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22 19:24:30

최지민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ea0029>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 KIA 타이거즈
2024 시즌 투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군>
0 곽도규 · 10 유승철 · 12 크로우 · 13 윤영철
20 이준영 · 21 김사윤 · 32 김현수 · 39 최지민
40 네일 · 43 김건국 · 50 장현식 · 51 전상현
54 양현종 · 62 정해영
<2군>
4 유지성 · 17 임기영파일:부상 아이콘.svg · 19 윤중현 · 24 김승현
31 박준표 · 33 이형범 · 36 강이준 · 38 김찬민
41 황동하 · 45 김민주 · 46 장민기 · 48 이의리파일:부상 아이콘.svg
49 김유신 · 53 김기훈 · 63 이송찬 · 67 조대현
69 김대유 · 03 박건우 · 015 이도현 · 021 홍원빈
022 오규석 · 033 김태윤 · 034 강동훈 · 035 최지웅
037 김민재 · 039 성영탁 · 045 김도현
2024년 4월 23일 경기 기준
프런트 코칭스태프투수 포수 내야수 외야수 군 입대 선수 등록 선수
타 KBO 리그 구단 명단 보기 }}}}}}}}}
최지민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tablebordercolor=#01164d> 파일:질롱 코리아 엠블럼.svg 질롱 코리아
2022-23 시즌 엔트리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1164d><colcolor=#fff> 투수 4 이승관# · 7 김진욱 · 11 정윤환# · 15 김태현
17 이수민# · 18 오윤성 · 19 김재영# · 20 이가미
21 박윤철 · 24 이태규 · 29 유지성 · 31 최정욱
39 최지민 · 40 한선태# · 41 이근혁 · 43 서준원
44 양경모 · 45 백동운 · 54 오세훈 · 55 김효준
62 하준수# · 67 정이황# · 99 김승현# · # 구대성
포수 10 허관회 · 22 김기연 · 25 곽지민 · 26 김시앙#
32 조형우 · 42 박상언#
내야수 1 송찬의 · 2 신준우 · 3 김민석
5 김주성 · 14 김규성 · 23 서호철
36 김서진 · 52 김태연 · 56 박정현#
외야수 '''13 하재훈# [[틀:질롱 코리아 주장|
C
]] · 27 박찬혁 · 28 이진영
35 김석환# · 38 유상빈# · 47 오장한 · 50 이원석#
51 장진혁# [[틀:질롱 코리아 주장|
C
]] · 57 박주홍 · 97 권광민'''
투타겸업 16 장재영#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병규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손정욱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윤진호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윤수강'''
# 중도 귀국 선수 }}}}}}}}}

최지민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로고.svg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야구 종목
금메달
2022

파일:2023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로고.svg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준우승
2023

파일:external/66.media.tumblr.com/tumblr_o72v3jpgxR1sqk8veo8_r2_500.png 2021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 MVP

파일:2023 KBO 올스타전 로고.svg
KBO 리그
올스타
2023

KIA 타이거즈 등번호 39번
하준영
(2018~2021)
<colcolor=#FFFFFF> 최지민
(2022~)
현역
질롱 코리아 등번호 39번
장진용
(2018-19)
최지민
(2022-23)
팀 해체
}}} ||
A대표팀 참가 경력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fff,#333>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모자 로고 2.svg 2022 아시안 게임
류중일호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ff,#333><colcolor=#00022E,#ddd> 투수 1 문동주 · 11 장현석 · 16 정우영 · 17 김영규
18 원태인 · 19 고우석 · 21 박세웅 · 39 최지민
43 나균안 · 47 곽빈 · 60 박영현
포수 22 김동헌 · 25 김형준
내야수 2 박성한 · 3 김혜성 [[주장|
C
]] · 7 김주원 · 8 노시환
10 문보경 · 50 강백호 · 58 김지찬
외야수 9 김성윤 · 34 최원준 · 54 최지훈 · 91 윤동희
'''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5''' 류중일
타격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8 장종훈
투수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3 최일언
배터리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0 김동수
작전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6 류지현
수비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6 이종열
불펜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9 정대현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역대 로스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fff,#333>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모자 로고 2.svg 2023 APBC
류중일호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fff,#333><colcolor=#00022E,#ddd> 투수 1 문동주 · 11 조병현 · 17 김영규 · 18 원태인
29 오원석 · 39 최지민 · 47 곽빈 · 48 이의리
53 신민혁 · 56 최준용 · 62 정해영 · 64 최승용
포수 22 김동헌 · 25 김형준 · 28 손성빈
내야수 3 김혜성 [[주장|
C
]] · 5 김도영 · 7 김주원 · 8 노시환
12 문현빈 · 33 김휘집 · 41 나승엽
외야수 9 김성윤 · 13 박승규 · 54 최지훈 · 91 윤동희
'''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5''' 류중일
수석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6 류지현
타격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35 장종훈
투수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3 최일언
배터리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0 김동수
QC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6 이진영
불펜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4 김현욱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역대 로스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fff,#333>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모자 로고 2.svg 2024 서울 시리즈
류중일호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fff,#333><colcolor=#00022E,#ddd> 투수 1 문동주 · 4 박명근 · 11 조병현 · 15 황준서
18 원태인 · 21 이병헌 · 29 오원석 · 39 최지민
41 손동현 · 47 이의리 · 48 곽빈 · 53 신민혁
56 최준용 · 60 박영현 · 62 정해영 · 63 김택연
92 이로운
포수 22 김동헌 · 25 김형준 · 28 손성빈
내야수 2 문보경 · 3 김혜성 [[주장|
C
]] · 6 박성한 · 7 김주원
8 노시환 · 12 문현빈 · 13 이유찬 · 23 한태양
41 나승엽
외야수 9 김성윤 · 17 조세진 · 36 추재현 · 50 강백호
54 최지훈 · 91 윤동희
'''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5''' 류중일
수석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6 류지현
타격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35 장종훈
투수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3 최일언
배터리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0 강성우
QC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6 윤진호
불펜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4 정민철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역대 로스터 }}}}}}}}}
}}} ||
파일:최지민 2024 정면 프로필.png
<colbgcolor=#EA0029><colcolor=#FFFFFF> KIA 타이거즈 No.39
최지민
Choi Ji-Min
출생 2003년 9월 10일 ([age(2003-09-10)]세)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학력 강릉율곡초(강릉리틀) - 경포중 - 강릉고
신체 185cm, 100kg
포지션 중간 계투
투타 좌투좌타
프로 입단 2022년 2차 1라운드 (전체 5번, KIA)
소속팀 KIA 타이거즈 (2022~)
질롱 코리아 (2022/23)
병역 예술체육요원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야구 부문)
연봉 2024년 / 1억원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fff"
등장곡 Nicky Youre, dazy - 《Sunroof》
정보 더 보기{{{#!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ea0029><colcolor=#fff> 가족 <colcolor=#373a3c,#ddd>부모님, 형
MBTI ISFJ | ISTJ[1]
소속사 리코스포츠에이전시[2]
}}}}}}}}} ||
파일:KIA 타이거즈 엠블럼.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4. 연도별 성적5. 여담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KIA 타이거즈 소속 좌완 투수.

