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7 22:27:02

동덕여자대학교


파일:Document_Protect.svg   편집 보호된 문서입니다.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세요.

파일:한시적 넘겨주기 아이콘.svg   2024년 11월 10일부로 촉발된 남녀공학으로의 학교 전환 문제 및 소요사태에 대한 내용은 동덕여자대학교 남녀공학 전환 반대 시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대학 정보
학부 대학원 캠퍼스
출신 인물 사건 사고 평생교육원
}}}}}}}}} ||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의 대학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국립 <colbgcolor=#fff,#191919> 파일: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심볼.svg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파일:서울교육대학교 교표.svg 서울교육대학교 · 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
파일:육군사관학교 부대마크.svg 육군사관학교
파일:KAIST_emblem.svg 한국과학기술원(서울캠퍼스, 도곡캠퍼스) (대학원) · 파일:한국체육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체육대학교
공립 파일:서울시립대학교 엠블럼.svg 서울시립대학교
사립
파일:가톨릭대학교 앰블럼.svg 가톨릭대학교(성신교정,성의교정) · 파일:감리교신학대학교 UI.svg 감리교신학대학교 · 파일:강서대학교 엠블럼.svg 강서대학교 · 파일:건국대학교 앰블럼.svg 건국대학교 · 파일:경기대학교 로고.svg 경기대학교(서울캠퍼스) · 파일:경희대학교 로고.svg 경희대학교 · 파일:고려대학교 심볼.svg 고려대학교 · 파일:광운대학교 엠블럼.svg 광운대학교 · 파일:국민대학교 엠블럼.svg 국민대학교
파일:덕성여자대학교 상징.svg 덕성여자대학교 · 파일:동국대학교 심볼.svg 동국대학교 · 파일:동덕여자대학교_UI.svg 동덕여자대학교
파일:명지대학교 엠블럼.svg 명지대학교
파일:백석대학교 UI.svg 백석대학교(방배캠퍼스) (대학원)
파일:삼육대학교 UI.svg 삼육대학교 · 파일:상명대학교 엠블럼.svg 상명대학교 · 파일:서강대학교 심볼.svg 서강대학교 · 파일:서경대학교 심볼.svg 서경대학교 · 파일:서울기독대학교 UI.svg 서울기독대학교 · 파일:서울여자대학교_UI.svg 서울여자대학교 · 파일:서울한영대학교 UI.svg 서울한영대학교 · 파일:성공회대학교 UI.svg 성공회대학교 · 파일:SKKU_Emblem.svg 성균관대학교 · 파일:성신여자대학교 엠블럼.svg 성신여자대학교 · 파일:세종대학교 교표.svg 세종대학교 · 파일:숙명여자대학교 엠블럼.svg 숙명여자대학교 · 파일:숭실대학교 엠블럼.svg 숭실대학교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 · 파일:이화여자대학교 심볼.svg 이화여자대학교
파일:장로회신학대학교 UI.svg 장로회신학대학교 · 파일:한진그룹 심볼.svg 정석대학 · 파일:중앙대학교 엠블럼.svg 중앙대학교
파일:총신대학교 엠블럼.svg 총신대학교 · 파일:추계예술대학교 엠블럼.svg 추계예술대학교
파일:한국성서대학교 심볼.svg 한국성서대학교 · 파일:한국외국어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외국어대학교 · 파일:한성대학교 엠블럼.svg 한성대학교 · 파일:한신대학교 UI.svg 한신대학교(서울캠퍼스) (대학원) · 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학교 · 파일:호서대학교 UI.svg 호서대학교(서울캠퍼스) (대학원) · 파일:홍익대학교_UI_Blue.svg 홍익대학교
OO대학교(AA캠퍼스) : 각 대학의 제2캠퍼스 · 이원화캠퍼스
}}}}}}}}} ||
이원화 캠퍼스 목록 / 분교 목록 / 전문대학 목록 / 대학원대학 목록 / 원격대학 목록 / 평생교육기관 목록

<colbgcolor=#8b2842><colcolor=#fff> 동덕여자대학교
同德女子大學校
Dongduk Women's University
파일:동덕여자대학교_UI.svg
교훈 도의, 진리, 화합
상징 <colbgcolor=#8b2842><colcolor=#fff> 교화 목화
교색
DU RED

