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bordercolor=#FFFFFF> |
고교야구 주말리그 서울 A 전반기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경기고등학교 | 덕수고등학교 | 배재고등학교 | 서울자동차고등학교 | ||||
선린인터넷고등학교 | 장충고등학교 | GD챌린저스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bordercolor=#FFFFFF> |
고교야구 주말리그 서울 B 후반기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배명고등학교 | 배재고등학교 | 서울동산고등학교 | 서울디자인고등학교 | ||||
장충고등학교 | 청원고등학교 | GD챌린저스 |
}}}}}} ||
장충고등학교 야구부 (Jangchung High School) |
|
창단 | 1964년 |
소속 리그 | 서울권 |
감독 | 송민수 |
우승 기록[1] | 4회 |
웹사이트 | 장충고등학교 야구부 |
대회 | 우승 | 준우승 | 4강 |
대통령배 | 1회(2006) | - | 1회(1989) |
청룡기 | 1회(2020) | 1회(1994) | 4회(2011, 18, 22, 23) |
황금사자기 | 2회(2006, 07) | 2회(2010, 12) | - |
봉황대기 | - | 1회(2015) | 1회(2022) |
이마트배 | - | 1회(2022) | 1회(2023) |
2006년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 | ||||
광주동성고등학교 | → | 장충고등학교 | → | 광주제일고등학교 |
2006년, 2007년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 | ||||
광주제일고등학교 | → | 장충고등학교 | → | 광주제일고등학교 |
2020년 청룡기 전국고교야구대회 | ||||
유신고등학교 | → | 장충고등학교 | → | 충암고등학교 |
[clearfix]
1. 개요
장충고등학교 산하 야구부. 2000년대 중반부터 전국 대회 강팀으로 변모하여 여러 차례 우승을 차지하고 있다. 지금도 많은 중학교 유망주가 입학하고 있다.2. 연혁
|
이병규 |
팀의 첫 전국대회 결승 진출은 1994년 청룡기 대회로 투수 유동훈과 타자 홍세완이 이끌던 팀이었다. 결승 전까지 3연속 완투승을 거둔 유동훈의 공로로 결승까지 진출했지만, 이들을 가로막은 벽은 역시나 우승에 한이 맺혀 있던 김선우가 이끌던 휘문고였다. 결국 결승에서 김선우에게 홈런을 맞고, 투수로서는 눌리는 끝에 첫 우승의 기회를 그렇게 날렸다. 그리고 그 뒤로는 또 다시 쭉 존재감이 없거나[2], 다크호스 정도의 위상이 되고 말았다.
반전이 생긴 것은 2003년 유영준 감독이 등장하면서부터였다. 전 직장인 이수중에서 가르치던 제자들을 영입하는데 성공하면서[3] 장충고의 전력은 몰라보게 급상승했는데, 그 제자들과 전학생들[4]을 잘 활용하여 마침내 2006년 대통령배-황금사자기 2관왕을 차지하면서 화려하게 비상하는데 성공했고, 2007년에도 황금사자기를 2연패하는데 성공하며 장충고 최고의 전성기[5]를 일궈냈다. 그 때 전성기를 만든 주인공이 이용찬, 이승우, 이두환, 백용환, 최원제, 김원태, 박민석, 전진호, 김경모 등이었다.
