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1 13:30:55

탈출 속도

우주속도에서 넘어옴
'[[천문학|{{{#fff 천문학
Astronomy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colbgcolor=MidnightBlue><colcolor=#fff> 배경
기본 정보 우주 · 천체
천문사 고천문학 · 천동설 · 지동설 · 첨성대 · 혼천의 · 간의 · 아스트롤라베 · 올베르스의 역설 · 대논쟁 · 정적 우주론 · 정상우주론
천문학 연구 천문학과 · 천문학자 · 우주덕 · 천문법 · 국제천문연맹 · 한국천문학회 · 한국우주과학회 ·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 천문지도사) · 우주항공청( 한국천문연구원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한국과학우주청소년단 · 국제천문올림피아드 · 국제 천문 및 천체물리 올림피아드 · 아시아-태평양 천문올림피아드 · 한국천문올림피아드 · 전국학생천체관측대회 · 전국청소년천체관측대회
천체물리학
천체역학 궤도 · 근일점 · 원일점 · 자전( 자전 주기) · 공전( 공전 주기) · 중력( 무중력) · 질량중심 · 이체 문제( 케플러의 법칙 · 활력방정식 · 탈출 속도) · 삼체문제( 라그랑주점 · 리사주 궤도 · 헤일로 궤도 · 힐 권) · 중력섭동(궤도 공명 · 세차운동 · 장동 · 칭동) · 기조력( 조석 · 평형조석론 · 균형조석론 · 동주기 자전 · 로슈 한계) · 비리얼 정리
궤도역학 치올코프스키 로켓 방정식 · 정지궤도 · 호만전이궤도 · 스윙바이 · 오베르트 효과
전자기파 흑체복사 · 제동복사 · 싱크로트론복사 · 스펙트럼 · 산란 · 도플러 효과( 적색편이 · 상대론적 도플러 효과) · 선폭 증가 · 제이만 효과 · 편광 · 수소선 · H-α 선
기타 개념 핵합성( 핵융합) · 중력파 · 중력 렌즈 효과 · 레인-엠든 방정식 · 엠든-찬드라세카르 방정식 · 톨만-오펜하이머-볼코프 방정식 · 타임 패러독스
위치천문학
구면천문학 천구 좌표계 · 구면삼각형 · 천구적도 · 자오선 · 남중 고도 · 일출 · 일몰 · 북극성 · 남극성 · 별의 가시적 분류 · 24절기( 춘분 · 하지 · 추분 · 동지) · 극야 · 백야 · 박명
시간 체계 태양일 · 항성일 · 회합 주기 · 태양 중심 율리우스일 · 시간대 · 시차 · 균시차 · 역법
측성학 연주운동 · 거리의 사다리( 연주시차 · 천문단위 · 광년 · 파섹)
천체관측
관측기기 및 시설 천문대 · 플라네타리움 · 망원경( 쌍안경 · 전파 망원경 · 간섭계 · 공중 망원경 · 우주 망원경) · CCD( 냉각 CCD) · 육분의 · 탐사선
관측 대상 별자리( 황도 12궁 · 3원 28수 · 계절별 별자리) · 성도 · 알파성 · 딥 스카이 · 천체 목록( 메시에 천체 목록 · 콜드웰 천체 목록 · 허셜 400 천체 목록 · NGC 목록 · 콜린더 목록 · 샤플리스 목록 · Arp 목록 · 헤나이즈 목록 · LGG 목록 · 글리제의 근접 항성 목록 · 밝은 별 목록 · 헨리 드레이퍼 목록 · 웨스터하우트 목록) · 스타호핑법 · 엄폐
틀:태양계천문학·행성과학 · 틀:항성 및 은하천문학·우주론 · 천문학 관련 정보 }}}}}}}}}

1. 개요2. 유도3. 특성4. 우주 속도
4.1. 제1 우주 속도4.2. 제2 우주 속도4.3. 제3 우주 속도
5. 기타
5.1. 가상의 우주 속도
5.1.1. 제4 우주 속도
6. 같이 보기

1. 개요

escape velocity ·

물체가 천체 중력을 이겨내고 무한히 멀어질 수 있는 최소한의 속을 말한다.[1]

2. 유도

우선 천체와 물체 사이의 중력 외에 다른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다고 가정하자.

