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6 14:51:54

광산구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ef4123>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자치구
파일:동구(광주광역시) CI.svg
동구
파일:서구(광주광역시) CI.svg
[[광주광역시청|
시청
]] 서구
파일:남구(광주광역시) CI.svg
남구
파일:북구(광주광역시) CI.svg
북구
파일:광산구 CI.svg
광산구
}}}}}}}}}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007dc5>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행정동 법정동
<colbgcolor=#007dc5> 송정1, 2동
구청
송정동
도산동 도산동 | 황룡동
도호동 도호동 | 신촌동 | 우산동
어룡동 박호동 | 서봉동 | 선암동 | 소촌동 | 운수동
우산동 우산동
월곡1동 월곡동
월곡2동 월곡동 | 산정동 | 하남동
하남동 하남동 | 산정동 | 안청동 | 오선동 | 장덕동 | 장수동 | 진곡동 | 흑석동
비아동 비아동 | 도천동 | 수완동
첨단1동 비아동 | 쌍암동 | 월계동
첨단2동 산월동 | 쌍암동 | 월계동
신가동 신가동 | 신창동
운남동 신가동
수완동 수완동 | 신가동 | 장덕동 | 흑석동
신창동 신창동 | 수완동
임곡동 임곡동 | 고룡동 | 광산동 | 두정동 | 등임동 | 사호동 | 산막동 | 신룡동 | 오산동
동곡동 복룡동 | 본덕동 | 송대동 | 요기동 | 용봉동 | 유계동 | 하산동
평동 동산동 | 명화동 | 송촌동 | 연산동 | 옥동 | 용동 | 용곡동 | 월전동 | 장록동 | 지정동 | 지죽동
삼도동 내산동 | 대산동 | 도덕동 | 삼거동 | 삼도동 | 송산동 | 송학동 | 신동 | 양동 | 오운동 | 지평동
본량동 남산동 | 덕림동 | 동림동 | 동호동 | 명도동 | 북산동 | 산수동 | 선동 | 송산동 | 송치동 | 양산동 | 왕동 | 지산동 }}}}}}}}}
광주광역시 자치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파일:광산구 CI.svg
광산구
光山區
Gwangsan-gu
}}}
<colbgcolor=#007dc5><colcolor=#fff> 구청 소재지 광산로29번길 15 ( 송정동)
광역자치단체 광주광역시
하위 행정구역 21[1]
면적 222.69㎢[2]
인구 392,016명[3]
인구 밀도 1,760.37명/㎢[4]
구청장
박병규 (초선)
구의회
14석[5]

3석[6]

1석[7]
시의원
5석[8]
국회
의원
<colbgcolor=#007dc5><colcolor=#fff>
박균택 (초선)

민형배 (재선)
상징 구화 목련
구목 소나무
구조 백로
지역번호 062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SNS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카카오톡채널 아이콘.svg | 파일:카카오스토리 아이콘.svg
1. 개요2. 상징3. 역사4. 인구5. 지역 특징
5.1. 내부 도시구조5.2. 광주와의 일시적 분리와 그 영향
6. 교통7. 경제
7.1. 산업7.2. 금융
8. 교육
8.1. 고등학교 부족 문제
9. 의료기관10. 정치11. 하위 행정구역12. 기타
12.1. 헷갈리기 쉬운 지명
12.1.1. 지금도 이름이 같은 곳12.1.2. 과거에 이름이 같았던 곳12.1.3. 기타
13. 자매우호도시14. 출신 인물

[clearfix]

1. 개요

파일:external/www.focusi.co.kr/17607_23805_343.jpg
광산구청의 모습. 주소는 광주광역시 광산구 광산로29번길 15 (송정동). 광산군 시절 군청이 있던 곳이기도 하다. 1998년 구청으로 사용하던 옛 군청 건물을 허물고 같은 자리에 청사를 새로 지었다. 건립 당시 청사를 절반씩 지어 업무를 보았기 때문에 자세히 보면 청사 외관이 절반으로 나눠져 있다. 여담으로 보건소 건물과 지하주차장은 나중에 추가로 건립되었다.
파일:Gwangsan2014.jpg
광산구가 자랑하는 각종 통계들[9]
광주광역시의 서부에 위치한 자치구. 면적은 약 222.86㎢으로 시의 서쪽 대부분을 차지하며, 광주광역시 전체 면적의 45%을 차지, 광주광역시의 구 가운데 가장 넓으며,[10] 대한민국 자치구 중에서도 가장 넓다.[11][12] 또한 광주광역시의 자치구 중 유일하게 방위명을 사용하지 않은 곳이다. 행정동은 21개, 법정동은 79개로 전국에서 법정동이 두번째로 많은 자치구다.[13]

광산(光山) 김씨, 광산 탁씨의 본관인 광산이 바로 이 곳. 엄밀히 말하면 '광산' 자체가 광주광역시의 조선 시대 별칭이다.[14] 조선시대에는 '-주(州)'의 이름을 가진 곳을 '-천(川)', '-산(山)'으로 바꾸기도 했는데[15] 이에 따라 '광주목'이 '광산현'이란 이름으로 일시적으로 개칭된 사례가 있다.

2. 상징

광산구의 상징마크
파일:광산구 CI.svg
문화, 예술, 산업이 조화된 희망의 땅, 광산구

녹색은 어등산을 중심으로 한 쾌적한 자연과 농촌의 풍요로움을 상징하고, 청색은 광산구를 휘감고 흐르는 황룡강과 영산강을 상징한다. 또, 주황색의 둥근 원은 떠오르는 태양이다.광산구 심벌은 전체적으로 구민과 행정기관이 하나되어 힘차게 전진하는 모습으로 광산구의 단결력을 상징합니다.
광산구의 도시브랜드
파일:광산구 BI.svg
광산구 신창동 유적지에서 출토된 마한의 수레바퀴, 현재 자동차 산업을 상징하는 자동차 바퀴, 그리고 미래차 바퀴를 무한대(∞)형태로 연결, 무한한 가능성을 가진 도시 이미지를 역동적으로 표현했다. 2,000년 전, 세계 최고 문명을 일군 마한의 역사를 품고 광주 경제를 이끄는 광산이, 미래차 국가산단과 더불어 녹색의 자연환경과 공존하면서 우리나라의 미래 중심으로 성장하는 지속가능 도시로 나아간다는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3.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광산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송정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광산구 행정구역 변천사
전라남도 광주군
(全羅南道 光州郡, 1896)
광산군
(光山郡, 1935)
광산군
(光山郡, 1949)
송정시
(松汀市, 1986)
광주직할시 광산구
(光州直割市 光山區, 1988)
광주광역시 광산구
(光州廣域市 光山區, 1995)
나주군[16]
(羅州郡, 1896)
광산군
(光山郡, 1986)

1988년 1월 1일 전라남도 송정시 광산군 광주직할시에 편입되었다. 이때에 광산군 산하 이 모두 출장소가 되었고, 법정리 법정동이 되었다.
개편 전 개편 후 현재 행정동
전라남도 송정시 광주직할시 광산구 ( 행정동) 송정1·2·3동 광주광역시 광산구 송정1·2동, 도산동, 신흥동, 어룡동, 우산동
전라남도 광산군 비아면 광주직할시 광산구 비아출장소 광주광역시 광산구 비아동, 신가동, 수완동, 첨단1·2동
전라남도 광산군 하남면 광주직할시 광산구 하남출장소 광주광역시 광산구 하남동, [[월곡동(광주)|월곡1·2동
전라남도 광산군 임곡면 광주직할시 광산구 임곡출장소 광주광역시 광산구 임곡동
전라남도 광산군 동곡면 광주직할시 광산구 동곡출장소 광주광역시 광산구 동곡동
전라남도 광산군 서창면 광주직할시 광산구 서창출장소 광주광역시 서구 서창동, 금호1·2동, 풍암동
전라남도 광산군 대촌면 광주직할시 광산구 대촌출장소 광주광역시 남구 대촌동
전라남도 광산군 평동면 광주직할시 광산구 평동출장소 평동
전라남도 광산군 삼도면 광주직할시 광산구 삼도출장소 광주광역시 광산구 삼도동
전라남도 광산군 본량면 광주직할시 광산구 본량출장소 본량동

1989년 4월 1일에 비아출장소 도촌동을 도천동으로, 대촌출장소 도촌동을 도금동으로 바꿨다.