2. 선수 경력

최지민의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최지민/선수 경력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2022년 2023년 2024년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화이트 모자 로고 3.svg
2023년
AG
2023년
APBC
아마추어 시절

3. 플레이 스타일

파일:최지민 150km ㄷㄷㄷ.gif
선수 생활 처음으로 150km/h을 던지는 모습 (2023.04.29.)[3]

평균 140km/h 중반, 최고 152km/h[4]의 직구를 구사하며, 왼팔을 바깥쪽으로 크게 빼서 던져 좌타자가 보면 공이 뒤에서 날아오는 듯한 느낌을 선사하는 투구폼은 브룩스 레일리를 떠올리게 한다는 평이 많다. 다리를 올리는 동작이 강릉고 1년 선배 김진욱과 상당히 유사하지만, 김진욱은 팔각도가 완전히 오버핸드인 반면 최지민은 쓰리쿼터 유형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중계화면상으로 뒤에서 보이는 투구폼은 기쿠치 유세이의 모습과 상당히 유사하다.

아마추어 시절부터 제구력으로 인정받은 투수답게, 강점인 제구력은 프로에서도 준수한 수준이라 평가받는다. 2년 차 시즌에 구속이 놀라울 정도로 상승해서 화제가 됐는데, 이것이 화제가 된 이유는 원래부터 괜찮았던 제구력을 그대로 유지한 채로 구속이 상승했기 때문이다. 더할 나위 없이 좋은 일이다. 만약 구속이 오른 대신 제구력이 떨어졌다면 절대로 좋은 평가를 받지 못했을 것이다.[5] 좋은 제구력 외에 훌륭한 커맨드와 경기 운영 능력 면에서도 고평가를 받는다.

고등학교 시절에는 그렇게 구속이 높지 않았다. 구속은 주로 130km/h 중후반, 최고 143km/h에 그쳐 구위나 구속은 아쉽다는 평이 많았다. 그러나 KIA 타이거즈 스카우트들은 2021년 초 당한 부상 탓에 제 구속이 나오지 않았을 뿐 구위나 구속 상승의 여지가 충분하다고 했다.[6] 그리고 아마야구를 전문으로 취재하는 모 유튜버는 "최지민이 구위가 좋아 존 안으로 공을 적극적으로 밀어 넣기에 볼넷이 적은 것이다" 라고 평하며 최지민을 파워피처로 평했다.[7]

리그 개막 이후로는 좋은 제구와 함께 멀티 이닝까지 몇 번 소화하였다. 2022 시즌에는 최고 146km/h를 찍었고, 2022 시즌 후 질롱 코리아에 합류하여 148km/h까지 구속을 끌어올렸고, 140km/h대 중후반대의 공을 꾸준히 던지는 모습을 보여주며 성공적인 구속 상승을 일구어냈다. 그리고 2023 시즌 4월 29일 LG 트윈스와의 경기에서 기어이 150km/h를 기록했다.

