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7 19:35:24

중력 렌즈 효과

상대성 이론
Theory of Relativity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2A1A5B> 특수 상대성 이론 일반 상대성 이론
<colcolor=#00a0de><colbgcolor=#2A1A5B> 배경 상대성 이론/역사 · 맥스웰 방정식 · 마이컬슨-몰리 실험
기초 가설 상대성 원리 · 광속 불변의 원리 등가 원리( 중력 · 관성력)
이론 체계 시공간( 세계선 · 고유 시간 · 고유 길이 · 민코프스키 다이어그램 · 아인슈타인 표기법) · 미분기하학( 리만 다양체)
로런츠 변환( 로런츠 인자) · 로런츠 군 아인슈타인 방정식 · 힐베르트 액션
( 슈바르츠실트 계량 · 라이스너-노르드스트룀 계량 · 커 계량/커-뉴먼 계량)
현상 동시성의 상대성 · 시간 지연 · 길이 수축 · 질량-에너지 등가원리 · 상대론적 효과( 도플러) 중력 렌즈 효과 · 중력파 · 적색편이
응용 및 심화 기본 상호작용 · 상대론적 역학 · 상대론적 전자기학 · 양자 전기역학
· 천체물리학( 천문학 둘러보기) · 통일장 이론 · 루프 양자 중력 이론 · 타임 패러독스
쌍둥이 역설 · 막대와 헛간 역설 · 아광속 · 초광속 · 타키온 중력자 · 블랙홀( 블랙홀 둘러보기 · 사건의 지평선 · 양자블랙홀) · 우주론 · 우주 상수
}}}}}}}}}}}} ||

천문학
Astronomy
{{{#!wiki style="margin:0 -10px -5px;min-height:2em"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MidnightBlue><colcolor=#fff> 배경
기본 정보 우주 · 천체
천문사 고천문학 · 천동설 · 지동설 · 첨성대 · 혼천의 · 간의 · 아스트롤라베 · 올베르스의 역설 · 대논쟁 · 정적 우주론 · 정상우주론
천문학 연구 천문학과 · 천문학자 · 우주덕 · 천문법 · 국제천문연맹 · 한국천문학회 · 한국우주과학회 ·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 천문지도사) · 우주항공청( 한국천문연구원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한국과학우주청소년단 · 국제천문올림피아드 · 국제 천문 및 천체물리 올림피아드 · 아시아-태평양 천문올림피아드 · 한국천문올림피아드 · 전국학생천체관측대회 · 전국청소년천체관측대회
천체물리학
천체역학 궤도 · 근일점 · 원일점 · 자전( 자전 주기) · 공전( 공전 주기) · 중력( 무중력) · 질량중심 · 이체 문제( 케플러의 법칙 · 활력방정식 · 탈출 속도) · 삼체문제( 라그랑주점 · 리사주 궤도 · 헤일로 궤도 · 힐 권) · 중력섭동( 궤도 공명 · 세차운동 · 장동 · 칭동) · 기조력( 조석 · 평형조석론 · 균형조석론 · 동주기 자전 · 로슈 한계) · 비리얼 정리
궤도역학 치올코프스키 로켓 방정식 · 정지궤도 · 호만전이궤도 · 스윙바이 · 오베르트 효과
전자기파 흑체복사 · 제동복사 · 싱크로트론복사 · 스펙트럼 · 산란 · 도플러 효과( 적색편이 · 상대론적 도플러 효과) · 선폭 증가 · 제이만 효과 · 편광 · 수소선 · H-α 선
기타 개념 핵합성( 핵융합) · 중력파 · 중력 렌즈 효과 · 레인-엠든 방정식 · 엠든-찬드라세카르 방정식 · 타임 패러독스
위치천문학
구면천문학 천구 좌표계 · 구면삼각형 · 천구적도 · 자오선 · 남중 고도 · 일출 · 일몰 · 북극성 · 주극성 · 24절기( 춘분 · 하지 · 추분 · 동지) · 극야 · 백야 · 박명
시간 체계 태양일 · 항성일 · 회합 주기 · 태양 중심 율리우스일 · 시간대 · 시차 · 균시차 · 역법
측성학 연주운동 · 거리의 사다리( 연주시차 · 천문단위 · 광년 · 파섹)
천체관측
관측기기 및 시설 천문대 · 플라네타리움 · 망원경( 쌍안경 · 전파 망원경 · 간섭계 · 공중 망원경 · 우주 망원경) · CCD( 냉각 CCD) · 육분의
관측 대상 별자리( 황도 12궁 · 3원 28수 · 계절별 별자리) · 성도 · 알파성 · 딥 스카이 · 천체 목록( 메시에 천체 목록 · 콜드웰 천체 목록 · 허셜 400 천체 목록 · NGC 목록 · Arp 목록 · 글리제의 근접 항성 목록) · 스타호핑법 · 엄폐
틀:태양계천문학·행성과학 · 틀:항성 및 은하천문학·우주론 · 천문학 관련 정보 }}}}}}}}}