황금사자기 2연패의 주인공들[6] |
2015년 봉황대기에서 사상 처음으로 봉황대기 결승을 밟았으나 경북고를 상대로 아쉽게 패배하며 준우승을 기록했다. 기사
2018년 9월 10일 진행된 KBO리그 2019년 신인드래프트에서 재학생 4명과 졸업생(대학 진학) 2명을 합산해 6명의 KBO리그 선수를 배출하는 기염을 토했다. 야구부가 있는 전국 고등학교 중 2019년도 KBO리그 야구선수 최다배출 기록이며, 1라운드 선수 포함 5라운드 이내 상위지명자만 4명에 달한다. #
2020년 청룡기 32강 인창고등학교와의 경기에서 7회초까지 5:12로 밀리며 콜드게임패 직전까지 갔으나 7회말에 2점을 뽑으며 기사회생한데 이어 8회말에 대거 7득점을 뽑아내며 14:12로 승리하며 16강에 진출하였고 16강 장안고등학교전에서 7회초 1:2로 지고있다가 또 대거 4점을 뽑아내며 5:3으로 장안고를 꺾고 8강에 진출하였다. 8강에서 순천효천고등학교를 10:1 7회 콜드게임승으로 이기며 2년 만에 청룡기 4강에 진출하였고 4강에서 세광고등학교를 상대로 1회에 4득점하여 5:4로 승리하며 창단 2번째로 청룡기 결승에 진출하였다. 결승전 상대는 디펜딩 챔피언 유신고등학교를 꺾고 올라 온 광주동성고다. 결승에서는 광주동성고를 9:7로 꺾으며 송민수 감독 부임 후 첫 우승과 함께 13년 만에 메이저 고교야구 우승 타이틀을 차지했다. 특히 청룡기는 창단 첫 우승이다. 봉황대기만 우승하면 4대 메이저 대회를 모두 우승하는 팀들의 하나로 이름을 올린다.협회장기 대회에서는 8강까지 갔으나 8강전 대전고와의 경기에서 연장 접전 끝에 7:8로 패하며 탈락했다.2020년 마지막 대회인 봉황대기에서 16강까지 갔으나 아쉽게도 인상고등학교한테 패하며 탈락했다.
송민수 감독은 유영준 감독 시절 투수코치, 유영준 감독이 NC 다이노스로 떠난 후 감독직을 이어받아 현재까지 감독으로 재임중이며 특히 투수의 혹사에 대해 반감이 심하고 세심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인터뷰 그러나 후술할 일로 일해 이런 평가는 빛을 잃었다.
2022년 신세계 이마트배 전국고교야구대회에서는 인상고, 강릉고, 배명고, 덕수고를 꺾고 준결승에 진출하였고, 준결승에서는 안산공고를 꺾고 창단 첫 이마트배 결승전에 진출하였다.
결승전 상대는 충암고를 꺾고 올라온 북일고로 결정되었는데, 2회와 3회, 4회에 각각 1점씩 내며 3:0으로 앞서갔으나 4회 5실점, 5회 3실점하며 3:8로 역전패했다.
2022년 청룡기 32강전에서 경기상고를 7회 콜드 게임으로 꺾었는데 5회에 등판한 이진하가 무려 7타자 연속 삼진을 기록했다. 16강전에서는 덕수고와 맞붙었는데 경기 초반부터 덕수고의 에이스인 심준석을 3이닝도 못채우고 조기강판시켰고 그렇게 덕수고를 11:0 7회 콜드게임승으로 이기며 8강에 진출하였다. 8강에서 대구상원고를 격파했으나 준결승에서 충암고한테 패하며 탈락했다.
2022년 대통령배에서는 8강에서 전주고한테 4:5로 패하면서 탈락했다.
2022년 봉황대기에서는 진영고, 라온고, 대구고를 꺾고 8강에 진출했고 8강에서 덕수고와 맞붙어서 11:12로 이기며 준결승에 진출하였다. 그러나 8강전 접전의 후유증 때문인지 준결승에서 강릉고에 2:10으로 대패했다.
2023년에는 1라운드급 선수인 황준서, 육선엽, 김윤하, 조동욱이 전부 같은 학년으로 몰린 역대급 황금세대가 나오며 기대를 모으고 있었는데 신세계이마트배에서는 8강에서 배재고와 맞붙어 10회말 안요원의 극적인 3타점 끝내기 2루타로 3:4로 배재고를 꺾고 4강에 진출했으나 4강에서 강릉고와 맞붙어 10회초까지 2점차로 앞서가다가 수비 난조로 인해 내리 3점을 내주며 4:5로 역전패를 당하면서 탈락했다. 특히 상대 투수가 장충고를 다니다가 1학년을 마치고 강릉고로 전학한 조대현이었기에 뼈아픈 패배였다.
