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청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시청(동음이의어) 문서 참고하십시오.시설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교통 시설 | ||
도로 | 분류 | 자동차전용도로( 고속화도로 · 도시고속도로) · 인도( 보행자전용도로 · 보행자우선도로 · 자전거도로) · 고가도로 · 지하도로( 지하도 · 지하차도) | |
등급 | 고속도로 · 국도 · 특별시도 · 광역시도 · 지방도 · 시도 · 군도 · 구도 · 농어촌도로 · 사도 | ||
시설물 | 교차로( 나들목 · 분기점) · 횡단보도 · 교통섬 · 교량 · 육교 · 터널 · 버스 정류장( 버스 터미널 · 환승센터) · 주차장 · 갓길 · 요금소 · 휴게소 | ||
기타 | 세차장 · 정비소 · 운전면허시험장 | ||
철도 | 분류 | 고속철도 · 광역철도 · 도시철도( 중전철 · 경전철 · 노면전차 · 모노레일 · 자기부상열차) | |
형태 | 지하철 · 고가철도 | ||
시설물 | 역 · 조차장 · 신호장 · 차량기지 · 철교 · 건널목 | ||
항만 | 항구( 부두 · 선착장) · 여객선 터미널 · 등대 · 방파제 | ||
공항 | 여객터미널 · 활주로 · 유도로 · 관제탑 · 계류장 | ||
기타 | 운하, 갑문 | ||
공간 시설 | |||
광장 · 공원 · 녹지 · 유원지( 놀이공원 · 동물원 · 워터파크 · 온천 · 해수욕장 · 삼림욕장) · 공공 공지 | |||
유통·공급 시설 | |||
유통·생산 | 공장 · 물류 터미널 | ||
공급 | 수도 | 취수장 · 정수장 · 배수지 · 저수조 | |
전기 | 발전소 · 변전소 · 송전탑 · 전봇대 | ||
방송·통신 | 방송국 · 기지국 · 송신소 | ||
시장 | 재래시장( 도매시장) · 쇼핑몰( 백화점 · 면세점) · 할인점 | ||
유류 | 주유소 | ||
공공·문화 체육 시설 | |||
공공 기관 | 중앙관청 및 지방관청( 도청 · 시청 · 군청 · 구청 · 행정복지센터) · 경찰서 · 지구대 · 파출소 · 치안센터 · 해양경찰서 · 해경파출소 · 해경출장소 · 소방서 · 119안전센터 · 119지역대 · 우체국( 우편집중국 · 우편취급국) · 은행 · 세무서 · 세관 · 법원 · 등기소 | ||
교육 | 유치원 · 학교 · 학원 | ||
문화 | 공연장 · 영화관 · 박물관 · 미술관 · 과학관 · 전시관 · 도서관 | ||
체육 | 운동장( 경기장 · 체육관) · 골프장 · 농구장 · 당구장 · 볼링장 · 빙상장 · 사격장 · 수영장 · 스키장 · 승마장 · 야구장 · 축구장 · 테니스장 | ||
복지 | 어린이집 · 보육원 · 복지관 · 요양원 · 요양병원 · 마을회관 · 쉼터 | ||
방재 시설 | |||
하천 · 유수지 · 저수지 · 보 · 댐 · 빗물펌프장 · 저류지 | |||
보건 위생 시설 | |||
의료 | 병원( 의원 · 산후조리원) · 보건소 | ||
결혼 | 결혼식장 | ||
장례 | 장례식장 · 화장장 · 공동묘지 · 봉안당 | ||
기타 | 도축장 | ||
환경 기초 시설 | |||
하수도 | 하수 처리장 · 정화조 | ||
폐기물 처리 | 매립지 · 소각장 | ||
기타 | 폐차장 | }}}}}}}}} |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청 |
[clearfix]
1. 개요
市廳 | City Hall[1], City Office[2]- 현행 로마자 표기법: sicheong
-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sich'ŏng
시의 행정을 관할하는 관청.
