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일 한자 | ||||||
月 월요일 |
火 화요일 |
水 수요일 |
木 목요일 |
金 금요일 |
土 토요일 |
日 일요일 |
月 달 월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月, 0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4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ゲツ, ガツ
|
||||||
일본어 훈독
|
つき
|
||||||
-
|
|||||||
표준 중국어
|
yuè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
획순
|
[clearfix]
1. 개요
月은 '달 월'이라는 한자로, ' 달'을 뜻한다.2. 특징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달 |
음 | 월 | |
중국어 | 표준어 | yuè |
광동어 | jyut6 | |
감어 | nyyot7 | |
객가어 | ngie̍t | |
진어 | yeh4 | |
민북어 | ngṳè | |
민동어 | nguŏk | |
민남어 | goa̍t[文] / ge̍h[白], goe̍h[3] | |
오어 | hhyq (T5)[文] / hhioq (T5)[5] | |
상어 | ye6 | |
일본어 | 음독 | ガツ·ゲツ |
훈독 | つき | |
베트남어 | nguyệt |
유니코드에는 U+6708에 배당되어 있고, 주음부호로는 ㄩㄝˋ로 입력하며, 창힐수입법으로는 月(G)로 입력한다.
상형자로써, 달의 모양을 본떠서 만든 글자이다.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추상화되었다 :
2.1. 부수
|
||||
{{{#!wiki style="margin:3px -10px -3px; min-height:1.5em;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lding [ 214 부수 ] |
1획 | <colbgcolor=#fff,#1f2023>1 一 2 丨 3 丶 4 丿 5 乙(乚) 6 亅 | ||
2획 | 7 二 8 亠 9 人(𠆢, 亻) 10 儿 11 入 12 八 13 冂 14 冖 15 冫 16 几 17 凵 18 刀(刂) 19 力 20 勹 21 匕 22 匚 23 匸 24 十 25 卜 26 卩(㔾) 27 厂 28 厶 29 又 | |||
3획 | 30 口 31 囗 32 土 33 士 34 夂 35 夊 36 夕 37 大 38 女 39 子(孑) 40 宀 41 寸 42 小 43 尢(尣) 44 尸 45 屮 46 山 47 巛(川) 48 工 49 己 50 巾 51 干 52 幺 53 广 54 廴 55 廾 56 弋 57 弓 58 彐(彑, ⺕) 59 彡 60 彳 | |||
4획 | 61 心(忄, ⺗) 62 戈 63 戶 64 手(扌) 65 支 66 攴(攵) 67 文 68 斗 69 斤 70 方 71 无(旡) 72 日 73 曰 74 月 75 木 76 欠 77 止 78 歹(歺) 79 殳 80 毋 81 比 82 毛 83 氏 84 气 85 水(氵, 氺) 86 火(灬) 87 爪(爫, ⺥) 88 父 89 爻 90 爿(丬) 91 片 92 牙 93 牛(牜) 94 犬(犭) | |||
5획 | 95 玄 96 玉(王) 97 瓜 98 瓦 99 甘 100 生 101 用 102 田 103 疋(⺪) 104 疒 105 癶 106 白 107 皮 108 皿 109 目(罒) 110 矛 111 矢 112 石 113 示(⺬, 礻) 114 禸 115 禾 116 穴 117 立 | |||
