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7 19:32:55

하남시

파일:Document_Protect.svg   편집 보호된 문서입니다.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세요.

{{{#!wiki style="margin: -12px -0px" <tablebordercolor=#004097><tablewidth=260><tablebgcolor=#004097>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c84d;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자치시
파일:수원시 CI.svg
[[경기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c489d 21%, #80c84d 21%, #80c84d); font-size: 1em"
]]
수원시
[[용인시|파일:용인시 CI.svg
용인시]]
[[고양시|파일:고양시 CI.svg
고양시]]
[[화성시|파일:화성시 CI.svg
화성시]]
[[성남시|파일:성남시 CI.svg
성남시]]
[[부천시|파일:부천시 CI.svg
부천시]]
[[남양주시|파일:남양주시 CI.svg
남양주시]]
[[안산시|파일:안산시 CI.svg
안산시]]
[[평택시|파일:평택시 CI.svg
평택시]]
[[안양시|파일:안양시 CI.svg
안양시]]
[[시흥시|파일:시흥시 CI.svg
시흥시]]
[[파주시|파일:파주시 CI.svg
파주시]]
[[김포시|파일:김포시 CI.svg
김포시]]
파일:의정부시 CI.svg
[[경기도청 북부청사|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c489d 21%, #0aa4b5 21%, #0aa4b5); font-size: 1em"
]] 의정부시
[[광주시|파일:광주시 CI.svg
광주시]]
[[하남시|파일:하남시 CI.svg
하남시]]
[[광명시|파일:광명시 CI.svg
광명시]]
[[군포시|파일:군포시 CI.svg
군포시]]
[[양주시|파일:양주시 CI.svg
양주시]]
[[오산시|파일:오산시 CI.svg
오산시]]
[[이천시|파일:이천시 CI.svg
이천시]]
[[안성시|파일:안성시 CI.svg
안성시]]
[[구리시|파일:구리시 CI.svg
구리시]]
[[의왕시|파일:의왕시 CI.svg
의왕시]]
[[포천시| 파일:포천시 CI.svg
포천시]]
[[여주시|파일:여주시 CI.svg
여주시]]
[[동두천시|파일:동두천시 CI.svg
동두천시]]
[[과천시|파일:과천시 CI.svg
과천시]]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자치군
[[양평군|파일:양평군 CI.svg
양평군]]
[[가평군|파일:가평군 CI.svg
가평군]]
[[연천군|파일:연천군 CI.svg
연천군]]
미수복지역
파일:미수복 경기도 개성시 휘장.svg
개성시
파일:미수복 경기도 개풍군 휘장.svg
개풍군
파일:미수복 경기도 장단군 휘장.svg
장단군
대한민국이 실효 지배하지 않는 미수복지역은 자치 기능이 없는 명목상 행정구역이므로 실질적인 기초자치단체가 아니다. }}}}}}}}}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1546b7>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행정동 법정동
<colbgcolor=#f36c21> 위례동 학암동 감이동
감일동 감일동
감북동 감북동 광암동
초이동 초일동 초이동
덕풍동
미사1동 망월동 미사동
미사2동 선동
미사3동 풍산동
신장1동
시청
신장동 {{{#!wiki style="margin: -5px -11px -16px;"
당정동 }}}
신장2동
천현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춘궁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경기도 자치시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파일:하남시 CI.svg
하남시
河南市
Hanam City
}}}
<colbgcolor=#1546b7><colcolor=#fff> 시청 소재지 대청로 10 (신장동)
광역자치단체 경기도
하위 행정구역 14
면적 93.04㎢[1]
인구 329,498명[2]
인구 밀도 3,541.46명/㎢[3]
시장
이현재 (초선)
[[하남시의회|{{{#fff 시의회}}}]]
5석[4]

5석[5]
도의원
2석[6]

1석[7]
국회의원
<colbgcolor=#1546b7><colcolor=#fff>
추미애 (6선)

김용만 (초선)
상징 시화 은방울꽃
시목 은행나무
시조
지역번호 02[8] 031[9]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상징3. 역사4. 지리5. 도시구조6. 교통7. 경제
7.1. 산업7.2. 상권7.3. 금융
8. 관광9. 생활문화
9.1. 교육9.2. 문화시설9.3. 의료기관9.4. 스포츠9.5. 기타
10. 정치
10.1. 하남시장
11. 군사12. 하위 행정구역13. 사건사고14. 관련 인물1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하남시 각지의 모습을 담은 타임랩스

경기도의 동남부에 위치한 .

