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3 18:19:05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파일:나무위키+유도.png  
브레즈네프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브레즈네프라고 불렸던 도시에 대한 내용은 나베레즈니예첼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colbgcolor=#cd0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40000, #cd0000 20%, #cd0000 80%, #a40000); color: #ffd7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초대
인민위원장

블라디미르 레닌
제2대
이오시프 스탈린
임시
게오르기 말렌코프
제3대
니키타 흐루쇼프
제4대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제5대
유리 안드로포프
제6대
콘스탄틴 체르넨코
제7대
미하일 고르바초프
}}}}}}}}}}}}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colbgcolor=#cd0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40000, #cd0000 20%, #cd0000 80%, #a40000); color: #ffd7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d700> 국가원수
<rowcolor=#ffd700> 소비에트대회 중앙집행위원회 주석 소련 최고회의 상무회 주석
초대 초대 제2대 제3대
미하일 칼리닌 미하일 칼리닌 니콜라이 시베르니크 클리멘트 보로실로프
<rowcolor=#ffd700> 소련 최고회의 상무회 주석
제4대 제5대 제6대 제7대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아나스타스 미코얀 니콜라이 포드고르니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rowcolor=#ffd700> 소련 최고회의 상무회 주석
제8대 제9대 제10대 제11대
유리 안드로포프 콘스탄틴 체르넨코 안드레이 그로미코 미하일 고르바초프
<rowcolor=#ffd700> 소련 최고회의 주석 소비에트 연방 대통령
초대 초대
미하일 고르바초프 미하일 고르바초프
<rowcolor=#ffd700> 정부수반
<rowcolor=#ffd700> 소련 인민위원장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블라디미르 레닌 알렉세이 리코프 뱌체슬라프 몰로토프 이오시프 스탈린
<rowcolor=#ffd700> 소련 장관회의 주석
제4대 제5대 제6대 제7대
이오시프 스탈린 게오르기 말렌코프 니콜라이 불가닌 니키타 흐루쇼프
<rowcolor=#ffd700> 소련 장관회의 주석 소비에트 연방 총리
제8대 제9대 제10대 제11대
알렉세이 코시긴 니콜라이 티호노프 니콜라이 리시코프 발렌틴 파블로프
<rowcolor=#ffd700> 서기장
<rowcolor=#ffd700>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기술서기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서기국 주석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책임서기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옐레나 스타소바 야코프 스베르들로프 옐레나 스타소바 니콜라이 크레스틴스키
<rowcolor=#ffd700>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책임서기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서기장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제1서기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뱌체슬라프 몰로토프 이오시프 스탈린 니키타 흐루쇼프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rowcolor=#ffd700>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 서기장
제8대 제9대 제10대 제11대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유리 안드로포프 콘스탄틴 체르넨코 미하일 고르바초프
}}}}}}}}} ||

파일:800px_Soviet Army-Communist_star_with_golden_border_and_red_rims.png
소비에트 연방군
원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육군
파일:USSRGeneralissimooftheSoviet Union.png 파일:투명.png
이오시프 스탈린P
파일:USSRMarshal.png 파일:투명.png
소비에트 연방 원수
Маршал Советского Союза
소비에트 연방 초기 5원수

미하일 투하쳅스키 · 바실리 블류헤르 · 세묜 부됸니 · 알렉산드르 예고로프 · 클리멘트 보로실로프P
제2차 세계 대전기

게오르기 주코프 · 그리고리 쿨리크 · 레오니트 고보로프 · 로디온 말리놉스키 · 보리스 샤포시니코프 · 세묜 티모셴코 · 알렉산드르 바실렙스키 · 이반 코네프 · 이오시프 스탈린P · 콘스탄틴 로코솝스키 · 키릴 메레츠코프 · 표도르 톨부힌
냉전기

니콜라이 불가닌P · 니콜라이 오가르코프 · 니콜라이 크릴로프SRF · 드미트리 야조프 · 드미트리 우스티노프 · 레오니트 브레즈네프P · 마트베이 자하로프 · 바실리 소콜롭스키 · 바실리 추이코프 · 바실리 페트로프 · 빅토르 쿨리코프 · 세르게이 비류조프AD, SRF · 세르게이 소콜로프 · 세르게이 아흐로메예프 · 세묜 쿠르콧킨 · 안드레이 그레치코 · 안드레이 예료멘코 · 이반 바그라먄 · 이반 야쿠봅스키 · 키릴 모스칼렌코SRF · 파벨 바티츠키AD · 표트르 코셰보이 · 필리프 골리코프P
NKVD
제2차 세계 대전기

라브렌티 베리야
해군
파일:CCCP-Navy-OF-10_(1943–1955).svg.png 파일:투명.png
함대 제독
{{{-2 Адмирал Флота}}}
제2차 세계 대전기