6획 | 118 竹(⺮) 119 米 120 糸(糹) 121 缶 122 网(罒, 罓, 㓁) 123 羊(⺶, ⺷) 124 羽 125 老(耂) 126 而 127 耒 128 耳 129 聿 130 肉(月, ⺝) 131 臣 132 自 133 至 134 臼(𦥑) 135 舌 136 舛 137 舟 138 艮 139 色 140 艸(⺿, 艹, 䒑) 141 虍 142 虫 143 血 144 行 145 衣(衤) 146 襾(覀) | |||
7획 | 147 見 148 角 149 言(訁) 150 谷 151 豆 152 豕 153 豸 154 貝 155 赤 156 走 157 足(𧾷) 158 身 159 車 160 辛 161 辰 162 辵(⻍, ⻌) 163 邑(⻏) 164 酉 165 釆 166 里 | |||
8획 | 167 金(釒) 168 長 169 門 170 阜(⻖) 171 隶 172 隹 173 雨(⻗) 174 靑 175 非 | |||
9획 | 176 面 177 革 178 韋 179 韭 180 音 181 頁 182 風 183 飛 184 食(𩙿, 飠) 185 首 186 香 | |||
10획 | 187 馬 188 骨 189 高 190 髟 191 鬥 192 鬯 193 鬲 194 鬼 | |||
11획 | 195 魚 196 鳥 197 鹵 198 鹿 199 麥 200 麻 | |||
12획 | 201 黃 202 黍 203 黑 204 黹 | 15획 | <colbgcolor=#fff,#1f2023>211 齒 | |
13획 | 205 黽 206 鼎 207 鼓 208 鼠 | 16획 | 212 龍 213 龜 | |
14획 | 209 鼻 210 齊 | 17획 | 214 龠 | |
참고문서 : 부수 · 한자/목록/부수별 · 강희자전 |
- [ 위치별 주요 부수 ]
- ||<:><table align=center>변
<colbgcolor=#fff,#1f2023> 氵 · 亻 · 木 · 糹 · 訁 · 口 · 扌 · 忄 · 女 · 山 · 虫 · 火 · 釒 · 日 · 月/⺼ · 禾 · 土 · ⻖ · 犭 · 馬 · ⻞/飠 · 目 · 王 · 石 · 米 · 衤 · ⻊ · ⺬/礻 · 彳 · 車 · 魚 · 冫 · 貝 · 酉 · 耳 · 弓 · 牜 · 舟 · 立 · 方 · 歹 · 止 · 音 방 攵 · 頁 · 隹 · 鳥 · ⻏ · 刀 · 欠 · 又 · 見 · 力 · 殳 · 寸 · 戈 · 斤 · 卩 · 瓦 · 乚 · 彡 머리 ⺿/艹 · ⺮ · 宀 · 亠 · 冖 · 𠆢 · 爫/⺥ · ⻗ · 穴 · 覀 · 罒 · 止 발 木 · 心 · 灬 · 夊 · 女 · 大 · 示 · 土 · 子 · 見 · 貝 · ⺝ · 皿 · 止 받침 ⻍/⻌ · 廴 · 走 · 鬼 · 麥 엄 广 · 厂 · 尸 · 戶 · 疒 · 耂 · 虍 <colbgcolor=#fff,#1f2023> 勹 · 气 몸 囗 門 · 鬥 凵 匚 그외 {{{#!wiki style="margin:-16px -11px" 心 衣 }}} 行
- [ 수록자 보기 ]
- ||1획
<colbgcolor=#fff,#1f2023>1 一 2 丨 3 丶 4 丿 5 乙(乚) 6 亅 2획 7 二 8 亠 9 人(𠆢, 亻) 10 儿 11 入 12 八 13 冂 14 冖 15 冫 16 几 17 凵 18 刀(刂) 19 力 20 勹 21 匕 22 匚 23 匸 24 十 25 卜 26 卩(㔾) 27 厂 28 厶 29 又 3획 30 口 31 囗 32 土 33 士 34 夂 35 夊 36 夕 37 大 38 女 39 子(孑) 40 宀 41 寸 42 小 43 尢(尣) 44 尸 45 屮 46 山 47 巛(川) 48 工 49 己 50 巾 51 干 52 幺 53 广 54 廴 55 廾 56 弋 57 弓 58 彐(彑, ⺕) 59 彡 60 彳 4획 61 心(忄, ⺗) 62 戈 63 戶 64 手(扌) 65 支 66 攴(攵) 67 文 68 斗 69 斤 70 方 71 无(旡) 72 日 73 曰 74 月 75 木 76 欠 77 止 78 歹(歺) 79 殳 80 