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9 12:36:00

야마노테선

야마노테센에서 넘어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bordercolor=#008900><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8900>
JR 동일본
철도 노선
}}}
{{{#!wiki style="color: #0089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신칸센 총괄본부
파일:JRE-SKS.svg 도호쿠 신칸센 - 파일:JRE-SKS.svg 조에츠 신칸센 - 파일:JRE-SKS.svg 호쿠리쿠 신칸센
모리오카 지사
도호쿠 본선 - 오후나토선 - 키타카미선 - 카마이시선 - 타자와코선 ( 아키타 신칸센) - 하나와선 - 야마다선 - 하치노헤선 - 오미나토선 - 오우 본선 - 츠가루선
아키타 지사
오우 본선 ( 아키타 신칸센) - 키타카미선 - 타자와코선 ( 아키타 신칸센) - 우에츠 본선 - 오가선 - 고노선
센다이 지사 (센다이 대도시근교구간)
도호쿠 본선 ( 센다이 공항 액세스선 - 센세키토호쿠라인) - 조반선 - 센세키선 ( 센세키토호쿠라인) - 센잔선 - 이시노마키선 - 케센누마선 - 반에츠토선 - 반에츠사이선 - 타다미선 - 오우 본선 ( 야마가타선 - 야마가타 신칸센) - 요네사카선 - 아테라자와선 - 리쿠우토선 - 리쿠우사이선
타카사키 지사 (수도권 대도시근교구간)
파일:JRE-JU.svg 타카사키선 - 죠에츠선 - 아가츠마선 - 료모선 - 신에츠 본선 - 하치코선
미토 지사 (수도권 대도시근교구간)
조반선 - 미토선 - 스이군선
치바 지사 (수도권 대도시근교구간)
소부 본선 (파일:JRE-JO.svg 소부 쾌속선 - 파일:JRE-JB.svg 츄오-소부선) - 파일:JRE-JE.svg 케이요선 - 파일:JRE-JM.svg 무사시노선 - 파일:JRE-JO.svg 나리타선 - 카시마선 - 소토보선 - 토가네선 - 우치보선 - 쿠루리선
오미야 지사 (수도권 대도시근교구간)
도호쿠 본선 (파일:JRE-JU.svg 우츠노미야선 - 파일:JRE-JU.svg 타카사키선 - 파일:JRE-JK.svg 케이힌토호쿠선 - 파일:JRE-JA.svg 사이쿄선 - 파일:JRE-JS.svg 쇼난신주쿠라인) - 파일:JRE-JM.svg 무사시노선 - 카와고에선 - 닛코선 - 카라스야마선
도쿄 지사 (수도권 대도시근교구간)
도카이도 본선 (파일:JRE-JT.svg 도카이도선 - 파일:JRE-JK.svg 케이힌토호쿠선 - 파일:JRE-JO.svg 요코스카선 - 파일:JRE-JS.svg 쇼난신주쿠라인 - 우에노도쿄라인 - 힌카쿠선 - 파일:JRE-JA.svg 파일:JRE-JS.svg 파일:Sotetsu-SO.svg 소테츠·JR직통선) - 도호쿠 본선 (파일:JRE-JU.svg 우츠노미야선 - 파일:JRE-JU.svg 타카사키선 - 파일:JRE-JK.svg 케이힌토호쿠선 - 파일:JRE-JA.svg 사이쿄선 - 파일:JRE-JS.svg 쇼난신주쿠라인 - 우에노도쿄라인) - 파일:JR 야마노테선 로고.svg 야마노테선 - 아카바네선 (파일:JRE-JA.svg 사이쿄선) - 츄오 본선 (파일:JRE-JC.svg 츄오 쾌속선 - 파일:JRE-JB.svg 츄오-소부선) - 소부 본선 (파일:JRE-JO.svg 소부 쾌속선 - 파일:JRE-JB.svg 츄오-소부선) - 조반선 (파일:JRE-JJ.svg 조반 쾌속선 - 파일:JRE-JL.svg 조반 완행선 - 우에노도쿄라인) - 파일:JRE-JE.svg 케이요선 - 파일:JRE-JM.svg 무사시노선
요코하마 지사 (수도권 대도시근교구간)
도카이도 본선 (파일:JRE-JT.svg 도카이도선 - 파일:JRE-JK.svg 케이힌토호쿠선 - 파일:JRE-JS.svg 쇼난신주쿠라인 - 파일:JRE-JA.svg 파일:JRE-JS.svg 파일:Sotetsu-SO.svg 소테츠·JR직통선) - 파일:JRE-JO.svg 요코스카선 (파일:JRE-JS.svg 쇼난신주쿠라인) - 파일:JRE-JN.svg 난부선 - 파일:JRE-JI.svg 츠루미선 - 파일:JRE-JH.svg 요코하마선 - 파일:JRE-JK.svg 네기시선 - 사가미선 - 파일:JRE-JT.svg 이토선
하치오지 지사 (수도권 대도시근교구간)
파일:JRE-CO.svg 츄오 본선 (파일:JRE-JC.svg 츄오 쾌속선 - 파일:JRE-JB.svg 츄오-소부선) - 파일:JRE-JC.svg 오메선 - 파일:JRE-JC.svg 이츠카이치선 - 파일:JRE-JN.svg 난부선 - 파일:JRE-JM.svg 무사시노선 - 하치코선 - 파일:JRE-JH.svg 요코하마선
니가타 지사 (니가타 대도시근교구간)
신에츠 본선 - 우에츠 본선 - 죠에츠선 - 에치고선 - 야히코선 - 하쿠신선 - 요네사카선 - 반에츠사이선 - 타다미선 - 이야마선
나가노 지사
츄오 본선 - 코우미선 - 시노노이선 - 오이토선 - 신에츠 본선 - 이야마선
폐선
츠가루 해협선(2016) - 이와이즈미선(2014) - 신에츠 본선 요코카와~카루이자와 (우스이 급구배 구간)(1997) }}}}}}}}}
{{{#!wiki style="margin: -10px -10px" 파일:JR 야마노테선 로고.svg [ruby(山手, ruby=やまのて)][ruby(線, ruby=せん)]
Yamanote Line
야마노테선
}}}
파일:Series-E235-0_4.jpg
E235계 전동차
노선도
[ 펼치기 · 접기 ]
파일:야마노테선.png
노선 정보
분류 운행계통(순환선)
기·종점 도쿄역
역 수 30
노선기호 JY
개업일 1885년 3월 1일
소유자 JR 동일본
운영자
사용차량 E235계 전동차 0번대
차량기지 도쿄 종합 차량센터
노선 제원
노선연장 34.5km
궤간 1067mm
선로구성 복선
사용전류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폐색방식 신호제어식
신호장비 D-ATC
최고속도 90km/h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철도요람상 정보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종류 간선
기점 타바타역
종점 시나가와역
역 수 17
선로구성 복선[1]
사용전류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폐색방식 신호제어식
신호장비 D-ATC, ATS-P[2]
최고속도 90km/h }}}}}}}}}
파일:JR_Yamanote_Line_linemap.png
실측지도 상의 야마노테선
도쿄 착발 외선순환(外回り) 전구간 주행 영상 도쿄 착발 내선순환(内回り) 전구간 주행 영상
안내방송 (내선순환, 内回り)
출발 멜로디 모음

