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12 19:26:49

류형원

유형원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white><tablebgcolor=#fff,#1f2023> 파일:문화부 심볼.svg 이달의 문화인물
(1998-2005)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998년
1월
신윤복
2월
안향
3월
이상화
4월
석주명
5월
이익
6월
송흥록
7월
조철호
8월
윤봉춘
9월
한성준
10월
정태진
11월
최제우
12월
이순신
1999년
1월
이중섭
2월
혜초
3월
유형원
4월
최한기
5월
김창숙
6월
권율
7월
맹사성
8월
황현
9월
김시습
10월
최세진
11월
정부인 안동 장씨
12월
이승훈
2000년
1월
남궁억
2월
나혜석
3월
김육
4월
서경덕
5월
진감국사(혜소)
6월
하규일
7월
정인보
8월
김좌진
9월
김수영
10월
류희
11월
김창하
12월
장승업
2001년
1월
김부식
2월
최용신
3월
강항
4월
함석헌
5월
지눌
6월
이병기
7월
이현보
8월
오세창
9월
허균 · 허난설헌
10월
설총
11월
의천
12월
송만갑
2002년
1월
정약종
2월
김환기
3월
이상재
4월
박두성
5월
박수근
6월
조지훈
7월
성삼문
8월
박효관
9월
김병연
10월
신숙주
11월
김승호
12월
손진태
2003년
1월
안확
2월
양주동
3월
이동백
4월
양팽손
5월
정지용
6월
정몽주
7월
김장생
8월
박세당
9월
유정
10월
월명
11월
이인성
12월
유길준
2004년
1월
조희룡
2월
신흠
3월
이항로
4월
이경석
5월
의상
6월
백광홍
7월
이첨
8월
김창조
9월
조헌
10월
최항
11월
장욱진
12월
박두진
2005년
1월
정정열
2월
이예
3월
강경애
4월
신동엽
5월
임윤지당
6월
김종직
7월
강정일당
8월
이규보
9월
나철
10월
이승휴
11월
효명세자
12월
최북
※ 선정 당시 기관명은 문화부(1990~1993) → 문화체육부(1993~1998) → 문화관광부(1998~2005)였다.
이달의 문화인물(1990-1997) }}}}}}}}}
성명 류형원(柳馨遠)
본관 문화 류씨
출생 1622년(광해군 14년) 3월 2일 조선 한성부
사망 1673년(현종 14년) 5월 5일 (향년 51세) 조선 한성부
국적 조선
반계(磻溪)
덕부(德夫)
부모 부친 - 류흠(柳?, 1596 ~ 1623)
모친 - 여주 이씨 이지완(李志完, 1575 ~ 1617)의 딸
부인 풍산 심씨 - 심은(沈誾)의 딸
자녀 슬하 1남 6녀
장남 - 류하(柳昰)
장녀 - ?
차녀 - ?
3녀 - ?
4녀 - ?
5녀 - ?
6녀 - ?

1. 개요2. 생애3. 평가4. 기타

1. 개요

조선 후기의 실학자. 호는 '반계(磻溪)'인데 류형원[1]의 저작 《 반계수록》(磻溪隨錄)에도 제목으로 쓰였다.

2. 생애

류형원의 부친인 류흠은 북인으로 류형원이 태어난 이듬해였던 1623년에 인조반정과 1624년에 이괄의 난을 거치면서 서인들은 북인들이 재기하면 반드시 견제에 들어갈 가능성이 높았기 때문에 당연하게도 북인 출신 권신들과 광해군의 측근 세력들을 숙청했다. 이때 이이첨, 류희분, 정인홍 기자헌 류몽인등이 숙청당했는데, 북인 출신들에 대한 가혹한 처벌에 반발한 북인들은 박홍구, 류효립[2], 임취정 등을 중심으로 광해군을 태상왕으로 복권시키는 것과 인성군을 왕을 옹립시키는 거사를 준비했지만 거사가 발각되어서 처형당했다. 류흠은 류몽인의 옥사에[3]연루되어서 죽임을 당했다.

이후에 정묘호란/ 병자호란으로 파탄난 나라를 보며 학문과 현실에 관심을 두었다. 여러 번 과거 시험을 보기도 했고 진사까지는 따냈지만 막상 관직에는 뜻이 없어서 평생 학문 연구에 힘을 썼다.

당색으로는 북인에 가까웠다고는 하지만 당대 기준으로는 거물급 인사와 연줄이 있었다. 류형원의 스승이자 외삼촌, 고모부인 이원진과 김세렴은 벼슬길에 올라 각각 호조판서와 병조참의까지 지냈고[4] 류형원의 스승 허목도 벼슬길에 오른 이후로는 우의정에 오를 정도로 거물급 인사가 되었다. 윤휴와도 친분을 쌓기까지도 했으니 초야에 파묻혀 살기는 했어도 듣보잡과는 거리가 멀었다. 류형원의 스승과 지인들은 류형원이 재능이 있음에도 관직에 오르지 않음을 안타까워해서 효종 때부터 현종 때까지 지속적으로 천거했지만 그는 계속 사양했다. 본인이 마음만 먹었다면 벼슬에 오를 수도 있었지만 스스로 거부하고 재야에 파묻혀 살았던 것이다.