1990년 4월 1일에 하남출장소 오산동을 오선동으로 바꿨다.

1995년 4월 20일에 광산구 서창출장소가 서구 ( 행정동) 서창동으로, 광산구 대촌출장소가 남구 ( 행정동) 대촌동으로 개편되었다.

1997년 10월 1일에 출장소가 모두 행정동으로 분동되거나 전환되었다.

4. 인구

파일:광산구 CI.svg 광주광역시 광산구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28,740명
1970년 129,121명
1975년 130,272명
1980년 128,945명
1985년 136,612명
1986년 11월 1일 광산군 송정읍 → 송정시 승격 분리
1988년 1월 1일 송정시 + 광산군 → 광주직할시 편입 및 광산구로 통합
1990년 121,761명
1995년 4월 20일 광산구 서창· 대촌출장소 → 동 전환 및 서구·남구 이관
1995년 169,757명
2000년 248,015명
2005년 308,153명
2010년 363,239명
2015년 400,753명
2020년 405,579명
2024년 10월 392,35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17], 그래프 최대 값은 45만 명
행정동별 인구 통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수완동 75,204명
첨단2동 42,053명
신창동 33,876명
어룡동 33,287명
운남동 29,463명
우산동 29,158명
첨단1동 27,434명
하남동 26,872명
신가동 19,172명
월곡2동 14,739명
도산동 14,539명
송정1동 10,355명
월곡1동 9,929명
비아동 7,447명
송정2동 6,217명
평동 5,006명
신흥동 4,287명
삼도동 2,129명
임곡동 1,979명
본량동 1,887명
동곡동 1,708명
2023년 12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4.5만 명
}}}}}}}}} ||

40만 전후로 인구가 정체상태였다가 최근에 40만명 선이 무너졌다.

===# 행정동별 인구 #===
파일:광산구 CI.svg 송정1동 인구 추이
(1990년~현재)
1986년 11월 1일 광산군 송정읍 → 송정시 승격
송정읍 송정리 → 원동, 중앙동, 호남동 분할
1988년 1월 1일 송정시 원동 → 광주직할시 광산구 원동 전환
1989년 3월 10일 원동 → 송정1동 개칭
1990년 7,583명
1995년 7,964명
2000년 11,919명
2005년 12,201명
2010년 12,301명
2015년 11,607명
2020년 11,177명
2023년 12월 10,35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파일:광산구 CI.svg 송정2동 인구 추이
(1990년~현재)
1986년 11월 1일 광산군 송정읍 → 송정시 승격
송정읍 송정리 → 원동, 중앙동, 호남동 분할
1988년 1월 1일 송정시 중앙동, 호남동 → 광주직할시 광산구 중앙동, 호남동 전환
1989년 3월 10일
중앙동 → 송정2동 개칭
호남동 → 송정3동 개칭
1990년 10,671명(송정2동 5,772명 + 송정3동 4,899명)
1995년 7,996명(송정2동 4,495명 + 송정3동 3,501명)
1998년 10월 15일 송정2동 + 송정3동 → 송정2동 합동
2000년 8,758명
2005년 7,369명
2010년 7,167명
2015년 6,390명
2020년 6,641명
2023년 12월 6,21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파일:광산구 CI.svg 도산동 인구 추이
(1990년~현재)
1986년 11월 1일 광산군 송정읍 → 송정시 승격
송정읍 도산리 + 황룡리 → 도산동 신설
1990년 10,287명
1995년 12,732명
2000년 16,278명
2005년 17,249명
2010년 15,038명
2015년 14,561명
2020년 15,817명
2023년 12월 14,53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파일:광산구 CI.svg 신흥동 인구 추이
(1990년~현재)
1986년 11월 1일 광산군 송정읍 → 송정시 승격
송정읍 신촌리 + 도호리 + 우산리 일부 → 신흥동 신설
1990년 6,698명
1995년 5,410명
2000년 4,312명
2005년 6,340명
2010년 5,522명
2015년 4,907명
2020년 4,725명
2023년 12월 4,28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7천 명
파일:광산구 CI.svg 어룡동 인구 추이
(1990년~현재)
1986년 11월 1일 광산군 송정읍 → 송정시 승격
송정읍 소촌리 → 소촌동 신설
송정읍 선암리 + 운수리 + 서봉리 + 박호리 → 용운동 신설
1990년 9,610명(소촌동 5,979명 + 용운동 3,631명)
1995년 15,759명(소촌동 13,106명 + 용운동 2,653명)
1998년 10월 15일 소촌동 + 용운동 → 어룡동 합동
2000년 17,616명
2005년 24,093명
2010년 20,883명
2015년 29,106명
2020년 32,945명
2023년 12월 33,28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5만 명
파일:광산구 CI.svg 우산동 인구 추이
(1990년~현재)
1986년 11월 1일 광산군 송정읍 → 송정시 승격
송정읍 우산리 일부 → 우산동 신설
1990년 6,121명
1995년 35,283명
2000년 32,000명
2005년 28,977명
2010년 25,269명
2015년 25,014명
2020년 27,596명
2023년 12월 29,15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5만 명
파일:광산구 CI.svg 월곡1동 인구 추이
(1995년~현재)
1993년 12월 1일 하남출장소 월곡동 + 산정동 일부 → 월곡동 분동
1995년 3월 1일 월곡동 → 월곡1동, 월곡2동 분동
1995년 20,777명
2000년 18,511명
2005년 17,568명
2010년 15,183명
2015년 13,781명
2020년 11,366명
2023년 12월 9,92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파일:광산구 CI.svg 월곡2동 인구 추이
(1995년~현재)
1995년 3월 1일 월곡동 → 월곡1동, 월곡2동 분동
1995년 17,686명
2000년 15,399명
2005년 24,103명
2010년 20,863명
2015년 19,372명
2020년 16,260명
2023년 12월 14,73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파일:광산구 CI.svg 비아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1,040명
1970년 10,501명
1975년 10,234명
1980년 10,194명
1985년 14,619명
1988년 1월 1일 광산군 비아면 → 광산구 비아출장소 전환
1990년 16,989명
1995년 21,208명
1997년 7월 1일 비아출장소 → 비아동, 신가동 분동
2000년 58,413명
2002년 3월 25일 비아동비아동, 첨단동 분동
2005년 8,539명
2010년 7,578명
2015년 7,079명
2020년 7,295명
2023년 12월 7,44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6만 명
파일:광산구 CI.svg 첨단1동 인구 추이
(2005년~현재)
2002년 3월 25일 비아동 → 비아동, 첨단동 분동
2003년 6월 30일 첨단동 → 첨단1동, 첨단2동 분동
2005년 26,548명
2008년 25,690명
2009년 25,118명
2010년 25,132명
2011년 24,734명
2012년 24,563명
2013년 24,334명
2014년 24,120명
2015년 24,178명
2016년 23,968명
2017년 23,644명
2018년 24,264명
2019년 25,995명
2020년 27,653명
2021년 27,459명
2022년 27,112명
2023년 12월 27,43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파일:광산구 CI.svg 첨단2동 인구 추이
(2005년~현재)
2003년 6월 30일 첨단동 → 첨단1동, 첨단2동 분동
2005년 41,777명
2008년 43,161명
2009년 41,428명
2010년 42,581명
2011년 43,031명
2012년 43,207명
2013년 42,916명
2014년 42,384명
2015년 42,093명
2016년 41,852명
2017년 42,070명
2018년 41,823명
2019년 44,044명
2020년 43,947명
2021년 43,297명
2022년 42,555명
2023년 12월 42,05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5만 명
파일:광산구 CI.svg 신가동 인구 추이
(2000년~현재)
1997년 7월 1일 비아출장소 → 비아동, 신가동 분동
2000년 42,466명
2003년 6월 30일 신가동신가동, 운남동 분동
2005년 36,035명
2008년 58,218명
2009년 6월 1일 신가동신가동, 신창동 분동
2009년 57,809명
2010년 9월 6일 신가동신가동, 수완동 분동
2010년 25,105명
2011년 25,369명
2012년 25,393명
2013년 25,440명
2014년 24,915명
2015년 24,640명
2016년 24,108명
2017년 23,476명
2018년 22,820명
2019년 21,843명
2020년 19,144명
2021년 18,457명
2022년 19,462명
2023년 12월 19,17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6만 명
파일:광산구 CI.svg 운남동 인구 추이
(2005년~현재)
2003년 6월 30일 신가동 → 신가동, 운남동 분동
2005년 38,171명
2008년 36,407명
2009년 34,681명
2010년 34,114명
2011년 34,030명
2012년 33,696명
2013년 33,167명
2014년 32,643명
2015년 32,450명
2016년 33,177명
2017년 32,786명
2018년 32,251명
2019년 31,504명
2020년 31,621명
2021년 30,856명
2022년 30,128명
2023년 12월 29,46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75만 명
파일:광산구 CI.svg 수완동 인구 추이
(2010년~현재)
2010년 9월 6일 신가동 → 신가동, 수완동 분동
2010년 46,123명
2011년 55,339명
2012년 64,079명
2013년 71,169명
2014년 77,268명
2015년 79,083명
2016년 80,169명
2017년 80,252명
2018년 79,729명
2019년 78,986명
2020년 78,158명
2021년 77,438명
2022년 75,889명
2023년 12월 75,20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8.25만 명
파일:광산구 CI.svg 하남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7,389명
1970년 7,014명
1975년 6,627명
1980년 5,554명
1985년 5,321명
1988년 1월 1일 광산군 하남면 → 광산구 하남출장소 전환
1990년 9,382명
1993년 12월 1일 하남출장소 월곡동 + 산정동 일부 → 월곡동 분동
1995년 4,620명
1998년 10월 15일 하남출장소 → 하남동 전환
2000년 4,526명
2005년 3,960명
2010년 13,614명
2015년 19,660명
2020년 23,400명
2023년 12월 26,87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만 명
파일:광산구 CI.svg 임곡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9,694명
1970년 8,761명
1975년 8,878명
1980년 7,320명
1983년 2월 15일 임곡면 박호리 → 송정읍 편입
1985년 5,373명
1988년 1월 1일 광산군 임곡면 → 광산구 임곡출장소 전환
1990년 4,339명
1995년 3,799명
1998년 10월 15일 임곡출장소 → 임곡동 전환
2000년 3,251명
2005년 2,704명
2010년 2,554명
2015년 2,298명
2020년 2,140명
2023년 12월 1,97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만 명
파일:광산구 CI.svg 동곡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6,912명
1970년 6,381명
1975년 6,066명
1980년 5,512명
1985년 5,017명
1988년 1월 1일 광산군 동곡면 → 광산구 동곡출장소 전환
1990년 3,931명
1995년 3,442명
1998년 10월 15일 동곡출장소 → 동곡동 전환
2000년 2,918명
2005년 2,375명
2010년 2,408명
2015년 2,089명
2020년 1,932명
2023년 12월 1,70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7천 명
파일:광산구 CI.svg 평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2,640명
1970년 11,775명
1975년 11,204명
1980년 10,001명
1985년 8,876명
1988년 1월 1일 광산군 평동면 → 광산구 평동출장소 전환
1990년 7,222명
1995년 5,775명
1998년 10월 15일 평동출장소 → 평동 전환
2000년 5,014명
2005년 4,465명
2010년 4,041명
2015년 3,813명
2020년 4,122명
2023년 12월 5,00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파일:광산구 CI.svg 삼도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0,539명
1970년 10,485명
1975년 8,752명
1980년 7,208명
1985년 6,175명
1988년 1월 1일 광산군 삼도면 → 광산구 삼도출장소 전환
1990년 4,745명
1995년 4,029명
1998년 10월 15일 삼도출장소 → 삼도동 전환
2000년 3,829명
2005년 3,354명
2010년 2,932명
2015년 2,548명
2020년 2,278명
2023년 12월 2,12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파일:광산구 CI.svg 본량동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0,597명
1970년 10,206명
1975년 9,054명
1980년 7,002명
1985년 5,565명
1988년 1월 1일 광산군 본량면 → 광산구 본량출장소 전환
1990년 4,276명
1995년 3,277명
1998년 10월 15일 본량출장소 → 본량동 전환
2000년 2,805명
2005년 2,325명
2010년 2,762명
2015년 2,206명
2020년 2,065명
2023년 12월 1,88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파일:광산구 CI.svg 신창동 인구 추이
(2009년~현재)
2009년 9월 1일 신가동 → 신가동, 신창동 분동
2009년 29,519명
2010년 32,069명
2011년 33,176명
2012년 34,129명
2013년 34,606명
2014년 34,292명
2015년 33,878명
2016년 35,171명
2017년 35,142명
2018년 35,267명
2019년 34,604명
2020년 35,297명
2021년 34,988명
2022년 34,183명
2023년 12월 33,87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75만 명