1. 개요2. 역사3. 설명4. 예시5. 창작물에서의 표현

1. 개요

중력에 의해 빛이 휘는 것 처럼 보이는 현상. 정확히 말하면 외부 천체에 의해 별의 상이 확대/왜곡되거나 여러 개로 보이는 현상을 지칭한다.

2. 역사

흔히 중력이 빛을 굴절시킨다는 잘못된 상식이 퍼져있으나, 빛은 직진하고 광속은 절대 불변하여 당연히 중력에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중력에 의해 빛이 휘는 것은 불가능하다. 다만 중력장에 의해 왜곡된 공간은 중력원과의 거리에 따라 시간의 흐름이 다르기 때문에 이에 진입할 때와 탈출할 때의 빛의 진행방향에 차이가 발생하는 것이다.

중력 렌즈 효과는 아인슈타인이 1907, 1911년 예측한 태양의 중력장에 의한 시공의 왜곡을 응용한 것이다. 이 현상 자체는 1919년 에딩턴 등이 시행한 개기일식 원정 실험에 의해 입증되었다.

아인슈타인은 이미 이론이 완성되기도 전인 1912년 중력 렌즈 효과에 관한 개념을 생각하고 노트에 관련 계산을 적어놓았으나 관측 가능성이 거의 없다 보고(이론의 검증에 도움이 되지 않음) 출판하지 않았다. 이후, 오레스트 흐볼슨(Orest Khvolson)[Chwolson(1924)] 등이 유사한 아이디어를 독립적으로 논문으로 출판했으나 이 논문들은 완전히 묻혔다.

중력 렌즈 효과가 본격적으로 학계에 알려진 것은 1936년 아인슈타인이 그것을 다시 계산해 논문으로 출판하면서이다. 아인슈타인이 미국에 있을 때 체코에서 망명해 온 아마추어 기술자 루디 맨들(Rudi W. Mandl)이 관련 아이디어를 갖고서 아인슈타인을 찾아왔고, 아인슈타인은 이미 20년 전 계산을 끝내놓았으므로 매우 긍정적으로 화답했지만(1912년에 이미 계산되어 있었다는 자료는 1990년대에 Renn에 의해 발견되었다.[Renn(1997)]) 관측이 불가능하다고 여겨 논문으로 출판하는 것은 거절했다. 하지만 맨들은 아인슈타인을 계속해서 재촉했고, 그는 마지못해 Science 지에 간략하게 논문을 제출한다.[Einstein(1936)]

이 논문은 아인슈타인의 예상 외로 반향이 컸고, 매우 진지하게 논의되었다. 논문이 나온 즉시 칼텍 소속 천문학자였던 프리츠 츠비키(Fritz Zwicky, 1898~1974)는 (아인슈타인 말대로) 가능성이 적은 별 대신 외부 은하에 의한 중력 렌즈 효과의 가능성을 논했으며, 이후 1960년대에 이르러 발견된 퀘이사(Quasar)의 거리를 가늠하는 데에 중력 렌즈 효과가 적용되는 것을 기점으로 천문학에 실제 적용이 이뤄지기 시작했다. 그러나 아인슈타인의 계산은 매우 단순한 조건(구형 대칭)에서만 적용되기에 보다 일반적인 상황에서 중력 렌즈 효과를 고려하기 위해서는 훨씬 정교한 모델을 사용해야 했다. 이러한 이론적 작업 이후 1979년 처음으로 퀘이사(Q0957+561)의 이중상(double image)이 발견됨으로써 중력 렌즈 효과가 실증되었다. 1985년에는 아인슈타인 십자가를 나타내는 퀘이사 QSO 2237+0305가 발견되었고, 1988년에는 아인슈타인 링(Einstein ring)의 첫번째 예시(MG1131+0456)가 발견되었다.