니콜라이 쿠즈네초프 · 이반 이사코프
파일:USSRAdmiraloftheFleetoftheSovietUnion.png 파일:투명.png
소비에트 연방 함대 제독
Адмирал Флота Cоветского Cоюза
냉전기

니콜라이 쿠즈네초프 · 세르게이 고르시코프 · 이반 이사코프
비고 P : 정치장교, AD : 방공군, SRF : 전략로켓군
※ 진급시기 기준 세분, 2차 대전기는 전간기부터 1945년 8월까지 해당.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d0000, #d40000 20%, #d40000 80%, #cd0000); color: #ffe4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e400> 소비에트 공화국 혁명군사위원회 정치행정국장 (1919-1922)
<rowcolor=#ffe400> 초대 제2대 제3대
이바르 스밀가 바실리 솔로비예프 세르게이 구세프
<rowcolor=#ffe400> 제4대 제5대 제6대
레오니트 세레브랴코프 블라디미르 안토노프오브셴코 안드레이 부브노프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e400> 노농적군 정치행정국장 (1924-1940) 노농적위함대 정치행정국장 (1938-1940)
<rowcolor=#ffe400> 초대 초대
안드레이 부브노프 미하일 샤포시니코프
<rowcolor=#ffe400> 제2대 제2대
얀 가마르니크 이반 나데진
<rowcolor=#ffe400> 제3대 제3대
표트르 스미르노프 이반 로고프
<rowcolor=#ffe400> 제4대
레프 메흘리스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e400> 노농적군 정치선전국장 (1940-1941) 노농적위함대 정치선전국장 (1940-1941)
<rowcolor=#ffe400> 제5대 제4대
레프 메흘리스 이반 로고프
<rowcolor=#ffe400> 제6대
알렉산드르 자포로제츠
<rowcolor=#ffe400> 제7대
레프 메흘리스
<rowcolor=#ffe400> 노농적군 주정치국장 (1941-1946) 노농적위함대 주정치국장 (1941-1946)
<rowcolor=#ffe400> 제8대 제5대
레프 메흘리스 이반 로고프
<rowcolor=#ffe400> 제9대
알렉산드르 시체르바코프
<rowcolor=#ffe400> 제9대
이오시프 시킨
<rowcolor=#ffe400> 소비에트 연방군 주정치국장 (1946-1953)
<rowcolor=#ffe400> 초대 제2대
이오시프 시킨 표도르 쿠즈네초프
<rowcolor=#ffe400> 소비에트 연방군 주정치국장 소비에트 해군 주정치국장 (1950-1953)
<rowcolor=#ffe400> 제3대 초대
표도르 쿠즈네초프 세묜 자하로프
<rowcolor=#ffe400> 제4대 제2대
콘스탄틴 크라이뉴코프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rowcolor=#ffe400> 제5대
표도르 쿠즈네초프
<rowcolor=#ffe400> 소비에트 연방 국방부 주정치국장 (1953-1958) 소비에트 연방 육해군 주정치국장 (1958-1991)
<rowcolor=#ffe400> 초대 제2대 제3대
알렉세이 젤토프 필리프 골리코프 필리프 골리코프
<rowcolor=#ffe400> 소비에트 연방 육해군 주정치국장
<rowcolor=#ffe400> 제4대 제5대 제6대
알렉세이 예피셰프 알렉세이 리지체프 니콜라이 실랴가
<rowcolor=#ffe400> 소비에트 연방군 군사정치국장 (1991)
<rowcolor=#ffe400> 제7대
니콜라이 실랴가 }}}}}}}}}