시의 이름인 '하남'은 이름을 지을 당시 백제의 도성으로 알려졌던 하남위례성에서 따온 것이다.[10] 시로 승격하기 전의 지명이 '동부읍'과 '서부면'이라 이름으로 쓰기엔 부적절했기 때문이다.

동쪽과 북쪽으로는 한강을 건너 남양주시, 서쪽으로는 서울특별시 강동구 송파구, 남쪽으로는 성남시 광주시와 접한다.

경기도 남부와 북부의 교차점으로서 남부와 북부지역 모두 교류가 활발하며 남부와 북부를 이어주는 역할을 하고도 있다.[11]

하남시 면적 93.04㎢ 중 그린벨트가 71.89㎢로 전체 면적의 77.26%에 달한다.

2012년부터 이 지역의 징병검사 서울지방병무청에서 담당하게 되어 신검 대상 하남시민들은 서울 동쪽에 있는 경기도 도시 중 유일하게 서울로 가야 한다.

2. 상징

하남시의 문장
파일:하남시 CI.svg
* 시민의 화합과 안정을 이미지화
하남시의 캐릭터
파일:하남이방울이_5세대_부분수정.png
* '틀림없이 행복해진다' 라는 은방울꽃의 꽃말처럼 시민들의 행복을 위한 친근하고 귀여운 이미지의 소통 캐릭터
하남시의 시정구호
파일:하남시_민선8기_시정구호.png
파일:하남시청 전경.jpg
하남시청 전경
하남시민의 노래 / 곡: 이선희 (1989)[12]

3. 역사

하남시 행정구역 변천사
광주군 동부면
(廣州郡 東部面, 1914)
광주군 서부면
(西部面, 1914)
광주군 동부읍
(東部邑, 1980)
서부면
중부면 상산곡리
하남시
(河南市, 1989)
조선 전기까지 광주목, 광주부의 중심지였다. 읍치[13]가 서부면 궁촌, 즉 지금의 춘궁동에 있었고, 향교가 동부면 교리, 지금의 교산동에 있는 것에서 알 수 있다. 병자호란 이후 읍치가 남한산성으로 이전했다. 광주시/역사 항목을 보면 과거의 광주 고을 영역이 광대했고, 하남의 위치가 중심지로써 나쁘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1980년 광주군 동부면이 동부읍으로 승격되었으며, 1989년 광주군 동부읍과 서부면, 중부면 상산곡리가 하남시로 승격되어 현재에 이른다.

4. 지리

검단산을 중심으로 산에 둘러싸인 분지로 북쪽, 동쪽에 한강이 둘러 동양에서 말하는 이상적인 입지다. 전체 면적이 93.04 ㎢이고 이 중 녹지지역이 84.11%인 78.26 ㎢, 전체 면적의 77%가 그린벨트다.

그린벨트의 높은 비율때문에 2010년도 이전에는 경기도 중 많이 낙후된 지역이었다. 하지만 서울에 땅이 부족해져 그린벨트가 일부 해제되고 신도시가 개발되자 상황이 변한다.

하남시는 도로를 통한 서울 접근성이 가장 좋은 경기도 지역중 하나다. 과천과 비교해 보면, 과천은 서울과 연결된 도로가 제한적이다. 과천뿐만 아니라 경기도 대다수는 서울 종심 진입이 어떤 형태로든 제한적이다. 그러나 하남은 시내도로를 통해 서울 종심에 가장 자연스럽게 접근할 수 있다. 도로의 시 경계 표시가 없다면 서울로 착각할 정도다. 위례신도시와 미사강변도시는 시내가 완벽하게 붙어 있어 자세히 보지않으면 서울과 하남의 경계를 알수 없고 하남시의 일부 지역은 지역번호를 서울 번호인 02를 사용한다. 평지가 적지만 서울과 인접한 지역이 많아 큰 약점이 아니다.