자신을 키워준 조부가 사망한 뒤 32살 되던 효종 4년(1653) 조상의 땅인 전라도 부안현 우반동에 집을 짓고 칩거하며 학문 연구와 후학 양성에 몰두했다. 효종 7년(1656)에는 《동국여지지》(東國輿地志)라는 지리서를 집필했다. 류형원은 가끔씩 한양이나 영남 지방 유랑도 하며 전국의 토지 문제에 대해 생각했다. 효종 3년(1652)부터 현종 11년(1670)까지 무려 19년에 걸쳐 《반계수록》을 완성하고 3년이 지나 현종 14년(1673)에 향년 쉰두 살로 사망했다. 《반계수록》은 류형원이 일생 동안 재야의 사림으로 학문에 전념하면서 내놓은 필생의 역작이었으나, 류형원이 벼슬길에 오르기를 마다했기 때문에 류형원의 절친한 동료들이 《반계수록》의 내용에 관심을 보이기는 했지만 그 내용이 실현되는 일은 없었다.

3. 평가

류형원이 죽기 2년 전인 현종 11년(1670) 경신대기근이 일어났다. 한 마디로 효종-현종 대 예송논쟁 시기에 활동했던 인물.

류형원은 사후 100년 가까이 지나 영조 때 세상에 알려져 극찬을 받았고 이익, 안정복, 정약용이 읽으며 조선 후기 실학으로 이어졌다. 그래서 조선 실학의 비조로 평가되지만 정약용 같은 실학자들이 활동하던 때보다 100년쯤 앞선 사람이다. 생전에는 칩거하여 책만 썼고 책이 100년 후에 빛을 보며 실학자들을 양성했다.

근래 학계에서는 실학의 실체를 두고 많이들 회의하지만, 류형원의 삶은 말 그대로 교과서적인 실학의 언급과 빼닮아 있다. 자세히 살펴보면 실학의 일반적인 이미지와는 다른 면도 많지만 '뛰어난 개혁적 저술 → 그러나 생전에는 무시당함 → 영조·정조 시기 발굴되어 전성'이라는 측면에서는 그러하다. 실제로 조선왕조실록에 류형원을 검색하면 가장 많이 등장하는 때가 정조 때인데 유형원의 생몰년(1622-1673년)과는 100년이 넘는 간극이 있다.

반계수록에 포함된 개혁 방안은 19세기에도 이어져 흥선대원군을 포함한 경세가들의 정책에 많이 반영되었고 현재의 헌법에도 명시된 경자유전( 농사하지 않는 이의 농토 소유 금지) 법칙의 근거가 되는 사상을 남겼다.

보통 국사 교재 등[5]에서 류형원을 남인 계열 중농학파라 부르지만, 사실 류형원의 생전에는 관직도 전혀 하지 않았고 정계 거물들과 연줄이 있기는 했지만 그의 주장이 실현되지는 않았다. 따라서 류형원을 남인이니 중농학파니 규정할 만한 것도 없다. 애초에 그는 북인 계열인 데다가, 학문 역시 실천과 경세론을 중시하는 전형적인 북인 계통 학문에게서 영향을 받은 것이다. 남인 계열 중농학파라 불리는 이익, 정약용은 모두 류형원이 죽고 난 뒤 훨씬 이후에 태어난 인물들이니 서로 직접 교류한 것은 없지만, 류형원의 학풍을 이은 후대의 학자들이 남인 계열이라 류형원도 남인으로 취급받는다. 이는 어디까지나 현재의 학자들이 그렇게 분류하는 것이고, 당시 류형원은 남인의 일파가 아니라 그저 100년 전 명저를 남긴 재야 선비로 인식되었다.

4. 기타



[1] 일반적으로 유형원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조선왕조실록 한글번역이 '柳'를 일괄적으로 '유'로 번역하고 있고 중•고교 교과서에서 이를 차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2] 류효립(柳孝立). [3] 류몽인이 광해군의 복위를 꾀하려 한다는 류응형(柳應泂)의 모함을 받고 류몽인이 아들 류약과 함께 처형된 사건 [4] 조선시대 기준으로 당상관에 해당되는 직책으로 고위급 벼슬이었다. 요새로 치면 장차관급. [5] 일반적으로 교과서 등에서는 유형원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조선왕조실록 등의 한글번역에서 '柳'를 일률적으로 '유'로 번역하고 있기 때문이다. [6] 다만, 조선의 노비 제도를 보는 그의 시선은 지나치게 편파적인데 엄연히 조선과 같은 시기 중국 청나라에 있었던 가생자같은 세습 노비에 대해 기록하지 않았다. [7] 논문 출처: 楊普景. (1994). 서울의 공간확대와 시민의 삶. 서울학연구, (1), 48-77. 다운로드(무료) [8] 양천구 등지는 양천현의 일부여서 고려되지 않은 것 같다. 사실 숙종 대만 해도 멀리 안 가고 성동구의 왕십리나 마장동만 해도 왕실 전용 목장이나 채마밭이었다. 시대를 300년은 앞서간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