(출처 : Tilman Sauer, "A brief history of gravitational lensing", Einstein Online Vol. 04 (2010) : 1005 #)

3. 설명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Black_hole_lensing_web.gif
블랙홀 은하수를 배경으로 지나갈 경우의 중력 렌즈 효과를 시뮬레이션한 영상.[4]

고전 물리 이론에서는 빛은 파동이므로 공간상에서 직진하는 것이 당연하였고 광양자 가설에 의해 입자로 간주된 뒤에도 그 질량이 0이기 때문에 중력의 영향을 받지 않아서 우주공간 상에서 직진하는 것이 당연하였다. 일반상대론에서도 빛이 직진하지만, 여기서의 직진은 공간의 곡률을 반영하여 최단 경로를 따르는 것으로 일반화된 것이다. 기존에 평평하고 불변하는 것으로 여겨졌던 공간이 중력에 따라 휘고, 이 휜 공간을 따라 빛도 움직인다. 이러한 효과가 보정되지 않은 역학 수성의 궤도와 이 현상을 설명하는 데에 한계가 있었으며, 일반 상대성이론이 수성의 궤도를 효과적으로 설명한 것과 이전에 알려진 바 없었던 중력렌즈 효과가 에딩턴경에 의해 관측되면서 일반 상대성 이론이 기존의 역학을 누르고 패러다임을 차지하게 된다.

중력 렌즈 효과로 인해 광원의 위치가 바뀌는 것 뿐만 아니라 실제 렌즈처럼 광량을 증폭하는 효과도 있어서 매우 먼 거리에 있는 천체를 관측하는데 이용되기도 한다. 이러한 목적의 관측은 허블 우주 망원경이 찍은 허블 프론티어 필드(Hubble Frontier Field)가 대표적이다.

Rudy E. Schild가 이끄는 하버드의 천체물리학 연구팀은 중력렌즈 효과를 통하여 지구의 약 3배 질량 정도 되는 행성40억 광년 떨어진 위치에 존재하는 걸 확인했다고 한다. 행성, 그것도 40억 광년 거리에. 현재까지 가장 먼 거리에서 발견된 행성으로 위키백과에 랭크되어 있다. #[5]

또한 관측된 가장 멀리 있는 항성인 WHL0137-LS 역시 중력 렌즈 현상 덕에 관측이 가능했다. 이쪽은 지구에서 280억 광년 떨어진 곳에 존재한다. 어쩌다 보니 렌즈의 초점이 맞는 정확한 위치에 항성 하나가 있었다 수준의 우연의 산물이다.

태양이 일으키는 중력 렌즈 효과를 대물렌즈로 사용하는 초대형 우주망원경을 만들자는 아이디어가 있다. 이것이 실현된다면 수십광년 떨어진 행성의 고해상도 사진을 얻을 수 있는 초고성능 망원경이 되겠지만 이를 위해서는 접안 렌즈를 태양에서 550AU 거리에 설치해야 한다. 인류가 만든 인공물 중 가장 멀리 이동한 보이저 1호가 이동한 거리보다도 몇 배나 먼 거리이므로 근미래에는 실현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4. 예시

5. 창작물에서의 표현


[Chwolson(1924)] Orest Chwolson, "Über eine mögliche Form fiktiver Doppelsterne" Astronomische Nachrichten 221 (1924) : 329-330. [Renn(1997)] J Renn, T Sauer, J Stachel, "The Origin of Gravitational Lensing: A Postscript to Einstein's 1936 Science Paper", Science 275 (1997) :184-186 # [Einstein(1936)] A. Einstein, "Lens-Like Action of a Star by the Deviation of Light in the Gravitational Field", Science 84 (1936): 506-507 # [4] 비교적 저속 회전하는 블랙홀의 경우이며, 블랙홀 중에서도 비교적 고속 회전하는 블랙홀에 대한 시뮬레이션 영상은 링크 참조 [5] 다만 실제 중력 렌즈 현상인지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다시 관측될 가능성도 거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