대한민국의 경우, 도 소속 자치시( 도농복합시 포함)의 시청은 기초자치단체의 행정을 맡아보는 곳이고, 특별시, 광역시, 특별자치시의 시청은 광역자치단체의 행정을 맡아보는 곳으로서 후자가 더 큰 역할을 한다. 하위 기관도 일반시나 특별자치시는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이고, 특별시, 광역시는 구청이다. 대도시 특례를 받는 시는 구 설치 여부에 따라 다르다.
현재는 시청들이 정치적 논리로 인한 괴상한 입지[3]나, 과도한 호화 청사로 인한 문제[4]가 자주 발생하여 신청사 건립을 잘 허용해주지 않는 추세다.
일본에서는 '시청'과 같은 시초(市庁, しちょう)라는 표현은 쓰지 않고 시야쿠쇼(市役所, しやくしょ, 시역소)라고 하며[5], 영어로 번역할 때는 City Hall뿐만 아니라 City Office도 같이 쓰는 편이다.
중화권의 경우 직할시는 쓰정푸(市政府, 시정부)라는 표현을 쓰고, 성할시나 현할시는 시공소(市公所, City Office)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2. 역할
- 시장이 근무하며 다양한 시정 업무를 맡아보는 시 공무원들이 근무하는 곳으로, 대부분의 시정 결정과 논의가 이곳에서 이루어진다. 그런 특성상 당연하게도 모든 시정 관련 사업의 발주처가 된다.
-
다양한 업무를 맡아야 하고 전반적인 시정을 관리해야 하므로 자연스럽게 도시의 중심부에 위치하게 된다.[6] 그래서 도시철도가 깔린 전세계의 많은 도시들은
시청역 하나쯤은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다. 국내에만 해도
시청역(서울),
시청역(부산),
시청역(대전),
시청역(대구),[7]시청역(광주)[8] 등 같은 이름의 역만 전국에 5개다.[9]
3. 대한민국의 시청 소재지
3.1. 광역자치단체
※ 별관과 분청사는 주소지가 다른 경우만 기재한다.- 서울특별시청 -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 110 ( 태평로1가)
- 서울특별시청 남산청사 - 서울특별시 중구 삼일대로 231 (예장동)
- 서울특별시청 무교로청사 - 서울특별시 중구 무교로 21 (무교동)
- 서울특별시청 서소문청사 - 서울특별시 중구 덕수궁길 15 (서소문동)
- 서울특별시청 서소문2청사 - 서울특별시 중구 서소문로 124 (서소문동)
- 서울특별시청 청계청사 - 서울특별시 중구 청계천로 8 (무교동)
- 부산광역시청 - 부산광역시 연제구 중앙대로 1001 ( 연산동)
- 대구광역시청
- 대구광역시청 동인청사 (舊. 본청) - 대구광역시 중구 공평로 88 ( 동인동1가)
- 대구광역시청 산격청사 (舊. 별관) - 대구광역시 북구 연암로 40 ( 산격동)
- 인천광역시청 - 인천광역시 남동구 정각로 29 ( 구월동)
- 광주광역시청 - 광주광역시 서구 내방로 111 ( 치평동)
- 대전광역시청 - 대전광역시 서구 둔산로 100 ( 둔산동)
- 울산광역시청 - 울산광역시 남구 중앙로 201 ( 신정동)
- 세종특별자치시청 - 세종특별자치시 한누리대로 2130 ( 보람동)
3.2. 기초자치단체
※ 별관과 분청사는 주소지가 다른 경우만 기재한다.- 경기도
- 고양시청 - 고양시 덕양구 고양시청로 10
- 과천시청 - 과천시 관문로 69
- 광명시청 - 광명시 시청로 20
- 광주시청 - 광주시 행정타운로 50
- 구리시청 - 구리시 아차산로 439
- 구리시청 별관 - 구리시 아차산로 435
