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clearfix]
1. 개요
定 常 宇 宙 論[1] / steady-state theory
허블-르메트르 법칙 정립으로 우주가 팽창한다는 것은 확정 사실로 받아들여진 이후, 우주의 기원을 설명하기 위해 빅뱅 우주론(현재는 거의 정설로 인정받고 있으나 초기에는 아직 설의 단계였다)이 제기되었을 때, 프레드 호일을 비롯해 빅뱅 우주론이 마음에 들지 않았던 과학자들이 제기한 또 다른 우주 이론. 우주가 팽창하지 않는다는 정적 우주론과는 다르다. 정상우주론은 빅뱅 우주론과 마찬가지로 허블 법칙 이후에 등장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우주 팽창을 전제로 할 수밖에 없다.
초기에는 빅뱅 이론과 첨예하게 대립하였으나, 이후의 천문학 발전이 점차 빅뱅 이론을 지지하는 결과를 내면서 1990년대 이후로는 완전한 비주류 이론으로 남게 되었다.
정상우주론은 우주가 확장되면 확장될수록, 그 확장된 진공 공간을 메꾸기 위해 사람이 관측할 수 없을 정도로 극도로 적은 수소원자가 저절로 생성된다는 가설이다. 이때문에 연속 창조설이라고도 한다.
아무 것도 없는 공간에서 질량 보존 법칙을 무시하고 물질이 생성된다는 주장은 매우 황당해 보이지만 그런 견해에 대해서는 "빅뱅이 된다면 저절로 생기는 게 안 될 건 또 뭐야?"라는 반론이 대표적. 빅뱅 이론도 제기될 당시에는 그만큼 상식 밖의 이론이었다.
그리고 정상우주론이 지지받은 원인에는 어쩌면 창세기와 비슷해 보이는 빅뱅 이론을 인정하기 싫었던 것도 한몫 했다. 빅뱅이론은 시간이 빅뱅과 함께 시작되었다고 설명하지만 그 당시 사람들은 시간이 출발점을 가진다는 생각을 좋아하지 않았다. 따라서 그의 이론은 빅뱅의 가능성을 피하려는 여러차례의 시도 중 가장 유력했던 이론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정작 호일은 지적설계를 믿었다.
사실 빅뱅 이론과의 경쟁 과정에서 천문학 발달에 좋은 영향을 끼치기도 했는데, 당시 빅뱅 이론은 우주에 존재하는 대다수의 헬륨의 형성을 설명 가능했지만, 정작 헬륨보다 무거운 중원소는 설명하지 못하는 상황이었다. 이에 프레드 호일은 빅뱅 핵융합의 대체재로써 항성의 핵융합 과정을 통해서도 중원소가 생성됨을 완벽하게 설명해냈다. 현대 천문학에서는 빅뱅과 항성 양쪽에서 핵융합이 이루어진 결과로 현재 우주의 화학적 조성이 형성되었다고 설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