다만 하남시의 인구가 늘어 2010년대 후반부터 서울 진입이 한층 혼잡해졌고, 하남시에서의 서울로 진입할때 하남 동쪽 도시들 차량들도 합류해서[14] 서울시에서는 하남시 방면에서의 신규 도로 개설 움직임을 적극 방어하고 있다. 도로를 넓혀 교통량을 다 받아들이면 들일수록 서울이 혼잡해지는 것은 자명하기 때문. 하남시에서도 실제로 통행량이 많은 황산사거리 우회도로 개설이 대표적인 하남시 숙원사업 중 하나인데, 이를 가장 크게 반대하는 것은 다름아닌 서울시다. 윗 문단에서 과천시의 경우와 비교를 했는데, 서울시에서 개설하고자 하는 도로 계획을 직접 적극 방어하고 있는 과천시의 경우와는 반대인 셈이다. 이런 이유로 지도로 도로망만 보면 서울시와 완전 연담화되어 있어 접근성이 좋아 보이는 건 실제로는 어느 정도는 사실이지만, 일반 평일오후 시간대 외에 출퇴근 시간대 등 정말 이동이 필요한 시간대에 서울시로 이동하고자 한다면 소요 시간이 만만치 않다. 크게 천호대로 진입, 서하남로 진입, 올림픽대로 진입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셋 다 출퇴근 시간에는 헬이다.

중부고속도로 동서울톨게이트가 위치해 있으며, 지방에서 서울동부에 들어가기 위해 꼭 거쳐야 하는 관문도시이다.

2017년 7월 정부는 하남에 새로운 대규모 주택, 산업지 공급을 검토하였으며 하남·광명에 '미니 신도시' 조성, 결국 2018년 12월 3기 신도시 발표에서 하남 교산이 발표되었다.

4.1. 행정구역 개편 문제

4.1.1. 하남-성남-광주 통합

파일:attachment/행정구역 개편/경기권/Greater_GwangJu.png
: 성남시
: 하남시
: 광주시
하남과 성남은 원래 광주에서 분리된 곳이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도 있고 광역시로의 승격을 노리기 위한다는 명분으로 당시 지자체 통합 바람에 편승하여 각 지역 정치인들이 세 도시의 통합을 추진했으나 #

지역 내 논란이 컸음에도 어찌저찌 각 시의회까지는 통과했지만 국회 문턱을 넘지 못해 무산되었다. #

이후 별다른 논의 없이 흐지부지 넘어가며 현재는 사장된 주장이다.

4.1.2. 하남시 서울 편입

하남이 광주에서 분리된 이후 현재 실질적인 생활권은 서울, 특히 서울 동부에 속한 상태이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항목 참고

실제로 1980년대부터 송파구, 강동구에 접한 지역에서 승격 당시 서울 편입 운동이 있었고, 이 지역 중 일부(구 서부면 중에서도 서부면 통화권이었던 곳)에서는 서울 지역번호인 02를 사용한다.

4.2. 인구

파일:하남시 CI.svg 하남시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8,875명[1966하남시]
1970년 26,956명[1970하남시]
1975년 39,743명[1975하남시]
1980년 49,379명[1980하남시]
1980년 12월 1일 광주군 동부면 → 광주군 동부읍 승격
1985년 81,874명[1985하남시]
1989년 1월 1일 광주군 동부읍 + 광주군 서부면 + 광주군 중부면 상산곡리 경기도 하남시 분리 승격
1990년 101,325명
1995년 115,812명
2000년 120,513명
2005년 122,337명
2008년 143,638명
2011년 148,397명
2014년 148,896명
2017년 232,487명
2020년 293,452명
2024년 10월 329,49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5만 명
행정동별 인구 통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미사1동 53,788명
미사2동 46,940명
신장2동 45,815명
감일동 38,919명
위례동 34,890명
미사3동 29,811명
덕풍3동 25,107명
덕풍2동 18,081명
덕풍1동 14,532명
신장1동 6,851명
천현동 6,591명
초이동 3,219명
감북동 2,750명
춘궁동 2,318명
2023년 9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5.5만 명
}}}}}}}}} ||

위례신도시, 미사강변도시, 감일지구 등 여러 신도심이 생기면서 인구가 급격히 늘어나기 시작했으며, 3기 신도시의 하나인 교산신도시 개발이 확정되면서 인구가 40만명 이상으로 늘어날 것이라고 예측되고 있다. 30만명을 돌파해 22대 국회의원 선거부터는 선거구 분구가 거의 확실시되었다. 결국 하남시 갑(현역 의원: 추미애), 하남시 을(현역 의원: 김용만)로 분구되었다.

