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7 13:32:47

한미정상회담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한미관계 관련 문서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wiki style="color: #000,#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000><colcolor=#fff> 역사 제너럴 셔먼호 사건 · 신미양요 · 조미수호통상조약 · 주한미국공사관 · 가쓰라-태프트 밀약 · 민족자결주의 · 태평양 전쟁 · 카이로 회담 · 미군정 · 6.25 전쟁 · 베트남 전쟁
사건사고 이철수 사건 · 코리아게이트 · 조지아주 한인 여성 살인사건 · 주한미군 윤금이씨 살해사건 · 필라델피아 한인 유학생 강도살인 사건 · 라타샤 할린스 살해사건 · LA 폭동 · 로버트 김 간첩 사건 · 이태원 살인 사건 · 버지니아 공대 총기 난사 사건 · 주한미군 독극물 한강 무단 방류 사건 · 미군 여중생 압사 사고 · 동대구역 초등생 감전 사망사고 · 2008년 촛불집회 · 마크 리퍼트 주한미국대사 피습 사건 · 2023년 미국 국방부 기밀문건 유출 사태/미국 정부의 한국 대통령실 도청 사건 · 여성시대 남성 성착취물 공유 사건 · 미국 정부의 수미 테리 기소 사건
외교 한미관계 · 한미관계/2020년대 · 한미일관계 · 주미국 대한민국 대사관 · 주한미국대사관 · 동맹대화 · 한미상호방위조약 · 한미원조협정 · 한미연합사 · 주한미군 · 한미자유무역협정 · 한미행정협정 · 한미 방위비분담특별협정 · 한미정상회담 · 6자회담 · 한미 원자력 협정 · 한미 미사일 사거리 지침 · 한미 우주협력협정 · 윤석열 정부/평가/외교/대미외교 · 2021년 한미정상회담 · 2022년 한미정상회담 · IPEF · 2023년 한미정상회담 · 워싱턴 선언 · 핵 협의그룹 · 2023년 한미일정상회담
기타 한국군 vs 미군 · 친미 · 미빠 · 반미 · 한미노선( 인천-로스앤젤레스 항공노선 · 인천-뉴욕 항공노선 · 인천-괌 항공노선 · 부산-괌 항공노선) }}}}}}}}}


1. 개요

한미정상회담()은 대한민국 대통령 미국 대통령이 만나 특정 의제에 관한 의견을 나누는 회담이다.

1990년 이후에는 APEC G20 정상회담과 같은 다자간 정상 회담에서도 한미정상회담이 이루어지고 있다.