파일:800px_Soviet Army-Communist_star_with_golden_border_and_red_rims.png 제2차 세계 대전 소련군 장성급 장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수
Маршал Советского Союза / Адмирал флота
육군
원수
클리멘트 보로실로프P | 세묜 부됸니 | 세묜 티모셴코 | 보리스 샤포시니코프 | 게오르기 주코프 | 알렉산드르 바실렙스키 | 이오시프 스탈린P | 이반 코네프 | 레오니트 고보로프 | 콘스탄틴 로코솝스키 | 로디온 말리놉스키 | 표도르 톨부힌 | 키릴 메레츠코프 | 라브렌티 베리야
해군
원수
니콜라이 쿠즈네초프 | 이반 이사코프
병과상원수
Главный маршал рода войск
육군
병과상원수
포병상원수
니콜라이 보로노프
항공상원수
알렉산드르 노비코프 | 알렉산드르 골로바노프
병과원수
Маршал рода войск
육군
병과원수
포병원수
니콜라이 야코블레프
기갑원수
파벨 로트미스트로프 | 세묜 보그다노프 | 파벨 리발코 | 야코프 페도렌코
통신원수
이반 페레십킨
공병원수
미하일 보로비요프
항공원수
세르게이 후댜코프
대장
Генерал армии
육군
대장
이반 튤레네프 | 드미트리 파블로프1 | 니콜라이 바투틴 | 알렉세이 안토노프 | 안드레이 예료멘코 | 바실리 소콜롭스키 | 안드레이 흐룰료프 | 이반 바그라먄 | 이반 체르냐홉스키 | 게오르기 자하로프 | 이반 마슬렌니코프 | 막심 푸르카예프 | 이반 페트로프 | 니콜라이 불가닌 | 마트베이 자하로프
상장
Генерал-полковник / Адмирал
육군
상장
미하일 키르포노스 | 야코프 체레비첸코 | 표도르 쿠즈네초프 | 필리프 골리코프 | 막스 레이테르 | 바실리 쿠즈네초프 | 파벨 쿠로치킨 | 바실리 고르도프 | 바실리 카자코프A | 키릴 모스칼렌코 | 안드레이 그레치코 | 세르게이 바렌초프A | 바실리 추이코프 | 니칸드르 치비소프 | 미트로판 네델린A | 미하일 카투코프T | 마르키안 포포프2 | 드미트리 렐류셴코 | 세르게이 비류조프 | 안드레이 즈다노프 | 파벨 바토프 | 니콜라이 크릴로프 | 이반 페듀닌스키 | 세르게이 시테멘코 | 이반 치스차코프 | 알렉산드르 고르바토프 | 알렉세이 프로실랴코프Sa | 안드레이 크라브첸코T | 테렌티 시티코프 | 드미트리 우스티노프 | 세묜 이바노프 | 이반 류드니코프 | 이사 플리예프 | 뱌체슬라프 츠베타예프 | 미하일 슈밀로프 | 니콜라이 나고르니A | 아파나시 벨로보로도프 | 니콜라이 푸호프 | 콘스탄틴 베르시닌AAF | 스테판 크라솝스키 AAF | 세르게이 루덴코 AAF | 블라디미르 수데츠 AAF | 파벨 지가레프 AAF
해군
상장
레프 갈레르 | 아르세니 골로프코 | 블라디미르 트리부츠 | 이반 유마셰프 | 가브릴 자시힌A | 필리프 옥탸브리스키 | 블라디미르 알라푸조프 | 고르데이 레브첸코
중장
Генерал-лейтенант / Вице-адмирал
육군
중장
드미트리 랴비셰프 | 미하일 예프레모프 | 파벨 폴루보야로프T | 이반 자하르킨 | 안드레이 블라소프4 | 알렉산드르 로딤체프 | 바실리 글라주노프 | 표트르 코셰보이 | 알렉산드르 루친스키 |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 미하일 글린스키 | 안드레이 게트만T | 알렉세이 라지옙스키T | 표트르 이바슈틴 | 파벨 쿨레쇼프A | 니콜라이 비류코프 | 야쿠브 차니셰프 | 미하일 루킨 | 예브게니 로기노프 AAF | 예브게니 사비츠키 AAF
해군
중장
유리 판텔레예프 | 니콜라이 하를라모프 | 세르게이 고르시코프
소장
Генерал-майор / Контр-адмирал
육군
소장
미하일 페트로프 | 파벨 바티츠키 | 이반 야쿠봅스키 | 아마자습 바바자냔T | 이반 파블롭스키 | 이오시프 구사콥스키T | 그리고리 쿨리크3 | 콘스탄틴 카자코프A | 필리프 아갈초프AAF | 게오르기 지민 AAF
해군
소장
블라디미르 카사토노프
A: 포병, T: 기갑, Si: 통신, Sa: 공병, AAF: 항공
※ 문서가 있는 인물만 종전 당시 계급으로 서술
※ 병과원수랑 병과상원수는 대장과 동급이나 의전서열상 대장과 원수 사이에 있었다
※ 포병·기갑·통신·공병·항공 장교는 상장→대장이 아닌 상장→병과원수로 진급
※ 윗 첨자 : 전사
1. 반공 및 지시불이행 혐의로 총살당했으나 전후 1957년 7월 31일 무죄로 판결나면서 복권
2. 1944년 4월 20일 대장에서 상장으로 강등, 전후 1953년 8월 3일 대장 계급 복권
3. 1942년 3월 17일 원수→소장으로 4계급 강등 및 1945년 7월 19일 중장→소장으로 강등
4. 1942년 7월 12일 독일군에게 생포당한 이후 나치 독일에 전향, 종전 후 체포되어 나치 부역 혐의로 사형됨
}}}}}}}}}
<colbgcolor=#cd0000><colcolor=#ffe400,#ffe300>
소비에트 연방 공산당 중앙위원회 제3대 서기장
소비에트 연방 제4·7대 최고회의 상무회 주석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Леони́д Бре́жнев | Leonid Brezhnev
파일:3774231-img-breznev-smrt-vyroci-v2.jpg
본명 레오니트 일리치 브레즈네프
Леони́д Ильи́ч Бре́жнев
Leonid Ilyich Brezhnev
출생 1906년 12월 19일
러시아 제국 예카테리노슬라프현 카멘스코예
(現 우크라이나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주 카미얀스케)
사망 1982년 11월 10일 (향년 75세)[1]
소련 러시아 SFSR 모스크바주 오딘초보구 자레치예
(現 러시아 중앙 연방관구 모스크바주 오딘초보 지구 자레치예)
묘소 크렘린 벽 묘지
재임기간 제3대 서기장
1964년 10월 14일 ~ 1982년 11월 10일
제4대 최고회의 상무회 주석
1960년 5월 7일 ~ 1964년 7월 15일
제7대 최고회의 상무회 주석
1977년 6월 16일 ~ 1982년 11월 10일
서명
파일:레오니트 브레즈네프 서명.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cd0000><colcolor=#ffe400,#ffe300> 부모 아버지 일리야 야코블레비치 브레즈네프
어머니 나탈리야 데니소브나 브레즈네바[2]
형제자매 남동생 야코프,[3] 여동생 베라[4]
배우자 빅토리야 페트로브나 브레즈네바[5]
자녀 아들 유리 레오니도비치 브레즈네프
딸 갈리나 레오니도브나 브레즈네바
학력 드네프로제르진스크 금속 연구소[6]
종교 국가 무신론[7]
신장 176cm
소속 정당
[[소련 공산당|]]
주요 서훈 소비에트 연방 영웅 (4회)
사회주의노력영웅
레닌훈장 (8회)
10월 혁명 훈장 (2회)
적기훈장 (2회)
적성훈장
전승훈장[8]
복무 노농적군
1941년 ~ 1946년
소비에트 지상군
1946년
최종 계급 중장 ( 제2차 세계 대전)
원수
주요 참전 제2차 세계 대전 ( 독소전쟁) }}}}}}}}}
1. 개요2. 생애3. 평가4. 관계
4.1. 미국 정상과의 관계4.2. 김일성과의 관계
5. 여담6. 대중매체에서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레오니트 브레즈네프 (1980).jpg