2019년 기준 5년 사이 인구 증가율 전국 3위를 달성하였다.

5. 도시구조

하남시 인구 대부분은 하남시청이 위치한 원도심과 미사강변도시, 풍산지구 쪽 지역에 위치하고 있고, 이성산-금암산-남한산성으로 이어지는 능선의 서쪽에 해당되는 하남시 지역인 감일지구, 감북동, 초이동과는 심리적으로 거리감이 있다.[20] 크게 위의 두 지역과, 여기보다도 더 거리감이 크게 느껴지는 위례신도시로 나뉘어져 있다. 특히 위례 지역은 한동안 하남시의 실질월경지였으나, 2010년대 후반 들어 감일지구 개발과 함께 감이남로, 감일남로, 감일백제로 등이 개설되고 위례대로 북위례 구간 등 다수의 도로들이 개설됨으로 인해 실질적인 거리감은 어느 정도 해소되었다. 다만 심리적인 거리감의 해소까지 이어지기에는 아직 시간이 많이 필요할 듯 하다.

이 금암산 인근 지역과 검단산 주변, 남한산성 주변 등에는 전통적으로 개발제한구역으로 설정된 지역이 많았었는데, 2010년대 들어 이 지역이 해제됨과 동시에 많은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는데 교산신도시 감일지구, 위례신도시 등이 대표적이다. 위례신도시의 경우 그린벨트 해제는 물론이고 특히 군부대 등의 이전 사업도 동시에 이루어지게 되어 하남시 인구의 순증에 특히 일조했다.

5.1. 덕풍동, 신장동 (원도심)

하남시의 터줏대감이라 할 수 있는 동네. 그만큼 오래된 동네였으나 최근에 재개발되는 구역이 많아졌으며 필로티구조의 빌라들과 오피스텔이 많이 지어지고있다.

5.2. 풍산지구

하남에서 가장 먼저 개발된 택지지구로 2008년에 완공되었다. 계획 당시 개발제한으로 인해 지구 내 아파트들이 15층을 넘지 않는 저층 아파트로 이루어졌다.

5.3. 미사강변도시

2009년에 보금자리지구로 지정되어 만들어졌다. 서울특별시 강동구와 붙어있는 곳에 건설되었다.

5.4. 위례신도시

서울특별시 송파구, 하남시, 성남시 수정구의 일부가 합쳐져 개발된 2기 신도시이다.

5.5. 감일지구

2010년에 국토해양부(現 국토교통부)로부터 보금자리주택지구로 지정되었으며,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의 서하남IC와 서울 송파구 마천동 사이에 위치한 공공주택지구이다.

5.6. 교산신도시

국토교통부가 개발예정인 3기 신도시이다.

6. 교통

하남선 개통 이전까지는 철도가 지나지 않는 지역이었으나, 2020년 8월에 수도권 전철 5호선이 개통하면서 큰 변화가 일어났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하남시/교통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경제

7.1. 산업

2013년까지는 가 50%에 지나지 않았다. 면적이 93.04㎢로 작은 편인데다, 약 77%가 그린벨트다. 그렇다고 기반산업이 튼실하지도 않다. 심지어는 강원도처럼 농특산물도 없는 경제적 기반이 약했던 지역이었다.[21] 대규모 화훼 단지가 있지만, 전국 규모로는 그다지 크지 않으며 입지도 크게 유리하지 않다.

그러나 2013년 이후에 상황이 일변한다. 위례신도시 미사강변도시로 인해 인구 유입이 대거 늘어났기 때문이다 그로 인해 50%밖에 되지 않았던 재정 자립도에는 숨통이 트일 전망이다.

