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7 23:31:24

최원준(1997)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ea0029>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 KIA 타이거즈
2025 시즌 외야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8 이창진 · 15 박정우 · 16 최원준 · 25 이우성
· 27 김호령 · 34 최형우 · 35 김석환 · 47 나성범 [[주장|
C
]]
· 57 고종욱 · 61 예진원 · 04 김민수 · 09 이영재
· # 박헌 · # 박재현'''
최종 편집: 2024년 12월 26일
프런트 코칭스태프 투수 포수 내야수외야수 군 입대 선수 등록 선수 육성선수
타 KBO 리그 구단 명단 보기 }}}}}}}}}
최원준의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KIA 타이거즈 등번호 6번
박기남
(2010~2015)
<colbgcolor=#1E376D><colcolor=#FFFFFF> 최원준
(2016~2018)
홍재호
(2019)
KIA 타이거즈 등번호 1번
심동섭
(2015~2018)
최원준
(2019~2020)
심동섭
(2021)
KIA 타이거즈 등번호 16번
김주찬
(2013~2020)
최원준
(2021)
장지수
(2022)
장지수
(2022)
최원준
(2023~)
현역
}}} ||
파일:최원준 2024 정면 프로필.png
<colbgcolor=#ea0029><colcolor=#fff> KIA 타이거즈 No.16
최원준
崔元準 | Choi Wonjun
출생 1997년 3월 23일 ([age(1997-03-23)]세)
경기도 광명시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학력 연현초 - 경원중[1] - 서울고
신체 178cm, 85kg
포지션 내,외야 유틸리티[2] 외야수[3]
투타 우투좌타
프로 입단 2016년 2차 1라운드 (전체 3번, KIA)
소속팀 KIA 타이거즈 (2016~)
국가대표
[ 펼치기 · 접기 ]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1회 (2017)
아시안 게임 1회 (2022)
WBSC 프리미어 12 1회 (2024)
병역 상무 피닉스 야구단
(2021년 12월 13일 ~ 2023년 6월 12일)
연봉 2024년 / 2억 2,000만원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fff"
등장곡
[ 이전 등장곡 보기 ]
2017년 초반: 세븐틴 - 〈 아주 NICE
2017년 중반~2018년 초반: 쥬얼리 - 〈Superstar〉
2023년: 도겸 - 〈Go!〉
2024년: 세븐틴 - 〈 박수
2024년: 김영석, Young K - 〈 환호
2024년: 허각 - 〈 하늘을 달리다
도겸 - 〈Go!〉
응원가 Every Single Day - 〈 Super Power Girl[4][5][6][율동]
정보 더 보기{{{#!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ea0029><colcolor=#fff> 가족 <colcolor=#373a3c,#ddd>부모님
아내 남예원(2023년 12월 9일 결혼~현재)[8]
소속사 어썸스포츠
후원사 스파이더[9]
MBTI ENFJ[10]
}}}}}}}}} ||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
3.1. 타격3.2. 수비3.3. 주루3.4. 체력
4. 수상5. 여담6. 관련 문서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KIA 타이거즈 소속 우투좌타 외야수.

2. 선수 경력

최원준의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최원준(1997)/선수 경력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상무 야구단 2023년 2024년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화이트 모자 로고 3.svg
2017년 2023년 2024년
아마추어 시절

3. 플레이 스타일

3.1. 타격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최원준 스윙.gif }}} ||
최원준의 타격폼

갭파워 및 장타 생산 능력은 부족하지만 컨택이 좋아 특유의 레벨스윙으로 안타를 생산하는 능력이 뛰어나다. 특히 레벨스윙을 바탕으로 뛰어난 타격 스킬은 좌우를 가리지 않고 골고루 양질의 타구를 생산할 수 있게 한다.

데뷔 이후 타격폼 수정이 잦아 제 폼을 제대로 찾지 못해 기대치에 못 미치는 성적을 냈다. 특히 19시즌엔 타격폼의 극심한 변화가 절정에 달해 OPS 0.545, wRC+ 46.1를 기록하며 커리어 최악의 시즌을 보내기도 했다. 하지만 20시즌 자신만의 존을 설정하라는 최형우의 조언을 들은 후 고등학교 시절 타격폼으로 회귀하면서[11] 리그 평균 이상의 타격 생산력을 갖춘 팀의 핵심 선수로 성장할 수 있었다.
파일:최원준 타격폼.jpg
최원준의 20시즌 - 21시즌 - 22시즌 타격폼