소련 정치인. 1964년부터 1982년까지 소비에트 연방 제4대 최고지도자를 지냈으며, 소련 공산당 서기장 소련 최고회의 상무회 주석을 지냈다. 1964년에 전임자 니키타 흐루쇼프를 축출해낸 이래로 1982년 죽을 때까지 18년간 집권했다.[9]

전임자 흐루쇼프는 대내적으로는 급진적인 개혁, 대외적으로는 모험주의적인 대미 강경 노선을 펼친 반면, 브레즈네프는 체제 개혁은 보류했지만, 시끄러운 '열전'보다는 평화를 선호했다. 그러나, 브레즈네프는 전임자가 그랬듯이 미소 간의 핵 전력 격차를 우려하고 있었다. 그래서 핵 전력 격차 문제를 해결하고 소련의 패권을 유지하기 위해 재임 기간 내내 군비 투자를 대폭 늘렸다.

그의 집권기에 국민 생활은 계속 개선되었다.[10] 흐루쇼프 벼랑 끝 전술을 반대하고 데탕트를 통해 세계평화를 이루려 많은 노력을 한 결과, 흐루쇼프 시절보다 전쟁의 위협이 줄어드는 등, 긍정적인 결과를 이끌어냈다. 본인이 주도해 흐루쇼프를 축출했으면서도 흐루쇼프의 체제 완화 조치를 상당 부분 유지했기 때문에 일부 정치학자들은 브레즈네프 시기를 "흐루쇼프 없는 흐루쇼프 체제"라고 부른다.[11][12]

다만, 어두운 면도 있었다. 스탈린 사후부터 준비한 리베르만 - 코시긴 개혁이 많은 성과에도 불구하고 부작용이 심각해 중단되었으며 60년대 초반 연간 5% 이상의 고성장을 거듭하던 소련 경제의 성장이 점차 낮아지고 있음에도 좋은 방안을 내놓지 못하고 70년대 후반의 저성장(평균 2%)을 야기했다. 그리고 이는 1980년대 소련 경제 붕괴의 단초가 되었다. 이밖에도 소련 체제의 모순과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조짐을 방관하여 연방 해체의 싹을 키웠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또한 그는 이러한 상황에서 국방 예산을 대폭 늘려 소련 경제에 큰 부담을 주고 군부의 비대화를 야기했다.[13]

그래도 러시아 내에서는 브레즈네프에 대한 평가가 꽤 높은 편이다. 스탈린 시대의 공포 정치도, 연방 해체 시기의 아비규환도 없이 비교적 평온한 시기였던 데다가 유가 급등으로 벌어들인 풍부한 오일 머니로 다양한 기호품과 사치품을 소련 인민들에게 제공하고, 생필품과 소비재의 공급도 이전 시기에 비해 늘어났기 때문이다.[14]

2. 생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레오니트 브레즈네프/생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평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레오니트 브레즈네프/평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관계

4.1. 미국 정상과의 관계

틈만나면 존 F. 케네디를 얕잡아보던 니키타 흐루쇼프와 달리 브레즈네프는 1979년 소련의 아프가니스탄 침공 이전까지 미국 정상과의 관계는 원만했다.

