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10-21 13:00:50

헬리코프리온

헬리코프리온
Helicoprion
학명 Helicoprion
Karpinsky, 1899
<colbgcolor=#fc6> 분류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연골어강(Chondrichthyes)
아강 전두어아강(Holocephali)
†에우게네오두스목(Eugeneodontida)
†헬리코프리온과(Helicoprionidae)
헬리코프리온속(Helicoprion)
  • †헬리코프리온 베스소노비(H. bessonovi)모식종
    Karpinsky, 1899
  • †헬리코프리온 다비시(H. davisii)[2]
    Woodward, 1886
  • †헬리코프리온 에르가사미논(H. ergasaminon)
    Bendix-Almgreen, 1966


파일:헬리코프리온 복원도.png
모식종의 최신 복원도

1. 개요2. 연구사3. 대중 매체

[clearfix]

1. 개요

고생대 페름기 전기부터 중기까지 살았던 연골어류의 일종으로, 속명은 그리스어로 '나선형 톱'이라는 뜻이다.

2. 연구사

현존하는 생물중 가장 가까운 친척은 은상어로 둘다 전두어아강에 속한다. 몸길이는 5~8m로 추정된다.

1899년 러시아 우랄 산맥에서 최초로 화석이 발견되었다. 학자들은 이 화석을 본 뒤 대체 무슨 생물의 무슨 부위일까 머리를 싸매고 고민했는데, 발견된 거라곤 마치 암모나이트를 연상케 하는 나선형으로 돌돌 말려져 있는 기묘한 모양의 골격 표본이 전부였기 때문.
파일:헬리코프리온 복원도.jpg
현재까지 헬리코프리온의 복원도가 거쳐온 파란만장한 변천사들.

학자들은 이 화석의 주인이 상어의 일종일 것으로 추정하기는 했으나[3] 그 위치에 대해서는 지금처럼 아랫턱 부분이었다고 보는 관점 외에도 윗턱에 붙어있었다고 보거나 심지어 등지느러미나 꼬리지느러미에 붙어있었던 부분으로 추측하는 이들이 있는 등 온갖 학설이 꼬리에 꼬리를 무는 형국이었다. 이후 21세기 전후 시점에 접어들면서 삐죽 튀어나온 아랫턱 끝에 이 나선형 이빨들이 붙어있는 형태로 묘사되는 것이 정착되는가 싶었는데...

2013년 미국 아이다호 주[4]의 아이다호 주립 대학에서 20세기 중엽에 발견된 표본 중 머리와 턱 부분을 구성했던 것으로 추정되는 연조직이 남아있는 화석을 발견하면서 이 녀석의 좀 더 정확한 머리 모양에 대한 실마리를 찾을 수 있었다. 연구진들이 CT 스캔 및 3D 촬영 기법 등을 이용하면서 분석한 결과, 위에 게시되어있는 최신 복원도처럼 좀 더 짧아진 아랫턱의 안쪽에 들어간 형태로 백여 개에 달하는 이빨 중 단 수십 개의 이빨만이 입 밖으로 드러날 수 있었다고 한다. 윗턱에 이빨이 있었는지는 관련 증거가 나오지 않았으나, 3D 촬영 기법을 동원한 결과 이 녀석이 입을 닫을 때 아랫턱의 이빨이 입 안 쪽으로 들어가면서 윗턱과 나름 맞물리는 결과가 나왔다고 한다.
파일:헬리코프리온 사냥.jpg
두족류를 사냥하는 헬리코프리온

이 연구로 이 녀석이 주로 어떤 먹이를 먹고 살았는지에 대해서도 대강 알 수 있게 되었는데, 초기에는 암모나이트처럼 단단한 껍데기를 가진 무척추동물을 주로 사냥했을 것으로 보았지만 현재는 벨렘나이트 등의 오징어 종류를 훅 빨아먹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이 녀석이 만약 단단한 먹잇감을 주로 사냥했다면 이로 인해 닳고 손상된 흔적이 있어야 하는데, 이 녀석의 이빨 화석에서는 그런 흔적이 거의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즉, 이 이빨은 주로 연하고 부드러운 먹잇감을 사냥할 때 윗턱과 맞물려 고정시키는 역할을 해서 잡은 먹이가 도망치지 못하게 만드는 용도였으리라는 것. 이는 헬리코프리온의 괴상한 생김새도 나름 효율적으로 생활하기 위해 진화한 결과였음을 보여주는 것이다.[5]

이와 관련된 뉴스. #1/2 #2/2

3. 대중 매체

워낙 복원도가 변화무쌍했고 하나같이 괴상한 모습으로 묘사된 터라, 고생대 연골어류 중에서는 일반인들에게도 상당히 어필할 수 있었던 축에 든다. 그 덕분인지 대중 매체에도 꽤 여러 차례 등장한 편.


[1] 못믿겠지만 이빨화석이다. 암모나이트 화석이 아니다 [2] 과거에는 에데스투스의 한 종으로 여겨졌다. [3] 다만 현재 이 녀석은 전두어아강(Holocephali)이라는 분류군에 속해있으며, 현생 상어들보다는 은상어와 더 가까운 관계에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4] 지금까지 헬리코프리온의 화석 표본이 가장 많이 발견된 지역이기도 하다. [5] 과거 온갖 기상천외한 복원도들이 나돌던 무렵에는 이 기괴하고 비효율적인 턱 구조가 이 녀석들이 멸종한 원인이라는 소리까지 나올 정도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