천체는 대략적으로 구형의 밀도가 균일한 구형 물체라 가정해볼 수 있으므로 천체의 질량이 [math(M)]이고, 반지름이 [math(R)]라 한다면, 천체의 중심에서 [math(r)]만큼 떨어진 질량 [math(m)], 속력이 [math(v)]인 물체의 역학적 에너지 [math(E_{r})]는 천체의 중력에 의한 중력 퍼텐셜 에너지와 운동 에너지의 합으로 주어진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E_{r}=-\frac{GMm}{r}+\frac{1}{2}mv^{2} \end{aligned})]

[math(G)]는 중력 상수이다. 이 물체가 천체의 중력의 영향권에서 벗어나는 것은 천체로 부터 곧 무한히 멀어져 [math(r\to \infty)]일 때 일 것이다. 이 경우 중력 퍼텐셜 에너지는 0[2]이 되므로 이 때 역학적 에너지는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E_{\infty}=0+T_{\infty} \end{aligned})]

[math(T_{\infty})]는 이 점에서 물체의 운동 에너지가 되며, 속력을 가지지 않을 경우 [math(T_{\infty}=0)]이다. 중력은 보존력이고, 이러한 힘의 장에서 외력을 받지 않는 물체의 역학적 에너지는 보존되므로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frac{GMm}{r}+\frac{1}{2}mv^{2}=T_{\infty} \end{aligned})]

이상을 정리함으로써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frac{1}{2}mv^{2}=\frac{GMm}{r}+T_{\infty} \end{aligned})]

우리의 목적은 이러한 조건을 만족시키는 속력 [math(v)]의 최솟값을 찾는 것이고, 퍼텐셜 에너지 항은 조정할 수 없는 것이 없으므로 결국 [math(T_{\infty}=0)]이 될 때,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v=\sqrt{\frac{2GM}{r}} \end{aligned})]

따라서 이 속력을 탈출 속도[3]라 정의하고 그 기호를 [math(v_{\sf{esc}})]로 쓴다.

만약 행성의 표면에서 이를 생각한다면, 표면 중력 가속도의 크기는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a=\frac{GM}{R^{2}} \end{aligned})]

행성 표면에 대한 탈출 속도를 생각한다면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v_{\sf{esc}}=\sqrt{2aR} \end{aligned})]

으로 쓸 수 있다.

이 결과를 가지고 태양계 일부 구성원에 대한 표면에서의 탈출 속도를 구해보면, 지구 [math(11.19\,{\rm km/s})], 달 [math(2.37\,{\rm km/s})], 목성 [math(59.5\,{\rm km/s})]이고, 태양 [math(617.5\,{\rm km/s})]이며, 지구 궤도에서 태양계 중력권을 탈출할 수 있는 탈출 속도는 [math(42.1\,{\rm km/s})]이다.

3. 특성

4. 우주 속도

탈출 속도와 유사한 개념으로 우주 속도가 있는데, 제1-3 우주 속도로 3가지로 나뉜다. 이들은 모두 일정한 값을 가지고 있는데, 측정에 필요한 요소들(천체의 질량과 크기, 중력 등등)이 명확하여 수식에 대입해 계산 가능하기 때문이다.

4.1. 제1 우주 속도

물체가 지구 지표면에서 추락하지 않고, 지구의 중심을 원 궤도의 중심으로 원운동 할 수 있는 최소한의 속력.

물체가 중력 방향에 대하여 이 속력을 가지고 있다면 지구 중심을 공전한다.

지구, 화성, 목성의 제1 우주 속도는 각각 [math(7.905\,{\rm km/s})], [math(3.55\,{\rm km/s})], [math(42.12\,{\rm km/s})]이다.

이것의 유도는 구심력의 크기가 중력의 크기와 같음을 이용한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frac{GMm}{(R+r)^{2}}=\frac{mv^{2}}{R+r} \end{aligned})]

이것을 정리함으로써 다음을 얻는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v=\sqrt{\frac{GM}{R+r}} \end{aligned})]

여기서 볼 수 있듯 물체의 질량은 해당 속력에 관여하지 않는다.

4.2. 제2 우주 속도

물체가 천체를 중심으로 원운동할 수 있는 최소한의 속력[6]을 [math(v')]라 할 때 물체 속력 [math(v)]가 다음 조건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v'<v<\sqrt{2}v' \end{aligned})]

을 만족시킬 때, 물체는 천체를 하나의 초점으로 하는 타원 궤도를 움직이게 된다. 즉, 천체의 중력에 종속되어 있긴 하나 일반적인 원 궤도를 벗어나 더 멀어질 수 있다.
[증명]
-------
중심력 문서에 따르면 3차원 상의 외력이 없는 중력장의 운동은 2차원 평면 상으로 기술될 수 있으며, 이때, 투사한 물체의 질량을 환산 질량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mu=\frac{mM}{m+M} \end{aligned} )]

으로 대치하여 사용한다. 그러나 우리가 다루는 상황은 행성과 위성 또는 항성과 행성 등 [math(M \gg m)]인 상황으로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mu \approx m \end{aligned} )]

으로 쓸 수 있다.

이제 궤도의 [math(r=R+r_{0})]에서 중력장에 대하여 수직으로 [math(v)]의 속력으로 물체를 투사하는 것을 고려하자. 이때, 물체의 궤도는 원뿔곡선이며, 그 이심률은

[math(\displaystyle \varepsilon=\sqrt{1+\frac{2El^{2}}{ (GM)^{2} m^{3} } } )]

이때, 타원 궤도가 되려면, [math(0<\varepsilon<1)]을 만족해야 하며, 그것은 곧

[math(\displaystyle -1< \frac{2El^{2}}{ (GM)^{2} m^{3} } <0 )]

임을 만족해야하는 것으로 귀착된다.