다만 새로운 도시 계획으로 산업 기반을 만들 계획은 있으나, 베드타운으로 그칠 가능성이 크다. 재정이 늘어나도 신도시권과 본 시가지 간의 예산 배분 문제는 피할 수 없는 숙명이다. 성남시와 비슷한 운명을 걸을 가능성이 크다.

위례신도시는 자급, 산업시설이 적다. 미사강변도시는 몇몇 기업체들이 입주 예정이라 사정이 조금 나은 편이다. 하남시의 과제는 앞으로 어떻게 산업 기반을 만들어가느냐가 될 것이다. 또한 인구를 50만으로 늘려 대도시 특례를 받는 방안을 고민해볼 수도 있다.

7.2. 상권

파일:하남시 CI_White.svg 하남시의 대형 상업 시설 및 프랜차이즈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유통시설 <colbgcolor=#d3d3d3><colcolor=#000> 3대 대형마트
2
파일:이마트 로고.svg 파일:이마트 로고 화이트.svg
1
| 파일:홈플러스 로고.svg
1
창고형 마트
3
파일:코스트코 로고.svg
1
| 파일:트레이더스 홀세일 클럽 로고.svg
2
대형 쇼핑몰
2
파일:스타필드(쇼핑몰) 로고.svg
1
| 파일:스타필드(쇼핑몰) 로고.svg CITY
1
5대 백화점
1
파일:신세계백화점 영문 워드마크.svg 파일:신세계백화점 영문 워드마크 흰색.svg
1
프랜차이즈 카페 파일:스타벅스 로고.svg
16
| 파일:커피 빈 앤 티 리프 심볼.svg
1
| 파일:폴 바셋 로고.svg
3
| 파일:투썸플레이스 심볼.svg
11
패스트푸드 파일:버거킹 로고.svg
4
| 파일:맥도날드 로고.svg
1
| 파일:KFC 로고.svg
2
| 파일:롯데리아 아이콘.svg
4
| 파일:맘스터치 로고.svg
5

파일:써브웨이 로고.svg
3
영화관 파일:CGV 로고.svg
2
| 파일:메가박스 로고.svg
2
상권의 척도를 보여주는 대형•고급업체만 작성 / 2024년 4월 15일 기준
[타 지역 둘러보기] 김해시 | 원주시 | 진주시 | 하남시
}}}}}}}}} ||

미사동은 예전에 라이브 카페촌으로 유명했었다. 흔히 미사리 카페촌이라 불렀던 곳이다.[22] 그러나 2010년대 들어 미사리 카페촌에도 문 닫는 점포가 크게 늘어났다. 한때 60여개가 넘는 카페가 있었지만 지금은 1개만 남았다. 이는 2009년에 서울양양고속도로가 개통하면서 춘천, 가평으로 가는 수많은 자동차가 미사리 카페촌 인근의 도로를 지나가지 않게 되면서 이곳에 잠시 들르는 수요가 급감한 탓이 크다.

미사강변도시 중심상업지구에 생기는 수도권 전철 5호선 미사역 1, 5, 6, 10번 출구 방향으로 미사 아케이드거리가 조성중이다.

2006, 7년까지만해도 대형마트 영화관하나 없어서 인근 강동구의 이마트 명일점, 홈플러스 강동점[23]으로 나갔어야 됐었다. 2008년, 2010년 즈음 이마트와 홈플러스가 들어서고 2016년 9월 9일, 전국에서 두번째로 큰 쇼핑몰 스타필드 하남이 세워졌다. 하남시 신설 이후 30년 가까이 백화점이나 영화관 등을 가려고 하면 서울 등지[24]로 나가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는데 스타필드의 개장으로 한결 나아졌다. 그후 연달아 2018년 12월 18일 위례신도시에 스타필드 시티 위례가 개장, 2019년 4월 30일에 코스트코 하남점이 풍산동 지식산업센터 인근에 개점했고 현재는 대형마트 중 롯데마트만 없는 상황이다.[25]

2023년 12월에는 Apple 하남이 들어와 하남시 및 경기도 최초로 Apple Store가 들어왔다.
복합쇼핑몰은 총 2개
* 스타필드 하남
* 스타필드시티 위례

