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8 19:18:46

나승엽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나승엽의 2024 시즌 활약상에 대한 내용은 나승엽/선수 경력/2024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041e42> 파일:롯데 자이언츠 엠블럼.svg 롯데 자이언츠
2024 시즌 내야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군
9 정훈 · 14 최항 · 33 손호영 · 51 나승엽
· 53 박승욱 · 65 고승민
2군
3 신윤후 · 6 오선진 · 7 이학주 · 16 김민성
· 52 노진혁 · 63 이주찬 · 67 강성우 · 68 정대선
· 98 이호준
육성선수
101 고경표 · 106 최종은 · 109 안우진 · 114 김동규
최종 편집: 2024년 6월 14일
프런트 코칭스태프 투수 포수내야수 외야수 군 입대 선수 등록 선수 육성선수 응원단
다른 KBO 리그 팀별 명단 둘러보기 }}}}}}}}}
나승엽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나승엽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23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로고.svg
아시아 프로야구 챔피언십
준우승
2023

파일:2023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로고.png
아시아 야구 선수권 대회
동메달
2023

파일:KBO 퓨처스리그 엠블럼.svg
2022 KBO 퓨처스 올스타전 미스터 올스타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51번
강동호
(2020)
<colbgcolor=#dc0232><colcolor=#fff> 나승엽
(2021)
박선우
(2022)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31번
손아섭
(2010~2021)
나승엽
(2022~2022.5.1.)
김건우
(2022.6.15.~2022)
롯데 자이언츠 등번호 51번
윤성빈
(2023)
나승엽
(2024~)
현역
}}} ||
A대표팀 참가 경력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fff,#333>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모자 로고 2.svg 2023 APBC
류중일호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fff,#333><colcolor=#00022E,#ddd> 투수 1 문동주 · 11 조병현 · 17 김영규 · 18 원태인
29 오원석 · 39 최지민 · 47 곽빈 · 48 이의리
53 신민혁 · 56 최준용 · 62 정해영 · 64 최승용
포수 22 김동헌 · 25 김형준 · 28 손성빈
내야수 3 김혜성 [[주장|
C
]] · 5 김도영 · 7 김주원 · 8 노시환
12 문현빈 · 33 김휘집 · 41 나승엽
외야수 9 김성윤 · 13 박승규 · 54 최지훈 · 91 윤동희
'''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5''' 류중일
수석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6 류지현
타격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35 장종훈
투수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3 최일언
배터리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80 김동수
QC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6 이진영
불펜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4 김현욱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역대 로스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fff,#333>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모자 로고 2.svg 2024 서울 시리즈
류중일호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fff,#333><colcolor=#00022E,#ddd> 투수 1 문동주 · 4 박명근 · 11 조병현 · 15 황준서
18 원태인 · 21 이병헌 · 29 오원석 · 39 최지민
41 손동현 · 47 이의리 · 48 곽빈 · 53 신민혁
56 최준용 · 60 박영현 · 62 정해영 · 63 김택연
92 이로운
포수 22 김동헌 · 25 김형준 · 28 손성빈
내야수 2 문보경 · 3 김혜성 [[주장|
C
]] · 6 박성한 · 7 김주원
8 노시환 · 12 문현빈 · 13 이유찬 · 23 한태양
41 나승엽
외야수 9 김성윤 · 17 조세진 · 36 추재현 · 50 강백호
54 최지훈 · 91 윤동희
'''
감독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류중일
수석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류지현
타격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장종훈
투수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최일언
배터리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강성우
QC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윤진호
불펜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정민철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 역대 로스터 }}}}}}}}}
}}} ||
파일:2024 나승엽 프로필.png
<colbgcolor=#041e42><colcolor=#fff> 롯데 자이언츠 No.51
나승엽
羅承燁|Na Seung-Yeop
출생 2002년 2월 15일 ([age(2002-02-15)]세)[입학유예]
서울특별시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학력 서울남정초 - 선린중 - 덕수고
신체 190cm|82kg| B형
포지션 1루수
투타 우투좌타
프로 입단 2021년 2차 2라운드 (전체 11번, 롯데)
소속팀 롯데 자이언츠 (2021~)
병역 상무 피닉스 야구단
(2022년 5월 2일 ~ 2023년 11월 1일)
연봉 2024 / 4,000만 원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1f2023;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style: solid; border-width: 1px; border-color: #000,#fff"
등장곡 Turbotronic - 《 Dajoa》
응원가 응원가[가사][3] (2021~)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041e42><colcolor=#fff> 가족 부모님, 남동생 나정엽(2004년생)
소속사 MVP스포츠 }}}}}}}}}
파일:롯데 자이언츠 심볼.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
3.1. 타격3.2. 수비
4. 여담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롯데 자이언츠 소속 내야수.

