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作業治療學科, Dept. of Occupational Therapy작업치료사를 양성하는 학과이다. 총 정원은 약 1,900명 정도이다.
2. 작업치료사
자세한 내용은 작업치료사 문서 참고하십시오.3. 교육과정
공부 자체가 각종 해부학부터 정신의학, 복지 쪽까지 총괄적으로 아우르기 때문에 어렵다고 보면 된다. 하지만 내용자체는 정말 많아도, 국시의 문제 난도는 그렇게 높지 않아서 국시 3~4개월 전에라도 준비하면 합격에는 문제가 없다.특히 1,2교시는 작업치료기초(70, 과락28), 의료법규(20, 과락8), 작업치료학(100, 과락40)이고 이 셋이 과락을 면하고 평균 60이상이면 합격이지만 실기시험은 과락이 40점이 아니라, 60점이다. 즉, 실기시험은 1,2교시와 별개로 따로 60점이상을 득점해야 하기 때문에 1,2교시보다 더욱 열심히 준비해야 한다. 총점은 240점으로 180점 이상 받아야 한다.
-
작업치료학 기초(해부생리, 공중보건, 운동/감각, 인지/지각, 심리/사회발달, 전문가 자질)
해부생리학은 작업치료사 국시 준비생이 다 어려워하는 부분으로 70문제중에 30문제나 출제되기 때문에 포기하기 애매하다. 사실 작업치료사가 알아야 할부분은 신경, 근육, 관절, 뼈 중심인데, 여기에만 출제되는게 아니라 고루 출제 된다. 시간이 없다면 앞서 서술한 부분만 봐도 된다. 다행인것은 꼬는 것이 아니라, 있는 그대로 나온다. 앞서 후술할 부분과 연계하기에 최소 10문제 이상은 득점하는게 좋다.
공중보건학은 12문항이 출제된다. 사실 공중보건학이 정말 깊게 들어가면 엄청 어려운 학문이지만 다행이도 공중보건학의 난도는 낮게 형성되어 있다. 평소에 공중보건학 안하다가 국시전날 벼락치기로 봐서 12개 다 맞는 경우도 많다. 1교시 과락을 면하려면 최소 28문제 이상을 맞춰야 하기 때문에 공중보건학도 의외로 중요하다. 하지만 쉽게 출제돼서 큰 걱정은 안해도 된다.
2021년 49회 국시에선 질병을 고르는 문제에서 2020년 펜데믹 질병이란 지문을 주고 '코로나19'를 고르는 문제가 출제되었다. 그리고 이학적검사와 운동인데 이부분은 10문제가 출제되는데 어깨부터 발까지 범위가 너무 많고 고작 10문제 때문에 다 볼 시간도 없다. 문제도 의외로 까다롭게 나오고 작업치료사가 잘 안보는 하지도 심심치 않게 나온다. 그래서 준비가 많이 필요하다.
감각, 인지, 지각, 심리, 발달, 전문가 자질 등은 사실상 점수밭이다. 작업치료학과 학생들이라면 1초만에 문제만 봐도 답이 나오게 출제된다.
-
의료관계법규(
의료법 ‧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 장애인복지법 ‧
정신보건법 ‧
노인복지법과 그
시행령 및 시행규칙)
법규 과락을 제일 조심해야 한다. 불합격한 사람들의 70~80%는 법규과락때문에 떨어졌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문제만 풀것이 아니라, 수업시간에 이론을 정확히 정독해야 하고, 국시 준비기간에도 법규는 상세한 내용도 훑어봐야 한다. 요즘은 법규의 출제범위가 점점 넓어졌다. 고로 제대로 준비안하면 과락이다. 1교시나 2교시, 3교시 모두 80점이상의 고득점을 받았음에도, 법규과락으로 탈락하는 학생들이 매년 심심찮게 있다.
-
작업치료학
측정 및 평가, 작업분석 및 적용, 신체기능장애 작업치료, 정신사회 작업치료, 일상생활 및 여가활동, 학교 작업치료, 직업재활, 지역사회 작업치료, 보조공학(스플린트 및 보조기기, 환경수정, 운전재활), 치료적 도구, 수예/공작활동
시험범위 자체는 엄청 많아보이지만 사실을 보게 되면, 신경계작업치료학(35문제 가량출제), 아동작업치료(20문제 가량 출제), 근골격계작업치료(15문제 가량 출제), 정신보건작업치료(10문제가량 출제) 이 4개만 합쳐도 벌써 80문제 가량이다. 시간이 없다면 이 부분만 봐도 합격점수 넘는건 문제가 없고, 다른부분은 거의 2~3문제 에서 많아봐야 5문제 내외로 출제된다.