프랜차이즈 체인점은 과거까지만 해도 맥도날드 KFC, 버거킹이 하남시에 각각 단 한 곳밖에 없었지만 노브랜드 버거, 그리고 미사강변도시의 인구가 많아짐에 따라 KFC 버거킹이 하나씩 더 생겼고 이후 하남시 최초로 써브웨이까지 오픈했다. 2024년에는 미사역에 크리스피 크림 도넛이 생겼다.
번화가/하남시 참고

7.3. 금융

하남시에 위치한 금융기관[괄호]
제1금융권[괄호]
국가기관
하남우체국 (4)
국책은행
한국산업은행 (1) 중소기업은행 (3)
특수은행
수협은행 (1) 농협은행(중앙회) (4)[28]
시중은행
신한은행 (2) 우리은행 (4) 하나은행 (2) 국민은행 (5)[29]
지방은행
경남은행 (1)
제2금융권(상호금융)[괄호]
농업협동조합
경기동부인삼농협 (1) 광주지구축산농협 (2) 서부농협 (4) 하남농협 (11)
수산업협동조합
통영수협 (1) 강구수협(1)
새마을금고
하남새마을금고(6)
신용협동조합
선린신용협동조합(1) 동부신용협동조합(3)
가나안신용협동조합(1)
산림조합
광주성남하남산림조합 (1)
상호저축은행(상호금고)
삼정저축은행 (2)

8. 관광

남한산성, 미사리 조정경기장, 광주 향교, 검단산, 팔당댐, 스타필드 하남 등이 유명하다.

원래 관광지가 전무했지만 스타필드 하남이 생기고 나서 시민은 물론 서울과 주변 도시에서도 쇼핑하러 오기도 한다. 저 멀리 이천이나 여주, 또는 양평이나 춘천에서 오기도 할 정도.

MSG 스피어 라스베가스에 이어 세계 2번째로 MSG 스피어 하남이 2025년 착공을 목표로 논의중이다.

9. 생활문화

9.1. 교육

파일:하남시 CI_White.svg 경기도 하남시 초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감일초등학교 고골초등학교 나룰초등학교 단샘초등학교 덕풍초등학교
동부초등학교 망월초등학교 미사강변초등학교 미사중앙초등학교 미사초등학교
산곡초등학교 서부초등학교 신우초등학교 신장초등학교 신평초등학교
위례숲초등학교 위례초등학교 윤슬초등학교 창우초등학교 청아초등학교
하남천현초등학교 하남초등학교 하남풍산초등학교 한홀초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하남시 CI_White.svg 경기도 하남시 중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감일백제중학교 감일중학교 남한중학교 덕풍중학교 동부중학교
미사강변중학교 미사중학교 신장중학교 신평중학교 위례중학교
윤슬중학교 은가람중학교 하남중학교 한홀중학교(예정)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하남시 CI_White.svg 경기도 하남시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감일고등학교 남한고등학교 미사강변고등학교 미사고등학교 신장고등학교
위례고등학교 청아고등학교(예정) 풍산고등학교 하남경영고등학교 하남고등학교
한국애니메이션고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현재 하남시에는 24개의 초등학교, 12개의 중학교, 9개의 고등학교 그리고 2개의 특수학교가 있다. [31] 추후 감일지구 & 교산신도시로 인해 많은 수의 학교가 개교할 예정이다.

중학교 진학은 1지망만 원하는 곳을 넣을수 있고 나머지는 거리순이다. 고등학교의 경우, 하남시는 비평준화 지역이므로 고등학교는 중학교 내신을 바탕으로 진학한다.

대학교는 없다. 한때 중앙대학교 안성캠퍼스가 산곡동 캠프 콜번 자리로 이전하려는 계획이 있었으나 안성시의 반발과 법적 문제로 무산되었다. 그 대신 세명대학교가 캠퍼스와 부속한방병원을 세울 계획이었으나 역시 현 학교가 소속된 지자체인 제천시의 거센 반발 등의 사유로 무산되었다. 그러던 중 갑자기 성결대학교가 대학 이전 의향서를 제출했지만 시에서 이를 바로 거절하며 # 단순 해프닝으로 끝났다. 현재는 대학 유치관련 논의는 없는 상태.