2. 선수 경력

통합 선수 경력: 나승엽/선수 경력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2021년 2022년 상무 야구단 2024년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화이트 모자 로고 3.svg
2023년 APBC 2023년 BFA
아마추어 시절

3. 플레이 스타일

3.1. 타격

파일:1648551784.gif
특유의 부드러운 스윙
일단 스윙이 정말 부드럽고 좋다. 굉장한 메커니즘을 갖고 있다.
2021년 2월 16일, 손아섭 스포츠조선 인터뷰 中. 관련 기사

윤동희, 조세진 등 20년대 롯데 야수 유망주들의 공통적인 특징인 툴가이에 부합하는 유망주. 잠재력이 매우 뛰어나[4] 팀 내 코어 자원인 한동희 고승민을 능가하는 포텐을 지녔다고 평가받으며 상당히 부드러운 스윙을 가졌으며 파워를 기른다면 전형적인 고타율의 중장거리형 타자로 성장할 재목이다.

고교 시절부터 5툴 플레이어로 주목받았는데, 변화구 대응이 뛰어나며 뛰어난 손목힘[5]으로 장타력이 있는 있는 타격에 큰 강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여러 방향으로 타구를 날릴 수 있는 스프레이 히터의 가능성을 보여줬다. 그에 비해 체격은 아직 마른 스타일이긴 하지만, 신장이 190㎝로 매우 큰 축에 속해 웨이트만 받쳐준다면 프로에서 충분한 가능성이 있고 또한 강한 어깨와 손목 힘을 바탕으로 하는 송구 능력이 장점이다. 다만 체형에 비해 생각보다 발이 느리다.

선구안 또한 좋은 평가를 받는데, 1년차 당시에도 선구안이 나쁘지 않다는 평가를 받았고, 상무 시절에는 1할 이상의 타출갭을 기록할 정도로 좋은 성적을 기록했다.

여러모로 구자욱과 비슷한 스타일의 선수. 커리어 패스도 타격잠재력이 뛰어난 우투좌타의 장신 내야수→2라운드 지명→1년차 시즌 이후 입대 커리어 패스를 똑같이 밟고 있다.[6]

본격적으로 주전을 맡은 2024년 초반 크게 흔들리며 2군을 다녀오기도 했지만, 한번 상동물을 먹고 온 뒤로 각성하여 롯데의 1루 주전을 충분히 소화할 수 있을 정도의 타격을 보여주고 있다.

3.2. 수비

1년차 시절에는 1, 3루는 물론 외야수까지 테스트했으나 외야의 경우 사실상 불가 판정을 받았다.[7][8] 상무 시절에는 1루수로 대부분 출전했으나 기존 3루수인 한동희의 1루 포지션 변경 가능성이 계속해서 대두되는 중이고, 1루수로 육성하기엔 강한 어깨가 아깝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하지만 FA와 트레이드로 노진혁, 박승욱, 이학주, 손호영 등의 내야 유틸리티 자원들이 계속해서 팀에 합류하면서 당장은 3루수 출전할 가능성이 없어졌고, 예상대로 24시즌에는 1루수로 완전히 자리를 잡았다.