毋 81 比 82 毛 83 氏 84 气 85 水(氵, 氺) 86 火(灬) 87 爪(爫, ⺥) 88 父 89 爻 90 爿(丬) 91 片 92 牙 93 牛(牜) 94 犬(犭) 5획 95 玄 96 玉(王) 97 瓜 98 瓦 99 甘 100 生 101 用 102 田 103 疋(⺪) 104 疒 105 癶 106 白 107 皮 108 皿 109 目(罒) 110 矛 111 矢 112 石 113 示(⺬, 礻) 114 禸 115 禾 116 穴 117 立 6획 118 竹(⺮) 119 米 120 糸(糹) 121 缶 122 网(罒, 罓, 㓁) 123 羊(⺶, ⺷) 124 羽 125 老(耂) 126 而 127 耒 128 耳 129 聿 130 肉(月, ⺝) 131 臣 132 自 133 至 134 臼(𦥑) 135 舌 136 舛 137 舟 138 艮 139 色 140 艸(⺿, 艹, 䒑) 141 虍 142 虫 143 血 144 行 145 衣(衤) 146 襾(覀) 7획 147 見 148 角 149 言(訁) 150 谷 151 豆 152 豕 153 豸 154 貝 155 赤 156 走 157 足(𧾷) 158 身 159 車 160 辛 161 辰 162 辵(⻍, ⻌) 163 邑(⻏) 164 酉 165 釆 166 里 8획 167 金(釒) 168 長 169 門 170 阜(⻖) 171 隶 172 隹 173 雨(⻗) 174 靑 175 非 9획 176 面 177 革 178 韋 179 韭 180 音 181 頁 182 風 183 飛 184 食(𩙿, 飠) 185 首 186 香 10획 187 馬 188 骨 189 高 190 髟 191 鬥 192 鬯 193 鬲 194 鬼 11획 195 魚 196 鳥 197 鹵 198 鹿 199 麥 200 麻 12획 201 黃 202 黍 203 黑 204 黹 15획 <colbgcolor=#fff,#1f2023>211 齒 13획 205 黽 206 鼎 207 鼓 208 鼠 16획 212 龍 213 龜 14획 209 鼻 210 齊 17획 214 龠 참고문서 : 부수 · 한자/색인/부수별 · 강희자전
달월부는 강희자전 214부에서 74번째에 놓인 부수이다.
달월부와 모양이 비슷한 부수로는 ⺝(⺼)와 冃가 있는데, 이 둘은 달월부와는 다른 부수이니 주의할 것. ⺝(⺼)는 고기 육(肉) 자의 부수형태이고 冃는 쓰개 모(冃)의 부수형태이다.
다만 ⺼와 같은 형상을 쓰는 것은 대만 뿐이고, 한국이나 일본, 중국 한자에서는 고기육부의 형태가 달월부와 완전하게 일치하는데, 이 둘을 구분하기 위해 '육달월부'라는 명칭을 쓰기도 한다.[6]
달월부를 부수로 삼는 한자는 대략 130여개 정도가 있다. 다만 이것은 위에서 언급했던 육달월부를 총괄했을 경우이고, 순수하게 달월부만 분리하여 세보자면 그 개수는 대략 50여개 정도이다. 또한 달월부를 부수로 삼는 한자는 대체로 시간과 관련된 의미를 가지며[7], 고기육부는 인체와 관련된 의미를 포함하는 경우가 많다.[8][9][10]
또한 月이 왼쪽이나 아래쪽에 오는 한자는 거의 육달월부를 부수로 삼는다. 服(옷 복)의 경우 변으로 쓰인 月은 舟(배 주)의 변형이다. 그리고 月 부수 중 방으로 쓰인 경우는 모두 달월부이지만 胡(오랑캐·턱 밑살 호)만 유일하게 예외로 胡의 月은 방으로 쓰였지만 육달월부이다. 벽자까지 범위를 넓히면 오히려 月이 왼쪽에 오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으로 '몽롱( 朦 朧)하다'가 있으며, 朗(밝을 랑)도 본자는 朖으로 月이 왼쪽에 온다.
단, 오늘날 중국에서는 부수를 개정할 때 달월부와 육달월부의 구별을 폐지하고 둘을 통합했다. 이에 따라 기존의 고기육부의 글자들 중 肉이 원형 그대로 쓰인 글자들만 고기육부로 남겨놓고 肉이 육달월로 변형된 글자들은 전부 달월부에 편입되었다. 부수/중국 참고.
