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인 南人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동인 | ||||
선조 (1575 ~ 1608) |
|||||
이황 | 정개청 | 김명원 | 김성일 | 류성룡 | |
우성전 | 정구 | 김응남 | 이원익 | 심희수 | |
허성 | 윤승훈 | 신식 | 이광정 | 신용 | |
이덕형 | 정경세 | 정온 | 이성구 | 이준 | |
광해군 -
인조 (1608 ~ 1649) |
|||||
근기남인 (북인) | 영남남인 | ||||
정구 | 장현광 | 윤선도 | 윤휴 | 이현일 | |
이하진 | |||||
효종 -
숙종 (1649 ~ 1720) |
|||||
윤선도 | 허목 | 민희 | 민점 | 윤휴 | |
목내선 | 류형원 | 이서우 | 김덕원 | 민암 | |
이의징 | 신경제 | 이운징 | 신필청 | 장희재 | |
청남 | 탁남 | ||||
허목 | 홍우원 | 윤휴 | 허적 | 권대운 | |
이원정 | 오시수 | 오정창 | 류혁연 | 허견 | |
경종 이후 (1720 ~ ) |
|||||
실학 (중농학파) | 탁남 | ||||
이익 | 이중환 | 류득공 | 정사효 | 이인좌 | |
청남 | |||||
신서 | 공서 (벽파) | ||||
채제공 | 이가환 | 이승훈 | 신후담 | 안정복 | |
정약전 | 정약종 | 정약용 | 홍낙안 | 목만중 | |
세도 정치 | |||||
조선의 붕당 ( 관학파 · 훈구파 · 사림파 · 동인 · 서인 · 남인 · 북인 · 소론 · 노론 · 개화당 · 수구파 · 정동파 · 위정척사파 · 급진개화파 · 온건개화파)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white><tablebgcolor=#fff,#1f2023> |
이달의 문화인물 (1998-2005)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1998년 | |||||
1월 신윤복 |
2월 안향 |
3월 이상화 |
4월 석주명 |
5월 이익 |
6월 송흥록 |
|
7월 조철호 |
8월 윤봉춘 |
9월 한성준 |
10월 정태진 |
11월 최제우 |
12월 이순신 |
|
1999년 | ||||||
1월 이중섭 |
2월 혜초 |
3월 유형원 |
4월 최한기 |
5월 김창숙 |
6월 권율 |
|
7월 맹사성 |
8월 황현 |
9월 김시습 |
10월 최세진 |
11월 정부인 안동 장씨 |
12월 이승훈 |
|
2000년 | ||||||
1월 남궁억 |
2월 나혜석 |
3월 김육 |
4월 서경덕 |
5월 진감국사(혜소) |
6월 하규일 |
|
7월 정인보 |
8월 김좌진 |
9월 김수영 |
10월 류희 |
11월 김창하 |
12월 장승업 |
|
2001년 | ||||||
1월 김부식 |
2월 최용신 |
3월 강항 |
4월 함석헌 |
5월 지눌 |
6월 이병기 |
|
7월 이현보 |
8월 오세창 |
9월 허균 · 허난설헌 |
10월 설총 |
11월 의천 |
12월 송만갑 |
|
2002년 | ||||||
1월 정약종 |
2월 김환기 |
3월 이상재 |
4월 박두성 |
5월 박수근 |
6월 조지훈 |
|
7월 성삼문 |
8월 박효관 |
9월 김병연 |
10월 신숙주 |
11월 김승호 |
12월 손진태 |
|
2003년 | ||||||
1월 안확 |
2월 양주동 |
3월 이동백 |
4월 양팽손 |
5월 정지용 |
6월 정몽주 |
|
7월 김장생 |
8월 박세당 |
9월 유정 |
10월 월명 |
11월 이인성 |
12월 유길준 |
|
2004년 | ||||||
1월 조희룡 |
2월 신흠 |
3월 이항로 |
4월 이경석 |
5월 의상 |
6월 백광홍 |
|
7월 이첨 |
8월 김창조 |
9월 조헌 |
10월 최항 |
11월 장욱진 |
12월 박두진 |
|
2005년 | ||||||
1월 정정열 |
2월 이예 |
3월 강경애 |
4월 신동엽 |
5월 임윤지당 |
6월 김종직 |
|
7월 강정일당 |
8월 이규보 |
9월 나철 |
10월 이승휴 |
11월 효명세자 |
12월 최북 |
|
※ 선정 당시 기관명은 문화부(1990~1993) → 문화체육부(1993~1998) → 문화관광부(1998~2005)였다. | ||||||
이달의 문화인물(1990-1997) | }}}}}}}}} |
<colbgcolor=#a52a2a><colcolor=#fff> 정약종 丁若鍾 |
|
|
|
숭실대 한국기독교박물관이 소장한 정약종 초상화[1][2] | |
이름 | 정약종(丁若鍾) |
본관 | 나주 정씨 (羅州 丁氏)[3] |
출생 | 1760년( 영조 36) 3월 10일 |
경기도
광주부 초부면 마재리 (현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 마재마을) |
|
사망 | 1801년( 순조 1) 2월 26일 (향년 40세) |
종교 | 유교( 성리학) → 기독교 ( 천주교 | 세례명: 아우구스티노) |
부모 |
부친 - 정재원(丁載遠, 1730 ~ 1792) 모친 - 해남 윤씨(海南 尹氏, 1728 ~ 1770) 윤덕열(尹德烈, 또는 윤덕렬)의 딸 |
형제자매 |
이복 형 - 정약현(丁若鉉, 1751~1821) 동복 형 - 정약전(丁若銓, 1758 ~ 1816) 동복 남동생 - 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정약횡(丁若鐄) |