1. 개요
1.1. 노선 데이터 (노선)1.2. 노선 데이터 (운행계통)1.3. 노선 데이터 (야마노테 화물선)
2. 상세3. 역사
3.1. 이름의 유래3.2. 노선의 내력
4. 향후 계획
4.1. ATACS 도입 및 1인 승무 전환
5. 이용객 랭킹6. 차량
6.1. 운행 중인 차량6.2. 과거에 운행되었던 차량
7. 역 목록8. 기타9.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일본 도쿄의 철도 노선이자, 이 철도 노선을 주요 구간으로 하여 운행하는 순환 운행계통의 명칭. 노선할당기호는 JY이며, 열차번호기호는 G이다. (예: 243G, 1023G 등)

철도요람상의 "야마노테선"은 시나가와 신주쿠 타바타 구간만을 의미한다. 이 "야마노테선"을 주축으로, 도호쿠 본선의 타바타↔ 도쿄 구간과 도카이도 본선 도쿄 시나가와 구간을 순환하여 운행하는 것이 이 문서에서 설명하는 운행계통으로서의 야마노테선인 것이다. 여객 안내는 운행계통명인 야마노테선으로만 이루어지며, 따라서 어지간한 철도 마니아가 아닌 이상 도쿄 현지인들도 "야마노테선"이라고 하면 순환 운행계통으로서의 야마노테선을 가리키는 것이 보통이다.

'야마노테'라는 단어는 '고지대'라는 뜻이다. JR 동일본이 소유하고 있다. 노선으로서의 야마노테선의 총 연장은 20.6㎞이며, 순환선 전체의 운행 거리는 34.5㎞이다. 한 바퀴 도는 데에는 1시간 정도, 정확히는 다이어 기준 1시간 3분이 소요된다. 연두색의 상징색으로 유명한 일본 철도의 마스코트이며 대부분의 초보 철도 동호인들이 일본 철도는 몰라도 신칸센과 야마노테선은 안다고 할 수 있고, 도쿄를 여행하며 전철을 탔다면 적어도 한 번쯤은 탈 정도로 친밀한 노선이라 철도 동호인 외에 일반인들에게도 인지도가 꽤 있다.

1.1. 노선 데이터 (노선)

1.2. 노선 데이터 (운행계통)

1.3. 노선 데이터 (야마노테 화물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야마노테 화물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 상세

파일:20240831_091527.jpg
지리적으로는 도쿄의 핵심 지역들을 순환하고 있고, 철도의 측면에서도 전후 야마노테선 내부에 사철을 허용하지 않았던 정책으로 인해[3] 도쿄 수도권의 많은 대형 사철들이 야마노테선의 역을 기점으로 건설[4][5] 되어, 일본 수도권 교통의 중추와도 같은 노선이다. 덕분에 도쿄 여행 초보자에게도 거의 진리에 가까운 노선. 야마노테선이 정지하는 날에는 틀림없이 수도권 철도 카오스 확정.[6]

JR선에 걸맞게 전 구간이 지상을 달리고 있으며, 도쿄, 아키하바라, 우에노, 이케부쿠로, 신주쿠, 하라주쿠, 시부야, 시나가와 등의 번화가를 관통하기 때문에 고층빌딩과 같은 대도시적 의미에서는 차창 풍경이 압도적이다. 게다가 타바타역이나 시나가와역과 같이 다른 수많은 노선들과 병주하는 구간이 많기 때문에 철도 동호인들도 좋아할 만한 요소가 많은 노선.

도쿄의 핵심 지역들을 순환하는 노선이기 때문에 배차 간격도 대단히 짧아, 평시에도 4분 내외, 주말에는 3분 간격으로 운행 중이다.[7] 그러나, 출퇴근 시 최소 배차간격은 2분 30초로, 노선의 명성에 비례하면 그다지 많다고 하긴 힘든데[8], 이는 신주쿠역의 승하차 지연으로 인해[9] 더 이상 배차간격을 줄일 수 없기 때문이라고 한다.[10]

노선의 주 수요는 다른 노선의 터미널역에서 또 다른 노선으로 환승하는 빨대 수요에 맞춰져 있어 물갈이는 잘 되는 편이다. 현재는 바이패스 노선도 많이 늘어나 예전만큼 포화 상태는 아니지만 아직도 곳곳에서 지옥이 벌어지고 있다.

첫차는 4시 30분 전후에서 각 기점역에서 출발하고, 막차는 각 종착역에 25시 정각 전후에 도착할 때까지 운행하고 있어, 도쿄 도심의 심야 이동수요를 어느 정도 커버하고 있다. 이 시간대는 첫막차라는 특성과 이 전후로 아주 긴 배차간격[11] 때문에 의외로 열차에 사람이 많다.

현재 대규모 리모델링이 진행 중인, 또는 진행 예정인 신주쿠역, 시부야역을 제외한 나머지 역은 스크린도어가 모두 설치되었다. 이 두 역은 조금 나중에 설치 예정이다.