20시즌 좋은 성적을 거두며 정립된 타격폼은 현재까지도 큰 변화 없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문제는 1군에서 살아남기 위한 과정에서 장타력을 상당히 깎아먹었다는 것. 데뷔 첫 두 시즌에는 순장타율이 0.15 이상으로 괜찮은 편이었다. 낮은 타석 수와 빠른 발에 의한 것으로 생각될 수도 있으나 타구를 띄워서 보내는 경우가 의외로 많고 홈런도 간간히 쳐줬다. 다만 타격 시 손목을 덮는 동작과 크지 않은 스윙 아크, 낮은 하드힛 비율 등 어차피 장타력을 기대하기 힘들다는 시선도 있었다. 최원준 본인은 군 입대 후 중장거리형 타자로 스타일을 바꾸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으나 이 도전은 어깨 부상이 겹치면서 대실패로 돌아갔고 그 결과 최원준은 2023년 크게 부진했다.

최근 부족한 장타력을 보완하기 위해 눈야구를 통해 출루능력을 상승시키려는 경향이 보인다. 원래 배드볼 히팅을 하는 스타일이었지만 20시즌을 기점으로 아웃존 스윙을 서서히 줄이면서[12][13] 그 영향으로 순출루율이 상승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초구를 공략하는 습성을 버리지 못하고 있으며 선두타자로 나가 1,2구 이내로 아웃 당하는 적도 상당히 많다. 상무 입대 후 퓨처스리그에서 타석 당 20%에 육박하는 볼넷을 기록하고, 출루율 또한 5할에 가까운 성적을 내고 있다. 한편 타격을 완전히 마치기도 전에 몸이 1루로 나가려고 하는 습관도 있고 타구 데이터도 리그 평균 이하 수준에 그치고 있기에 개선이 필요하다.

3.2. 수비

고교 시절 유격수였지만 처참한 수비 실력 탓에 프로에서 유격수로 생각하는 사람은 없었고, 드래프트 순서에서 밀리고 청소년 대표팀에서도 우익수를 봤다. 프로 초반에는 주로 3루수로 많은 기회를 받았고 뛰어난 운동 능력에 기반한 다이빙캐치, 강습타구 처리를 보여줬으나 문제는 송구로 스피드는 빠르지만 정확도가 매우 낮았다. 1루수로는 많은 이닝을 출장하지 않았으나 순발력 있는 수비를 보여줬다. 다만 송구 실력과는 별개로 키가 작은데다 필딩 능력이 처참하기 그지 없기 때문에 1루 수비 능력은 그 황대인에 비견되는 수준이라 장기적으로 1루수로 나설 확률은 거의 없다. 2023년에는 제대 후 이창진, 소크라테스 브리토, 나성범, 이우성, 고종욱 등 외야진이 포화 상태이고 주전 1루수였던 황대인이 공수 양면에서 부진하는 관계로 1루수로 출장하다가 다시 외야로 되돌아갔다. 1루수로 출전하던 당시엔 크게 부족한 모습을 보이지는 않았으나 상술한 이유들에 더해 전체적으로 조금씩 부족한 모습이었던데다 프레스턴 터커처럼 타격 성적까지 떨어지는 결과를 보여줬다.

2019년부터는 외야수로 포지션을 고정했다. 그러나 중견수 자리에서 타구 판단 능력이 매우 부족해 뒤로 가는 타구 스타트를 앞쪽으로 끊는 경우가 빈번하며 낙구지점을 직선으로 쫓아가지 않고 지그재그 혹은 삼각형 꼴로 쫓아가 겨우 잡아내거나 끝내 놓쳐버리는 모습을 자주 보여줬다. 그나마 우익수로 나설 때는 봐줄 수준은 됐는데, 우익수로 포지션이 고정된 2020시즌부터는 꽤 안정적인 우익수 수비를 보여주기 시작했으며 유사시 중견수 포지션에서도 준수한 타구 판단을 보여줬다. 팀에서는 차기 중견수로 육성할 계획인지 상무에서 주로 중견수로 출장했으며 제대 후에는 기존 주전 중견수였던 소크라테스 브리토를 좌익수로 보내고 최원준을 중견수로 기용하는 포메이션을 시도하기도 했다.