주말리그 전반기에 1위를 하면서 황금사자기와 청룡기에 모두 참가하게 됐으나 황금사자기 1회전에서 율곡고에게 2:3으로 패하며 탈락했다.
2023년 청룡기에서 1회전 중앙고에 진땀승을 거둔뒤 2회전 군산상일고, 16강전 유신고를 격파하고 8강전에서 장현석의 마산용마고를 맞아 6 1/3이닝 14삼진을 당했지만 장현석이 구원등판 하기전 얻은 3점을 소중히 잘 지키며 3-2로 승리했다. 준결승에서 경북고를 상대로 4:7까지 밀렸던 경기를 9회 동점까지 끌고 갔으나 10회 결승점을 허용하며 결승 진출이 좌절되었다
1주일 뒤 열린 대통령배 1회전 대구상원고전에서 1회말 김윤하가 갑자기 제구가 흔들리며 3점을 허용했으나 이어 올라 온 조동욱이 위기를 막아냈고 6회초에 동점을 만들었다. 6회말부터 올라 온 황준서가 7회말 다시 달아나는 점수를 허용했으나 9회초 공격에서 2아웃 후 동점을 만들며 경기를 승부치기로 끌고 갔다. 그러나 12회말 황준서가 선두 타자에게 번트 안타를 허용하고 내려간 뒤 등판한 육선엽이 초구에 끝내기 희생플라이를 허용하며 탈락했다.
황준서와 육선엽이 청소년 대표로 나간 가운데 맞이한 봉황대기에서는 1회전을 부전승으로 통과했으나 2회전 청주고전에서 선발로 나선 조동욱이 2 2/3이닝 4실점(3자책)으로 부진했고 이를 만회하지 못하고 탈락했다.
기대에 못 미치는 2023 시즌을 보냈음에도 2024년 신인 드래프트에서 황준서(한화), 육선엽(삼성), 김윤하(키움)가 나란히 1라운드 지명을 받으며 1라운드 지명에만 3명을 배출하는 경사를 맞이했다. 여기에 2R 1번 조동욱(한화), 7R 5번 원종해(NC), 10R 1번 권현(한화), 10R 2번 류현준(두산)까지 무려 7명이나 프로 진출에 성공시켰다.[8]
2024년 첫 대회인 이마트배에서 승부치기 끝에 경동고에 패하며 16강전 진출에 실패했다.
3. 사건 사고
2020년 청룡기 우승 당시 주장이었고 대회 MVP였던 내야수 김태정이 프로에 지명받지 못한 뒤 고려대에 지원했으나 불합격하고 반대로 시즌 타율 .237에 그치면서 원서도 못 쓸 성적을 기록했던 조규택 선수가 합격했는데,[9] 합격한 선수는 고려대에 가겠다며 자신의 부모가 감독에게 5천만원을 제공했다고 공공연히 말하고 다녔다고 한다. 반면 김태정은 다른 대학에 합격했지만 결국 선수 등록을 하지 않고 2021년 4월에 군에 입대했다고 한다. 문제의 감독은 해외 전지훈련에서 허위로 지출을 신고하는 등 전지훈련비를 횡령한 혐의도 받고 있다. MBC 보도 고려대 역시 비리를 함께한 데에 이어 조규택 선수를 시합에서 기용하고 있어 아마야구팬들의 비난을 받고 있다. 이 사건으로 장충고 송민수 감독에 대해 비리 혐의로 경찰 조사가 이루어졌지만 자세한 결과는 알려지지 않고 있다.[10]4. 역대 감독
5. 출신 선수[13]
출신 선수 | |||
이름 | 포지션 | 프로 입단 | 경력 |
이홍범 | 외야수 | 1982년 원년 멤버 | 철도청-한국화장품- OB(1982~1986) |
양세종 | 외야수 | 1982년 원년 멤버 | 연세대-제일은행- OB(1982~1990) |
이종열 | 내야수 | 1991년 고졸연고자유계약 | LG(1991~2009) |
김현수 | 포수 | 1992년 연습생 입단 | 해태(1992~1993) |
이병규 | 외야수 | 1997년 1차지명 | 단국대- LG(1997~2006)- 주니치(2006~2009)- LG(2010~2016) |
이정훈 | 외야수 | 1998년 2차 12라운드 | 홍익대- 현대(1998~2000) |
유동훈 | 투수 | 1999년 2차 1라운드 | 성균관대- 해태/ KIA(1999~2014) |
홍세완 | 내야수 | 1996년 2차 11라운드 | 성균관대- 해태/ KIA(2000~2010) |