-
실기(작업치료에 관한 것)
국가고시는 지필 형식으로 , 50문항 (사진형 10문제, 사례형 40문제) 실기라고 해서 어렵게 생각하지 않아도 된다. 2교시 시험문제에다가 살을 붙여서 만든 문제라고 보면 된다. 모두 1,2교시와 같이 5지선다 객관식이며 사진형은 작업치료도구의 이름을 맞추거나, 아동의 자세를 보고 무슨반사인지 맞추는 문제, rom측정 문제들이 단골이다. 사례형은 환자의 병명이나 각종 정보를 주고 거기에 2~3문제 딸린형식으로 나온다. 얼핏 봐선 정말 복잡해보이고 어려워 보이지만 사실 국시중에 제일 쉬운유형이다. 주로 어떤 치료를 하는지, 평가결과 해석, 치료경과 등이 많이 나온다. 작업치료학과에서 평점 3.0 이상 평범하게 공부한 학생이라면 거의 10초 안에 답이 나오는 수준이다.
4. 개설 대학
3년제 작업치료과 내지는 4년제 작업치료학과만을 졸업한 학생에 한해 작업치료사 국가고시에 시험칠 자격이 주어진다. 참고로 3년제 작업치료과건 4년제 작업치료학과건 작업치료사 국가시험을 통과하면 모두 동일한 효력의 작업치료사 면허가 발급된다.다만, 4년제 작업치료학과를 졸업한 사람은 학사호봉을 인정해주는 곳에 취업할 시 전문대 졸업자보다 약간의 연봉을 높게 쳐주지만 대부분의 병원은 학사호봉이란게 없고, 사실상 큰 차이가 없다고 보면 된다. 일부 대학병원이나 연구원쪽은 몰라도, 일반적인 재활병원이나 요양병원, 요양원 등에선 전문학사와 학사학위 소지자간 차별이나 차이가 거의 없다고 보면 된다.
4.1. 대학
4.1.1. 관동권
- 강원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상지대학교 보건의료대학 작업치료학과
-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소프트웨어디지털헬스케어융합대학 작업치료학과
4.1.2. 호서권
- 건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경동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극동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백석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세명대학교 보건바이오대학 작업치료학과
- 순천향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우송대학교 보건복지대학 작업치료학과
- 유원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중원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청주대학교 보건의료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한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4.1.3. 영남권
- 가야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경남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경운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고신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김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대구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동명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동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인제대학교 보건의료융합대학 작업치료학과
4.1.4. 호남권
- 광주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광주여자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동신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세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우석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원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전주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조선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호남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호원대학교 작업치료학과
4.2. 전문대학
4.2.1. 수도권
- 경복대학교 작업치료과
- 경인여자대학교 작업치료과
- 동남보건대학교 작업치료과
- 두원공과대학교 작업치료과
- 여주대학교 작업치료과
- 연성대학교 작업치료과
- 유한대학교 작업치료과
- 수원여자대학교 작업치료과
4.2.2. 호서권
4.2.3. 영남권
- 가톨릭상지대학교 작업치료과
- 경남정보대학교 작업치료과
- 경북과학대학교 작업치료과
- 경북보건대학교 작업치료과
- 경북전문대학교 작업치료과
- 계명문화대학교 작업치료과
- 구미대학교 작업치료과
- 대구보건대학교 작업치료과
- 동주대학교 작업치료과
- 마산대학교 작업치료과
- 춘해보건대학교 작업치료과
- 포항대학교 작업치료과
- 호산대학교 작업치료과
4.2.4. 호남권
4.2.5. 제주권
- 제주한라대학교 작업치료과
5. 커뮤니티
- 땡큐오티 : 작업치료사, 작업치료학생을 위한 취업 · 교육 · 커뮤니티 사이트
- 우함작 : 대한민국 작업치료 인식개선 단체
• 명칭 : 우리함께작업치료, 우함작, WTOT
• 작업치료 임상가, 학부생 활동 대외단체
• 단체봉사 · 현실 임상 Tip · 단합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