3. 용례
3.1. 단어
- 개월( 個月)
- 격월( 隔月)
- 고월( 皐月)
- 농가월령가( 農 家月 令 歌)
- 만월( 滿月)
- 매월( 每月)
- 명월( 明月)
- 밀월( 蜜月)
- 생년월일( 生 年月 日)
- 설월화( 雪月 花)
- 세월( 歲月)
- 월(月) - 개월(個月), 달
- 월간(月 刊)
- 월경(月 經)
- 월계(月 桂)
- 월광(月 光)
- 월급(月 給)
- 월말(月 末)
- 월별(月 別)
- 월병(月 餠)
- 월세(月 貰)
- 월식(月 食/月 蝕)
- 월요병(月 曜 病)
- 월요일(月 曜 日)
- 윤월( 閏月)
- 전월( 前月)
- 정월( 正月)
- 환월( 幻月)
3.2. 고사성어/ 숙어
3.3. 인명
3.3.1. 실존 인물
- 김소월( 金 素月) - 다만, 본명이 아니다.
- 김탄월( 金 坦月) - 일제강점기의 승려
- 나월환( 羅月 煥)
- 라한월(뤄한위에)( 罗 寒月)
- 리웨링( 李月 玲) - 홍콩의 영화배우. 리린린(李琳琳)이라는 예명으로 활동하고 있다.
- 박목월( 朴 木月) - 역시 본명이 아니다.
- 시마무라 호게츠( 島 村 抱月)
- 심월( 沈月) -중국의 배우
- 위추월(웨이추웨)( 魏 秋月)
- 임정월아( 林 鄭月 娥) - 홍콩 행정장관 캐리 람의 홍콩식 이름
- 킨게츠 마미( 金月 真 美)
3.3.2. 가상 인물
3.3.3. 月이라 쓰고 훈독하는 일본 인명
3.3.3.1. 실존 인물
- 나카시마 유즈키( 中 嶋 優月)
- 마에다 미츠키( 前 田 美月)
- 모치즈키 신이치( 望月 新 一)
- 사츠키 치사토( 彩月 ちさと)
- 아카츠키 루나( 紅月 ルナ)
- 아카츠키 유무( 赤月 ゆむ)
- 야마시타 시즈키( 山 下 瞳月)
- 유이나 미즈키( 結 名 美月)
- 호리이 미즈키( 堀 井 美月)
- 후쿠토미 츠키( 福 富 月)
3.3.3.2. 가상 인물
- 나카노 이츠키( 中 野 五月) - 만화 5등분의 신부의 히로인.
- 미즈사와 미즈키( 水 澤 美月)
- 아카츠키 모모카( 赤月 桃 佳)
- 아카츠키 유리( 赤月 ユーリ)
- 야가미 라이토( 夜 神 月) - 月을 ライト로 읽는다.