DU DARK GRAY

DU GOLD

DU BLACK

DU-SILVER
국가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분류 사립대학
개교 1950년 동덕여자초급대학
설립자 조동식[1]
총장 제9~10대 김명애[2]
재단 학교법인 동덕학원

월곡
서울특별시 성북구 화랑로13길 60
디자인
서울특별시 강남구 도산대로 453
공연예술
서울특별시 종로구 동숭길 126
아트
서울특별시 종로구 우정국로 68


학부생
6,834명(2022년)[3]
대학원생
384명(2020년)[4]
교직원 584명(2020년)[5]
일반재정지원 선정대학(2021)
웹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6]
소셜 미디어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지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rowcolor=#fff> 월곡캠퍼스
<rowcolor=#fff> 디자인센터
<rowcolor=#fff> 공연예술센터
<rowcolor=#fff> 아트갤러리
}}}}}}}}} ||

1. 개요2. 재단
2.1. 재단 연혁
3. 대학 재정4. 역사
4.1. 연표4.2. 역사
5. 교통
5.1. 시내버스
6. 캠퍼스7. 부속/부설 기관8. 전공(학부)9. 전공(대학원)10. 출신 인물11. 사건 사고12. 관련 문서13.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동덕여대 본관.jpg
동덕여자대학교 본관
파일:동덕여대 100주년 기념관.jpg
동덕여자대학교 100주년 기념관
동덕학원 창학 110주년과 동덕여자대학교 개교 70주년을 기념하는 영상 (2020)
융합과 혁신으로 미래를 디자인하는 동덕.
- DONGDUK VISION 2030
서울특별시 성북구 하월곡동 소재의 4년제 종합 여자대학교( 6호선 월곡역, 상월곡역)로 3여대 중 한 곳이다.

2018년, 전 세계 12,000여 개의 고등교육기관 순위를 제공하는 Webometrics[7]에 따르면, 국내 여자대학 중 4위를 차지했다.[8] Ranking Web of Universities

2. 재단

파일:Kbe4rwGr.jpg
재단은 동덕학원[9]으로, 산하의 교육기관은 동덕여자중학교, 동덕여자고등학교, 대전 성덕중학교(구 금성중학교), 동덕여자대학교/대학원, 동덕여자대학교 부속유치원이 있다.

1908년 춘강 조동식(趙東植)[10]이 동원여자의숙을 설립한 것이 시초로 그 해를 창학년도로 한다. 이후 1910년 왕족 이재극과 김인화가 설립한 동덕여자의숙을 인수합병하면서 이름이 지금의 동덕으로 바뀌었고, 1911년 천도교에서 인수하여 천도교에서 대부분의 운영비를 지원하였다.

그러다가 손병희의 타계 이후 천도교의 지원이 끊기자 학봉 이석구와 춘강 조동식 등이 1926년 재단법인 동덕여학단 재단을 설립하고 사립 동덕 여자고등보통학교를 인가 받아 비로소 제도권 내의 학교가 된다.[11] 1938년에는 개정 조선교육령에 의거 교명이 동덕 고등여학교로 바뀌었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1950년 5월 27일 대학 설립허가를 얻었으나, 6.25 전쟁이 발발하면서 실제 개교는 1951년에 이루어졌다. 다만 학교에서는 1950년 5월 27일을 대학 개교기념일로 삼는다.

정리하면, 과거 동덕여학단의 역사를 이어받은 곳은 지금의 동덕여중과 동덕여고라고 볼 수 있다. 당시 중등교육(중고등학교 교육과정)을 현재까지 승계하고 있으며, 고등교육기관으로서 대학 설립은 1950년에 새롭게 인가받은 부분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재단 설립일과 개교기념일이 일치하지 않는다.

동덕학원은 구한말 여성교육을 위해 민간자본으로 설립된 최초의 여성교육시설이라고 볼 수 있다. 2020년 현재 개교 70주년이다. #

2.1. 재단 연혁

3. 대학 재정

파일:r4ZpdKw.jpg
2015년 사립대학 법인 수익용 기본재산 확보율
85.0%로, 평균에 비하면 높은 편이다.(전국 평균 56.9%)

2014년 사립대학 등록금 의존율 현황
운용수입 중 등록금 비율이 71.7%로 전국평균 63.2%보다 높다.