4.2. 김일성과의 관계

북한과 단독 수교국이었던 특성상 여러 번 정상회담을 가지며 우호관계를 다져나갔지만, 이는 겉치레였고 브레즈네프를 포함한 소련 지도부는 김일성을 극단적으로 혐오했다. 기본적으로 북한은 제2세계가 아니라 제3세계국가로 행동했고, 소련이나 동유럽과 우호관계는 유지하고 있었지만, 오히려 제3세계권 [17]과 공조를 하면서 중소 양국사이에서 외교적 줄타기를 하면서 양국으로부터 많은 것을 원조만 받았으며 중소 양국도 북한을 상대하는 것을 까다롭게 여겼다. 1970년대에 북한은 친중외교를 펼쳤고, 브레즈네프는 데탕트 체제를 통해 미국과의 긴장완화에 주력했는데 북한은 이에 아랑곳 없이 푸에블로호 피랍사건, EC-121 격추 사건,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 등로 미국과 긴장을 고조시켰기 때문에 소련은 북한을 외교적 골치거리로 여겼다.[18] 다만 1970년대 말 지미 카터가 집권하여 주한미군을 철수시키는 것을 검토하자, 북한측도 미국을 자극하지 않도록 군사도발을 자제하여 1970년대 말부터는 데탕트를 추구하는 소련과의 관계가 좋아지기 시작한다.

이에 맞춰 1970년대 말부터 중미관계가 좋아지면서, 다시 북한과 중국의 사이가 소원해졌고, 이를 틈타 브레즈네프의 말기에는 북한과 소련은 사이가 좋아진다. 이때 북한은 소련의 최신예기인 MiG-29를 도입 약속을 받아내며 1987년 결국 도입되어 한국 공군은 긴장하였다.

5. 여담

파일:external/i286.photobucket.com/14-SovietleaderLeonidBrezhnevandEas.jpg
* 개그물로 패러디된 모습이며 배우의 외모도 엄청난 싱크로율을 자랑한다.
* 이 사람도 인간 관악기를 피하지 못했다.
어느 날 브레즈네프는 크렘린의 주치의를 찾아가서 수술을 해달라고 부탁했는데, 그 내용이 범상치 않았다.

"의사 동무, 오늘은 가슴 확대 수술을 해주시오."

주치의가 화들짝 놀라며 말했다.

"아니 브레즈네프 동지, 이게 무슨 말씀이십니까! 성전환 수술이라도 바라시는 것인가요?"

"새 훈장이 나왔는데 훈장을 달 자리가 없어서 그렇소!"
"제기랄! 저 브레즈네프 낯짝 좀 그만 보고 싶군. 악어한테나 잡아먹혀라!"

"이봐 라비노비치[27], 악어한테 불쌍한 소리 하지 말라고. 브레즈네프를 잡아먹으면 2주 동안 똥으로 훈장을 싸지 않겠나?"
1969년 1월, 모스크바의 크렘린 성벽 인근에서 브레즈네프에 대한 암살 미수 사건이 일어났다. 범인 빅토르 일리닌은 현장에서 즉시 체포되어 심문을 받았다.[28]

"그나저나 당신이 군인이였다니, 다행히 암살에 실패한 게 더 신기할 따름이군."

"내가 권총을 빼들자마자 옆에 있던 사람들이 덤벼들었소."

"과연 인민들이 우리 지도자의 생명을 구했구먼!"

"그게 아니고, 모두 자기가 쏘겠다며 권총을 달라고 아우성치는 바람에 실패한 거란 말이오..."