전체 노선의 절반 가량인 타바타↔도쿄↔시나가와 구간이 케이힌토호쿠선과 겹치며, 두 노선이 병주하는 구간의 역 승강장은 전부 2면4선의 형태로 되어 있다. 안쪽의 2개 선로에 야마노테선, 바깥쪽의 2개 선로에 케이힌토호쿠선 열차가 운행한다. 야마노테선과 케이힌토호쿠선의 병주 구간만을 이용한다면, 승강장에서 야마노테선이나 케이힌토호쿠선 중 아무거나 먼저 오는 쪽을 탈 수 있도록 동선이 설계되어 있다.[12][13] 병주하는 구간은 이동수요가 겹치는 점을 고려하여서 평일 주간 비첨두시간대에는 케이힌토호쿠선을 일부 역만 정차시키는 쾌속 운행을 도입해, 사실상 야마노테선 같은 구간 내의 급행열차 느낌으로 운영시키기도 한다.

또한, 케이힌토호쿠선과 어느 정도 운행부분에 관련이 있어서, 사고나 자연 현상, 인신사고 등이 일어나면 같이 운행 정지가 될수도 있고, 또는 야마노테선 열차가 케이힌토호쿠선 선로를 타는 경우도 있다. [14]

케이힌토호쿠선 외에는 야마노테선이 도쿄↔시나가와 구간은 도카이도선 요코스카선[15], 도쿄↔우에노 구간은 우에노도쿄라인[16], 닛포리↔시나가와 구간은 조반 쾌속선[17], 얼마 안되지만 도쿄↔칸다 구간은 츄오 쾌속선, 신주쿠↔요요기 구간은 츄오-소부 완행선과 병주 한다. 도카이도선, 우에노도쿄라인, 조반 쾌속선이 사실상 쾌속 역할을 한다.

야마노테선의 서쪽 구간인 오사키↔이케부쿠로 구간은 야마노테 화물선으로 2복선화되어있어 사이쿄선 쇼난신주쿠라인과 병주하고 이들이 사실상 쾌속 역할을 한다. 다만 승강장을 공유하지 않기 때문에 케이힌토호쿠선 병주 구간과 같은 환승 동선 설계는 없다. 나머지 이케부쿠로↔타바타, 오사키↔시나가와 구간은 야먀노테선만 단독으로 운행한다. 특급 나리타 익스프레스도 이 구간을 병주하지만 이 구간중에서는 정차역이 신주쿠, 시부야 뿐이다.

순환선이기 때문에 ~행이 아니라 도쿄, 우에노, 이케부쿠로, 신주쿠, 시부야, 시나가와 방면으로 행선지가 2개씩 표기된다.[18]

3. 역사

3.1. 이름의 유래

야마노테(山の手) 또는 야마테(山手)라는 어휘는 일반명사로서 영어로 번역하면 Foothills, 한국어로 치면 '산기슭', '산지' 쯤 된다. 원래는 산줄기가 평야 근처까지 뻗어와 생긴 지대가 높은 곳을 의미하는 말이었는데, 그 의미가 변해 일본의 도시에서 저지대에 위치한 시타마치(下町)에 대응해 고지대에 위치한 지구라는 의미로 바뀌었다. 도쿄의 경우 옛 에도 성(현재의 고쿄)의 서쪽과 북쪽인 무사시노 대지의 동단부, 즉 지금의 미나토구, 신주쿠구 분쿄구 일대[19]의 지역과 치요다구, 다이토구, 주오구, 스미다구[20] 스미다 강 주변의 시타마치를 야마노테라고 불렀다. 일본어의 표준어는 도쿄 야마노테 지역에 살던 무사 계급이 쓰던 말을 모태로 한다.

일본의 성시는 주로 고지대에 위치한 다이묘의 성을 중심으로 발달하였으며, 이때 상대적으로 방어에 유리한 야마노테 지대는 무사들의 거주지로, 교통, 특히 강을 끼고 있거나 해안에 면해 있는 저지대의 시타마치는 상인과 서민 거주지로 발달하였다.[21] 도쿄 이외에도 야마노테 또는 야마테로 불리는 지명이 존재하는데, 일례로 한와선 난카이 전기철도에 인수되어 운행될 때는 야마테선(山手線)이라 불렸고, 지금도 고베 시영 지하철 노선 중에는 야마테선이 있으며, 요코하마에도 야마테역이 있다. 그 외 삿포로, 고베, 나고야 등에도 야마노테 혹은 야마테라는 지명이 존재한다.

막부의 중심인 도쿄는 시타마치와 야마노테가 만나며, 에도 성 정문의 바로 앞에 자리잡은 치요다가 지리, 교통적인 면에서 가장 유리했기에[22] 에도의 도심으로 성장하였다. 보통 무사 거주지가 되는 야마노테 지역은 막부의 중심이라는 특수성이 겹쳐 막부의 고위 관료 계층과 상경한 다이묘들 위주의 고급 거주지로 발전했고, 서민들은 치요다보다 동쪽인 시타마치에 거주하게 되었다. 철도 노선으로서의 야마노테선은 위에 상술한 도쿄의 야마노테 지역을 지나가기 때문에 붙여진 것이다.

3.2. 노선의 내력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92px-Construction_of_the_Yamanote_Line_ja.svg.png



1872년, 이후 일본국유철도 - JR그룹의 전신이 되는 철도성에 의해 시나가와역을 기점으로 하는 도카이도 본선이, 1883년 사철 ' 일본 철도'에 의해 우에노역을 기점으로 하는 도호쿠 본선이 개통하였다. 이후 1885년에 일본철도가 부설한 아카바네(赤羽) - 신주쿠(新宿) - 시나가와(品川) 간의 연락선 '시나가와선'이 기원이다. 일본철도는 이후 1906년 통째로 국유화된다.

이후 1903년, 조반선과의 연결을 위한 이케부쿠로역과 타바타역 간의 연결선[23]인 토시마선이 개통하였다. 1909년 전철화가 이루어졌으며, 아카바네 - 이케부쿠로 - 시나가와 노선과 타바타 - 이케부쿠로 - 시나가와 노선 둘 다에 정식으로 야마노테선이라는 이름이 부여되었다[24].