5. 지역 특징

조선시대까지 광주목(광주군)의 일부로 역사를 함께했다.[18] 일제강점기에 광주의 중심부가 광주부로 분리되며 광주의 나머지 지역이 광산군으로 불렸다. 이후 광주부의 확장으로 과거 광주의 절반은 광산군, 절반은 광주부가 되었고, 광산구의 송정 일대가 일시적으로 시로 승격되기도 했으나 광주직할시 승격으로 기존의 역사적인 광주 형태로 환원되었다.

광주광역시에 통합이 되어 자치구가 되었지만 과거만 해도 송정읍(시)지역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은 한적한 시골이었다.[19] 하지만 현재 광주의 근간산업인 광(光)산업을 유치하기 위해 조성된 첨단지구를 시작으로 신창동, 신가동, 수완동, 우산동 등 광산구 중북부지역을 중심으로 대규모 택지개발 사업이 벌어지기 시작했으며, 20년도 안되어 국회의원 선거구가 분리되고 인구가 2배 이상 뛰어 오르는 기염을 토한다. 특히 수완지구(수완신도시)는 광주에서 가장 인기있는 지역으로 비싼 아파트, 단독주택, 타운하우스가 있다.

지금도 매년 1 ~ 2만명의 인구가 유입되고 있으며[20], 구민의 평균 연령 또한 33세 정도로 전국 기초자치단체 가운데 가장 낮을 정도로 젊은 사람들의 유입이 상당하기 때문에 앞으로의 발전과 인구 유입 전망 역시 밝은 편이다. 해당 미디어 외국인들도 많이 거주하고 있다.
광산구 서부 및 남부의 모습(펼치기/접기)

파일:광산구1.jpg 파일:광산구2.jpg 파일:광산구3.jpg 파일:광산구4.jpg
그러나 개발지역에서 조금만 나가면 한적한 농촌의 모습이 고스란히 느껴질 정도로 논밭 및 임야 등이 광주에서 가장 많은 지역이며, 북부지역(비아, 도천, 첨단(월계, 쌍암, 산월), 수완, 장덕, 하남(하남, 산정), 월곡, 우산, 신가, 신창, 운남)의 찬란한 발전에 비해 뒤쳐진 남부지역(송정, 도산, 신촌, 소촌, 선암, 운수)은 개발에 대한 요구가 높다.[21] 특히나 광산구 서부 지역(삼도, 본량, 임곡, 평동, 동곡)은 산하 지역이라고 해도 믿을 정도의 광활한 농촌 및 산림 지역이 펼쳐져 있어 광주 도심에 사는 사람들 뿐만 아니라 같은 광산구 사람들에게도 촌동네로 인식되는 경우도 없잖아 있다. 이렇게 아무리 찬란하게 광산구가 개발되고 있어도, 광주에서 광산구는 도심지역과는 먼 시골지역 이라는 인식이 강하다. 딱 진곡산단 - 하남산단 - 소촌산단 - 평동산단 라인에서 영산강 방면으로만 도시 분위기가 나고, 나머지는 모두 전원일기 분위기이다. 다만 대규모 택지지구가 밀집된 북부는 거의 아예 다른 세계로 본다.

5.1. 내부 도시구조

광산구가 워낙 넓고 도시개발이 파편적으로 진행되었다 보니 화성시, 남양주시처럼 스프롤 현상이 심하여 시가지가 분산되어 있는 특징이 있다. 크게 송정권, 수완권(하남권), 첨단권으로 구분할 수 있다.