1루 수비의 경우 190이라는 큰 신장과 매우 긴 팔다리라는 1루 수비에 적합한 신체 조건을 가지고 있지만 수비력은 좋다고 평가하기 힘들다.[9] 신체 조건이 매우 좋지만 수비 센스가 좋지 못하다는 점에서 직전 팀의 1루 주전이었던 정훈과는 대척점에 있다.[10] 또한 필딩과 선상 수비 능력이 부족해 1루 방향의 빠른 타구를 잡지 못하는 경우가 잦고, 1루 견제 상황에서 태그 또한 매우 미숙하다.[11]

4. 여담

5. 관련 문서


[입학유예] 2009년에 초등학교에 입학했으므로, 빠른 생일을 적용하지 않았다. [가사] 자이언츠! 나~승엽 쌔리라! 안타 안타~ 자이언츠! 나~승엽 오오오오~ 오오오~ ×2 [3] Bon Jovi의 《 You Give Love a Bad Name》, Ava Max의 《 Kings & Queens》와 유사하다. [4] 박정태는 나승엽을 보고 추신수가 보인다는 평가를 했다. [5] 나승엽 본인이 말하기를 어린 시절 검도를 해온 덕분에 좋은 손목힘을 가진 것 같다고 밝혔다. [6] 일단 상무에서 구자욱의 상무 1년차 때 마냥 3할 이상의 타율에 출루율과 장타율도 4할을 넘기는 대활약을 펼치고 있다. 만약 내년에 구자욱의 상무 2년차 때처럼 포텐셜을 만개한다면 정말 전역 이후 1군 무대에서의 활약이 기대될 수 있을 것이다. [7] 나승엽의 외야 수비를 본 팬들의 반응으로는 '외야수 경험이 없는 신인임을 감안해도 좌익수로 출장한 홍성흔보다 외야 수비를 못하는 것은 처음 봤다'라고 평가할 정도. [8] 게다가 나승엽 지명 이후로 조세진, 윤동희, 김민석 등 외야 자원이 풍족한 팀으로 변화하면서 외야수로 전향할 이유가 없다. [9] 상무 복무 당시 대부분을 1루수로 출전했으나 매 시즌 10개에 가까운 실책을 기록했다. [10] 정훈의 경우 신장이 1루수치고는 짧은 180cm인 탓에 수비 범위가 넓지는 않지만 유연성과 수비 센스가 매우 좋아 포구가 매우 안정적이고 수비 실책이 적다. [11] 이 단점이 가장 극명하게 드러난 경기가 2024년 6월 15일 LG전. 2사 1루 상황에서 당시 투수가 주자 견제가 매우 빠른 김상수였고 주자가 역모션에 두 번이나 걸렸음에도 태그 미숙으로 인해 주자를 잡아내지 못했고, 결국 도루를 허용한 이후 적시타를 맞았다. [12] 구자욱이 신인이었을 때의 하드웨어와 포지션이 비슷하거나 같다. 2022년 현재는 커리어패스도 구자욱과 비슷하게 가고 있다. [13] 하지만 손아섭은 2022 시즌을 앞두고 NC 다이노스로 이적했으며, 그 후 손아섭의 등번호인 31번을 받았다. [14] 참고로 콩코드의 신품 리셀 가격은 적어도 2배는 뛰며, 사용 흔적이 있는 중고도 원가가 방어되는 신발이다. 본인은 특별히 수집욕이 있는 사람이 아니고, 그저 선물이라니 감사히 받기만 한 것으로 보인다. [15] 여담으로 나승엽의 롤모델인 손아섭은 원래는 단 음식을 좋아하지 않아서 민트초코를 좋아하지 않았지만 먹어보고 시원한 맛이 괜찮다는 이유로 민초파가 되었다. [16] 혈액형이랑 이름 부분의 한자도 똑같다. 썰에 의하면 야구광이던 나승엽의 아버지가 아들을 야구선수로 키우고 싶은 마음에 당대 최고의 스타였던 이승엽의 이름에서 따왔다고 한다. [17] 이승엽도 입단 당시에는 마른 체형이었으며 그 후로 서서히 몸을 불려 홈런 54개를 쳤고, 더 불려 56개를 쳤다. 일본프로야구에 진출해서는 허벅지가 터질듯한 체형을 갖추게 되었다. 물론 키는 이승엽(183cm)보다 나승엽(190cm)이 훨씬 더 크고 손목으로 장타를 만들어 내는 것도 비슷하다. 하지만 스타일은 거포형이 아니다. [18] 오푼갑이라고도 불린다. [19] 사실 bmi 수치로만 보면 정상수치이고 일반인 기준으로는 절대 마른 몸이 아니다. [20] 다만 치즈스틱은 꽤나 두껍고 짧은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