대학알리미 공시정보에 따르면, 2023년 운영계산서의 등록금회계에서 운영수익 524억 7천만원, 운영비용 583억 1천만원으로 58억 4천만원의 적자가 발생한 것으로 밝혀졌다. 2024년의 적립금은 2,090억으로 2023년의 2,114억 대비 24억이 감소하였으며, 2021년 적립금의 2,234억에서 3년만에 144억이나 감소했다.

평균 등록금은 2022년 742만원에서 2024년에는 747만원으로 소폭 올랐으며, 그에 비해 학생 1인당 교육비는 2022년 1,172만원에서 2023년 1,153만원으로 20만원 가량 감소하였다. 2024년의 법인 수익용 기본재산 확보율은 134.5%로 양호한 편이였으나, 학교 운영 경비 부담율이 43.6%로 지역 평균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또한 법정부담금 부담율이 7.5%로 이는 서울권 대학중에서는 최하위권이다. #

4. 역사[15]

4.1. 연표

4.2. 역사

1950년 5월 5일 4년제 초급대학으로 문교부의 인가를 받아 그해 5월 27일 동덕여자초급대학이 개교하였다. 상과, 재봉수예과, 국문과 3개 학과로 개교하였으며, 총 정원은 50명이었다.[16] # 참고로 문교부로부터 인가받은 같은날 덕성여자초급대학도 함께 인가받았다. 초급대학은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1949년 문교부에서 새로 공포한 '교육법'에 따른 학제이며, 2년제와 4년제 초급대학이 있었다. 4년제 초급대학은 중학교 졸업자를 대상으로 한 단기대학으로 고등학교 졸업자를 대상으로 하는 2년제 초급대학보다 급이 낮았다.

그러나 개교한지 한달도 되기 전에 6.25사변이 발발하여 휴교하였다.

1953년 7월, 휴전 후 9월 서울 종로구의 임시 교사에서 개강했다.
1957년 3월, 동덕여자초급대학 제1회 졸업식이 열렸다.

1961년 8월, 종로구 관훈동 151번지[17]에 있는 5층 빌딩으로 이전했다. 1960년대 관훈동 교사 사진

1961년 11월과 1962년 3월 발표된 정부의 사립대학구조개혁 때 4년제가 폐지되고 2년제 초급대학으로 재인가되었다. 1부, 가정과, 응용미술과, 생활화학과, 국문과, 상과, 2부 가정과, 국문과, 상과로 운영되었다.

1967년 3월, 성북구 하월곡동 23번지의 현 교사로 이전했다.

1968년 3월, 4년제 동덕여자대학이 출범하여 2년제 동덕여자초급대학과 함께 운영되었다. 4년제 가정학과, 미술학과, 국어국문학과, 상학과가 신설되었다.

1971년 2년제 동덕여자초급대학을 폐지했다.

1980년 대학원 (석사 과정) 설립 인가를 받았다. 1981년 8월 대학원 건물이 준공되었다.

1987년 11월, 종합대학교로 개편 인가를 받았다. 이에 따라 1988년 교명을 동덕여자대학교로 바꾸었고, 초대 총장에 김종협 박사가 취임했다.

1988년 3월, 종합대학교 동덕여자대학교의 첫 신입생이 입학했다.

5. 교통

동덕여대는 3개의 다원화된 캠퍼스를 가지고 있다. 최초로 캠퍼스 다원화를 시도하여 성공했다.

본교 캠퍼스도 원래 있던 작은 건물을 부수고 부지를 확보하여 더 많은 강의실을 만들고 있다.

본교인 월곡 캠퍼스는 6호선 월곡역(동덕여대입구)과 상월곡역이 있으며 지하철 출구에서 학교까지 5~6분 가량 소요된다.

대학로에 위치한 혜화캠퍼스는 지하철 4호선 혜화역 공연예술센터에 공연예술대학이 위치해 있다. 청담캠퍼스는 청담역으로 디자인대학이 위치하고 있다.