6. 대중매체에서

1970년대 말 1980년대 초기 미국의 반공극에서 소련의 높으신 분 내지는 최종 보스격으로 자주 출연했다. 아예 브레즈네프 이름을 달고 나오는 경우보다는 주로 브레즈네프 비슷한 높으신 분이 악역으로 나오는 경우가 대부분. 1980년대 미국에서 리처드 닉슨 시대를 다룬 인기 정치 드라마에 나온 브레즈네프는 의외로 그의 이미지를 잘 구현했다고 한다. 느글느글하게 닉슨 행정부를 조종하려고 하는 암흑보스의 이미지가 잘 나왔다는 평.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 <tablebordercolor=#cc0000><tablebgcolor=#cc0000> 파일:브레즈네프 투명.svg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cc0000> 생애 생애
기타 평가 · 대중매체
관련 인물 니키타 흐루쇼프 · 유리 안드로포프 · 안드레이 그로미코 · 드미트리 우스티노프 · 콘스탄틴 체르넨코 · 알렉세이 코시긴 · 린든 B. 존슨 · 리처드 닉슨 · 제럴드 포드 · 지미 카터 · 로널드 레이건 · 빌리 브란트 · 조르주 퐁피두 · 발레리 지스카르데스탱 · 마오쩌둥 · 김일성 · 피델 카스트로 · 알렉산데르 둡체크 · 보이치에흐 야루젤스키
전쟁 베트남 전쟁 · 욤 키푸르 전쟁 · 중월전쟁 · 앙골라 내전 ·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1979~1989),
정책 현실사회주의 · 브레즈네프 독트린 · 전략무기제한협정
냉전 프라하의 봄 · 중국-소련 국경분쟁 · 데탕트 · 대한항공 902편 격추 사건
파일:낫과 망치.svg 공산주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상징 <colcolor=#000,#fff> 국기 · 국장 · 국호 · 노동자 마르세예즈 · 인터내셔널가 · 소련 찬가 · 낫과 망치 · 붉은 별
정치 정치 전반 · 소련 공산당 · 소련 공산당대회 · 크렘린 · 레닌 영묘 · 크렘린 벽 묘지 · 소련 최고회의 · 소련 장관회의 · 헌법
블라디미르 레닌 · 이오시프 스탈린 · 니키타 흐루쇼프 ·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 유리 안드로포프 · 콘스탄틴 체르넨코 · 미하일 고르바초프
최고지도자( 서기장) · 국가수반 · 대통령
군사 소련군( 장비 · 소련 육군 · 소련 해군 · 소련 공군 · 소련 방공군 · 소련 전략로켓군) · 스타프카 · 소련 국방장관 · 스페츠나츠 · 정치장교 · 바르샤바 조약 기구 · 열병식
소련의 핵개발( RDS-1 · 차르 봄바 · 세미팔라틴스크) · 소련군 vs 미군 · 소련군 vs 자위대 · 대외전쟁
치안 체카 · NKVD · KGB
경제 경제 · 경제사 · 소련 루블 ·
인문 민족 · 언어 · 종교
역사 역사 · 러시아 혁명 · 러시아 내전 · 신경제정책 · 대숙청 · 독소 폴란드 점령( 카틴 학살) · 대조국전쟁 · 소련-일본 전쟁 · 냉전( 6.25 전쟁 · 스푸트니크 쇼크 · 쿠바 미사일 위기 ·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 1980 모스크바 올림픽) · 글라스노스트 & 페레스트로이카 · 소련 존속 여부 국민투표 · 8월 쿠데타 · 소련 붕괴 ·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
외교 외교 · 미소관계 · 소련-유고슬라비아 관계( 티토-스탈린 결별) · 중소관계( 중국-소련 국경분쟁 · 중소결렬) · 나치 독일-소련 관계( 독소 불가침조약) · 독러관계 · 북소관계 · 한소관계 · 소일관계 · 소련-몽골 관계 · 소련-대만 관계 · 친소 · 소비에트 제국 · 브레즈네프 독트린 · 인테르코스모스
문화 문화 · 사회주의 리얼리즘 · 사미즈다트
막심 고리키 · 보리스 파스테르나크 · 미하일 숄로호프 ·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 스트루가츠키 형제
블라디미르 비소츠키 ·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 드미트리 카발레프스키 · 아람 하차투리안 · DDT(밴드) · 키노
교육
요리
공휴일
우주 콘스탄틴 치올코프스키· 반작용 추진 연구 그룹 · 세르게이 코롤료프 · 블라디미르 첼로메이 · 유리 가가린 · 발렌티나 테레시코바 · 알렉세이 레오노프
스푸트니크 · 소유즈 우주선 · 보스토크 계획 · 보스호드 계획 · 살류트 프로그램 · 미르 우주정거장
바이코누르 우주기지 · 소유즈-아폴로 테스트 프로젝트 · 인테르코스모스
}}}}}}}}} ||