김성태 | 투수 | 2000년 2차 6라운드 | 현대(2000~2007)- 넥센(2008~2014) |
이정식 | 포수 | 2004년 2차 2라운드 | 경성대- 삼성(2004~2016) |
김요한 | 투수 | 2001년 2차 6라운드 | 동국대- KIA(2005~2007)- NC(2012) |
오현택 | 투수 | 2008년 육성선수 입단 | 원광대- 두산(2008~2017)- 롯데(2018~2021) |
유희관 | 투수 | 2009년 2차 6라운드 | 중앙대- 두산(2009~2021) |
김동한 | 내야수 | 2011년 8라운드 | 동국대- 두산(2011~2016)- 롯데(2016~2020) |
김명성 | 투수 | 2011년 1차지명 | 중앙대- 롯데(2011~2012)- 두산(2012~2016) |
이두환 | 내야수 | 2007년 2차 2라운드 | 두산(2007~2011)- KIA(2012) |
이승우 | 투수 | 2007년 2차 3라운드 | LG(2007~2012)- 삼성(2013~2015) |
이용찬 | 투수 | 2007년 1차지명 | 두산(2007~2020)- NC(2021~) |
김경모 | 외야수 | 2008년 2차 2라운드 | 삼성(2008~2015) |
김상호 | 내야수 | 2012년 2차 7라운드 | 고려대- 롯데(2012~2020) |
김종훈 | 투수 | 2012년 육성선수 입단 | 인하대- KIA(2012~2018) |
박민석 | 투수 | 2008년 2차 7라운드 | 두산(2008~2014)- NC(2015~2017) |
백용환 | 포수 | 2008년 2차 5라운드 | KIA(2008~2021)- 한화(2021~2022) |
최원제 | 내야수 | 2008년 2차 1라운드 | 삼성(2008~2018) |
강윤구 | 투수 | 2009년 1차 지명 | 넥센(2009~2017)- NC(2017~2021)- 롯데(2021~2022) |
김준완 | 외야수 | 2013년 육성선수 입단 | 고려대- NC(2013~2021)- 키움(2022~2023) |
이홍구 | 포수 | 2013년 2라운드 | 단국대- KIA(2013~2017)- SK(2017~2020)- kt(2020~2021) |
최선호 | 외야수 | 2014년 2차 7라운드 | 동의대- 삼성(2014~2021) |
사공엽 | 외야수 | 2015년 2차 3라운드 | 고려대- 두산(2015~2018) |
신민기 | 외야수 | 2015년 2차 9라운드 | 단국대- LG(2015) |
윤영삼 | 투수 | 2011년 2라운드 | 삼성(2011)- NC(2012~2013)- 넥센/키움(2014~2020) |
서덕원 | 투수 | 2016년 2차 5라운드 | 건국대- KIA(2016~2022) |
채상현 | 외야수 | 2016년 2차 8라운드 | 인하대- 넥센(2016~2017) |
최우석 | 투수 | 2012년 3라운드 | 한화(2012, 2015) |
황윤호 | 내야수 | 2012년 10라운드 | NC(2012~2017)- KIA(2018~2021) |
송준석 | 외야수 | 2013년 4라운드 | 삼성(2013~2023) |
원혁재 | 외야수 | 2017년 2차 4라운드 | 홍익대- 한화(2017~2019)- 천안 메티스(2020)- 한화(2022~2023) |
이재록 | 외야수 | 2017년 2차 7라운드 | 연세대- SK/ SSG(2017~2021) |
조지훈 | 투수 | 2013년 1라운드 | 한화(2013~2020) |
김호재 | 내야수 | 2014년 육성선수 입단 | 삼성(2014~2023) |
박찬호 | 내야수 | 2014년 2차 5라운드 | KIA(2014~) |