변화구로는 체인지업, 슬라이더를 구사하는데 포심과 함께 변화구의 구속도 올라서 최고 140km/h 정도까지 나온다. 이후에도 최고 150km/h의 직구로 좋은 구위로 타자들을 압도하고 있다.

다만 신인급 선수여서 그런지 위기 상황에 등판할 경우 성적은 그리 좋지 못하며 특히 만루 상황일 시 10타수 5안타로 매우 좋지 않다. 본인이 혼자서 1이닝을 책임져야 하는 상황에서는 준수한 경기력을 선보이지만 다른 투수들의 승계주자를 지워내야 하는 상황에서는 본인의 기량을 완전히 펼치지 못한다. 멘탈 문제인지 확실히 밝혀진 바는 없으나, 소방수 역할을 맡기기에는 아직 이르다는 것이 중론이다.[8]

저점이 떴을 때에는[9] 제구력이 떨어지는 데다 가끔 폭투성 공이 많이 빠진다. 물론 젊은 투수이니 경험이 쌓이면 개선이 가능한 부분이다.

4. 연도별 성적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최지민의 역대 KBO 기록
<rowcolor=#fff>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ERA 피안타 피홈런 볼넷 사구 탈삼진 WHIP ERA+ sWAR
2022 KIA 6 0 0 0 0 6 13.50 12 1 5 1 7 2.83 30.2 -0.27
2023 58 6 3 3 12 59⅓ 2.12 45 4 26 4 44 1.20 194.5 2.18
KBO 통산
(2시즌)
64 6 3 3 12 65⅓ 3.17 57 5 31 5 51 1.35 129.3 1.90

5. 여담

베이스볼코리아 인터뷰

6. 관련 문서



[1] 더그아웃 매거진에서 밝히기론 최근 검사에서 ISTJ가 나왔으나 본인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2] 에이전시 & 선수 매니지먼트. [3] 사진의 오지환과의 승부 결과는 밀어내기 볼넷이었으나 본인 주자는 아니었고, 이날 2이닝 2K 무실점으로 데뷔 첫 홀드를 가져갔다. [4] 시속 151.6km/h. 2023년 9월 22일 KT 상대로 기록. [5] 김범수가 딱 이러한 예시. 이쪽도 고교 시절 좋은 제구력에 비해 느린 구속이 약점으로 지적되었으나 프로에서는 구속이 폭발적으로 올라 리그에서 가장 빠른 패스트볼을 던지는 좌완 파이어볼러가 된 대신 고교 시절의 정교한 제구력을 완전히 상실했다. [6] 실제로 단 1년여만에 구속이 10km 이상 증가하며 스카우트진의 안목을 입증하였다. [7] 이는 배리 본즈가 제구와 경기운영의 마술사로 알려진 그렉 매덕스에 대해 "노 볼 투 스트라이크 카운트에서 스트라이크를 잡으려고 들어오는데 그가 파워 피처가 아니면 누가 파워 피처인가"라고 말한 것과 일맥상통한다. [8] 실제로 정해영이 밸런스 이슈로 한달간 이탈했을 때도 언론이나 팬들 사이에서 최지민을 다음 마무리로 꼽은 적이 많으나 김종국 감독은 이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보이기도 했다. 다만 마무리 경험이 있는 전상현이나 장현식의 경기력이 당시에는 그리 좋지 못했던 터라 일단은 최지민을 우선 대체 마무리로 올렸으나 좋았던 경기력이 사라져버리며 일주일만에 마무리 보직을 반납했다. 마무리 보직이 단순히 구속과 구위만 좋아서는 소화하지 못한다는 것을 매우 잘 보여준 케이스. 참고로 이후 전상현-장현식 더블스토퍼까지 시도했다가 이 방법마저 신통치 않자 결국 정해영을 계획보다 일찍 마무리로 복귀시켰다. 현재 최지민이 선발 보직을 희망하고 있기도 하고 정해영이 마무리로 있을 때 KIA 불펜진이 가장 잘 돌아가고 있기 때문에 정해영이 장기간 이탈하지 않는 이상은 최지민이 마무리로 갈 일은 없어보인다. [9] 주로 연투로 인해 체력이 한계에 다다랐을 때나 상술했듯 이전 투수들이 승계주자를 남겨 놓고 내려간 상황 등. 전자의 경우에는 구속까지 덩달아 하락하고, 후자의 경우에는 구속은 평소만큼 찍히지만 존에서 빠진 공이 연달아 나온다. [10] 안타깝게도 엄지민은 프로 지명을 받지 못 했고 연세대로 진학했다. [11] 외모도 닮은 탓에 듬직밈이 김유신에서 최지민으로 바뀌었다. [12] 하지만 김유신과 다르게 최지민은 구속이 오르면서 둘이 다른 유형의 투수가 되었다. [13] 한때 누나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의 차이라며 신인 신고식 당시 김도영과 최지민의 헤어 스타일링을 비교한 사진들이 SNS에 돌아다닌 적이 있는데 그건 누나 형 차이가 아니라 머리 스타일링 차이다, 난 머리를 밀었는데 그걸로 어떻게 스타일링을 하냐 라며 분노한 적이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