송정권은 구 송정읍, 송정시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일종의 구도심같은 역할을 하나, 배후지도 작고 광주공항이 있어 개발에 제한이 있으며 전통시장 육성정책으로 문화시설이 없다 보니 지금은 많이 쇠퇴한 상태이다. 구의회에서는 무시 못할 지역구이기도 하다. 역사가 오래된 권역이라 시골 특유의 약간의 텃세도 있으며 윤석열 대통령이 종합쇼핑몰 공약을 발표한 곳도 송정이었다. 지금도 송정읍 시절의 이름인 송정리라 불리는 데는 이유가 있다. 그나마 어룡동 쪽으로 개발이 진행되고 있기는 하지만.

수완권(하남권)은 수완지구를 중심으로 한 신도시 지역으로, 이 지역은 운남지구, 신창지구, 신가지구 등 2000년대 전후로 개발된 타 택지와 연담되어 있어서 인구 약 20만의 소도시를 형성하고 있다. 광산구 인구의 절반을 넘으며 광주광역시 내부에 있는 광주의 위성도시라고 할 수 있을 정도다. 그리고 수완지구 밑으로 월곡동 시가지가 바로 붙어 있다.

첨단권은 호남고속도로 동부 첨단지구가 해당되며, 북구와 같이 조성된 지역이기 때문에 생활권이 광산구 타 지역과는 이질적이다. 그 외 우산동이 광산구의 업무지구 역할을 하고 있다. 구청을 현재의 우산동 이마트 자리로 옮기려다 무산되기도 했다.

광산구 각 지구의 개발은 송정/우산/신가(이상 1980년대 후반), 월곡(하남)/첨단/소촌/도산/비아/운남(이상 1990년대), 운남2/신창(이상 2000년대), 수완/하남2/선운(이상 2010년대) 등이 시기별로, 지역별로 중구난방식으로 개발되었기 때문에, 난개발까지는 아니지만 아파트단지 옆에 논밭이, 그 옆에 자연부락이, 그 옆에 공장이 있는 모습이 흔하게 나타난다. 즉 광주광역시의 위성도시 역할을 하는 지역이 광주광역시 밖이 아닌 안에 있는 모습이다.

이 때문에 만약 광주 편입이 이루어지지 않았거나 1995년 도농통합 당시에 광산군 그대로 광주 편입이 이루어졌으면 마치 경기도의 안양권 4총사( 안양시, 과천시, 의왕시, 군포시)처럼 송정시, 하남시, 비아시 등으로 갈기갈기 찢어졌거나 남양주시처럼 수많은 읍들이 옹기종기 모여있는 형태가 되었을지도 모른다. 시흥시 고양시처럼 한꺼번에 시로 승격됐을 수도 있으나, 이미 송정시가 1986년에 따로 떨어져나왔기 때문에 가능성은 없어보인다. 물론 도농통합시라면 얘기는 달라졌을지도 모르며(이랬다면 서부와 남부의 농촌지역은 읍, 면으로 남았을 것이다. 전남 광산시 평동읍), 이 경우 목포시 순천시, 여수시를 제치고 전라남도 제1의 도시가 되었을지도 모른다.

다양한 사람들이 섞여 살기 때문에 구 내부에 소소한 지역감정이 존재한다. 우선 송정권과 첨단권의 갈등이 있고, 첨단동과 나머지 지역의 갈등 또한 존재한다. 우선 호남고속도로가 첨단권과 나머지 지역을 가르며, 첨단에서 신창동을 제외한 다른 동으로 가려면 반드시 비아동을 거쳐야 한다. 그래서 구 경계조정 문제가 광주시를 달굴 때마다 마찰이 존재한다. 첨단동의 북구 편입에 대해 광산구 측에서는 당연히 반대. 도리어 주요 시설들이 모여있는 구 삼소동 지역(대촌, 오룡, 월출)의 북구 땅을 편입하려 한다. 과거 1990년대 관선 자치단체 시절에는 광산구 소속의 쌍암공원(쌍암동)과 북구 소속의 과학기술원(오룡동) 사이의 필지 교환이 있었다.

한편 전남 송정시 및 광산군이 광주 광산구로 변경된지 얼마 안 된 1990년대에는 농촌지역을 중심으로 광주광역시 광산군으로의 환원을 주장하는 사람도 있었다. 청사도, 행정구역도 모두 그대로였기도 했고 당시만 해도 진지하게 논의되었지만 광주시의 반발 및 농촌 인구의 급격한 감소[22]로 결국 유야무야되었다. 2020년대 현재도 신도시 구역(송정, 수완, 첨단 등)을 제외하고는 농촌이 거의 그대로 남아 있어 농어촌특별전형 등 농어촌 특례를 위해 광산군으로 환원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지만[23] 실현될 가능성은 거의 없다.

5.2. 광주와의 일시적 분리와 그 영향

광산구 일대[24]는 조선시대까지 광주의 일부로 그 역사를 함께 했으나 일제강점기에 광주의 중심지가 광주부로 분리되며 분리된 역사가 시작되었다. 이후 광주부의 확장으로 현재의 광산구와 유사한 지역이 광산군으로 남았고, 광산구의 송정 지역은 송정시로 승격되기도 했으나 직후 광주직할시로 광주부가 승격하며 통합되었고 과거의 광주로 복원되었다.

70여년의 분리된 기간이었지만, 구 내부 갈등보다는 광주광역시와의 갈등이 더 큰 편이다. 일단 전술한 구 경계 문제 이외에 광주역 이전 문제로 북구와 사이가 안 좋은 편이며, 광주공항 이전 문제에서도 광주광역시와 온도차이가 있다. 현실적인 문제 이외에도 2010년대 이전까진 단순한 지역감정도 존재했는데, 광주광역시 사람들(특히 장년층 이상)에게 광산구는 20여년 전처럼 수박밭 참외밭밖에 없던 동네로 인식되는 경우가 많다. 우선 영산강을 사이에 두고 시가지가 떨어져있다보니[25] 광주와는 역사를 함께했지만 발전이 활발히 이루어지진 못했었다.

광주의 중심지가 아니었지만 5.18 민주화운동 때 광산구에서도 학살이 이루어졌던 기록이 발견되었다. 광산구 출신 생존자들이 1980년 5월 광산의 모습을 증언하면서 광산구도 5.18에 관련성이 나타나게 되었다. 5.18 당시 군 부대 주둔 지역 중 하나가 바로 광주송정역[26]과 광주공항[27]이었으며, JTBC 뉴스룸 에서 5.18 헬기 사격과 미사일 발사 논의와 관련된 보도를 할 때, 광주 송정리 비행장이 나왔고 광주공항 입구를 계엄군이 막고 있었다는 생존자 증언도 있다. 증언에 따르면 당시 소촌동에서는 밤마다 총성이 끊이지 않았으며, 시내에서 학생들이 날마다 차를 타고 현재 선운지구에 있는 매일우유 광주 공장에 들러 빵과 우유를 주민들에게 나눠주고, 송산동에서는 황룡강 물 위에 시체 몇십 구가 떠다녔다고 한다. 당장 위르겐 힌츠페터 기자의 증언을 각색해 만든 택시운전사 영화만 봐도, 송강호 토마스 크레취만이 탄 택시는 대놓고 광주 시내로 간 것이 아닌 비아면이나 임곡면을 통해 광주 시내로 진입한 것으로 보이며, 류준열과 친구들은 토마스 크레취만을 만나고 송정리 방향으로 병원을 간다.

재편입 이후 광산구의 생활수준이나 교육열 등이 상대적으로 뒤떨어지다보니[28] 오랜 세월동안 광주 시내 사람들로부터 전투종족 취급을 받는 편이다.[29] 게다가 구도심 중심지에서 떨어져있다보니 광산구 지명들을 상당히 생소해하는 편이다. 대부분의 광주시내 사람들은 첨단, 하남, 송정은 알아도 월계동, 쌍암동, 산월동, 산정동, 신촌동이 어디인지는 잘 모른다.