안도원 | 투수 | 2018년 신고선수 | 홍익대 - 삼성(2018~2021) |
이승민 | 포수 | 2018년 2차 6라운드 | 동국대- 두산(2018~2020) |
구본혁 | 내야수 | 2019년 2차 6라운드 | 동국대- LG(2019~) |
박주현 | 투수 | 2015년 2차 3라운드 | 넥센/키움(2015~) |
송성문 | 내야수 | 2015년 2차 5라운드 | 넥센/키움(2015~) |
권광민 | 투수 |
2016년 아마추어 자유계약 2022년 2차 5라운드 |
CHC(2016~2019)- 스코어본 하이에나들(2021)- 한화(2022~) |
양찬열 | 외야수 | 2020년 2차 8라운드 | 단국대- 두산(2020~2024) |
김대현 | 내야수 | 2021년 육성선수 입단 | 홍익대- kt(2021~2024) |
양기현 | 투수 | 2017년 2차 2라운드 | 넥센/키움(2017~) |
이민혁 | 투수 | 2019년 2차 4라운드 | 재능대- 두산(2019~2024) |
최종은 | 내야수 | 2021년 육성선수 입단 | 중앙대- 롯데(2021~2024) |
경우진 | 투수 | 2022년 육성선수 입단 | 제주관광대-단국대- 롯데(2022) |
성동현 | 투수 | 2018년 2차 1라운드 | LG(2018~) |
최건 | 투수 | 2018년 2차 2라운드 | KT(2018~2020)- 롯데(2021~) |
최준우 | 내야수 | 2018년 2차 4라운드 | SK/ SSG(2018~) |
김연준 | 투수 | 2019년 2차 10라운드 | 삼성(2019)- 고양 위너스(2021) |
김현수 | 투수 | 2019년 2차 3라운드 | 롯데(2019)- KIA(2020~) |
박민석 | 내야수 | 2019년 2차 5라운드 | kt(2019~) |
송명기 | 투수 | 2019년 2차 1라운드 | NC(2019~) |
이석제 | 투수 | 2023년 육성선수 입단 | 고려대- 한화(2023) |
강민수 | 투수 | 2020년 2차 8라운드 | KIA(2020) |
김병휘 | 내야수 | 2020년 2차 4라운드 | 키움(2020~) |
박주홍 | 외야수 | 2020년 1차지명 | 키움(2020~) |
엄태호 | 외야수 | 2020년 2차 6라운드 | 롯데(2020~2023) |
박건우 | 포수 | 2025년 육성선수 입단 | 고려대- 롯데(2025~) |
최건희 | 투수 | 2025년 6라운드 | 강릉영동대- KIA(2025~) |
최동희 | 외야수 | 2022년 2차 6라운드 | kt(2022~) |
최유빈 | 내야수 | 2022년 2차 10라운드 | SSG(2022~2024) |
신윤호 | 투수 | 2023년 4라운드 | 삼성(2023~) |
엄상현 | 투수 | 2025년 8라운드 | 홍익대- 한화(2025~) |
이민준 | 내야수 | 2023년 3라운드 | 한화(2023~) |
이진하 | 투수 | 2023년 2라운드 | 롯데(2023~) |
정준영 | 외야수 | 2023년 2라운드 | kt(2023~) |
권현 | 외야수[14] | 2024년 10라운드 | 한화(2024~) |
김윤하 | 투수 | 2024년 1라운드 | 키움(2024~) |
류현준 | 포수 | 2024년 10라운드 | 두산(2024~) |
원종해 | 투수 | 2024년 7라운드 | NC(2024~) |
육선엽 | 투수 | 2024년 1라운드 | 삼성(2024~) |
조동욱 | 투수 | 2024년 2라운드 | 한화(2024~) |
황준서 | 투수 | 2024년 1라운드 | 한화(2024~) |
김재원 | 투수 | 2025년 3라운드 | kt(2025~) |