2024 시즌에는 이우성이 1루수로 이동하고 소크라테스 브리토가 좌익수로 옮기면서 주전 중견수로 시즌을 시작했는데 예전의 그 선수가 맞는지 의심될 정도로 눈에 띄게 수비가 좋아졌다.[14] 그리고 경기 후반에는 김호령이 대수비로 투입되면 우익수로 자리를 옮기다가 김호령이 2군으로 내려가고 박정우가 그 자리를 차지한 뒤에는 계속 중견수 자리를 지키는 편이다.

상술했듯이 강견의 소유자인 만큼 외야수로서 송구 능력은 발군이다. 내야수 출신인 덕분에 공을 빼는 속도도 아주 빠르고 강견에 공의 도착 지점도 꽤나 정확하다. 어깨와 송구 과정의 딜레이까지 모두 포괄할 경우 외야수 중 독보적일 것이라 추측된다. 다만 2021년 전반기까지 무리한 송구를 시도하다 다른 주자의 추가 진루를 허용하는 모습을 보였다. 후반기부터는 커트맨이 커트할 수 있는 송구를 시도하거나 무리한 보살 시도는 자제하는 편이다.[15] 2024 시즌에는 직전 시즌에 당한 어깨 부상의 여파로 홈 보살 시도가 많이 줄어들었다. 어깨는 여전히 강한데 부상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무리한 홈 보살을 시도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3.3. 주루

주력은 2016 시즌 퓨처스 리그에서 도루왕을 한 적이 있는 만큼 매우 좋다. 담장까지 굴러가는 타구가 나오면 3루에 서서 들어가는 경우도 많은 편. 하지만 롯데 시절의 김주찬처럼 주루 센스가 다소 부족해서 뇌주루를 하는 모습이 자주 보인다.[16] 유격수 정면으로 가는 병살성 타구도 발로 병살을 면하는 모습을 자주 보여준다. 발 빠른 걸로는 리그에서도 알아주는 수준. 다만 그에 비해 출장 기회가 불규칙한 탓인지 2020년까지 통산 도루 36개로 잘 뛰지 않는 편이었다. 그러나 2021년에는 주전 리드오프로서 제대로 뛰기 시작하면서 2012년 이용규 이후 9년 만에 KIA 소속 선수로 40도루를 달성하며 도루 부문 2위에 올랐다.

여담으로 주루사 혹은 애매한 판정을 받았을 때 비디오 판독을 자주 신청하는 편인데 그 성공률이 극악이라[17] 베이스 위에서 특유의 억울한 표정으로 네모 표시를 하면 KIA 팬들이 질색하는 광경을 볼 수 있다.

3.4. 체력

여담 항목의 타구에 맞았던 일화에서 보이듯이 은근히 금강불괴다. 2017 시즌 초반에 손가락 부상을 당한 것을 제외하면 데뷔 이래로 부상으로 이탈한 경험은 거의 없고 2021시즌에는 한 시즌 최다 수비 이닝 기록을 갱신했으며, 668타석을 기록하면서 역대 최다 타석 공동 2위에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18] 그 덕에 맷 윌리엄스에게 신나게 굴려졌다. 다만 174안타를 기록하며 안타 부문 3위에 올랐지만 타율이 3할에 조금 못 미쳤다. 역대 170안타를 치고도 3할이 안 되는 타자는 딱 두 명 있는데 다른 한 명은 2018년의 박해민이다. 둘 다 선구안이 나쁘지 않다는 것을 보면 그냥 금강불괴 때문에 쉬지 않고 경기를 뛰어서 타율 관리를 못했다고 봐야한다. 더불어 이 해 KIA 타선이 KBO 역사상 열 손가락 안에 꼽히는 최악의 타선이었기 때문에 김선빈과 함께 유이하게 풀타임으로 출전한 주전 야수라서 시즌 중반에 체력이 떨어진 듯한 모습을 보인 탓도 있다.

4. 수상

5. 여담

2016년 내 질문을 부탁해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ea0029>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 KIA 타이거즈
역대 1라운드 지명 선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982년 1983년 1984년 1985년 1986년
김용만 김현재 미지명 미지명 미지명
1987년 1988년 1989년 1990년 1991년
조용호 김성규 윤재호 기영록 이종택
1992년 1993년 1994년 1995년 1996년
김병조 김훈 허문회 안상준 장성호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김창희 소소경 유동훈 전하성 김주철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신용운 서동욱 이동현 윤석민 손영민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양현종 나지완 안치홍 심동섭 한승혁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박지훈 손동욱 강한울 황대인 최원준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이승호 김유신 홍원빈 박민 박건우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최지민 윤영철 조대현 김태형 지명권 양도
(1) 지명 후 미입단 / 지명 거부 }}}}}}}}}
최원준의 수상 경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사)한국프로야구 은퇴선수협회 LOGO.png
BIC 0.412상 수상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BIC 0.412상 제정 2014 2015
황대인
경기고
최원준
서울고
2016 2017 2018 2019 2020
김혜성
동산고
강백호
서울고
김대한
휘문고
김지찬
라온고
최현규
서울고
2021 2022 2023 2024 2025
김도영
광주동성고
문현빈
북일고
진현제
대구고