개통 이후 도카이도, 신에츠, 조반, 츄오 등 도쿄 근처를 들쑤시고 다니는 온갖 노선들간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게 된 데다가 러일전쟁 등으로 화물 운송의 수요가 폭주했다. 당연히 선로 용량이 금방 부족해져 복선화가 추진되어, 1910년 시나가와 - 이케부쿠로 - 타바타 구간의 복선화가 완료되었다. 1914년 도쿄역의 개업과 도카이도 본선의 도쿄역 연장이 이루어졌고, 1925년 도쿄 - 우에노 구간이 개통함으로서 야마노테선이 완전한 순환선의 모습을 갖추게 됨과 동시에 순환 운행을 시작하였다. 이케부쿠로 - 아카바네간은 지선의 형태로 남게 된다.

1956년 야마노테선과 케이힌토호쿠선이 분리되었고, 1972년에 이케부쿠로 - 타바타간이 정식으로 야마노테선의 본선이 되었다. 이케부쿠로 - 아카바네간 선로는 완전히 야마노테선에서 분리되어 나왔고, 정식으로 아카바네선(赤羽線)[25]이라는 명칭을 부여받게 된다.

4. 향후 계획

4.1. ATACS 도입 및 1인 승무 전환

2021년 12월 7일에 JR 동일본에서 야마노테선 포함 5개 노선에 대한 1인 승무 도입 계획과, 야마노테선과 케이힌토호쿠선의 ATACS 도입, ATO 고성능화 계획을 발표했다. # 해당 발표에 따르면, 2028~2031년 사이에 ATACS와 ATO를 도입하고 2025~2030년 사이에 1인 승무로 전환한다는 계획이다.[26]

이는 JR 동일본 차원에서 고령화에 따른 철도 종사자 감소에 대비해 추진하는 계획의 일환으로, 근본 목적은 야마노테선의 1인 승무화이며, ATACS와 ATO는 1인 승무를 원활하게 하기 위한 시스템의 도입이다. 또한, ATACS가 센세키선 사이쿄선에서 성공적으로 운영되고 있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5. 이용객 랭킹


1. 신주쿠역
2. 이케부쿠로역
3. 도쿄역
4. 시부야역
5. 시나가와역
6. 신바시역
7. 아키하바라역
8. 타카다노바바역
9. 우에노역
10. 오사키역
11. 유라쿠초역
12. 타마치역
13. 하마마츠초역
14. 에비스역
15. 고탄다역
16. 닛포리역
17. 메구로역
18. 니시닛포리역
19. 칸다역
20. 스가모역
21. 오카치마치역
22. 요요기역
23. 오츠카역
24. 하라주쿠역
25. 코마고메역
26. 타바타역
27. 신오쿠보역
28. 메지로역
29. 우구이스다니역

6. 차량

야마노테선은 도쿄의 대표노선으로 일본의 얼굴이라는 인식이 있어 예로부터 첨단기술이 집약된 신형전동차가 투입되는 노선이다. 또한 차량 교체 주기가 대단히 빠른 것으로 유명하다. 대체로 재래선 차량들이 신차를 도입하면 30년에 가까운, 또는 그 이상의 긴 세월동안 오래오래 운행하는 반면, 야마노테선은 신칸센도 아닌 재래선이면서 20년을 넘기는 경우가 드물다. 어지간한 신칸센도 20년은 족히 쓴다는 것을 보면 야마노테선 차량의 대차주기는 신칸센보다도 빠른 것이다. 물론 그렇다고 바로 폐차장의 이슬로 사라지는건 아니고, 야마노테선에서 운행하던 차량이 신차로 교체되면 기존 차량은 다른 노선으로 넘어가 지금 이 시간에도 현역으로 왕성하게 활동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6.1. 운행 중인 차량

파일:Series-E235-0_4.jpg
* E235계 0번대 전동차
2015년 3월 최초 편성이 제조되어 동년 11월 30일부터 영업운전을 개시했다. 그런데 운행 첫날부터 고장나는 바람에 한동안 운행을 중지했다가 2016년 3월 7일부터 영업 운전을 재개했고 2020년 1월에 모든 E231계를 대체하였다. 동일본답지 않게 전량 대차에 제법 긴 여유기간을 뒀는데, 이는 11량 통째로 찍어내는 게 아니라 10량을 찍고 기존 E231계를 하나씩 니츠 차량제작소로 보내 부수차 한 량을 떼어내어 E235계에 끼워넣는 작업을 거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별명은 전자레인지로, 양쪽으로 갈리는 호불호를 모두 담았다는 해석이 지배적이다.[27]

6.2. 과거에 운행되었던 차량

7. 역 목록

JR 동일본 야마노테선
<rowcolor=#373a3c> 노선 km 번호 역명 환승노선 소재지
0.0 JY01 도쿄
(東京)
JR 동일본 파일:JRE-SKS.svg 도호쿠, 조에츠, 아키타, 홋카이도, 야마가타, 호쿠리쿠 신칸센,
파일:JRE-JT.svg 파일:JRE-JU.svg 도카이도선· 우에노도쿄라인 (JT01·JU01), 파일:JRE-JO.svg 요코스카선· 소부 쾌속선 (JO19),
파일:JRE-JK.svg 케이힌토호쿠선 (JK26), 파일:JRE-JC.svg 츄오 쾌속선 (JC01), 파일:JRE-JE.svg 케이요선 (JE01)
JR 도카이 파일:JRC-SKS.svg 도카이도 신칸센
도쿄메트로 파일:도쿄메트로 마루노우치선 로고.svg 마루노우치선 (M-17)
오테마치역: 도쿄메트로 파일:도쿄메트로 도자이선 로고.svg 도자이선 (T-09)
오테마치역: 도쿄도 교통국 파일:도에이 미타선 로고.svg 미타선 (I-09)
니주바시마에<마루노우치>역: 도쿄메트로 파일:도쿄메트로 치요다선 로고.svg 치요다선 (C-10)
치요다구
<colbgcolor=#1daed1>