조창연 | 포수 | 2025년 11라운드 | NC(2025~) |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fff><tablebgcolor=#ffffff> |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 역대 우승 고교 |
{{{#!wiki style="margin:0 -10px -5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순서 | 우승 구단 | 우승 연도 | 우승 횟수 | |
1 | <colbgcolor=#eeeeef,#191919> | <colbgcolor=#ffd700,#000> 경남고등학교 |
1947년,
1948년,
1949년,
1955년 1967년, 1974년, 2022년 |
★★★★★★★ 7회 |
|
2 | 인천고등학교 | 1954년, 1989년 |
★★ 2회 |
||
3 | 동산고등학교 | 1957년, 1988년 |
★★ 2회 |
||
4 | - | 경기공업고등학교[*] | 1958년, 1962년 |
★★ 2회 |
|
5 | 경동고등학교 | 1959년, 1960년 |
★★ 2회 |
||
6 | 성동고등학교(해단) | 1961년 |
★ 1회 |
||
7 | 선린인터넷고등학교 |
1963년,
1966년,
1969년 1980년, 2015년 |
★★★★★ 5회 |
||
8 | 성남고등학교 | 1964년, 1970년 |
★★ 2회 |
||
9 | 중앙고등학교 | 1965년 |
★ 1회 |
||
10 | 경북고등학교 | 1968년, 1971년, 1979년, 1981년 |
★★★★ 4회 |
||
11 | 군산상일고등학교 | 1972년, 1986년, 1999년 |
★★★ 3회 |
||
12 | 대구상원고등학교 | 1973년, 1998년 |
★★ 2회 |
||
13 | 개성고등학교 | 1975년 |
★ 1회 |
||
14 | 신일고등학교 |
1976년,
1978년,
1987년,
1991년 1993년, 1996년, 1997년, 2003년 |
★★★★★★★★ 8회 |
||
15 | 광주동성고등학교 | 1977년 |
★ 1회 |
||
16 | 세광고등학교 | 1982년 |
★ 1회 |
||
17 | 광주제일고등학교 |
1983년,
1984년,
2005년 2008년, 2010년, 2018년 |
★★★★★★ 6회 |
||
18 | 전주고등학교 | 1985년 |
★ 1회 |
||
19 | 충암고등학교 | 1990년, 2009년, 2011년 |
★★★ 3회 |
||
20 | 배명고등학교 | 1992년 |
★ 1회 |
||
21 | 덕수고등학교 |
1994년,
1995년,
2004년 2013년, 2016년, 2017년 |
★★★★★★ 6회 |
||
22 | 경기고등학교 | 2000년 |
★ 1회 |
||
23 | 휘문고등학교 | 2001년 |
★ 1회 |
||
24 | 북일고등학교 | 2002년, 2012년 |
★★ 2회 |
||
25 | 장충고등학교 | 2006년, 2007년 |
★★ 2회 |
||
26 | 서울고등학교 | 2014년 |
★ 1회 |
||
27 | 유신고등학교 | 2019년 |
★ 1회 |
||
28 | 김해고등학교 | 2020년 |
★ 1회 |
||
29 | 강릉고등학교 | 2021년 |
★ 1회 |
||
30 | 부산고등학교 | 2023년 |
★ 1회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fff><tablebgcolor=#ffffff> |
청룡기 전국고교야구대회™ 역대 우승 고교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순서 | 우승 구단 | 우승 연도 | 우승 횟수 | |