각운동량은 보존됨에 따라 초기 각운동량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mv(R+r_{0})=l \end{aligned} )]

으로 쓸 수 있고, 에너지 또한 보존되므로 초기 에너지를 [math(E)]라 쓰자.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E=\frac{1}{2}mv^{2}-\frac{GMm}{R+r_{0}} \end{aligned} )]


이것을 부등식에 대입하면

[math(\displaystyle -\frac{GM}{r+R_{0}}< \frac{(r+R_{0}) v^4}{GM}-2v^{2} <0 )]

이 부등식의 해는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v'<v<\sqrt{2}v' \qquad \biggl(v'=\sqrt{\frac{GM}{R+r_{0} }} \biggr) \end{aligned} )]

으로 이것이 타원 운동할 조건이 된다.

그러나, 부등식의 해는 [math(0<v<v')]도 되는데, 이는 원 운동을 하기에 충분하지 못할 때, 떨어지는 궤도 또한 타원임을 의미한다.

파일:namu_우주속도_개요.svg

그리고 [math(\sqrt{2} v')]의 속도를 넘으면 그때 비로소 천체의 중력권에서 탈출할 수 있게 되는데, 이 속도가 바로 탈출 속도이다. 물체가 탈출 속도를 가진 경우 천체에서 벗어난 후 다른 천체 중력의 영향을 받을 때까지 등속 직선 운동을 한다.[7] 제2 우주 속도는 위의 제1 우주 속도에 [math(\sqrt{2})]를 곱한 값에 태양 등에 의한 약간의 오차를 수정한 값으로, 대략 [math(11.19\,{\rm km/s})]이다.

4.3. 제3 우주 속도

물체가 지구 공전 궤도[8]에서 태양계를 탈출할 수 있는 최소한의 속력. 약 [math(\rm 16.7\,{\rm km/s})]로 알려져있다.

5. 기타

5.1. 가상의 우주 속도

일반적으로 알려진 제1-3 우주 속도 이외에도 SF의 영역에선 제4-6 우주 속도도 간혹 속도계로 쓰인다.

1-3 우주 속도가 원궤도 도달속도 → 지구 인력권 탈출 속도 → 태양계 인력권 탈출 속도로 이어지는 것처럼 4-6 우주 속도는 더 나아가 우리 은하계 인력권 탈출 → 국부 은하군 인력권 탈출 → (모든 천체에 붙잡히지 않고) 변경 우주 진출 속도로 이어지는 식.

이게 가상인 이유는 제1-3 우주 속도와 달리 해당 속도를 구하는데 필요한 질량 등에 관련된 정확한 데이터를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여전히 미지의 영역인 것이 이유로, 소설이나 영화, 애니메이션 등에서나 다루어지는 속도이다.

더불어 SF 영역에선 단순하게 워프 속도, 초광속같이 속도계로 쓰기에 쉽고 편리한 설정이 있어 탈출 필요속도 단위인 우주속도는 쓰임새도 적고 마이너한 편이라 국내에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그리고 어차피 매스 드라이버 같은 게 아니라면 보통 우주선은 추진력을 꾸준히 내기 때문에 탈출 속도의 의미가 없다.

5.1.1. 제4 우주 속도

우리 은하의 탈출 속도는 태양계에서 [math(492{\text -} 594\,{\rm km/s})]임이 알려져 있다. #

은하 중심과의 거리에 따른 탈출 속도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파일:은하탈출속도.png

6. 같이 보기



[1] 이름은 탈출 속도이지만, 사실 탈출 속도는 스칼라값이기에 속도보다는 속력이라 보는 게 타당하다. [2] 0이 되는 이유는 중력 퍼텐셜 에너지를 구할 때 무한 원점에서 퍼텐셜 에너지를 기준으로 삼은 둔 우리의 목적과 연관이 있다. 퍼텐셜 에너지 문서를 참조한다. [3] 엄밀하게는 속도가 아니라 속력이 맞다. [4] 간단히 말하면, 지구의 지표면에서 탈출 속도 이상의 빠르기로 물체를 쏘아올린 뒤 아무런 추진력을 주지 않고 가만히 두면 이 물체는 지구의 중력이 계속 작용함에도 불구하고 지구를 벗어날 수 있다. 반대로, 아무리 느린 속도로 천천히 이 물체를 쏘아올려도 지속적으로 지구를 탈출하는 방향으로 중력보다 큰 힘의 추진력을 준다면 이 물체는 언젠가는 지구를 탈출한다. [5] 엄밀히 따지면 사건의 지평선 안쪽이 해당된다. [6] 제1 우주 속도는 지구 궤도에서의 원운동에 필요한 최소 속도를 의미하므로 [math(v')]는 천체마다 다르다. [7] 다만 태양계에서는 지구의 중력권에서 벗어나는 즉시 태양의 중력권에 들어가기 때문에... [8] 태양에 대해 30km/s 속도로 공전하고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