전공의 특성과 주변 지역의 분위기를 고려해서 다원화 캠퍼스를 운영하고 있다. 본교와 캠퍼스 간에 스쿨버스가 운영되고 있다. 월곡에 위치한 본교와 디자인센터, 최근 신관을 짓고 리모델링한 공연예술센터. 그리고 인사동에 위치한 동덕아트갤러리까지 캠퍼스가 여러 개 있다.

5.1. 시내버스

{{{#!wiki style="word-break: keep-all"
{{{#!wiki style="text-align: left"
}}} ||
[ 정류장별 노선 목록 ]
||<-4> ||
동덕여대정문앞(08955)
월곡두산아파트 방면
마을버스
동덕여대후문앞(08527)
월곡두산아파트 방면
마을버스
두산아파트후문(08543)
월곡두산아파트 방면
마을버스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wiki style="text-align: left"
}}} ||
[ 정류장별 노선 목록 ]
||<-4> ||
월곡역(08133)
성북구보건소 방면
서울간선
서울지선
동덕여대앞(08134)
KAIST 방면
서울간선
서울지선
}}} ||}}}

6. 캠퍼스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덕여자대학교 캠퍼스에 대한 내용은 동덕여자대학교/캠퍼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부속/부설 기관

8. 전공(학부)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덕여자대학교 학부에 대한 내용은 동덕여자대학교/학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전공(대학원)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에 대한 내용은 동덕여자대학교/대학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출신 인물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덕여자대학교 출신 인물에 대한 내용은 동덕여자대학교/출신 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사건 사고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덕여자대학교 사건 사고에 대한 내용은 동덕여자대학교/사건 사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관련 문서

13. 둘러보기

파일:동덕여자대학교_UI.svg 동덕여자대학교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파일:동덕학원.svg
학교법인 동덕학원
DONGDUK EDUCATION FOUNDATION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유아교육기관
동덕여자대학교 부속유치원
중등교육기관
성덕중학교
고등교육기관
동덕여자대학교
}}}}}}}}} ||

대한민국의 여자대학교
<bgcolor=#fff,#1c1d1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font-size:.89em"
종합대학
파일:광주여자대학교 UI.svg 파일:덕성여자대학교 상징.svg 파일:동덕여자대학교_UI.svg 파일:서울여자대학교_UI.svg
파일:성신여자대학교 엠블럼.svg 파일:숙명여자대학교 엠블럼.svg 파일:이화여자대학교 심볼.svg
전문대학
파일:경인여자대학교 엠블럼.svg 파일:배화여자대학교 UI.svg 파일:부산여자대학교 심볼.svg 파일:수원여자대학교 UI.svg
파일:서울여자간호대학교 UI.svg 파일:숭의여자대학교 UI.svg 파일:한양여자대학교 엠블럼.svg
}}}}}}}}}

파일:홍릉포럼.pn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경희대학교 로고.svg 경희대학교 파일:고등과학원 심볼.svg 고등과학원 파일:고려대학교 심볼.svg 고려대학교
파일:정부상징.svg 국립산림과학원 파일:국민대학교 엠블럼.svg 국민대학교 파일:녹색기술센터 심볼.svg 국가녹색기술연구소
파일:동덕여자대학교_UI.svg 동덕여자대학교 파일: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심볼.svg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파일:서울시립대학교 엠블럼.svg 서울시립대학교
파일:서울테크노파크.png 서울테크노파크 파일:수림문화재단 심볼.svg 수림문화재단 파일:한국과학기술연구원 엠블럼.svg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파일:KAIST_emblem.svg 한국과학기술원 경영대학 파일: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심볼.svg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파일:한국국방연구원 심볼.svg 한국국방연구원
파일:한국예술종합학교_시그니쳐.svg 한국예술종합학교 파일:한국외국어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외국어대학교 파일:한국원자력의학원 심볼.svg 한국원자력의학원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가톨릭대학교 앰블럼.svg 가톨릭대학교 파일:건국대학교 앰블럼.svg 건국대학교 파일:고려대학교 심볼.svg 고려대학교
파일:광운대학교 엠블럼.svg 광운대학교 파일:국민대학교 엠블럼.svg 국민대학교 파일:덕성여자대학교 상징.svg 덕성여자대학교
파일:동국대학교 심볼.svg 동국대학교 파일:동덕여자대학교_UI.svg 동덕여자대학교 파일:육군사관학교 부대마크.svg 육군사관학교
파일:명지대학교 엠블럼.svg 명지대학교 파일:삼육대학교 UI.svg 삼육대학교 파일:상명대학교 엠블럼.svg 상명대학교
파일:서강대학교 심볼.svg 서강대학교 파일:서경대학교 심볼.svg 서경대학교 파일: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심볼.svg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파일:서울교육대학교 교표.svg 서울교육대학교 파일:서울시립대학교 엠블럼.svg 서울시립대학교 파일:서울여자대학교_UI.svg 서울여자대학교
파일:성공회대학교 UI.svg 성공회대학교 파일:성신여자대학교 엠블럼.svg 성신여자대학교 파일:세종대학교 교표.svg 세종대학교
파일:숙명여자대학교 엠블럼.svg 숙명여자대학교 파일:숭실대학교 엠블럼.svg 숭실대학교 파일:이화여자대학교 심볼.svg 이화여자대학교
파일:장로회신학대학교 UI.svg 장로회신학대학교 파일:중앙대학교 엠블럼.svg 중앙대학교 파일:총신대학교 엠블럼.svg 총신대학교
파일:추계예술대학교 엠블럼.svg 추계예술대학교 파일:강서대학교 엠블럼.svg 강서대학교 파일:한국외국어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외국어대학교
파일:한국체육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체육대학교 파일:한성대학교 엠블럼.svg 한성대학교 파일:홍익대학교_UI_Blue.svg 홍익대학교 }}}}}}}}}