1.3 JY02 칸다
(神田)
¶JR 동일본 파일:JRE-JK.svg 케이힌토호쿠선 (JK27), 파일:JRE-JC.svg 츄오 쾌속선 (JC02)
¶도쿄메트로 파일:도쿄메트로 긴자선 로고.svg 긴자선 (G-13)
2.0 JY03 아키하바라
(秋葉原)
¶JR 동일본 파일:JRE-JK.svg 케이힌토호쿠선 (JK28), 파일:JRE-JB.svg 츄오-소부선 각역정차 (JB19)
수도권 신도시 철도 파일:MIR-TX.svg 츠쿠바 익스프레스 (TX01)
¶도쿄메트로 파일:도쿄메트로 히비야선 로고.svg 히비야선 (H-16)
이와모토초역: 도쿄도 교통국 파일:도에이 신주쿠선 로고.svg 신주쿠선 (S-08)[31]
3.0 JY04 오카치마치
(御徒町)
¶JR 동일본 파일:JRE-JK.svg 케이힌토호쿠선 (JK29)[32]
우에노히로코지역: 도쿄메트로 파일:도쿄메트로 긴자선 로고.svg 긴자선 (G-15)
나카오카치마치역: 파일:도쿄메트로 히비야선 로고.svg 히비야선 (H-17)
우에노오카치마치역: 도쿄도 교통국 파일:도에이 오에도선 로고.svg 오에도선 (E-09)
다이토구
3.6 JY05 우에노
(上野)
¶JR 동일본 파일:JRE-SKS.svg 도호쿠, 조에츠, 아키타, 홋카이도, 야마가타, 호쿠리쿠 신칸센,
파일:JRE-JU.svg 우츠노미야선· 타카사키선·우에노도쿄라인 (JU02), 파일:JRE-JJ.svg 조반 쾌속선· 조반선 (JJ01),
파일:JRE-JK.svg 케이힌토호쿠선 (JK30)
¶도쿄메트로 파일:도쿄메트로 히비야선 로고.svg 히비야선 (H-18), 파일:도쿄메트로 긴자선 로고.svg 긴자선 (G-16)
케이세이우에노역: 케이세이 전철 파일:KS-blue.svg 본선 (KS01)
4.7 JY06 우구이스다니
(鶯谷)
¶JR 동일본 파일:JRE-JK.svg 케이힌토호쿠선 (JK31)[快]
5.8 JY07 닛포리
(日暮里)
¶JR 동일본 파일:JRE-JK.svg 케이힌토호쿠선 (JK32)[快], 파일:JRE-JJ.svg 조반 쾌속선 (JJ02)
¶케이세이 전철 파일:KS-blue.svg 본선 (KS02)
¶도쿄도 교통국 파일:닛포리·토네리 라이너 로고.svg 닛포리·토네리 라이너 (NT01)
아라카와구
6.3 JY08 니시닛포리
(西日暮里)
¶JR 동일본 파일:JRE-JK.svg 케이힌토호쿠선 (JK33)[快]
¶도쿄메트로 파일:도쿄메트로 치요다선 로고.svg 치요다선 (C-16)
¶도쿄도 교통국 파일:닛포리·토네리 라이너 로고.svg 닛포리·토네리 라이너 (NT02)
7.1 JY09 타바타
(田端)
¶JR 동일본 파일:JRE-JK.svg 케이힌토호쿠선 (JK34) 키타구




8.7 JY10 코마고메
(駒込)
¶도쿄메트로 파일:도쿄메트로 난보쿠선 로고.svg 난보쿠선 (N-14) 토시마구
9.4 JY11 스가모
(巣鴨)
¶도쿄도 교통국 파일:도에이 미타선 로고.svg 미타선 (I-15)
10.5 JY12 오츠카
(大塚)
오츠카에키마에역: 도쿄도 교통국 파일:도덴 아라카와선 로고.svg 도덴 아라카와선 (SA23)
12.3 JY13 이케부쿠로
(池袋)
¶JR 동일본 파일:JRE-JA.svg 사이쿄선 (JA12), 파일:JRE-JS.svg 쇼난신주쿠라인 (JS21)
도부 철도 파일:Tobu-TJ.svg 토죠 본선 (TJ01)
세이부 철도 파일:Seibu-SI.svg 이케부쿠로선 (SI01)
¶도쿄메트로 파일:도쿄메트로 마루노우치선 로고.svg 마루노우치선 (M-25), 파일:도쿄메트로 유라쿠초선 로고.svg 유라쿠초선 (Y-09), 파일:도쿄메트로 후쿠토신선 로고.svg 후쿠토신선 (F-09)
13.5 JY14 메지로
(目白)
14.4 JY15 타카다노바바
(高田馬場)
¶세이부 철도 파일:Seibu-SS.svg 신주쿠선 (SS02)
¶도쿄메트로 파일:도쿄메트로 도자이선 로고.svg 도자이선 (T-03)
신주쿠구
15.8 JY16 신오쿠보
(新大久保)
17.1 JY17 신주쿠
(新宿)
¶JR 동일본 파일:JRE-JB.svg 츄오-소부선 각역정차 (JB10), 파일:JRE-JC.svg 츄오 쾌속선 (JC05),
파일:JRE-JA.svg 사이쿄선 (JA11), 파일:JRE-JS.svg 쇼난신주쿠라인 (JS20)
¶도쿄메트로 파일:도쿄메트로 마루노우치선 로고.svg 마루노우치선 (M-08)
¶도쿄도 교통국 파일:도에이 신주쿠선 로고.svg 신주쿠선 (S-01), 파일:도에이 오에도선 로고.svg 오에도선 (E-27)
오다큐 전철 파일:ODK-OHb.svg 오다와라선 (OH01)
케이오 전철 파일:Keio-KO.svg 케이오선· 케이오 신선 (KO01)
신주쿠니시구치역: 도쿄도 교통국 파일:도에이 오에도선 로고.svg 오에도선 (E-01)
세이부신주쿠역: 세이부 철도 파일:Seibu-SS.svg 신주쿠선 (SS01)[36]
17.8 JY18 요요기
(代々木)
¶JR 동일본 파일:JRE-JB.svg 츄오-소부선 각역정차 (JB11)
¶도쿄도 교통국 파일:도에이 오에도선 로고.svg 오에도선 (E-26)
시부야구
19.3 JY19 하라주쿠
(原宿)
메이지진구마에<하라주쿠>역: 도쿄메트로 파일:도쿄메트로 치요다선 로고.svg 치요다선 (C-03), 파일:도쿄메트로 후쿠토신선 로고.svg 후쿠토신선 (F-15)
20.5 JY20 시부야
(渋谷)
¶JR 동일본 파일:JRE-JA.svg 사이쿄선 (JA10), 파일:JRE-JS.svg 쇼난신주쿠라인 (JS19)
도큐 전철 파일:TK-TY.svg 도요코선 (TY01), 파일:TK-DT.svg 덴엔토시선 (DT01)
¶케이오 전철 파일:Keio-IN.svg 이노카시라선 (IN01)
¶도쿄메트로 파일:도쿄메트로 긴자선 로고.svg 긴자선 (G-01), 파일:도쿄메트로 한조몬선 로고.svg 한조몬선 (Z-01), 파일:도쿄메트로 후쿠토신선 로고.svg 후쿠토신선 (F-16)
22.1 JY21 에비스
(恵比寿)
¶JR 동일본 파일:JRE-JA.svg 사이쿄선 (JA09), 파일:JRE-JS.svg 쇼난신주쿠라인 (JS18)
¶도쿄메트로 파일:도쿄메트로 히비야선 로고.svg 히비야선 (H-02)
23.6 JY22 메구로
(目黒)
¶도큐 전철 파일:TK-MG.svg 메구로선 (MG01)
¶도쿄메트로 파일:도쿄메트로 난보쿠선 로고.svg 난보쿠선 (N-01)
¶도쿄도 교통국 파일:도에이 미타선 로고.svg 미타선 (I-01)
시나가와구
24.8 JY23 고탄다
(五反田)
¶도큐 전철 파일:TK-IK.svg 이케가미선 (IK01)
¶도쿄도 교통국 파일:도에이 아사쿠사선 로고.svg 아사쿠사선 (A-05)
25.7 JY24 오사키
(大崎)
¶JR 동일본 파일:JRE-JA.svg 사이쿄선 (JA08), 파일:JRE-JS.svg 쇼난신주쿠라인 (JS17), 파일:JRE-JA.svg 파일:JRE-JS.svg 파일:Sotetsu-SO.svg 소테츠·JR직통선 (JA08, JS17)
도쿄 임해고속철도 파일:Rinkai_Line.svg 린카이선 (R08)
27.7 JY25 시나가와
(品川)
¶JR 동일본 파일:JRE-JT.svg 도카이도선 (JT03), 파일:JRE-JO.svg 요코스카선 (JO17), 파일:JRE-JK.svg 케이힌토호쿠선 (JK20)
¶JR 도카이 파일:JRC-SKS.svg 도카이도 신칸센
케이큐 전철 파일:Keikyu-KK.svg 본선 (KK01)
미나토구