부인 |
경주 최씨(慶州 崔氏) 한산 이씨 - 이수정(李秀廷)의 딸 류소사(柳召史, 1761 ~ 1839)[4] |
자녀 |
장녀 - 달성 배씨(達城 裵氏) 배윤문(裵允文)의 처 최씨 소생 장남 - 정철상(丁哲祥, ? ~ 1801) 이씨 소생 차남 - 정하상(丁夏祥, 1795 ~ 1839) 류씨 소생 차녀 - 정정혜(丁情惠, 1797 ~ 1839) 류씨 소생 |
[clearfix]
1. 개요
조선의 실학자, 가톨릭의 복자. 세례명은 아우구스티노이며 복자로서의 축일은 5월 29일이다. 조선 가톨릭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 중 하나로, 가톨릭 신자들이 많이 들어봐서 잘 알고 있는 세례명 "하상 바오로"[5]가 그의 친아들이자 성인인 정하상이다. 정약종과 첫째 아들 정철상 가롤로는 1801년에 순교하여 복자가 되었지만, 살아남은 뒤 1839년에 순교한 정약종의 아내 유소사 체칠리아와 딸 정정혜 엘리사벳도 가톨릭 성인이다.2. 생애
1760년(영조 36) 3월 10일 경기도 광주부 초부면 마재리(現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 마재마을)에서 아버지 정재원(丁載遠, 1730. 6. 10 ~ 1792. 4. 9)과 어머니 해남 윤씨(1728 ~ 1770. 11. 9)[6] 사이의 5남 3녀 중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어머니 해남 윤씨 소생으로는 세 아들 중 둘째이다. 큰형인 정약현(丁若鉉, 1751. 5. 6 ~ 1821. 9. 4)[7]은 정약전, 정약종, 정약용 형제의 이복형이다.정조 재위 기간 중반인 1786년에 천주교에 입교해 세례성사를 받았으며, 정약현을 제외한 형제가 모두 입교했다. 정약현은 천주교 신자가 아니지만 딸인 정난주와 사위 황사영이 천주교 신자다. 이후 정약종은 그 후 평신도 단체인 명도회의 회장으로 취임하여 청국인인 주문모 신부를 돕고 교리 요약서인 <주교요지>를 썼다.
신유박해 때 큰아들 정철상(丁哲祥, ? ~ 1801. 2. 26) 가롤로와 함께 순교했다. 정약종이 순교할 무렵에 정약전과 정약용은 천주교를 배교하고 살아남았지만[8], 정약종은 배교를 거부하여 사형당했다. 형제 중 정약종만 로마 가톨릭이 인정한 복자인 이유이다.
순교 후 2014년에 프란치스코 교황에 의해 윤지충 바오로와 123위 동료 순교자에 포함되어 시복되었다.
3. 가족관계
- 아버지: 정재원 1730~1792
- 어머니: 해남 윤씨 1728~1770
- 이복형: 정약현 1751~1821
- 형: 정약전(안드레아) 1758~1816
- 동생: 정약용(세례자요한) 1762~1836
- 정약종(아우구스티노)복자 1760~1801
- 부인: 유소사(체칠리아)성녀 1761~1839
- 아들: 정철상(가롤로)복자 ?~1801
- 아들: 정하상(바오로)성인 1795~1839
- 딸: 정정혜(엘리사벳)성녀 1797~1839
4. 여담
- 천주교 전승에 따르면, 정약종은 하늘을 보며 참수당했다고 한다. 실제로는 능지처참형을 받았으며, 전승이나 영화 자산어보에 나온 것처럼 하늘 보고 누워 참수형 받은 건 아니다. 죄인이 원한다고 형 집행 방식을 바꿔 주지도 않으며 참수 절차상 그렇게 할 수도 없다.
- 부인인 유소사 체칠리아와 다른 자녀인 정하상 바오로, 정정혜 엘리사벳은 박해에서 살아남아 천주교인으로 남았으나, 1839년 기해박해 때 그들도 모두 순교했다. 그래서 형제 중에서 정약종만 직계후손이 없다.[9] 한편 유소사 체칠리아, 정하상 바오로, 정정혜 엘리사벳은 1984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의 방한 때 시성되었다( 한국 103위 순교성인).
- 정약종 형제의 생가인 마재마을( 경기도 남양주시)은 천주교의 성지( 마재성지성당)가 되었다( 마재성지 정보: 한국천주교주교회의). 천주교 의정부교구에서 관리하고 있다.
5. 대중매체에서
[1]
18세기 후반에 그려진 초상화로 같은 시대 천주교인이던 이희영(李喜英, 1756-1801)의 작품으로 짐작된다.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박물관 홈페이지
[2]
정약용과
정약전의 얼굴을 추정해 볼 수 있는 자료이다.
[3]
대사헌공파(大司憲公派)-동원공계(東園公系) 23세 약(若)○ 항렬.
[4]
소사(召史)는 양민의 아내나 과부를 이르는 말인
조이를 한자로 음차하여 표기한 것으로, 류소사의 본명은 전해지지 않는다.
[5]
한국 사제들 중에도 하상 바오로가 있으며, 해외 사제 중에도 종종 세례명 하상 바오로를 쓰는 사제가 있다. 한국 정치인 중에는
안철수가 세례명으로 하상 바오로를 쓰고 있다.
[6]
윤덕열(尹德烈)의 딸이다.
[7]
어머니가
의령 남씨(1729 ~ 1752. 10. 24) 남하덕(南夏德)의 딸이다.
[8]
물론 귀양은 갔다. 당시 배교를 하면 귀양을 보내고, 배교를 안하면 죽이는게 정순왕후와 안동 김씨의 정책(당시 왕은 어린이였던 정조의 아들 순조)이었다.
[9]
정약종의 자녀들은 모두 미혼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