파일:열린대학교육협의회 심볼.svg
OCU 컨소시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5f5f5,#000> 주관 대학
(10개교)
강릉원주대학교 국립공주대학교 국립부경대학교 제주대학교 충북대학교
동덕여자대학교 부산외국어대학교 순천향대학교 용인대학교 인제대학교
회원 대학
(73개교)
경상국립대학교 국립군산대학교 국립금오공과대학교 국립목포대학교 국립목포해양대학교
국립순천대학교 국립안동대학교 국립창원대학교 국립한국교통대학교 국립한국해양대학교
국립한밭대학교 부산교육대학교 부산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육군사관학교
인천대학교 진주교육대학교 한경국립대학교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가야대학교 경남대학교 경동대학교 경성대학교 경희대학교
고신대학교 광운대학교 국민대학교 극동대학교 김천대학교
나사렛대학교 남부대학교 단국대학교 대진대학교 동명대학교
동서대학교 동신대학교 동아대학교 동의대학교 백석대학교
부산가톨릭대학교 부산장신대학교 서강대학교 서경대학교 서울신학대학교
서울장신대학교 서울한영대학교 서원대학교 선문대학교 성결대학교
성공회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성신여자대학교 세명대학교 숭실대학교
신라대학교 신한대학교 아신대학교 안양대학교 영산대학교
울산대학교 유원대학교 인천가톨릭대학교 제주국제대학교 중앙대학교
중원대학교 창신대학교 청운대학교 한국항공대학교 한신대학교
한서대학교 협성대학교 호서대학교 홍익대학교
운영 대학
(1개교)
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
}}}}}}}}} ||

{{{#!wiki style="margin: -8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파일:SAF소속대학 로고.png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강원대학교 엠블럼.svg 강원대학교 파일:경북대학교 엠블럼.svg 경북대학교 파일:공주대학교 엠블럼.svg 국립공주대학교 파일:부산대학교 심벌마크.svg 부산대학교
파일: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심볼.svg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 파일:서울시립대학교 엠블럼.svg 서울시립대학교 파일:UNIST_emblem.svg 울산과학기술원
파일:인천대학교 엠블럼.svg 인천대학교 파일:전남대학교 교표.svg 전남대학교 파일:제주대학교 엠블럼.svg 제주대학교 파일:충북대학교 심볼.svg 충북대학교
파일:가톨릭대학교 앰블럼.svg 가톨릭대학교 파일:고려대학교 심볼.svg 고려대학교 파일:국민대학교 엠블럼.svg 국민대학교 파일:광운대학교 엠블럼.svg 광운대학교
파일:단국대학교 엠블럼.svg 단국대학교 파일:덕성여자대학교 상징.svg 덕성여자대학교 파일:동덕여자대학교_UI.svg 동덕여자대학교 파일:명지대학교 엠블럼.svg 명지대학교
파일:서강대학교 심볼.svg 서강대학교 파일:서울여자대학교_UI.svg 서울여자대학교 파일:SKKU_Emblem.svg 성균관대학교 파일:숙명여자대학교 엠블럼.svg 숙명여자대학교
파일:숭실대학교 엠블럼.svg 숭실대학교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 파일:인하대학교 엠블럼.svg 인하대학교 파일:중앙대학교 엠블럼.svg 중앙대학교
파일:POSTECH_emblem.svg 포항공과대학교 파일:한국외국어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외국어대학교 파일:한국전통문화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파일:한국항공대학교_UI.svg 한국항공대학교
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학교 파일:홍익대학교_UI_Blue.svg 홍익대학교 }}}}}}}}}