2. 역사 및 연혁

최초의 한미정상회담은 정부가 구성된 이후 한국전쟁 중인 1952년 아이젠하워 당시 대통령 당선인의 방한으로 이승만 대통령과 최초의 정상회담이 이루어졌다. 여태껏 정상회담을 가장 많이 한 한국 정부는 이명박 정부로 총 11회였다.[1] 그리고 미국 행정부로는 조지 W. 부시 행정부가 15회로 가장 많이 한미정상회담을 진행했다.[2] 또한 가장 많이 회담이 성사된 대통령 조합은 문재인- 트럼프 대통령으로 9번을 회담했다.[3] 현재까지 한미정상회담은 74번 성사되었다.[4]
회차 연도 시작일 종료일 대한민국 대통령 미국 대통령 장소
1차 1952년 12월 2일 12월 5일 이승만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차 1954년 7월 25일 8월 13일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파일:미국 국기.svg
3차 1960년 6월 19일 6월 20일 허정[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4차 1961년 11월 11일 11월 25일 박정희[7] 존 F. 케네디 파일:미국 국기.svg
5차 1965년 5월 16일 5월 26일 박정희 린든 B. 존슨
6차 1966년 10월 31일 11월 2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차 1968년 4월 17일 4월 20일 파일:미국 국기.svg 하와이
8차 1969년 8월 20일 8월 23일 리처드 닉슨 파일:미국 국기.svg 샌프란시스코
9차 1974년 11월 22일 11월 23일 제럴드 포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0차 1979년 6월 30일 7월 1일 지미 카터
11차 1981년 1월 28일 2월 7일 전두환 로널드 레이건 파일:미국 국기.svg
12차 1983년 11월 12일 11월 14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3차 1985년 4월 24일 4월 29일 파일:미국 국기.svg
14차 1988년 10월 17일 10월 22일 노태우 파일:미국 국기.svg
15차 1989년 2월 27일 조지 H. W. 부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6차 10월 15일 10월 20일 파일:미국 국기.svg
17차 1990년 6월 3일 6월 8일 파일:미국 국기.svg
18차 1991년 7월 1일 7월 3일 파일:미국 국기.svg
19차 9월 22일 9월 25일 파일:미국 국기.svg 뉴욕
20차 1992년 1월 5일 1월 7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1차 1993년 7월 10일 7월 11일 김영삼 빌 클린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2차 11월 17일 11월 24일 파일:미국 국기.svg 워싱턴 D.C.
23차 1994년 11월 14일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24차 1995년 7월 25일 7월 28일 파일:미국 국기.svg
25차 1996년 4월 16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제주도
26차 11월 24일 파일:필리핀 국기.svg
27차 1997년 6월 23일 6월 27일 파일:미국 국기.svg 뉴욕
28차 11월 24일 11월 24일 파일:캐나다 국기.svg
29차 1998년 6월 6일 6월 13일 김대중 파일:미국 국기.svg
30차 11월 20일 11월 23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31차 1999년 7월 2일 7월 4일 파일:미국 국기.svg
32차 2000년 6월 8일 파일:일본 국기.svg
33차 9월 7일 파일:미국 국기.svg 뉴욕
34차 11월 15일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반다르스리브가완 [8]
35차 2001년 3월 6일 3월 10일 조지 W. 부시 파일:미국 국기.svg
36차 10월 19일 파일:중국 국기.svg 상하이
37차 2002년 2월 19일 2월 21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38차 2003년 5월 11일 5월 16일 노무현 파일:미국 국기.svg
39차 10월 20일 파일:태국 국기.svg 방콕
40차 2004년 11월 20일 파일:칠레 국기.svg 산티아고 데 칠레
41차 2005년 6월 9일 6월 10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42차 11월 11일 11월 16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경주 [9]
43차 2006년 9월 12일 9월 15일 파일:미국 국기.svg 워싱턴 D.C.
44차 11월 18일 파일:베트남 국기.svg 하노이
45차 2007년 9월 7일 파일:호주 국기.svg 시드니
46차 2008년 4월 15일 4월 19일 이명박 파일:미국 국기.svg 캠프 데이비드
47차 7월 9일 파일:일본 국기.svg 도야호
48차 8월 5일 8월 6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49차 11월 22일 파일:페루 국기.svg 리마
50차 2009년 4월 2일 버락 오바마 파일:영국 국기.svg 런던
51차 6월 15일 6월 17일 파일:미국 국기.svg
52차 11월 18일 11월 19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53차 2010년 6월 26일 파일:캐나다 국기.svg 토론토
54차 11월 10일 11월 12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서울
55차 2011년 10월 11일 10월 15일 파일:미국 국기.svg
56차 2012년 3월 25일 3월 27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57차 2013년 5월 5일 5월 10일 박근혜 파일:미국 국기.svg
58차 2014년 4월 25일 4월 26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59차 11월 11일 파일:중국 국기.svg 베이징
60차 2015년 10월 13일 10월 18일 파일:미국 국기.svg 워싱턴 D.C.
61차 2016년 3월 31일
62차 9월 6일 파일:라오스 국기.svg 비엔티안
63차 2017년 6월 28일 7월 2일 문재인 도널드 트럼프 파일:미국 국기.svg 워싱턴 D.C.
64차 9월 22일 파일:미국 국기.svg 뉴욕
65차 11월 7일 11월 8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66차 2018년 5월 22일 파일:미국 국기.svg 워싱턴 D.C.
67차 9월 25일 파일:미국 국기.svg 뉴욕
68차 12월 1일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부에노스 아이레스
69차 2019년 4월 10일 4월 11일 파일:미국 국기.svg 워싱턴 D.C.
70차 6월 29일 6월 30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서울
71차 9월 23일 파일:미국 국기.svg 뉴욕
72차 2021년 5월 21일 조 바이든 파일:미국 국기.svg 워싱턴 D.C.
73차 2022년 5월 21일 윤석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서울
74차 2023년 4월 26일 파일:미국 국기.svg 워싱턴 D.C.
75차 2024년 7월 11일

3. 문재인 정부

3.1. 2017년 한미정상회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17년 한미정상회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017년 6월 30일, 미국 백악관에서 개최된 정상회담.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처음으로 대면했다.

3.2. 2018년 제1차 한미정상회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18년 제1차 한미정상회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018년 5월 23일, 미국 백악관에서 개최된 정상회담. 주 의제는 2018년 6월 12일의 2018 북미정상회담의 사전협의였다.

3.3. 2018년 제2차 한미정상회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18년 제2차 한미정상회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018년 9월 25일, 미국 뉴욕에서 개최된 정상회담. 주 의제는 한미자유무역협정 재개정과, 2018년 9월 18일의 2018 남북정상회담 평양의 남북합의내용 공유였다.

3.4. 2018년 제3차 한미정상회담

2018년 12월 1일, G20 정상회의를 맞아 한미정상회담이 짧게 열렸다. # 문재인 대통령은 김정은 위원장은 한국 답방에 대한 미국의 양해를 구했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협상까지 대북제재가 이어져야 함을 주고 받았다.

3.5. 2019년 제1차 한미정상회담

2019년 4월 10일, 문재인 대통령은 2월의 하노이 북미정상회담 결렬 이후 북미 대화 재개라는 목적으로 미국을 방문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요청으로 문재인 대통령은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식을 불참하고 방미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회담에서 트럼프 대통령에게 개성공단, 금강산 관광 재개를 요청했으나 실패했다. 오히려 미국 내 대북 강경 기류를 의식해 이른바 '굿 이너프 딜'에 대해서는 이야기하지 못하였다.[10]

문재인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기 전 3명의 미국 측 장관( 폼페이오, 볼턴, 펜스)을 만났다. 그러나 정상 간 실제 단독회담은 2분밖에 갖지 않았고, 나머지 회담은 영부인과 함께한 회담이었다고 알려지면서[11] 비판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반면 참모진이 배석한 소규모 정상회담은 예정보다 2배 길어졌다고 한다.