1 | <colbgcolor=#000080,#191919> | <colbgcolor=#000080,#fff> 개성고등학교 | 1946년, 1964년 |
★★ 2회 |
|
2 | 경남고등학교 |
1947년,
1948년,
1973년,
1976년 1990년, 1998년, 2006년, 2007년 2010년 |
★★★★★★★★★ 9회 |
||
3 | 광주제일고등학교 | 1949년, 1988년, 1995년, 2002년 |
★★★★ 4회 |
||
4 | 대구상원고등학교[1] |
1950년,
1970년,
1977년 1999년, 2011년, 2015년 |
★★★★★★ 6회 |
||
5 | 인천고등학교 | 1953년, 1954년 |
★★ 2회 |
||
6 | 동산고등학교 |
1955년,
1956년,
1957년 1959년, 1966년, 2005년 |
★★★★★★ 6회 |
||
7 | - | 경기공업고등학교[*] | 1958년 |
★ 1회 |
|
8 | 경동고등학교 | 1960년 |
★ 1회 |
||
9 | 성동고등학교(해단) | 1961년 |
★ 1회 |
||
10 | 부산고등학교 | 1962년, 1978년, 1979년 |
★★★ 3회 |
||
11 | 부산공업고등학교 | 1963년 |
★ 1회 |
||
12 | 청원고등학교 | 1965년, 1989년 |
★★ 2회 |
||
13 | 경북고등학교 |
1967년,
1968년,
1971년,
1974년 1975년, 1981년, 1993년, 2023년 |
★★★★★★★★ 8회 |
||
14 | 선린인터넷고등학교 | 1969년, 1980년 |
★★ 2회 |
||
15 | 중앙고등학교 | 1972년 |
★ 1회 |
||
16 | 군산상일고등학교 | 1982년, 1984년 |
★★ 2회 |
||
17 | 북일고등학교 | 1983년 |
★ 1회 |
||
18 | 서울고등학교 | 1985년 |
★ 1회 |
||
19 | 덕수고등학교 |
1986년,
200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6년 |
★★★★★★ 6회 |
||
20 | 대전고등학교 | 1987년 |
★ 1회 |
||
21 | 부경고등학교 | 1991년 |
★ 1회 |
||
22 | 공주고등학교 | 1992년 |
★ 1회 |
||
23 | 휘문고등학교 | 1994년, 1996년 |
★★ 2회 |
||
24 | 신일고등학교 | 1997년, 1997년 |
★★ 2회 |
||
25 | 성남고등학교 | 2000년, 2004년 |
★★ 2회 |
||
26 | 광주동성고등학교 | 2003년, 2018년 |
★★ 2회 |
||
27 | 대구고등학교 | 2008년 |
★ 1회 |
||
28 | 배명고등학교 | 2017년 |
★ 1회 |
||
29 | 유신고등학교 | 2019년, 2022년 |
★★ 2회 |
||
30 | 장충고등학교 | 2020년 |
★ 1회 |
||
31 | 충암고등학교 | 2021년 |
★ 1회 |
||
32 | 전주고등학교 | 2024년 |
★ 1회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151d2a> |
대통령배 전국고교야구대회™ 역대 우승 고교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rowcolor=#fff> 순서 | 우승 구단 | 우승 연도 | 우승 횟수 | |
1 | <colbgcolor=white> | <colbgcolor=#4b0082> 경북고등학교 |
1967년,
1968년,
1970년,
1971년 1972년, 1974년 |
★★★★★★ 6회 |
|
2 | 선린인터넷고등학교 | 1969년, 1979년 |
★★ 2회 |
||
3 | 대구상원고등학교 | 1973년, 1993년 |
★★ 2회 |