28.6 JY26 타카나와 게이트웨이
(高輪ゲートウェイ)
¶JR 동일본 파일:JRE-JK.svg 케이힌토호쿠선 (JK21)
센가쿠지역: 도쿄도 교통국 파일:도에이 아사쿠사선 로고.svg 아사쿠사선 (A-07)
센가쿠지역: 케이큐 전철 파일:Keikyu-KK.svg 본선 (A-07)
29.9 JY27 타마치
(田町)
¶JR 동일본 파일:JRE-JK.svg 케이힌토호쿠선 (JK22)
미타역: 도쿄도 교통국 파일:도에이 아사쿠사선 로고.svg 아사쿠사선 (A-08), 파일:도에이 미타선 로고.svg 미타선 (I-04)
31.4 JY28 하마마츠쵸
(浜松町)
¶JR 동일본 파일:JRE-JK.svg 케이힌토호쿠선 (JK23)
모노레일 하마마츠쵸역: 도쿄 모노레일 파일:Tokyo_Monorail.svg 하네다 공항선 (MO01)
다이몬역: 도쿄도 교통국 파일:도에이 아사쿠사선 로고.svg 아사쿠사선 (A-09), 파일:도에이 오에도선 로고.svg 오에도선 (E-20)
32.6 JY29 신바시
(新橋)
¶JR 동일본 파일:JRE-JT.svg 도카이도선 (JT02), 파일:JRE-JO.svg 요코스카선 (JO18), 파일:JRE-JK.svg 케이힌토호쿠선 (JK24)[快]
유리카모메 파일:Yurikamome_Logo.svg 도쿄임해신교통임해선 (U-01)
¶도쿄메트로 파일:도쿄메트로 긴자선 로고.svg 긴자선 (G-08)
¶도쿄도 교통국 파일:도에이 아사쿠사선 로고.svg 아사쿠사선 (A-10)
33.7 JY30 유라쿠초
(有楽町)
¶JR 동일본 파일:JRE-JK.svg 케이힌토호쿠선 (JK25)[快]
¶도쿄메트로 파일:도쿄메트로 유라쿠초선 로고.svg 유라쿠초선 (Y-18)
히비야역: 도쿄메트로 파일:도쿄메트로 히비야선 로고.svg 히비야선 (H-08), 파일:도쿄메트로 치요다선 로고.svg 치요다선 (C-09)
히비야역: 도쿄도 교통국 파일:도에이 미타선 로고.svg 미타선 (I-08)
도쿄역: JR 동일본 파일:JRE-JE.svg 케이요선 (JE01)
치요다구
34.5 JY01 도쿄
(東京)
상기 동일

8. 기타


8.1. 서울 지하철 2호선과의 유사성

대한민국 서울 지하철 2호선이 이 노선과 닮은 점이 많아서 자주 비교된다. 아래 내용을 요약하면 노선 기능에서 공통점을, 세부 규격에서 차이점을 보인다.

공통점
차이점 비슷한 구도로는 도쿄메트로 도자이선 수도권 전철 4호선, 사이쿄선 서울 지하철 9호선이 있다.