- 군포시청 - 군포시 청백리길 6
- 김포시청 - 김포시 사우중로 1
- 남양주시청 - 남양주시 경춘로 1037
- 남양주시청 제2청사 - 남양주시 경춘로 522
- 동두천시청 - 동두천시 방죽로 23
- 부천시청 - 부천시 원미구 길주로 210
- 성남시청 - 성남시 중원구 성남대로 997
- 수원시청 - 수원시 팔달구 효원로 241
- 시흥시청 - 시흥시 시청로 20
- 안산시청 - 안산시 단원구 화랑로 387
- 안성시청 - 안성시 시청길 25
- 안양시청 - 안양시 동안구 시민대로 235
- 양주시청 - 양주시 부흥로 1533
- 여주시청 - 여주시 세종로 1
- 여주시청 별관 - 여주시 세종로 10
- 오산시청 - 오산시 성호대로 141
- 용인시청 -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199
- 의왕시청 - 의왕시 시청로 11
- 의정부시청 - 의정부시 시민로 1
- 의정부시청 별관 - 의정부시 의정로46번길 25
- 이천시청 - 이천시 부악로 40
- 파주시청 - 파주시 시청로 50
- 파주시청 별관 - 파주시 시청로 51
- 평택시청 - 평택시 경기대로 245
- 평택시청 별관 - 평택시 평택5로 78
- 포천시청 - 포천시 중앙로 87
- 포천시청 별관 - 포천시 중앙로 77
- 포천시청 2별관 - 포천시 중앙로 80
- 포천시청 3별관 - 포천시 중앙로 73
- 포천시청 4별관 - 포천시 중앙로61번길 9-6
- 포천시청 5별관 - 포천시 호국로 1518
- 포천시청 6별관 - 포천시 중앙로 92
- 하남시청 - 하남시 대청로 10
- 하남시청 별관 - 하남시 대청로21번길 32
- 화성시청 - 화성시 시청로 159
* 전북특별자치도
- 군산시청 - 군산시 시청로 17
- 김제시청 - 김제시 중앙로 40
- 남원시청 - 남원시 시청로 60
- 익산시청 - 익산시 인북로32길 1
- 익산시청 제2청사 - 익산시 인북로38길 1
- 전주시청 - 전주시 완산구 노송광장로 10
- 정읍시청 - 정읍시 충정로 234
- 경상남도
- 경상북도
[1]
자치권을 가진 자치시청
[2]
자치권이 없는 행정시청.
타이완의 현할시들은 City Office이다. 한국의 경우도
제주특별자치도 산하에 있는 제주시와 서귀포시청은 자치권이 없는 행정시라서 이 부류에 해당한다. 그러나 정작 버스정류장 등 곳곳에선 죄다 City Hall이라 표기하고 있다(...).
[3]
대한민국에서 대표적인 예가
시흥시와
사천시가 있다. 그나마 시흥시청은 최근 주변 개발에 진척이 붙어 과거처럼 동떨어진 입지는 아니다.
[4]
대한민국에서 대표적인 예가
용인시,
성남시,
강릉시가 있다.
[5]
유일하게
아오모리현
하치노헤시가 市役所가 아닌 한국처럼 市庁이라고 쓴다.
[6]
이 중심부는 지리적 중심부일수도 있고 인구, 기능이 밀집된 곳일 수도 있다.
[7]
기존 대구시청(+
산격청사 포함)이 2025년에 이 곳으로 이전 완료하게 되면 기존 감삼역에서 시청역으로 명칭이 바뀔 예정이다.
[8]
광주 지하철 2호선 역 중 하나이나 아직 미개통.
[9]
참고로
서울 지하철
시청역 외에
김해시청역,
부천시청역,
사우(김포시청)역,
수원시청역,
시청용인대역,
시흥시청역,
의정부시청역,
인천시청역,
하남시청역,
고천(의왕시청)역,
양산시청역,
화성시청역--이 존재한다.
[10]
전국에서 둘 밖에 없는 행정시들로, 자치권이 없으며 도청의 위임 사무만 담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