}}}}}}}}} ||

파일: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 BI.svg
이영민 타격상 수상자 (2001년 이후)
← 창설 이후~2000년
{{{#!wiki style="margin: 0 -11px -5px"
{{{#182132,#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1px"
{{{#000000,#e5e5e5
2001 2002 2003 2004 2005
황성용
부산고
서정
광주일고
박정태
부산고
최정
유신고
김현수
신일고
2006 2007 2008 2009 2010
전동수
덕수정보고
김경한
장충고
이창진
인천고
하주석
신일고
유재혁
제물포고
2011 2012 2013 2014 2015
박민우
휘문고
김민준
북일고
조영우
제주고
송성문
장충고
최원준
서울고
2016 2017 2018 2019 2020
김혜성
동산고
배지환
경북고
최정원
청주고
박정우
광명공고
김범진
유신고
2021 2022 2023
송현우
인상고
김민석
휘문고
박지완
도개고
염승원
휘문고
}}}}}}}}}}}}}}} ||

파일:KIA 타이거즈 우승 엠블럼 V11.svg 파일:KIA 타이거즈 우승 엠블럼 V12.svg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반지
2017 2024

파일:asia_probaseball_champion_ship_2017.png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은메달
2017

파일: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로고.svg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야구 종목
금메달
2022

파일:KBO 퓨처스리그 엠블럼.svg
2022 KBO 퓨처스 남부리그 타격왕
}}} ||
A대표팀 참가 경력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fff,#333>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모자 로고.svg 2017 APBC
선동열호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ff,#333><colcolor=#09539d,#eee> 투수 10 김대현 · 21 박세웅 · 26 장필준 · 27 장현식
28 김윤동 · 29 이민호 · 34 심재민 · 38 임기영
40 박진형 · 46 김명신 · 59 구창모 · 61 함덕주
포수 22 장승현 · 42 한승택
내야수 1 김하성 · 2 박민우 · 6 최원준
7 정현 · 8 류지혁 · 16 하주석
외야수 15 안익훈 · 23 나경민 · 31 김성욱
36 구자욱 · 41 이정후
'''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90''' 선동열
투수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1 이강철
투수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2 정민철
타격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8 김재현
배터리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92 진갑용
작전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6 류지현
주루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7 이종범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역대 로스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fff,#333>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모자 로고 2.svg 2022 아시안 게임
류중일호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ff,#333><colcolor=#00022E,#ddd> 투수 1 문동주 · 11 장현석 · 16 정우영 · 17 김영규
18 원태인 · 19 고우석 · 21 박세웅 · 39 최지민
43 나균안 · 47 곽빈 · 60 박영현
포수 22 김동헌 · 25 김형준
내야수 2 박성한 · 3 김혜성 [[주장|
C
]] · 7 김주원 · 8 노시환
10 문보경 · 50 강백호 · 58 김지찬
외야수 9 김성윤 · 34 최원준 · 54 최지훈 · 91 윤동희
'''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5''' 류중일
타격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8 장종훈
투수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3 최일언
배터리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0 김동수
작전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6 류지현
수비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6 이종열
불펜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9 정대현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역대 로스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fff,#333>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모자 로고 2.svg 2024 프리미어 12
류중일호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fff,#333><colcolor=#00022E,#ddd> 투수 0 곽도규 · 1 고영표 · 19 조병현 · 28 최승용
29 임찬규 · 30 소형준 · 39 최지민 · 44 김서현
47 곽빈 · 50 이영하 · 54 유영찬 · 60 박영현
62 정해영 · 63 김택연
포수 25 김형준 · 27 박동원
내야수 2 박성한 · 4 신민재 · 5 김도영 · 7 김주원
10 문보경 · 17 나승엽 · 24 송성문 [[주장|
C
]] · 33 김휘집
외야수 16 최원준 · 41 이주형 · 51 홍창기 · 91 윤동희
'''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5''' 류중일
수석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6 류지현
타격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8 장종훈
주루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2 김재걸
투수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3 최일언
배터리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2 최기문
QC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5 이진영
불펜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4 김현욱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역대 로스터 }}}}}}}}}