문제는 이러한 갈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광주와 광산구는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 당장 연혁부터 살펴보면 광산군은 광주부의 외곽지역을 관할하는 지역으로 시작했으며, 이후 광주선(경전선)이나 광송간도로( 상무대로) 를 통해 통학, 통근이 이루어지며 사실상 통합되어 있었다. 광산군 시절부터 전남의 06xx가 아닌 광주와 동일한 062 지역 번호를 썼을 정도. 특히 하남면, 비아면의 하남공단(하남면 안청리, 오산리(현재 오선동), 장덕리, 하남리, 비아면 도촌리(현재 도천동))이 광주의 공업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만들어졌고, 실제로 초창기에는 광주 시내 광천동의 공장들이 이곳으로 이주하곤 했다. 기아(아시아자동차)만이 광천동에 그대로 남은 것. 결국 위의 갈등과는 별개로 광주에게 있어서도 광산구는 없어서는 안될 지역. 더욱이 최근 광산 을(乙) 지역(첨단, 수완, 신창, 신가, 하남, 임곡)을 중심으로 광주시내 사람들의 이사가 많아지면서 이질감마저도 점차 희석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 중 하나는 지역 간 교류가 다소 적은 데 있다. 물론 광주 사람들이 광산구로 이사하는 경우가 늘고 있지만, 비광산구 광주주민들은 광산구 지역에 갈 일이 딱히 없었다. 광산구 주민들이 직장에 가거나 놀기 위해 광주 시내로 갈 일은 많지만 광주 사람들은 산업단지 출근길(하남) 아니면 기차, 비행기 타러 가거나 떡갈비 먹으러 가지(송정) 않는 이상은 광산구 중부, 남부에 갈 일이 거의 없다. 다만 2010년대 이후로 첨단이나 수완지구가 발달하면서 젊은 층의 방문이 대폭 상승했으며, 광산구 학생들 같은 경우에는 시내이면서 지하철이 연결되어 있는 상무지구나 충장로는 자주 가고 자주 알지만, 광주의 나머지 지역에 대해서는 거의 모르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

다만 본래도 한 지역이었고, 재통합 연원이 오래되었으며, 광산구 지역의 개발로 전체적인 도시권역이 확장되어 소속감의 영역도 확장되어 젊은 세대는 물론 대다수의 광주 시민들이 체감하기에 광주 구도심 지역과 현재의 광산구 지역의 차이는 거의 느낄 수 없거나 미미하다는 견해가 점점 커지고 있다.[30][31]

6. 교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광산구/교통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광주공항 광주송정역으로 인해 광주의 관문 역할을 하지만 광주는 자가용과 버스의 교통 분담률이 매우 높은 도시기 때문에 아직은 그렇게 불릴 정도는 아니다. [32] 그래도 2015년 4월 호남고속선 2016년 12월 SRT 개통으로 이용객이 개통 전보다 광주송정역 기준 3배 가량 늘었고 버스 수요를 많이 빼앗아 버렸다. 앞으로도 광주송정역, 유스퀘어 광주종합버스터미널 둘다 이용객이 꾸준히 늘어날 것이다.

7. 경제

7.1. 산업

광주의 중요 공업 지역은 광산구에 밀집해 있는데, 대표적으로 산업단지로는 하남산단, 평동산단, 첨단산단[33]이 있다. 주요 공장으로는 하남산단에 소재한 기아 특수차량 공장[34] 및 소재공장[35]이 있으며, 금호타이어 광주공장이 소촌동에 위치하고 있다. 평동산단에는 이탈리아의 상용차 업체 이베코의 한국 공장이 있다. 현재는 하남동에 있는 진곡산단은 부지 조성과 분양이 거의 끝나고 공장 입주 중이며, 함평군과 협업 중인 광주형 일자리로 유명한 삼도동에 있는 빛그린산단도 토지 보상이 상당 부분 끝나고 완공되었다.[36]

주요 공공기관 및 기업체 지사로는 근로복지공단 광산지사, 한국농어촌공사 전남지역본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광주전남지역본부, 한국환경공단 광주전남제주환경본부, 국민연금공단 광주지역본부, 기업은행 광주지사, 산업은행 광주지점, 수협 전남지역금융본부[37], 농협은행 광주영업본부, SK텔레콤 광주지사, KT 광주본부 등이 있다. 광역자치단체 지점급의 주요 금융/공기업/기업시설은 우산동, 특히 무진대로변에 집중되어 있으며, 첨단지구에 정부광주지방합동청사 및 각종 광기술 연구센터가 모여 있다.[38] 2015년 11월에는 광주광산고용센터가 월곡동(하남대로 154)에 신설되었다. 실업급여 신청하려고 금남로까지 힘들게 갈 필요가 없어졌다. 동시에 영광군, 함평군도 신설된 광주광산고용센터 관할로 옮겨졌다. 2020년 4월 3일 하남3지구(하남대로 83)에 광산구와 영광군을 관할하는 광산세무서가 신설되었고 호남대학교 부근에 있던 구 서광주세무서 광산지서는 폐쇄되었다.

기타 중요시설로는 광주공항이 있으며, 고속열차가 정차하는 광주송정역도 이 곳에 있다. 호남고속선의 개통으로 호남고속철도 차량기지도 생겼다. 그리고 광주송정역이 5,000억 원 규모의 KTX환승센터 사업에 선정되어서 지역 정치권에서는 공항 및 공군 관련 시설을 모두 무안군으로 보내버리고, 넓은 공항 부지에 수완지구+신가지구+신창지구+장덕지구+운남지구의 크기와 비슷한 신도심 '솔마루시티'로 2025년까지 개발할 계획이다. 다만 전라남도측에서는 민항기 쪽만 가져가려는 반면에 광주는 제1전투비행단을 필두로 한 군공항, 서구 서창동에 있는 탄약고까지 몽땅 전라남도 무안군으로 보내버릴 생각인지라 단시일에 타협이 쉽게 이뤄질 것 같지는 않다. 그와는 별도로 평동의 포사격장은 전라남도 인근 시도로 옮겨가기로 육군과 합의가 되었다.

광산구의 명칭과 관련된 여담으로, 과거 일제 시대에는 임곡동 용진산 지역에 진짜로 석탄을 캐는 광산(鑛山)이 있었으나 현재는 폐광되어 존재하지 않는다.

7.2. 금융

광산구에 위치한 금융기관 [괄호]
제1금융권 [괄호]
국가기관
광주광산우체국 (15)
국책은행
한국산업은행 (1) 중소기업은행 (5)
특수은행
농협은행(중앙회) (6)
시중은행
신한은행 (2) 우리은행 (3)
하나은행 (3) 국민은행 (3)
지방은행
광주은행 (14)[41]
제2금융권(상호금융) [괄호]
농업협동조합
임곡농협 (1) 본량농협 (2) 삼도농협 (2) 동곡농협 (1)
평동농협 (3) 송정농협 (7) 광주축협 (2) 광주원예농협 (32)
하남농협 (9) 광주비아농협 (10)
수산업협동조합
고흥군수협 (1) 완도소안수협 (1)
새마을금고
한마음새마을금고 서광주새마을금고 삼성전자새마을금고
신용협동조합
우산신용협동조합(6) 어룡신용협동조합(5) 비아신용협동조합(4) 하남신용협동조합(2)
장성신용협동조합
상호저축은행(상호금고)
골든브릿지저축은행 (1)

8. 교육

파일:광산구 CI_White.svg 광주광역시 광산구 초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고실초등학교 금구초등학교 대반초등학교 도산초등학교 동곡초등학교
마지초등학교 목련초등학교 미산초등학교 본량초등학교 봉산초등학교
비아초등학교 산월초등학교 산정초등학교 삼도초등학교 새별초등학교
선운초등학교 선창초등학교 성덕초등학교 송우초등학교 송정동초등학교
송정서초등학교 송정중앙초등학교 송정초등학교 수문초등학교 수완초등학교
신가초등학교 신창초등학교 어등초등학교 어룡초등학교 영천초등학교
운남초등학교 월계초등학교 월곡초등학교 월봉초등학교 은빛초등학교
임곡초등학교 장덕초등학교 정암초등학교 진만초등학교 첨단초등학교
큰별초등학교 평동초등학교 풍영초등학교 하남중앙초등학교 하남초등학교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광산구 CI_White.svg 광주광역시 광산구 중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고실중학교 광산중학교 광주진흥중학교 금구중학교
봉산중학교 산정중학교 선운중학교 성덕중학교
송광중학교 송정중학교 수완중학교 수완하나중학교
신가중학교 신창중학교 영천중학교 운남중학교
월계중학교 월곡중학교 월봉중학교 임곡중학교
장덕중학교 정광중학교 천곡중학교 첨단중학교
평동중학교 하남중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광산구 CI_White.svg 광주광역시 광산구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광일고등학교 광주소프트웨어마이스터고등학교 광주자동화설비마이스터고등학교
광주전자공업고등학교 광주진흥고등학교 동명고등학교
명진고등학교 보문고등학교 비아고등학교
성덕고등학교 수완고등학교 숭덕고등학교
운남고등학교 장덕고등학교 전남공업고등학교
정광고등학교 첨단고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고등학교의 경우는 10여년 전만 해도 상당히 열악했다. 현 광산구가 1988년 광주직할시에 편입되면서 이 지역 학교들이 특수지 고등학교로 분류되었다.[43] 그러다 1990년대 중반에 송정 지역의 정광고등학교를 필두로 보문고등학교 (당시 광산여고)가 평준화 및 남녀공학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졌고 첨단지구 숭덕고가 생겨났다.