||
4 | 광주제일고등학교 |
1975년,
1980년,
1983년,
2002년 2007년, 2015년 |
★★★★★★ 6회 |
||
5 | 군산상일고등학교 | 1976년, 1981년, 1986년, 2023년 |
★★★★ 4회 |
||
6 | 공주고등학교 | 1977년, 2013년 |
★★ 2회 |
||
7 | 부산고등학교 |
1978년,
1982년,
1989년,
1992년 1999년, 2000년 |
★★★★★★ 6회 |
||
8 | 서울고등학교 | 1984년, 1985년, 2014년, 2017년 |
★★★★ 4회 |
||
9 | 북일고등학교 | 1987년, 1997년, 2011년 |
★★★ 3회 |
||
10 | 광주동성고등학교 | 1998년, 2005년 |
★★ 2회 |
||
11 | 충암고등학교 | 1990년, 2021년 |
★★ 2회 |
||
12 | 부경고등학교 | 1991년, 1998년 |
★★ 2회 |
||
13 | 대전고등학교 | 1994년, 2022년 |
★★ 2회 |
||
14 | 배재고등학교 | 1995년 |
★ 1회 |
||
15 | 휘문고등학교 | 1996년, 2010년 |
★★ 2회 |
||
16 | 진흥고등학교 | 2001년, 2012년 |
★★ 2회 |
||
17 | 대구고등학교 | 2003년, 2018년, 2019년 |
★★★ 3회 |
||
18 | 인천고등학교 | 2004년 |
★ 1회 |
||
19 | 장충고등학교 | 2006년 |
★ 1회 |
||
20 | 덕수고등학교 | 2008년, 2009년 |
★★ 2회 |
||
21 | 동산고등학교 | 2016년 |
★ 1회 |
||
22 | 강릉고등학교 | 2020년 |
★ 1회 |
[1]
4대 메이저 + 이마트배
[2]
1997 ~ 2001년
진동한 감독 시절 당시 전국대회에서 1~2회전 탈락을 주로 경험하기 일쑤였다.
[3]
중3 선수와 학부모들이 고등학교 투어를 다닐 때 ''감독님은 참 좋은 분인데 학교시설이 좋지 않다"라는 말을 하며 다른 고등학교로 진학한 사례도 있다고 술회한 바 있다.
[4]
오현택과
유희관은
배재고에서 전학,
이승우는
청원고에서 전학,
최원제는
경기고에서 전학하였다.
[5]
'07년 황금사자기 대회 전에 참가한
무등기에서 우승하였다.
[6]
김원태의 끝내기 안타 덕분에
유신고를 결승에서 제압할 수 있었다. 장충 최전성기의 주역 김원태는 경성대 진학을 거쳐 현재
부산공고 코치로 재직중이다.
[7]
스카우트 팀장, 단장, 감독대행을 거쳐
고양 위너스 감독을 지냈고 2023년까지
웅지세무대학교 야구부 감독을 역임했다.
[8]
장충고에서 강릉고로 전학 간
조대현까지 포함하면 8명이다.
[9]
당시 3학년 야수들 중에서 타율이 가장 낮았다고 한다. 검색하면 누구인지 금방 알 수 있다.
[10]
링크한 MBC 보도에 대해 송민수 감독이 반론을 제기하였고 수사 결과를 지켜봐 달라고 하였으나 공식적인 경로로 결과가 알려진 바는 없다.
[11]
대전대성고 시절 대전고와의 경기에서 심판들의 노골적인 편파판정으로 인해 대성고 선수들이 심판을 집단 폭행하여 팀이 해체됐을 당시 박철순과 함께 선수였다. 장충고 감독 재임 당시에 흔하지 않은 자율야구를 강조했으며 이병규를 지도했다. 장충고 감독 역임 후 성균관대 감독으로 이동했다.
[12]
쌍방울 레이더스 스카우트 팀장을 거쳐 장충고 감독으로 부임하며 지도자 생활을 시작했다. 지도자 준비과정을 밟지 않은터라 전국대회에서 팀을 8강으로 단 한 차례도 이끌지 못했다.
[13]
나무위키에 등재된 선수만. 졸업 연도순.
[14]
포수도 하긴 했으나 한화에선 외야수로 키우려고 뽑은 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