- 와타츠키노 요리히메( 綿月 依 姫)
- 와타츠키노 토요히메( 綿月 豊 姫)
- 유즈키 유카리( 結月 ゆかり)
- 츠쿠요미 쇼타(月 読 ショウタ)
- 츠쿠요미 코모에(月 詠 小 萌)
- 츠키가미 카이토(月 皇 海 斗)
- 츠키시로 히토미(月 白 瞳 美)
- 키사라기 루이( 如月 ルヰ)
- 하시마 이츠키( 羽 島 伊月)
3.4. 지명
- 교월동( 校月 洞)
- 구월동( 九月 洞)
- 매월동( 梅月 洞)
- 반월동( 半月 洞)
- 사월동( 沙月 洞)
- 상월곡동( 上月 谷 洞)
- 신월동( 新月 洞)
- 월계동(月 溪 洞)
- 월곡동(月 谷 洞)
- 월곶동(月 串 洞)
- 월굴리(月 窟 里)
- 월내리(月 內 里)
- 월롱면(月 籠 面)
- 월미도(月 尾 島)
- 월성동(月 城 洞)
- 월암동(月 巖 洞)
- 월평동(대전광역시 서구)(月 坪 洞)
- 월평리(月 平 里)
- 월포리(月 浦 里)
- 월피동(月 陂 洞)
- 초월읍( 草月 邑)
- 하월곡동( 下月 谷 洞)
3.5. 지하철역
- 달월역( 達月 驛)
- 망월사역( 望月 寺 驛)
- 반야월역( 半 夜月 驛)
- 반월당역( 半月 堂 驛)
- 반월역( 半月 驛)
- 사월역( 沙月 驛)
- 상월곡역( 上月 谷 驛)
- 영암월출역( 靈 巖月 出 驛)
- 월계역(月 溪 驛)
- 월곡역(月 谷 驛)
- 월곶역(月 串 驛)
- 월내역(月 內 驛)
- 월롱역(月 籠 驛)
- 월미공원역(月 尾 公 園 驛)
- 월미문화의거리역(月 尾 文 化의거리 驛)
- 월미바다역(月 尾 海 驛)
- 월배역(月 背 驛)
- 월촌역(月 村 驛)
- 월평역(月 坪 驛)
- 월포역(月 浦 驛)
- 초월역( 草月 驛)
3.5.1. 月이라 쓰고 훈독하는 일본 지명
- 아키즈키 현(秋月県) - 일본의 행정구역. 현재 있는 현은 아니고, 17세기 현재의 후쿠오카 현 내에 있던 秋月藩(아키즈키 번)의 이칭이다.
- 오오츠키 시(大月市) - 일본 야마나시현 내의 시
3.6. 창작물
3.7. 기타
- 상당수의 일본 해군 구축함들[11]
- 무츠키급 구축함 - 무츠키(睦月), 키사라기(如月), 우즈키(卯月), 사츠키(皐月), 미나즈키(水無月), 후미즈키(文月), 나가츠키(長月), 키쿠즈키(菊月), 미카즈키(三日月), 모치즈키(望月), 유즈키(夕月)
- 아키즈키급 구축함 - 아키즈키(秋月), 테루즈키(照月), 스즈츠키(涼月), 하츠즈키(初月), 니즈키(新月), 와카츠키(若月), 시모츠키(霜月), 후유츠키(冬月), 하루츠키(春月), 요이즈키(宵月), 나츠즈키(夏月), 미치즈키(満月), 하나즈키(花月)
- 세월호( 歲月 號)
- 월화수목금금금(月 火 水 木 金 金 金)
4. 모양이 비슷한 한자
- 冃(쓰개 모)
5. 여담
月을 네 개 합치면 朤(밝을 랑)이 된다. 두 개 합친 모양으로는 朋(벗 붕)이 있으나, 朋은 모양만 그럴 뿐이지 자원(字源)상으로는 月과 아무런 관계가 없으며, 소위 '육달월'이라고 하는 肉(고기 육)과도 관계가 없다.모양이 AMOGUS 밈에 나오는 다리만 있는 크루원을 닮아서인지 해외에서는 AMOGUS 관련 밈으로도 쓰인다.
지금은 달이 지구의 위성이라는 의미로 주로 쓰여서 자주 쓰이지 않지만 달을 의미하는 다른 한자어로는 음(陰) 혹은 태음(太陰)이 있다.[12]
[文]
문독
[白]
백독, 타이베이 등
[3]
가오슝 등
[文]
[5]
백독
[6]
고기육부와 달월부는 일반적으로 분리되나, 보통 육달월부라고 칭하며 같은 부수로 취급하는 경우가 많다.
[7]
예시 :
期(기약할 기),
朝(
아침 조),
望(바랄 망) 등
[8]
예시 :
肝(
간 간),
肩(
어깨 견) 등
[9]
肉이라는 한자에는 살갗, 살점이라는 의미도 담겨있다.
[10]
예외로
臘(섣달 랍)은 시간과 관련된 의미임에도 肉 부수이다.
[11]
전부 츠키 내지는 탁음화한 즈키로 훈독
[12]
태양(太陽)과 같이
음앙 사상에서 비롯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