하지만 급속히 늘어나는 인구에 비해 그래도 학교 수가 부족해서 덕분에 꽤나 많은 수의 학생들이 광산구가 아닌 다른 구의 학교에 진학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거기다가 학교 수가 모자란 관계로 뺑뺑이를 돌리면 반에서 한 두명 정도는 버스로 1시간 이상 걸리는 머나먼 학교로 배정되는 경우도 있다.

그 외에도 특수학교가 몇 개소 위치해 있다. 신가동에 있는 선광학교나 북구 오룡동[44]에 있는 은혜학교. 과거 영화 도가니의 배경이 된 인화학교 삼거동에 위치해 있었다.

도농복합형 도시다 보니 신도시 지역에서는 나날이 학교가 개교하고 번창하고 있는 반면, 농촌지역에서는 폐교된 학교도 있다. 90년대 후반까지 해서 초등학교 10개교, 중학교 2개교가 사라졌다. 이 중 비아남초등학교는 신가/신창지구 개발로 인해 폐교되었는데, 폐교 부지에는 선창초등학교가 새로 들어섰지만, 정작 비아남초교의 역사는 수완신도시에 있는 큰별초등학교에서 계승했다. 마찬가지로 폐교 위기였던 하남초등학교는 하남2지구 개발과 함께 이전하여 생명연장의 꿈을 이루었다. 송정권에는 송정남초등학교, 송정북초등학교가 각각 신야촌(신촌동)과 서봉동에 있었지만 분교장 전환을 거쳐 모두 90년대에 폐교되었다.[45] 폐교된 중학교로는 삼도동에 금북중학교, 본량동에 본량중학교가 있었다.

한편 광산구 교육계에서는 광산교육청 신설 떡밥이 논의되고 있다. 현 서부교육지원청이 사실은 옛 송정광산교육지원청으로, 광주시 편입 이후 서부교육지원청으로 변경, 청사마저 광주시에 스틸당한 상황이다. 광산구의 학령 인구 증가와 넓은 관할구역을 이유로 신설을 주장하나, 광주시 전체로 보면 교육청이 3개까지는 필요하지 않아서 신설은 아직까지 요원하다.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하더라도 광산구의 증가하는 인구수에 비해 고등학교의 수가 많지 않았기 때문에[46] 시내지역으로 고등학교를 가는 경우가 많았고, 첨단지구를 제외한 학교들의 중학교 3학년 교실은 전학 및 위장전입으로 학생수가 줄어드는 경우도 많았다.[47] 정광고등학교와 보문고등학교가 남녀공학으로 전환되고[48] 광주진흥고가 신창동으로 이사를 오고, 운남고등학교 등의 공립학교가 생기면서 이러한 현상은 줄어드는 추세. 과거에는 광산구 학교가 수능시험장으로 사용되는 경우는 극히 드물어서 광산구 수험생들이 수능을 볼 때 곤혹을 치르기도 했다.[49] 2010년대 들어서는 광산구의 고등학교에서도 수능을 볼 수 있다.

그 밖에 자동화 설비 관련 마이스터고로 지정된 광주자동화설비공업고등학교가 있다. 광주 유일의 마이스터고였지만 2017년에 광주경영고등학교가 광주소프트웨어마이스터고등학교라는 이름으로 SW 전문 마이스터고로 전환되어서 두 곳의 광주 지역 마이스터고가 모두 송정권에 들어서게 되었다.[50] 남아있는 특성화고교 중에서 첨단지역의 광주전자공고는 마이스터고 신설 전까지는 광주특성화고중에서 커트라인은 가장 높았었고 리즈시절에는 인문계컷보다 높은 컷을 자랑했다. 지금도 특성화학과인 전기과는 인문계 커트라인보다 더 높은 성적을 요구한다.[51]

대학의 경우 4년제 대학교로 GIST(북구 오룡동), 호남대학교, 남부대학교, 광주여자대학교, 전문대학으로 광주보건대학교가 소재한다.

8.1. 고등학교 부족 문제

중학교 수가 20개를 넘으며, 매년 광산구 내 학생 수요가 4,000명 정도 나오는데도 불구하고, 광산구 내 일반계 고등학교는 단 11개밖에 없으며, 그 중 비리로 인해 사실상 폐교 위기에 빠진 명진고등학교를 제외할 경우 10개만 있다고 봐도 무방하다.

사실상 폐교로 봐도 무방한 명진고등학교를 제외한 광산구 내 고등학교들이 광산구 내 배정 대상자들을 전부 다 수용하려면 매년 학급 당 37명 이상을 받아야하며,[52] 그렇게 하면 광산구 내 교육 환경이 전국 최악으로 굴러떨어진다.

광산구 내 고등학교 수는 매우 부족한데, 교육청이 동구, 남구 소재 사립 고등학교들의 폐교를 막기위해[53] 광산구 내 고등학교 정원을 의도적으로 조정해[54] 강제로 광산구 내 학생들을 북구, 서구 소재 고등학교로, 북구, 서구 내 학생들을 동구, 남구 소재 고등학교로 보내버리는 헛짓거리를 하고 있다.

2023년에는 광산구 내 배정 대상자가 약 4,300명 정도였는데 그 중 1,000여명이 타 자치구에 소재한 고등학교로 튕겨져나갔다.

다음 표는 광산구 내 고등학교들이 관내 학생들을 전부 다 받을 때 각 학교가 얼마나 수용해야하는지 보여주는 자료이다.[55] 한눈에 봐도 매우 끔찍하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고등학교 학급 수 정원 학급 당 학생수
장덕고등학교 17개 629명 37명
첨단고등학교 16개 592명 37명
성덕고등학교 14개 518명 37명
보문고등학교 12개 444명 37명
정광고등학교 12개 444명 37명
수완고등학교 11개 407명 37명
운남고등학교 10개 370명 37명
숭덕고등학교 10개 370명 37명
비아고등학교 10개 370명 37명
광주진흥고등학교 8개 296명 37명

심지어 해당 표의 수치는 장덕고등학교, 첨단고등학교 모듈러교실 설치, 성덕고등학교 증축을 고려한 수치이다.

해결 방안은 광산구 내에 대규모 고등학교를 최소한 2개 이상 신설하고, 증축이 가능한 학교들을 증축시키는 방안밖에 없다. 광산구 내 고등학교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싶다면 고등학교 신설이 무조건 필요한데, 만약에 소규모 고등학교만 신설하거나, 기존 학교 증축만 시행한다면 여전히 고등학교 부족 문제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광산구 내 긴급 신설 필요 학교
고등학교 적정 규모 비고
신가고 45(4) 명진고 대체학교
광산구 내 긴급 증축 필요 학교
고등학교 기존 규모 증축 수량 최종 규모 비고
성덕고 36(2) +6 42(2)
수완고 33(?) +6 39(?)
운남고 30(3) +12 42(3)
장덕고 36(?) +9 45(?)

그리고 그러한 문제는 광산고등학교(가칭) 신설이 확정되고 명진고등학교가 남녀공학으로 전환하면서 사정이 나아질 것으로 보인다.