9. 관련 문서



[1] 화물선 포함시 일부구간 복복선 [2] 야마노테 화물선 [3] 당시 오사카부 오사카 순환선 내에 사철을 허용하지 않았으나, 사철들이 교통국의 약점을 공격하고 시내로 들어왔다. 이 때문에 센니치마에선은 킨테츠와의 경쟁에서 패배해서 아직까지 오사카 지하철의 흑역사로 남아 있다. 만약 들어오지 못했더라면 니시쿠조역, 신이마미야역, 츠루하시역, 쿄바시역 등이 간사이권 사철의 터미널역이 되었을 것이다. 물론 지금도 JR과의 환승역이라는 중요성 때문에 터미널역급의 시설을 갖추고 있지만. [4] 케이세이 본선의 기점인 케이세이우에노역, 세이부 신주쿠선의 기점인 세이부신주쿠역 등은 야마노테선 안에 들어와 있긴 하되 야마노테선 안쪽에 딱 붙어있는, 그야말로 발만 걸친 형태이다. 사실 사철을 아예 허용하지 않은 것이 아니라, 당시 야마노테선 내에서는 도쿄 도영 전차 때문에 교통이 카오스였으므로 지하철만 허용한 것이다. 따라서 사철도 지하철로 지으면 연장이 가능하긴 했지만 전후 사철의 재정 상태로는 사실상 사철 들어오지 말라고 한 것이나 다름없긴 하다. 케이큐의 시나가와역- 센가쿠지역도 지하 구간이기 때문에 가능했었던 것이고. [5] 농담이 아니라 진짜로 수도권 대형 사철들은 전부 지하철과 직통 운행을 실시 중이다. [6] 실제로 2006년 지진의 여파로 일부 철로가 솟아올라 5시간 정도 전 차량을 멈춘 적이 있었는데, 사람들이 대량으로 정체되어 대체 교통수단을 찾느라 그야말로 혼돈의 카오스 상태였다. 당시 KBS 뉴스 [7] 참고로 서울 지하철 2호선이 평일에 4~5분(시간당 11대 가량), 주말에 5분 내외(시간당 12대 가량)인 것에 비해서도 매우 짧다. [8] 서울 지하철 2호선의 최단 배차간격과 비슷하다. 사실 2014년에 상왕십리역 열차 추돌 사고가 일어나기 전에는 2호선의 경우 시스템이 허용 가능한 한계치인 1분 30초~2분 배차간격으로 쑤셔박았기 때문에 미세하게 더 짧긴 했다. 현재는 최대한계 기준으로 2분 30초~3분에 1대 운영을 하고 있다. [9] 신도림역이나 사당역에서의 승하차 지연보다 심하다. [10] 츄오 쾌속선이 평일 출근시간대 야마노테선보다 더 조밀한 배차를 하는데, 이는 츄오 쾌속선의 신주쿠역에는 양방향 대피선이 있어, 승하차 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11] 이케부쿠로역에서 4시 25분에 출발하는 열차를 놓치면 약 30분 정도를 기다려야 한다. [12] 시나가와역, 타카나와 게이트웨이역 제외. 이 두 역은 야마노테선과 케이힌토호쿠선 홈이 따로 구분되어 있어서, 계단을 이용해 건너편 승강장으로 건너가야 한다. 바로 옆이긴 하지만, 귀찮은 건 사실. [13] 시나가와역은 제외이기는 하지만 이제 JR 동일본이 시나가와역에 플랫폼 공사를 진행하면서 케이힌토호쿠선 남행 승강장이 기존의 4번에서 5번이 되는 등 플랫폼 변동이 일어나면서 야마노테선도 1,2번의 승강장이 아닌 2018년 현재의 2,3번 승강장을 쓰게 되어 야마노테선 외선순환을 탔다면 케이힌토호쿠선 북행으로 3초환승이 실현될 듯 하다. 요요기역의 2번과 3번 승강장을 생각하면 된다. [14] 야마노테선과 케이힌토호쿠선은 모두 전 구간에 ATC를 도입하여 서로의 선구로 바꾸어서 운행하는데 전혀 지장이 없다. [15] 특급 나리타 익스프레스 포함. 다만 나리타 익스프레스는 이 구간중에서는 정차역이 도쿄, 시나가와 뿐이다. [16] 우츠노미야선, 타카사키선 [17] 조반선 중거리열차, 특급 히타치, 토키와 포함. 다만 특급 히타치, 토키와는 이 구간중에서는 정차역이 우에노, 도쿄, 시나가와 뿐이다. [18] 예를 들어 외선순환 기준으로 요요기역을 출발한 열차는 요요기역 접근 시에는 신주쿠, 이케부쿠로 방면이라고 표기되지만, 요요기역을 출발하면서 이케부쿠로, 우에노 방면으로 표기된다. 요요기역 다음이 신주쿠역이기 때문. 다만, 오사키나 이케부쿠로, 시나가와 등지에서 차량기지로 입고하는 차량들은 성수행, 신도림행과 동일하게 오사키행, 이케부쿠로행 등으로 표기된다. [19] 세부 구역으로 나타내면 아자부, 아카사카, 요츠야, 우시고메, 혼고, 요츠야 일대 [20] 역시 세부 구역별로 나타내면 칸다, 니혼바시, 아사쿠사, 혼조 일대 [21] 현재도 주민들의 성격이나 치안 수준 등에서 꽤 차이가 크다. [22] 아라카와 강과 해안에 면하여 해운은 물론 중세까지 활발하게 이용된 수운 또한 이용하기 쉽고, 거기에 남쪽의 고도 카마쿠라로 향하는 길에 자리하기까지 했으니 도시로 발달하기에 더할 나위 없이 좋은 교통의 요지다. 에도 시가지 내의 구조에 있어서도 야마노테의 고위 관료 및 무사 계층과 저지대의 상인 계층 모두가 접근하기 편리한 위치이다. [23] 당초에는 메지로역 분기로 할 계획도 있었던 모양이지만, 부지 매수가 어려웠던 관계로 이케부쿠로 분기가 되었다. 