[1] 사인은 급성 심장 발작. [2] 혼전성은 '마잘로바(Мазалова)'. [3] 1912–1993. [4] 1910–1997. [5] 혼전성은 '데니소바(Денисова)'. [6] 지금의 드니프로 주립기술대학교. [7] 아니라는 설도 있다. 여담 항목 참고. [8] 1978년 본인에게 셀프 수여했으나 사후 1989년에 박탈됐다. [9] 하지만 브레즈네프는 겉으로는 장기집권했지만 실질적으로는 온화하고 우유부단한 성격으로 정치국의 집단지도체제를 본의아니게 이끌었다. [10] 1960년대 후반 ~1980년대 초는 소련의 전성기로 기억된다. [11] 냉전 시기에는 그가 흐루쇼프의 여러 체제 완화 조치를 스탈린 시대로 되돌렸다고 보는 시각도 있었으나, 연방 해체 이후에 기밀 문서가 대거 공개된 뒤부터 브레즈네프 체제에서도 흐루쇼프의 개혁 조치들이 그다지 변화하지 않고 지속되었다는 것이 밝혀졌다. 브레즈네프를 비롯한 당시 지도부들은 스탈린 치하에서 동료들이 숙청되어 감옥에 보내지거나 처형당하는 살얼음판을 체험한 사람들이었으니 당연히 그 시절로 돌려놓는것을 원하지 않았던 것이다. 더불어 그 숙청으로 인해 붉은 군대가 엉망이 되면서 독소전쟁에서 막대한 피해를 입었음은 두말할 것도 없었다. [12] 또한 미국은 1970년대 초, 문화 대혁명이 일어나던 중국의 인권 문제에 대해서는 정치적인 고려로 함구한 반면, 소련에 대해서는 비난을 가했다. 이 때문에 브레즈네프 시절의 인권 탄압이 흐루쇼프 때보다 더 강해진 것처럼 인식되기도 했으나, 별다른 차이는 없었다. [13] 안 그래도 정치국은 쿠바 미사일 위기의 트라우마에서 못 벗어났는데, 서방에 유화적으로 보였던 브레즈네프가 군비를 감축시킬까봐 군부는 막대한 군비 증강을 요구했다. [14] 러시아인들 입장에서 체르노빌 사건은 소련 해체 이후의 혼란상에 비하면 그다지 큰 것으로 여겨지지도 않는다. 당장에 레드 마피아가 90년대를 기점으로 급성장한 이유가, 사회적 혼란과 국가의 통제력 상실, 급격한 체제 혼란 등의 문제가 야기한 경제 붕괴, 다양한 경제 범죄, 국가 재산 횡령 등으로 큰 돈을 벌었기 때문이다. [15] 이 협정에서 브레즈네프는 2번이나 쓰러졌다. 첫 번째 쓰러졌을 때 주치의들은 회담을 연기할 것을 권고했지만 강행하기로 했으며, 치열하고 힘든 협정을 마치자 두 번째로 쓰러졌다. 이로 인해 브레즈네프는 몇 주 동안 회복을 못했으며 건강도 크게 악화되었다. 그나마 이후 다시 일어나 업무에 복귀하긴 했지만 1975년 이후에 촬영된 사진들을 보면 이전에 비해 확실히 나이가 들고 건강도 나빠진 것을 알 수 있다. [16] 건강이 크게 악화돼서 거의 혼수상태로 최종 의정서에 서명했다. [17] 대표적으로 이집트가 있다. 이집트는 1980년대이래 친미외교를 펴지만 김일성 생존 당시에는 제4차 중동전쟁에서 원조해준 북한과의 의리를 지키고자 호스니 무바라크 당시 이집트 대통령이 김일성 생전에는 한국과 수교하지 않겠다고 선언했었고, 실제로 김일성이 사망한 이듬해인 1995년에야 대한민국과 수교했다. (그 이전까지는 영사급 외교관계를 유지했다.) [18] 이 때 미국과 외교관계가 악화되었던 남한의 박정희는 소련과 외교관계를 수립하는 것을 검토했고 소련 측도 이를 긍정적으로 화답한 적이 있었다. 미국만 믿을 수 없었던 당시 유신 정부와 북한을 신뢰할 수 없게 된 소련의 이해관계가 일치했던 것이다. 그러나 난관에 부딪히며 지연되었고 결국 대한항공 902편 격추 사건으로 소련과 한국의 관계는 다시 냉각되어서 무산되었다. [19] 해당 유머는 브레즈네프 버전 이외에 블라디미르 레닌이나 이오시프 스탈린 버전도 있다. [20] 우측의 인물은 에리히 호네커 [21] 농구선수 찰스 바클리가 당했던 뽀뽀처럼 미국에도 존재는 한다. 다만 구세대의 주책맞은 행동으로 보는 경향이 있는 것 뿐이다. [22] 특히 흐루쇼프는 마오쩌둥을 만나서도 키스했는데 중국엔 그런 문화가 없었으므로 마오쩌둥은 대단히 불쾌해했다. [23] 볼코고노프는 보리스 옐친의 보좌진을 하던 사람으로, 그가 펴낸 소련 역사서는 옐친 측의 시각이 담긴 역사관임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 다만 볼코고노프도 어느날 갑자기 반공주의자로 돌변한 것은 아니고 반스탈린주의자에서 반레닌주의자로 변해 소련 체제 자체를 부정하는 단계적 전향을 거쳤다. 어쨌든 러시아 혁명과 소련 수립 자체의 정당성에 대해 의문을 품고 소련에 대해 매우 신랄하게 혹평한 사람이긴 하지만, 스탈린이 독소전쟁 승리에 산업화 등을 통해 크게 기여했으며 경험을 통해 전쟁 후반에 어느 정도 전략적 식견을 가지고 도움을 주었다고 인정하는 등 소련 체제에 대한 부분적인 고평가를 남겼기 때문에 정말로 소련을 근본적으로 증오하던 사람들에겐 어줍잖은 회색분자라고 욕을 먹었다. 