9. 의료기관

광주보훈병원(산월동, 535병상)이 가장 크며 광주광역시 관내에서는 네 번째로 병상수가 많다. 그 다음으로 첨단종합병원(쌍암동, 443병상)이 있으며, 하남성심병원(산정동, 271병상), KS병원(수완동, 269병상), 광주수완병원(수완동, 177병상), 신가병원(신가동, 157병상)이 있다. 광산구 자체가 크고 인구가 분산되어 있기 때문에 종합병원이 지역별로 산재해 있다. 다만 송정권 병원이 마땅치 않은 상태.

10. 정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광산구/정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하위 행정구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광산구/행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광산구.jpg

12. 기타

서울특별시 부산광역시에 있는 강서구와 포지션이 비슷하다. 도시의 서쪽, 큰 강, 공항의 존재, 넓은 면적(특히 평야), 역사적으로 늦게 편입된 지역, 그리고 최근에 진행되고 있는 개발 등. 특히 부산 강서구와는 전화번호도 거의 비슷하고[56] 농촌마을이 많다는 점 등이 있다. 서울 강서구 역시 부산 강서구나 광산구에 비하면 이미 개발이 굉장히 많이 진행되어 있긴 하지만 오곡동, 오쇠동 김포국제공항 근처에 소규모지만 농촌도 있고, 최근에 개발되고 있는 지역( 마곡지구)도 있다는 점이 비슷하다.

광산구 관내 대부분의 전화번호는 9로 시작한다. 첨단지구를 기준으로 남서쪽으로 갈수록 숫자가 작아지는게 포인트. 첨단지구가 97X, 수완/신가/신창/하남/비아/임곡이 95X~96X, 송정지구와 기타 농촌지역은 94X다.

아마추어 축구리그인 챌린저스 리그에 속한 광주 광산 FC의 연고지였다. 2008년 창단되어 호남대학교 운동장을 홈구장으로 이용하고 있었다. 결국 광산FC는 연고지를 평창군으로 옮겨 강원 평창 FC로 재탄생했다.

넓은 땅덩어리를 지녔음에도 불구하고 외지인들이 구경할만한 사적지나 관광자원이 없는 편이다. 그래서 주민들마저도 가까운 전남권으로 여행을 가는 편. 월봉서원, 송정1913시장, 어등산관광단지, 황룡강공원, 송산유원지 등 아예 없는것은 아니다.

12.1. 헷갈리기 쉬운 지명

광주와 통합되면서 기존의 광주시내 지명과 송정시/광산군 지명이 충돌하는 현상이 발생했다. 다른 광역시(대구+달성(경산), 대전+대덕)에서도 도농통합 사례가 있지만, 유독 광주에서만 지명이 충돌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일어난다. 아예 우편번호부에는 친절하게 '광주광역시에는 명칭이 동일한 동이 2개 구에 있는 경우가 많으니 우편번호 기재시 특히 주의!'라고 적혀 있다.

불행 중 다행이라면 둘 중 하나의 지명보다는 어느 한쪽이 유명한 경우가 많아서, 그 지역에 지인이 있지 않는 이상 헷갈릴 일은 생각보다 드물다. 광주 시내사람들의 99% 이상은 아래에 열거한 광산구의 법정동을 모른다. 그러나 무진대로 개통 이후 인지도가 급상승한 우산동의 경우에는 답이 없다. 적절하게 잘 구별하는 수밖에 없다.

