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7-20 07:46:03

정약종

남인
南人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동인
선조
(1575 ~ 1608)
이황 정개청 김명원 김성일 류성룡
우성전 정구 김응남 이원익 심희수
허성 윤승훈 신식 이광정 신용
이덕형 정경세 정온 이성구 이준
광해군 - 인조
(1608 ~ 1649)
근기남인 (북인) 영남남인
정구 장현광 윤선도 윤휴 이현일
이하진
효종 - 숙종
(1649 ~ 1720)
윤선도 허목 민희 민점 윤휴
목내선 류형원 이서우 김덕원 민암
이의징 신경제 이운징 신필청 장희재
청남 탁남
허목 홍우원 윤휴 허적 권대운
이원정 오시수 오정창 류혁연 허견
경종 이후
(1720 ~ )
실학 (중농학파) 탁남
이익 이중환 류득공 정사효 이인좌
청남
신서 공서 (벽파)
채제공 이가환 이승훈 신후담 안정복
정약전 정약종 정약용 홍낙안 목만중
세도 정치
조선의 붕당
( 관학파 · 훈구파 · 사림파 · 동인 · 서인 · 남인 · 북인 · 소론 · 노론 · 개화당 · 수구파 · 정동파 · 위정척사파 · 급진개화파 · 온건개화파)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white><tablebgcolor=#fff,#1f2023> 파일:문화부 심볼.svg 이달의 문화인물
(1998-2005)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998년
1월
신윤복
2월
안향
3월
이상화
4월
석주명
5월
이익
6월
송흥록
7월
조철호
8월
윤봉춘
9월
한성준
10월
정태진
11월
최제우
12월
이순신
1999년
1월
이중섭
2월
혜초
3월
유형원
4월
최한기
5월
김창숙
6월
권율
7월
맹사성
8월
황현
9월
김시습
10월
최세진
11월
정부인 안동 장씨
12월
이승훈
2000년
1월
남궁억
2월
나혜석
3월
김육
4월
서경덕
5월
진감국사(혜소)
6월
하규일
7월
정인보
8월
김좌진
9월
김수영
10월
류희
11월
김창하
12월
장승업
2001년
1월
김부식
2월
최용신
3월
강항
4월
함석헌
5월
지눌
6월
이병기
7월
이현보
8월
오세창
9월
허균 · 허난설헌
10월
설총
11월
의천
12월
송만갑
2002년
1월
정약종
2월
김환기
3월
이상재
4월
박두성
5월
박수근
6월
조지훈
7월
성삼문
8월
박효관
9월
김병연
10월
신숙주
11월
김승호
12월
손진태
2003년
1월
안확
2월
양주동
3월
이동백
4월
양팽손
5월
정지용
6월
정몽주
7월
김장생
8월
박세당
9월
유정
10월
월명
11월
이인성
12월
유길준
2004년
1월
조희룡
2월
신흠
3월
이항로
4월
이경석
5월
의상
6월
백광홍
7월
이첨
8월
김창조
9월
조헌
10월
최항
11월
장욱진
12월
박두진
2005년
1월
정정열
2월
이예
3월
강경애
4월
신동엽
5월
임윤지당
6월
김종직
7월
강정일당
8월
이규보
9월
나철
10월
이승휴
11월
효명세자
12월
최북
※ 선정 당시 기관명은 문화부(1990~1993) → 문화체육부(1993~1998) → 문화관광부(1998~2005)였다.
이달의 문화인물(1990-1997) }}}}}}}}}

<colbgcolor=#a52a2a><colcolor=#fff> 정약종
丁若鍾
파일:정약종.jpg
숭실대 한국기독교박물관이 소장한 정약종 초상화[1][2]
이름 정약종(丁若鍾)
본관 나주 정씨 (羅州 丁氏)[3]
출생 1760년( 영조 36) 3월 10일
경기도 광주부 초부면 마재리
(현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 마재마을)
사망 1801년( 순조 1) 2월 26일 (향년 40세)
종교 유교( 성리학) → 기독교 ( 천주교 | 세례명: 아우구스티노)
부모 부친 - 정재원(丁載遠, 1730 ~ 1792)
모친 - 해남 윤씨(海南 尹氏, 1728 ~ 1770) 윤덕열(尹德烈, 또는 윤덕렬)의 딸
형제자매 이복 형 - 정약현(丁若鉉, 1751~1821)
동복 형 - 정약전(丁若銓, 1758 ~ 1816)
동복 남동생 - 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정약횡(丁若鐄)
부인 경주 최씨(慶州 崔氏)
한산 이씨 - 이수정(李秀廷)의 딸
류소사(柳召史, 1761 ~ 1839)[4]
자녀 장녀 - 달성 배씨(達城 裵氏) 배윤문(裵允文)의 처 최씨 소생
장남 - 정철상(丁哲祥, ? ~ 1801) 이씨 소생
차남 - 정하상(丁夏祥, 1795 ~ 1839) 류씨 소생
차녀 - 정정혜(丁情惠, 1797 ~ 1839) 류씨 소생
1. 개요2. 생애3. 가족관계4. 여담5. 대중매체에서

