지 사실상 사상자 발생 인근 촌락의 민간인이 주요 보복대상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