12.1.1. 지금도 이름이 같은 곳

12.1.2. 과거에 이름이 같았던 곳

12.1.3. 기타

13. 자매우호도시

14. 출신 인물

아래는 출신지가 아니거나 불확실하지만 광산구에서 거주했던 인물들.
[1] 79개 법정동, 21개 행정동. [2] 광주광역시에서 가장 크고 대한민국의 자치구 중 면적이 가장 넓다. [3] 2024년 11월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4] 2024년 11월 기준. [5] 광산구 가선거구 (송정1동, 송정2동, 도산동, 어룡동, 동곡동, 평동, 삼도동, 본량동): 박현석, 양만주, 정재봉
광산구 나선거구 (신흥동, 우산동, 월곡1동, 월곡2동, 운남동): 공병철, 김명수, 윤혜영
광산구 다선거구 (첨단1동, 첨단2동): 박해원, 조영임
광산구 라선거구 (비아동, 신가동, 신창동): 윤영일, 이우형
광산구 마선거구 (수완동, 하남동, 임곡동): 김영선, 김태완
광산구 비례대표: 강한솔, 박미옥
[6] 광산구 가선거구 (송정1동, 송정2동, 도산동, 어룡동, 동곡동, 평동, 삼도동, 본량동): 국강현
광산구 다선거구 (첨단1동, 첨단2동): 김은정
광산구 라선거구 (비아동, 신가동, 신창동): 김명숙
[7] 광산구 마선거구 (수완동, 하남동, 임곡동): 한윤희 [8] 광산구 제1선거구 (송정1동, 송정2동, 도산동, 어룡동, 동곡동, 평동, 삼도동, 본량동): 최지현 (초선)
광산구 제2선거구 (신흥동, 우산동, 월곡1동, 월곡2동, 운남동): 정무창 (재선)
광산구 제3선거구 (첨단1동, 첨단2동): 박필순 (초선)
광산구 제4선거구 (비아동, 신가동, 신창동): 이귀순 (초선)
광산구 제5선거구 (수완동, 하남동, 임곡동): 박수기 (초선)
[9] 2014년 가을 기준 통계로, 일부 버스정류장에 공개되어 있다. 한때 공개되어 있었지만, 지금은 볼 수 없는 게 많다. [10] 그 다음은 121.74㎢인 북구이며, 남구(61.03㎢), 동구(49.20㎢), 서구(46.73㎢)순이다. [11] 다만 일반구까지로 범위를 넓히면 창원시 마산합포구 240.23km², 포항시 남구 393.02km², 청주시 상당구 403.76km², 천안시 동남구 438.56km², 용인시 처인구 467.65km² 포항시 북구 734.72km²라는 후덜덜한 면적을 자랑한다. [12] 서울특별시의 도심과 동북부(소위 0, 1, 2권역)를 합친 넓이와 비슷하다. 단 인구는 그것의 10분의 1밖에 안된다. 호남 지역을 예시로 설명하자면, 목포시(50.12km²)가 4개가 들어가도 남는다. 덤으로 시, 군 단위의 기초자치단체들 중 면적이 가장 작은 경기도 구리시(33.31km²)의 6배를 넘기도 한다. [13] 1위는 87개인 서울 종로구. 한편 기초자치단체로 범위를 넓히면 창원시194개로 1위. [14] 동구에 법정동으로 '광산동(행정동 서남동 관할)'이 있다. 물론 이 곳 광산구에도 광산동(행정동 임곡동 관할)이 있긴 한데, 한자도 '光山'으로 같긴 하지만 광산구 광산동은 광주광역시의 별호인 광산에서 따온 것이 아닌 1914년 일제의 부군면 통폐합 당시 강도리·광곡리·종산리·석동리·우평리의 다섯 리를 하나의 리로 병합하면서 광곡리의 '광'과 종산리의 '산'을 합성해 새로 지은 마을 이름이다. 참고로 광산 김씨 관련 유적은 행정구역상 담양군에 있다. [15] '-천'이 붙은 곳은 인천광역시, 제천시, '-산'이 붙은 곳은 울산광역시가 있다. [16] 구 본량면, 삼도면, 평동면. [17] 1966~1985년은 전라남도 광산군 인구, 이후로는 광주직할시→광주광역시 광산구 인구 [18] 아래 서술을 보면 본래 다른 지역이었던 것처럼 서술되어있지만 그렇지 않다. 광주가 아니었던 부분은 나주 소속이었던 평동, 삼도, 본량 지역뿐이다. [19] 딱 지금의 송정동, 도산동, 신촌동, 소촌동, 우산동 지역이 당시 광산군의 최대 번화가이자 광산군청 및 송정시청 소재지였던 송정읍(시) 지역이었으며 지금의 수완지구, 첨단지구(이상 당시 광산군 비아면), 하남지구(당시 광산군 하남면), 선운지구(당시 송정시 용운동), 평동(당시 광산군 평동면)지역 등은 온통 논과 밭뿐이었다. 하남면에 하남산단이 있기는 했다. 신가동(당시 광산군 비아면 신가리)이 막 개발됐던 때이기도 했다. [20] 일례로 2011년 광산구민의 날 때 민형배 당시 광산구청장이 '37만 광산구민 여러분' 이라고 준비했다가 다시 알아보니 어느샌가 38만명으로 늘어나서 부랴부랴 연설 내용을 바꿨고, 나머지 인사들도 부랴부랴 연설문을 바꿨다는 후문이 있을 정도. 다만 최근에는 인구가 40만 전후에서 정체 상태. [21] 최근에는 남부 지역도 선운지구 택지개발이 완료됐으며, 2022년에 광주공항이 이전하면 수완지구+신가지구+신창지구+장덕지구+운남지구의 크기와 비슷한 공항 부지에 솔마루시티라는 신도시 개발 계획이 확정되었으니, 광산구 남부 지역도 앞으로의 발전 가능성이 확실해졌다. [22] 2013년 기준으로 농촌동의 인구 총합이 구 전체 인구의 5%도 안 된다. [23] 실제로 기장군이나 달성군이나 울주군 등 광역시 산하의 군은 구로 충분히 승격이 가능한 인구 임에도 농어촌 특례 등을 이유로 그대로 군으로 남아있다. [24] 나주 소속이었던 본량, 삼도, 평동 제외. [25] 당장 지도에 자대고 재보면, 송정리보다 화순군이 광주 구도심에서 훨씬 가깝다. [26] 당시 이름은 송정리역 [27] 당시 이름은 광주 송정리 비행장 [28] 당장에 "영산강 다리만 건너면 학생들 수준이 갑자기 떨어진다." 라는 말이 있었을 정도였다. [29] 다만 여기에서 첨단지구와 수완지구는 제외. 여기 사는 사람 대다수가 구 광주시 지역에서 이사온 사람들이기 때문이다. [30] 오히려 짧았던 분리 기간을 두고 재분리를 지지하는 지역사나 행정문제 등에 크게 관심이 없고, 일시적인 시야를 가진 극소수의 인원이 현 시정에 대해 불만을 크게 가지고 있다. 이들의 의견과 다르게 실상 광주부와 광산군의 통합은 지역 복원의 우수 사례에 해당한다. 당장 본래 한 지역이었으나 분리된 수원시와 화성시의 사례 등이 있고, 청주시와 청원군의 통합이 21세기 들어 이루어 진 것 등을 보면, 광주부와 광산군의 재통합은 지역 문화와 의식의 복원에 선지적인 방안이었다고 볼 수 있다. [31] 다만 농어촌 지역의 혜택을 위해 여전히 대부분이 농경지인 본량, 삼도, 평동의 구 나주 지역을 군으로 환원하는 건 합리적인 선택이 될 수 있다. [32] 현재 실질적인 광주의 관문 역할을 하는 곳은 광주송정역 유스퀘어이다. [33] 첨단지구의 산업단지 지역은 북구 건국동이다. 삼성전자 광주2, 3공장, 앰코코리아, 한국산업인력공단 등이 있다. [34] 원래 특장차 공장으로 출발했고, 현재는 군용차 및 대형버스를 생산하는 곳이다. [35] 그런데 두 공장간의 거리는 차로 7분, 걸어서 약 50분이 걸린다. [36] 현시점에선 광주광역시와 현대자동차 합작법인인 광주글로벌모터스(GGM)가 입주하여 현대자동차 경형 SUV 캐스퍼가 생산된다. [37] 수협 전남지역금융본부는 현재 상무지구(상무중앙로 98, BM타워 1층)으로 이전했으며, 명칭 또한 수협중앙회에서 분리되면서 "sh수협은행 전남지역금융본부"로 변경되었다. [38] 행정구역상으로는 북구에 위치 해 있지만 거주지역이나 상권이 모두 광산구쪽에 있다보니 지역 주민들은 모두 광산구에 소재해 있는 것으로 안다. 첨단지구에 의존하고 있는 기관들의 광산구 편입은 지역 정치권의 오랜 떡밥이었다.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41] 지점 12개소, 출장소 2개소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43] 평준화로 인해 뺑뺑이로 선발하는 시내 일반계 고등학교와 달리 특수지 고교들은 특성화고처럼 원서를 받아서 학생을 선발했다. 광산구가 광주시에 편입되면서 광산구 지역 기존 인문계 고교는 모두 특수지고교로 분류되었다. 한마디로 1988년 당시 광산구에 있었던 광일, 광이(현재의 명진고, 구 세종고), 광산여자(현재의 보문), 정광 이렇게 4개 고등학교는 광산구에 사는 학생들만 갈 수 있었다. 현재 특수지 고교는 임곡동 지역에 광일고등학교 1곳만 남았다. [44] 사실상 광산구권 [45] 폐교된 서봉분교장 위치에 생긴 학교가 바로 동명고등학교다. [46] 2001년 당시 광산구에 있던 일반계 평준화 고등학교는 단 3학교( 정광고, 보문고, 숭덕고) [47] 이는 학교 부족문제 외에도 광주에 존재하는 암묵적인 학교서열 등의 이유가 존재한다. 상기했듯 광산구 관내 고등학교는 모두 특수지 고등학교로 분류되었던 적이 있었는데 이때의 영향인걸로 보인다. [48] 본래 둘 다 남고였다. [49] 실제로 첨단지구에 사는 학생이 광주시내의 반대편 끝인 동구 학동에 있는 조선대학교부속고등학교에서 시험을 본 경우가 있었다. 시내버스로 1시간이 넘게 걸리는 거리다. 워낙 시가지 면적이 큰 수도권이나 동남권에선 이동시간 1시간이면 적당한 거리라고 생각될지도 모르지만, 지방에서 1시간의 체감 거리는 서울에서 천안 사이의 그 1시간이다. 광주에서 1시간이면 최소 고창 정도는 갈 수 있고 보성, 영암 정도가 1시간 걸리는 거리이며 잘 밟으면 남원, 목포까지도 1시간만에 갈 수 있다. [50] 원래 광산군 송정읍 시절부터 있었던 특성화고들이었다. 자동화설비고: 구 광산상업고등학교→송정실업고등학교→광주실업고등학교→광주정보고등학교, 소프트웨어고: 구 송정여자상업고등학교→광주전산고등학교→광주경영고등학교 [51] 지금의 동구 서석동에 있는 현 동구청사가 전남공고 자리였지만 부지가 협소해서 90년대에 신창동으로 이전했다. [52] 2020년대에 학급 당 37명 이상을 받은 고등학교는 2023년의 나루고등학교밖에 없다. [53] 공립 학교의 경우 교육청의 폐교 명령이 떨어지면 강제로 폐교해야 한다. [54] 완성학급보다 더 적은 학급을 배정한다. 장덕고 11개 학급, 성덕고 11개 학급이 대표적. 그나마 장덕고는 학급이 한시적으로 13개로 늘어났지만, 성덕고는 1개 더 증설할 수 있는데도 불구하고 11개 학급만 배정했다. [55] 명진고등학교는 실질적 폐교로 봐도 무방해 표에서 제외. [56] 명지동을 제외한 강서구 대부분에서 051-97x와 94x를 사용한다. [57] 북(北)구에도 북(北)동이 있고, 서(西)구에는 서(西)동이 있었지만 분구돼서 지금은 남(南)구에 있다. 남(南)동은 동(東)구에 있다. 동(東)동은 원래는 있었는데, 지금은 없다(광주부 동정→광주시 동명동). [58] 광산구 광산동과 동구 광산동은 한자까지 똑같긴 하지만, 어원은 다르다. 본 광산구 문서의 '개요'에 있는 광산 김씨 각주로. [여름에] 연꽃이 핀다. [60] 2019년에 이마트 광산점 건너편에 우산LH1단지가 들어섰다. [61] 각각 광산구청, 광주시청. [62] 실제론 운림동이 훨씬 남쪽에 있다. 단 운림리가 구 비아면 중에서 남쪽에 있던 것은 맞다. [63] 다만 의 부수는 이 아닌 이다. [64] 심지어 여기도 동운동에서 이름을 바꾸었다. [65] 심지어 개교 시기도 각각 2001년 3월과 2000년 9월로, 6개월 차이 밖에 안난다. [66] 남구 방림동에 거주했다가 광산구로 전학왔다. [67] 승리와 유노윤호, 유빈은 모두 같은 초등학교를 졸업한 선후배 사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