[1] 1887.08.26~1969.12.25. 1908년 동원여자의숙 설립 이후 동덕학원을 건설해 교육에 일생을 헌신한 공로로 국민훈장 무궁화장에 추서되었다. 그러나 1942년 일제 치하에서 군국의 어머니가 되어 전쟁 협력에 여성의 의무를 다 할 것을 강조하고 내선일체와 일제의 침략에 협조하자는 기고문을 게시하는 등의 행적으로 친일반민족행위자로 등재되었다. 1873년생 독립운동가 조동식과는 동명이인으로 일체 무관하다. [2] 역대 첫 여성 총장이자 첫 본교 출신 총장으로 연임 중. 임기 도중 발생한 교내 재학생 교통사고 사망 사건 동덕여자대학교 남녀공학 전환 반대 시위으로 재학생들로부터 퇴진 촉구를 받은 바 있다. # [3] 휴학생 1,220명 미포함 [4] 휴학생 50명 미포함 [5] 학부 (전임 225명, 비전임 333명), 대학원 (전임 2명, 비전임 24명) [6] 최근에 잇달아 발생한 시위대의 디도스 공격을 예방하기 위해 홈페이지가 일시적으로 개편된 상황이다 [7] 본 지표는 온라인에서의 대학교 페이지 이용 패턴 및 구성, 관련 하이퍼링크 형식 및 개수, 온라인에 게재된 연구자료 및 논문의 영향력, 외부링크, 논문 인용 수, 업로드/다운로드 파일 개수 등 온라인 데이터만을 기반으로 순위를 나눈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아는 QS, ARWU, THE, U.S. News 순위와는 방법론이 많이 다르지만 Webometrics가 제공하는 대학교 숫자 및 온라인에서 보여주는 국제적 영향력은 매우 포괄적이고 신뢰도가 높다. [8] 1위: 이화여자대학교, 2위: 숙명여자대학교, 3위: 성신여자대학교 [9] 옛 명칭은 동덕여학단. [10] 친일반민족행위자. 조동식은 황국신민화·내선일체·징병제 등 일제 식민정책 옹호에 앞장선 대표적 교육계 친일인사다. 그의 친일행적은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 보고서』 Ⅳ-16: 친일반민족행위자 결정이유서(pp.717∼746)에 관련 행적이 상세하게 채록되었다. [11] 이전의 동원여자의숙/동덕여자의숙/동덕여학교 등은 학력을 인정받는 학교가 아니고 오늘날의 학원과 같은 비인가 단체였다. [12] 오늘날 대학과 같은 고등교육기관이 아니라 지금의 중•고등학교 과정인 중등교육기관 여자고등보통학교이다. [13] 1922년 제2차 조선교육령에서 수학연한 및 교육과정을 통일시킨 데 이어, 1938년 개정 조선교육령(제3차 조선교육령)의 시행으로 고등보통학교 중학교(구제) 그리고 여자고등보통학교 고등여학교로 명칭까지 통일시킨 데 따른 것이다. [14] 해방 이후 교육과정 변경에 따른 것이다. [15] 이쪽은 동덕여대 고유의 역사다. [16] 덕성초급여자대학은 문과, 가정과 2개 학과 총 50명 정원으로 개교했다. [17] 현재 안국동 사거리 남쪽, 조계사 북쪽, 풍문여고 아래 위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