미국산 무기 10조 원 어치를 구매한 것이 큰 성과로 평가받고 있다. 무기 구매 같은 경우는 사전에 물밑 접촉이 이루어졌다고 보는 게 타당하다. 왜냐면 트럼프와 단독으로 대담한 것이 2분 남짓인데 만나자마자 무기를 사겠노라고 하는 것은 설득력이 없다. 미국산 무기를 구매하기로 물밑 협상을 해놓고 실제로 만나서 계약서를 쓴 것이다.

그리고 역대 회담과는 다르게 공동 성명서 자체가 없다. 공동 기자 회견도 없다.

3.6. 2019년 제2차 한미정상회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19년 남북미정상회동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019년 6월 30일, 판문점에서 남북미정상회담이 이뤄진다. 해당 문서 참고.

3.7. 2019년 제3차 한미정상회담

2019년 9월 24일, 청와대 측은 북미 실무협상 방안을 더 논의했다고만 짧게 밝혔다. #

3.8. 2021년 한미정상회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1년 한미정상회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021년 5월 21일, 미국 백악관에서 개최된 정상회담. 문재인 대통령과 조 바이든 대통령이 처음으로 대면했다.

4. 윤석열 정부

4.1. 2022년 한미정상회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2년 한미정상회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첫 한미정상회담. 5월 24일 일본에서 쿼드 정상회의가 개최됨에 따라 바이든 대통령의 방한은 그 전에 이뤄질 것이 유력하다. 성사 된다면 취임 2주만에 초고속 회담으로, 역대 한국 대통령 중 가장 빨리 열리는 정상회담이 된다.

4.2. 2023년 한미정상회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2023년 한미정상회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023년 04월 26일, 대한민국 정상으로는 12년 만에 미국을 국빈 방문하여 열릴 정상 회담으로, 올해로 70주년을 맞은 한미동맹의 성과를 돌아보고, 동맹의 미래 발전방향을 논의, 북한의 미사일 위협에 대응한 미국의 확장억제 공약을 재확인, 확장억제 실효성을 강화하는 방안이 논의될 전망이다. #


[1] 두번째로 많이 한 한국 정부는 문재인 정부 (10회), 세번째는 국민의 정부 (9회)였다. [2] 두번째로 많이 한 미국 행정부는 빌 클린턴 행정부 (14회), 세번째는 버락 오바마 행정부 (13회)였다. [3] 두번째로 많이 성사된 조합은 공동으로 김영삼- 빌 클린턴 대통령, 노무현- 조지 W. 부시 대통령 (8회)이다. [4] 정부 수립 이래 전두환 정부 때까지는 40년간 13번 진행되어 2~3년에 한번 정도 진행되었으나, 노태우 정부부터는 1년에 2~3차례 진행되는 경우도 늘어나면서 36년간 61번 진행되었다. 88 올림픽 이후 경제성장과 민주화 등으로 달라진 한국의 위상을 알 수 있는 부분이다. [5] 이 당시 아이젠하워는 당선인 신분이었다. 정식 취임은 약 한 달 반이나 지난 1953년 1월 20일이다. [6] 국무총리 겸 외무부장관. 이 당시 대통령 권한대행 곽상훈 민의원의장이었으나 개헌으로 의원내각제로 전환되어 대통령은 상징적 국가원수일 뿐이고 국정에 대한 실질적 권한은 총리가 가지고 있었다. 그래서 당시 국회에서도 국가의 대표 역할을 대통령 권한대행이 할지 총리가 할지 논의를 했었는데, 결국 실질 권한을 가진 허정 국무총리 겸 외무부장관이 접견하고 곽상훈 의장은 입법부 수장으로서의 역할만 하기로 결정되었다. [7] 이때는 윤보선 대통령이 현직에 있었을 때라 대통령 권한대행도 아닌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의 신분으로 방미하여 회담을 했다. [8] APEC [9] APEC [10] 다만 미국은 북한의 핵 포기 및 제반 시설의 미국 양도 등 '리비아식 해법'과 관련된 대화라면 환영하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지난 하노이 정상회담에서처럼 대화를 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여전히 고수하고 있다. 다시 말해 대화의 물꼬는 열어 두되, 미국의 요구에 부합하지 않는 무의미한 '대화를 위한 대화'는 거절하겠다는 것을 의미한다. [11] 다만 이후 4월 22일에 주한 미국 대사인 해리 해리스가 한미 정상 간의 단독 회담 시간이 2분에 불과했다는 일부 언론의 주장에 동의할 수 없다고 공개적으로 밝힌 바 있어서 기존에 알려진 것보다는 길게 진행되었던 듯 하다.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