일단 소련 기밀문서고를 바탕으로 알려지지 않은 정보를 많이 알린 것 자체는 학계적으로 성과라고 평가된다. [24] 사실 공산주의 체제 하에서도 정신병으로 인한 감형은 존재했다. 예를 들어 공산주의 시절 폴란드의 악명 높은 연쇄살인마 루치안 스타니아크(Lucian Staniak)의 경우, 정신병자로 분류되어 사형대에 오르는 대신 정신병원에 수감되었다. 다만 정신이 온전한 시민이 브레즈네프를 쐈다면 체제에 대한 불만이 무르익고 있다는 걸 인정하는 셈이므로 의도적으로 정신병자 판정을 내렸을 수도 있다. [25] 카터 대통령의 구순 기념 회고록에 나오는 내용이다. [26] 공산주의 국가에서는 무신론자인 을 하고 몰래 신앙심을 유지하는 경우가 많다. 이덕에 소련 해체후 정교회가 다시 활성화되는데 도움이 되었다. [27] 랍비(rabbi)를 러시아 이름처럼 바꾼 이름인데, '이반 라비노비치' 등의 이름으로 러시아의 우화 및 농담에 자주 등장하는 인물로 유대인을 상징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28] 실제 있었던 일이며, 범인의 이름도 실제로 빅토르 일리닌으로, 군인 출신이었던 것 또한 동일하다. 다만, 후술하는 심문 내용은 창작이다. [29] 다른 사회주의 지도자들인 김일성, 카다르, 차우셰스쿠, 호네커도 자동차광으로 수십대의 서방제 자동차를 보유했다고 한다. [30] 30분이면 소련의 ICBM과 SLBM이 미본토에 도달하고도 남을 시간이다. 그만한 시간동안 미국의 국가원수가 보복 핵공격 명령을 내릴 수 없는 상태에 놓였던 심각한 상황이었지만 다행히도 우발적 에피소드로 끝났다. [31] 니키타 흐루쇼프가 선물했다. 이후 브레즈네프는 딸 갈리나에게 줬다. [32] 갈리나의 남편이 선물했다. [33] 북오세티야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 살던 예졔프 무하르베크 이스마일로비치가 막심 고리키 중앙영화스튜디오에서 구입 후 선물했다. [34] 이탈리아 공산당 지도부가 선물했다. [35] 빌리 브란트가 선물했다. 역사상 단 2대만 존재했던 6도어형을 받았다. [36] 독일 여행 당시 선물받았다. [37] 리처드 닉슨이 선물했다. [38] 리처드 닉슨에게 요청한 지 3일 만에 제작돼 미국 공군 수송기로 인도받았다. [39] 리처드 닉슨에게 요청 후 구입했다. 브레즈네프의 경호원에 따르면 가장 좋아하던 차량이었다고 한다. [40] 2번째로 생산된 차량을 선물받았다. 리처드 닉슨과 헨리 키신저를 태워주기도 했다. [41] 미국의 사업가 아먼드 해머[52]가 선물했다. [42]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이 선물했는데, 타보기도 전에 운송 도중 교통사고로 파괴됐다. 일부만 복원 후 라트비아의 리가 자동차 박물관에 전시됐다. [43] 사냥을 떠날 때 자주 탔다고 한다. [44] 조르주 퐁피두가 선물했는데 시끄럽고 비좁았다고 불평했다. 이 차는 1991년 소련 해체 후 네덜란드에 사는 한 수집가에게 재판매되었다. [45] 70번째 생일 선물로 받았다. 이후 미하일 고르바초프의 지시로 폐차됐다. [46] 대조국전쟁 승전 기념으로 선물받았다. 이것이 브레즈네프가 받은 최후의 자동차 선물이다. [47] 사냥을 떠날 때 자주 탔다고 한다. 이후 모스크바의 올드 카 박물관에 전시됐다. [48] 미하일 고르바초프에 의해 폐차됐다. 좌석만 모스크바의 로마코프 자동차 박물관에 전시됐다. [49] 그 이전까지의 좀비 모드는 캠페인, 멀티와는 별개의 세계관이거나 평행 세계였다. [50] 브레즈네프가 18년 간 장기집권했고 소련의 전성기를 이끈 지도자이기 때문에 과격하고 공포스러운 이미지가 있어서 그렇지 브레즈네프 본인은 매우 신사적이고 신중한 스타일이였고 정치적인 탄압이나 과도한 대립정책도 지양하는 스타일이였다. 사실 랏소 베어의 성격 자체는 브레즈네프 보다는 전임자인 니키타 흐루쇼프에 가깝다. [51] 미국도 항모전단들을 손실하는 등 피해가 컸지만 소련 해군은 함대가 궤멸된 수준의 피해를 입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98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98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52] 배우 아미 해머의 증조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