9.2. 문화시설

파일:CGV 로고.svg <colbgcolor=#da281c> 파일:롯데시네마 로고 영문 백색.svg <colbgcolor=#3c2a78> 파일:메가박스 로고 화이트.svg
스타필드시티위례 하남미사 하남미사 하남스타필드 미사강변

멀티플렉스 극장은 5곳이 있다.

원도심 지역은 스타필드 이외에 하남문화예술회관에서 공연이나 전시를 관람할 수 있다. 하남시청역 2번 출구에 위치해 있다.

미사호수공원에서 음악분수쇼를 한다. 주변 고층빌딩을 배경으로 하기때문에 야경으로 볼만하다.

시립도서관은 아래와 같다.
스마트도서관과 이동도서관도 운영 중이다.

9.3. 의료기관

종합병원이 하나도 없고, 쓸만한 병원급 기관도 전무한 상태다.

그나마 이웃 강동구에 강동성심병원, 강동경희대학교병원이 있어 큰 불편함은 없는 수준, 종합병원이 없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남 H2 첨단문화복합단지에 유치를 추진하였고 명지병원이 선정되었으나 이런저런 문제로 인해 백지화 되어 현재는 요원한 상태이다.

9.4. 스포츠

2018년 하남시청이 남자 핸드볼 실업구단을 창단하여 2018-2019 시즌부터 핸드볼 H리그에 참가한다. #

미사동엔 미사리 조정경기장이 있다. 조정경기장은 1988 서울 올림픽 조정 경기장 으로 유명하며, 무한도전 조정 특집의 촬영지로도 유명하다. 현재는 경정경기장으로 변경되었다. 이곳 일대에는 인근 지역의 개발제한이 풀리면서 미사강변도시가 건설되었다

감이로에는 서울에서 제일가까운 골프장 캐슬렉스서울GC이 위치해 있다.

9.5. 기타

스타필드 하남 근처에 유니온파크가 있다.유니온파크 중앙에는 105m 높이의 유니온 타워가 있다. 하남시에서 발생하는 쓰레기를 소각하는 시설을 지하에 건설하며 함께 건설한 하남시의 랜드마크이다. 타워에 올라가면 하남시 전경은 물론 맑은날에는 북한산의 모습까지 볼 수 있다.

2022년 1월부터 하남유니온타워의 경관조명을 활용하여 시민들에게 미세먼지 정보를 제공한다. 평소에는 8가지 색으로 다양한 경관 이미지를 연출하다가 미세먼지 농도가 ‘나쁨’이면 ‘노란색’으로, ‘매우나쁨’일 경우에는 ‘빨간색’ 조명을 표출한다. 미세먼지가 보통 이하일 경우에는 다시 평소 경관조명으로 전환한다. 경관조명을 통한 미세먼지 정보는 미세먼지 계절관리제 기간인 매년 12월 말부터 3월 말까지 제공하며, 정보제공 시간은 일몰 후부터 밤 11시까지라고 한다.

주말의 미사리 자전거 도로는 양수리, 양평군 방면으로 오가는 자전거 애호가들로 붐벼 보행에 꽤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덕풍천 자전거길이 서울 방향으로는 미사리조정 경기장과 서울 한강공원 자전거길까지, 남양주 방향으로는 팔당댐을 거쳐 연결되어있다. 많은 시민들이 이곳에서 산책과 자전거 라이딩을 즐긴다.

도시 곳곳 무료 물놀이장이 여름철 운영한다.

10. 정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하남시/정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1. 하남시장

파일:하남시 CI_White.svg
경기도 하남시장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초대
임수복
제2대
백종민
제3대
임석봉
제4대
김상호
제5대
김영민
제6대
박계민
제7-8대
손영채
제9대
이교범
제10대
김황식
제11-12대
이교범
제13대
오수봉
제14대
김상호
제15대
이현재
파일:하남시_민선8기_시정구호.png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하남시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군사

초이동 이성산성 반대편에 제1전투항공여단이 주둔하고 있다. 인근에 고도제한이 걸려있는 듯하다.