[clearfix]

1. 개요

조선 실학자, 가톨릭 복자. 세례명 아우구스티노이며 복자로서의 축일은 5월 29일이다. 조선 가톨릭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 중 하나로, 가톨릭 신자들이 많이 들어봐서 잘 알고 있는 세례명 "하상 바오로"[5]가 그의 친아들이자 성인인 정하상이다. 정약종과 첫째 아들 정철상 가롤로는 1801년에 순교하여 복자가 되었지만, 살아남은 뒤 1839년에 순교한 정약종의 아내 유소사 체칠리아와 딸 정정혜 엘리사벳도 가톨릭 성인이다.

2. 생애

1760년(영조 36) 3월 10일 경기도 광주부 초부면 마재리(現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 마재마을)에서 아버지 정재원(丁載遠, 1730. 6. 10 ~ 1792. 4. 9)과 어머니 해남 윤씨(1728 ~ 1770. 11. 9)[6] 사이의 5남 3녀 중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어머니 해남 윤씨 소생으로는 세 아들 중 둘째이다. 큰형인 정약현(丁若鉉, 1751. 5. 6 ~ 1821. 9. 4)[7] 정약전, 정약종, 정약용 형제의 이복형이다.

정조 재위 기간 중반인 1786년에 천주교에 입교해 세례성사를 받았으며, 정약현을 제외한 형제가 모두 입교했다. 정약현은 천주교 신자가 아니지만 딸인 정난주와 사위 황사영이 천주교 신자다. 이후 정약종은 그 후 평신도 단체인 명도회의 회장으로 취임하여 청국인인 주문모 신부를 돕고 교리 요약서인 <주교요지>를 썼다.

신유박해 때 큰아들 정철상(丁哲祥, ? ~ 1801. 2. 26) 가롤로와 함께 순교했다. 정약종이 순교할 무렵에 정약전과 정약용은 천주교를 배교하고 살아남았지만[8], 정약종은 배교를 거부하여 사형당했다. 형제 중 정약종만 로마 가톨릭이 인정한 복자인 이유이다.

순교 후 2014년에 프란치스코 교황에 의해 윤지충 바오로와 123위 동료 순교자에 포함되어 시복되었다.

3. 가족관계

4. 여담

5. 대중매체에서



[1] 18세기 후반에 그려진 초상화로 같은 시대 천주교인이던 이희영(李喜英, 1756-1801)의 작품으로 짐작된다.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홈페이지 [2] 정약용 정약전의 얼굴을 추정해 볼 수 있는 자료이다. [3] 대사헌공파(大司憲公派)-동원공계(東園公系) 23세 약(若)○ 항렬. [4] 소사(召史)는 양민의 아내나 과부를 이르는 말인 조이를 한자로 음차하여 표기한 것으로, 류소사의 본명은 전해지지 않는다. [5] 한국 사제들 중에도 하상 바오로가 있으며, 해외 사제 중에도 종종 세례명 하상 바오로를 쓰는 사제가 있다. 한국 정치인 중에는 안철수가 세례명으로 하상 바오로를 쓰고 있다. [6] 윤덕열(尹德烈)의 딸이다. [7] 어머니가 의령 남씨(1729 ~ 1752. 10. 24) 남하덕(南夏德)의 딸이다. [8] 물론 귀양은 갔다. 당시 배교를 하면 귀양을 보내고, 배교를 안하면 죽이는게 정순왕후와 안동 김씨의 정책(당시 왕은 어린이였던 정조의 아들 순조)이었다. [9] 정약종의 자녀들은 모두 미혼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