그도 그럴 것이, 메지로역 바로 옆에는 가쿠슈인이 있었으니. [24] 이미 1901년 야마노테선이라는 이름이 등장했지만, 당시로서는 일종의 애칭이었다. [25] 현재는 사이쿄선으로 영업하고 있다. [26] 한국의 경우 수도권 1~4호선, 일부 무인 경전철을 제외한 모든 노선들은 1인승무를 (또는 안전요원 탑승) 하고 있지만 일본의 경우 대부분이 2인승무여서 이대로 가다간 인력부족을 겪을 수도 있다. [27] 공교롭게도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도심 순환 철도 노선 서울 2호선에 도입된 최신 차량도 " 밥통"이라고 불리는 가전제품을 연상시키는 디자인을 가지고 있어서 둘을 비교하는 이야기가 한일 양국에서 나왔다. [28] 101계는 노란색이었다. [29] 다만, 과거에 운행 되었다고 하기엔 야마노테선 E235계(04, 05 편성 제외)에다 이 열차의 10호차를 개조해서 투입했다. 어찌보면 현재도 운행되는 중이라고 칠 수도 있다. [30] 외선순환은 일본어로 소토마와리, 내선순환은 우치마와리라고 읽는다. 다만 차량 외부 LED와 내부 LCD에는 방향을 알려준다. 예를 들면 시나가와, 시부야 방면이나 도쿄, 우에노 방면으로 표출된다. [31] 2013년 3월 16일부로 정식으로 연락환승이 인정되었으며(환승통로는 없다.) 언제부턴가 아예 차량 안내방송에서도 신주쿠선을 안내해주기 시작했다. [32] 낮시간대에 운행하는 쾌속은 주말에만 정차한다. [快] 낮시간대에 운행하는 쾌속은 통과한다. [快] [快] [36] 역사(駅舎)가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차내 안내방송으로 안내되지 않는다. [快] [快] [39] 가장 간단한 방법은 323계 전동차를 타는 것. 223계나 225계 등과 달리 오로지 오사카 시내만 도니 헷갈릴 필요는 없다. 그나마 다른 곳으로 흘러가봤자 환상선 밖의 사쿠라지마선, 즉 유니버설 시티로 빠지는 경우이다. [40] 노래가 나왔던 1900년 당시 도카이도 본선 출발역 [41] 다른 거 다 제끼고 순수하게 빨리빨리 가사만 넘길 때 10분이 걸리는 거고, 일본 3대 중창단인 다크 독스 버전 기준으론 27분이 걸렸다. 다른 3대 중창단인 보니 잭스가 부른 제4집 호쿠리쿠 본선편은 34분정도 된다. [42] 작중 시나가와역도 등장한다. [43] 베이카역 역명판에 타카다노바바역의 패러디인 시모다노바바역(しもだのばば)과 이케부쿠로역의 패러디인 미도리다이역(みどりだい)도 적혀있다. 이 때 등장인물들이 탑승하려던 열차는 내선순환이다. 따라서 베이카역의 모티브는 메지로역으로 볼 수 있다. [44] 替え歌: 기존 노래의 가사를 다른 것으로 바꾸거나 일부 개작해 부르는 것. 개사. [45] 성우가 무려 하기와라 마사토다. 즉 이토 카이지의 성우. 복장도 본편의 카이지와 똑같아서 애니메이션만 본 시청자들은 카이지의 등장을 기대하다가 나온 와타나베 군에 당황하기도. [46] 앨범 EQUUS에 수록 [47] 山(やま)の’手(て)=hand(ハンド)’ 이기 때문 [48] 이외에도 시간당 150mm의 폭우로 운행이 중단되는 수모를 겪었다. 다만 이때는 모든 교통편이 마비되는 선에서 그쳤다. [49] 서울 2호선은 전 구간 서울특별시 내에서만 운행하고 야마노테선은 전 구간 도쿄23구 내에서만 운행한다. [50] 정확히는 야마노테선은 연두색~라임색 계열로 서해선 우이신설선의 노선색과 비슷하다. [51] 야마노테선은 신주쿠, 시부야, 하라주쿠, 이케부쿠로, 아키하바라이고 2호선은 을지로, 동대문, 왕십리, 건대, 잠실, 테헤란로, 강남역, 사당, 홍대, 신촌 등이다. [52] 2호선은 당산역~ 당산철교, 한양대역~ 잠실나루역, 신대방역~ 대림역 구간에서 서울의 풍경을 볼 수 있다. [53] 별명으로 2호선 4차분 밥통, 혹은 커피포트 등으로 불리고 있고, E235계 전동차 전자레인지 혹은 오븐이라고 불리고 있다. # [54] 궤간으로써 한국이 전자를, 일본이 후자를 채택했기 때문이다. [55] 직결운행을 제외하면 관동지역의 JR 동일본 전철노선 대다수가 지상구간을 달리고 있으며, 여기에 협궤라는 불리한 점이 추가되어 바람의 영향을 굉장히 많이 받기 때문에 태풍이 접근하면 엄청난 지연을 먹거나 운행이 중지되기도 한다. 2018년 가을의 태풍 짜미만 보더라도 모든 노선이 운행을 중단했을 정도. [56] 전폭은 야마노테선 차량이 2,950mm, 2호선 차량이 3,120mm이므로, 수송량은 큰 차이가 없다. [57] 신정지선, 성수지선 [58] 옛날엔 있었다. 아카바네선인데 지금은 사이쿄선으로 운행하고 있다. [59] 타바타- 시나가와( 케이힌토호쿠선), 우에노-시나가와( 우에노도쿄라인), 오사키- 이케부쿠로( 사이쿄선, 쇼난신주쿠라인), 도쿄- 칸다( 츄오 쾌속선), 신주쿠- 요요기( 츄오소부선) [60] 을지로4가- 동대문역사문화공원 구간이 5호선이랑 서로 병주하고 있긴 하나, 각 노선의 두 환승역의 역사 위치가 서로 달라 병주 구간이라고는 상당히 모호하다. [61] 2호선과 가장 가까운 KTX 정차역은 서울역, 청량리역, 영등포역이 있으며 이들 모두 2호선 환승역에서 타 노선으로 한 정거장씩 떨어져있다. 본래 계획상으로는 영등포역을 환승역사로 건설하려 하였으나 당시 건설기술 부족으로 인해 영등포역 환승은 취소되고 신도림역 환승으로 바뀌었다. [62] 2호선과 연계가 되는 일반열차 정차역은 왕십리역 ITX-청춘이 일 6회 정차하는 게 전부이다. 야마노테선은 특급열차를 이용 가능한 역도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