12. 하위 행정구역

파일:하남시 행정구역 지도.jp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하남시/행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3. 사건사고

14. 관련 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분류:하남시 출신 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5. 관련 문서



[1] 출처: 하남시 일반현황 [2] 2024년 10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통계 [3] 2024년 10월 기준 [4] 하남시 가선거구 (천현동, 신장1동, 신장2동, 감북동, 감일동, 위례동, 춘궁동, 초이동): 금광연, 박선미
하남시 나선거구 (덕풍1동, 덕풍2동, 덕풍3동, 풍산동): 임희도
하남시 다선거구 (미사1동, 미사2동): 박진희
하남시 비례대표: 오지연
[5] 하남시 가선거구 (천현동, 신장1동, 신장2동, 감북동, 감일동, 위례동, 춘궁동, 초이동): 강성삼, 정혜영
하남시 나선거구 (덕풍1동, 덕풍2동, 덕풍3동, 풍산동): 최훈종
하남시 다선거구 (미사1동, 미사2동): 오승철, 정병용
[6] 하남시 제1선거구 (천현동, 신장1동, 신장2동, 감북동, 감일동, 위례동, 춘궁동, 초이동): 윤태길 (3선)
하남시 제2선거구 (덕풍1동, 덕풍2동, 덕풍3동, 풍산동): 김성수 (초선)
[7] 하남시 제3선거구 (미사1동, 미사2동): 오지훈 (초선) [8] 행정동 기준 감북동, 감일동, 위례동, 초이동(일부) [9] 행정동 기준 덕풍1~3동, 미사1~3동, 신장1~2동, 천현동, 초이동(일부), 춘궁동 [10] 하남시 승격 당시에는 풍납토성이 발굴되기 전이라 다산 정약용 이래 춘궁동의 이성산성이 위례성의 위치로 유력하다는 가설이 있었다. [11] 하남시는 중부고속도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세종포천고속도로(구리-포천), 서울양양고속도로가 인접한 도시로서 경기북부에서 접근하기 가장 쉬운 경기남부지역 중 하나이며 특히 경기북부인 남양주시, 구리시, 가평군(서울양양고속도로 인접지역)과 생활권을 공유하기도 한다. 특히 의정부시와 포천시와도 교류가 어렵지 않을만큼 경기북부지역과 지리적으로 매우 인접해 있다. [12] 왼쪽이 원곡이고 오른쪽이 2021년 만들어진 뮤직비디오이다. [13] 지금의 기초자치단체의 행정관서, 즉 시·군청. [14] 예를 들어 양평군 진입 차량이 서울로 가고자 할 때 하남시를 거쳐 들어오는 경우가 많고, 수도권제1순환도로 상일IC 진입 차량들이나 서하남IC 진입 차량들 역시 하남시 방면에서 들어오도록 되어 있다. [1966하남시] 동부면 11,616명+서부면 7,259명 [1970하남시] 동부면 18,405명+서부면 8,551명 [1975하남시] 동부면 26,730명+서부면 13,013명 [1980하남시] 동부면 34,136명+서부면 15,243명 [1985하남시] 동부읍 63,315명+서부면 18,559명 [20]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안쪽 하남시 지역이라고 봐도 대체적으로는 설명이 가능하고 실제로 초이동의 경우 고속도로의 존재로 인해 심리적인 거리감이 느껴지게 되었지만, 감일지구의 경우 고속도로 바깥쪽이라서 여기에 해당되지 않아 정확하게 설명할 수 없게 된다. [21] 한때 상추와 부추가 유명했다. [22] 당시 행정구역은 광주군 동부읍 미사리였고, 하남시가 생기면서 '리'가 '동'이 된 것이다. [23] 4층에 CGV가 있다. [24] 주로는 하남시에서 가까운 현대백화점 천호점이나 롯데백화점 잠실점으로 갔었는데, 둘다 상습정체지역이라 이용하는데 불편을 감수해야 했다. [25] 미사역 그랑파사쥬에 들어올 예정이였으나 코로나19와 온라인 쇼핑몰 활성화가 겹친 이후로 무산되었다. 현재 그 자리에는 다이소, 식자재마트가 작게나마 들어와서 어느정도 대체되고 있다.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28] 출장소 1곳 포함 [29] 출장소 1곳 포함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31] 성광학교는 장애인 교육기관이고, 동성학교는 제칠일안식일교에서 운영하는 중학교에 준하는 교육기관인 고등공민학교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