[1] 평촌중에서 전학 [2] 포수를 제외한 내외야 전 포지션 선발 출장 경력이 있다. 2019년까지는 3루수 > 우익수 > 유격수 > 1루수 > 중견수 순서로 출전했으며, 2루수는 2018년 11경기 출전이 끝이고 좌익수로는 딱 1경기만 나왔다. 본격적으로 외야수로 전향한 2020년에는 프레스턴 터커의 존재로 주로 중견수를 보다가 김호령 나지완의 대수비로 들어가면 좌익수로 옮기는 식으로 출전했고, 2021년에는 터커가 1루수/좌익수를 맡고 김호령/ 이창진이 중견수를 맡아서 주로 우익수로 출전했다. 2023 시즌에는 외야 포화 및 1루 자원 부족으로 인해 1루수로 기용할 것이라고 김종국 감독이 인터뷰에서 밝혔지만 #, 공수 모두 부진하면서 다시 외야로 돌아갔다. [3] 2024 시즌에는 이우성이 1루수로, 소크라테스 브리토가 좌익수로 옮기면서 주전 중견수가 되었다. 다만 경기 후반 김호령이나 박정우가 중견수로 들어가면 우익수로 옮기는 일이 잦고, 팀 사정상 간간이 우익수로도 선발 출전하는 일이 많았다. 현재로는 중견수-우익수 유틸이라고 봐도 무방한 편. 좌익수로는 2020년을 제외하면 출전이 거의 없다. [4] 워어어 KIA 최원준~ 워어어 KIA 최원준 워 어 어어! 힘차게 날려라~ (최!원!준!) 워어어 KIA 최원준~ 워어어 KIA 최원준 워 어 어어! 승리를 위~해~(최!원!준!) [5] JTBC 힘쎈여자 도봉순의 OST다. [6] 이름을 외치고 다시 부를때 워어어 부분이 겹쳐져서 안부르는 사람들도 있다. [율동] 손을 위로 올리고 아래로 내리는걸 4번 반복하고 양팔을 계속 돌리며 구호를 외칠 때 양손을 내민다. x2 [8] 이미 몇 년 전에 혼인 신고를 완료했다고 한다. [9] 스파이더 코리아 후원 [10] ENFP에서 바뀌었다. [11] 제일 잘 칠 때 폼으로 돌아가보라는 최희섭 코치의 조언도 있었다. [12] 21시즌 O-swing%가 20대까지 내려갔다. 배드볼 히터로 보기 어려운 수치다. [13] 반대급부로 인존 스윙은 거의 유지했다. 이 말은 즉슨, 아웃존 스윙 감소의 원인이 단순한 타격 적극성 감소가 아닌 선구안 상승이라 볼 수 있다는 것이다. [14] 다만 타구판단이 아직도 뛰어나다고 하기는 어려운 수준이다. 첫 발 스타트가 늦거나 잘못되는 경우, 제대로 뛰었다면 잡을 수 있을만한 타구였음에도 위치 파악을 잘못해서 흘리는 경우가 종종 보인다. [15] 다만 이는 홈에서 송구를 받아주는 KIA 포수들의 답이 없는 포구 때문에 몇 번 손해를 본 영향도 있다. [16] 2017 시즌 1군 무대에서 9회 팀이 추격할 수 있는 찬스에서 뇌주루로 경기를 끝내버린 적도 있다. [17] 거의 10~20% 정도만 성공하고 나머지는 다 실패한다. [18] 1위는 672타석의 2016년 손아섭, 공동 2위는 2020년의 호세 미겔 페르난데스이다. 2021년의 타이거즈 타선이 조금 강했다면 이를 충분히 넘어섰을 것이다. [19] 정작 본인은 MLB 진출을 원치 않았는데 진행됐다고 밝힌 바 있다. [20] 갸튜브에 올라온 버나디나 인터뷰에서 최형우를 Choi, 최원준을 Baby Choi라고 부르는 게 확인되었다. 당시 인스타 라이브에서 팬들이 이유를 물어보니 그는 고작 21살이라서 baby choi라고 대답했다. [21] 그 와중에 스펠링이 틀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