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체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계좌로 돈을 보내는 행위에 대한 내용은
계좌이체 문서 참고하십시오.도이체반의 Intercity 2 |
1. 개요
영어: Intercity, InterCity, Inter-City프랑스어: Intercités
포르투갈어: Intercidades
인터시티는 유럽 각국에서 사용하는 도시간 특급열차의 등급명이다. 유럽 전역에서 폭넓게 쓰이는 명칭이다.
2. 상세
인터시티라는 이름의 원조는 영국의 영국국유철도다. 1966년 영국국유철도는 최고 속도 160km/h 운행이 가능한 마크 2(Mark 2) 객차를 들여오면서 새로운 등급명으로 인터시티(Inter-City)를 붙였고, 이후 영국을 상징하는 명차인 InterCity 125 등 다양한 준고속열차가 개발되어 인터시티 등급을 달고 다녔다. 그렇게 한동안 영국에서만 쓰이던 이 등급명이 유럽 전역으로 퍼진 계기는 바로 도이체반이다. 독일의 인터시티(InterCity)는 1971년 유럽횡단급행 잔여차를 이용해 1등석 전용 열차로 운행하기 시작했으며, 1978년부터는 2등석을 도입해 열차 네트워크를 크게 확장한다. 운영 초창기에는 영국국유철도에 네이밍 로열티를 매년마다 지급하고 있었다고. 독일의 인터시티는 1985년 TEE의 폐지와 함께 서독 전역으로 퍼져나갔고, 독일 재통일과 인터시티익스프레스의 등장으로 시스템이 재정립되어 고속열차인 ICE보다 좀 더 많은 지역을 폭넓게 커버하는 도시간 열차로 기능하고 있다.독일, 영국 외에 IC를 운행하는 국가는 그리스, 네덜란드, 덴마크, 루마니아, 벨기에, 아일랜드, 오스트리아, 우크라이나, 이탈리아, 세르비아, 스웨덴, 스위스[1], 스페인,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체코, 크로아티아, 포르투갈, 폴란드, 프랑스 SNCF[2], 핀란드, 헝가리로 총 24개국(영국, 독일 제외 22개국)이다. 대개 각국의 최고 등급, 혹은 고속열차 바로 아래 등급의 역할을 맡고 있지만, 고속철도가 있는 나라라면 장거리는 고속철도, 단거리는 RE와 같은 중단거리 급행열차가 있기에 인터시티의 위치가 매우 애매하다. 그래도 고속철도 사각지대에선 장거리 열차로써 제 역할을 잘 하고 있고, 폴란드, 헝가리처럼 고속철도 인프라가 부실한 곳에선 여전히 도시간 특급열차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3. 유로시티
자세한 내용은 유로시티 문서 참고하십시오.유로시티는 중, 서부 유럽 일대를 누비는 국제선 특급열차 운행계통이다. 인터시티의 국제선 버전에 해당하는 열차라고 생각하면 쉽다. 다만 인터시티 중에도 국제열차가 꽤 많기 때문에, 유로시티를 모든 국제선 특급열차를 통칭하는 이름으로 생각하면 곤란하다. 1990년대 후반 이후 유럽의 국제열차는 대개 고속열차를 투입하고, 유로시티는 주로 고속철도 인프라가 부족한 지역에 한해 운행한다.
4. 국가별 인터시티
4.1. 영국
[[영국|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11px" |
그레이터 런던 | Arriva Rail London · Govia Thameslink Railway · Heathrow Express · Elizabeth line MTR · Transport for London | |
사우스 잉글랜드 | c2c · Chiltern Railways · Great Western Railway · Greater Anglia · South Western Railway · Southeastern · West Midland Trains | ||
미들랜즈 | East Midlands Railway | ||
노스 잉글랜드 | Nexus · Northern · TransPennine Express | ||
웨일스 | Merseytravel · Transport for Wales Rail | ||
스코틀랜드 | ScotRail · Strathclyde Partnership for Transport | ||
전역 | Avanti West Coast · Caledonian Sleeper · CrossCountry · Grand Central · Hull Trains · London North Eastern Railway · Lumo | ||
기타 | Eurostar · National Rail · NI Railways · Network Rail |
InterCity 125[3] |
InterCity225 [4] |
InterCityAPT |
인터시티라는 이름이 처음 생겨난 곳. 1966년 영국국유철도 시절부터 운행을 시작했으며, 영국을 상징하는 명차 InterCity 125의 도입과 함께 200km/h의 고속운행을 시작했다. 물론 지금은 국철이 민영화되어 사라졌지만, 오늘날의 LNER, 아반티 웨스트 코스트 등이 이곳 계열이다.
4.2. 독일
독일/오스트리아 열차 등급 | ||||||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colcolor=#fff> 장거리 열차 Fernverkehr |
|||||
🚄 고속열차 | 🚅 특급열차(D-zug) | |||||
EN | ||||||
중단거리 열차 Nahverkehr |
||||||
🚈 급행열차 | 🚃 보통열차 | 🚃 광역철도 | ||||
<colbgcolor=#fff,#191919> RE | RB&RZ | S-bahn |
<colbgcolor=#fff> 도이체반 인터시티 2등석 운전객차 출처 |
R, RB, RE 등 단거리 열차가 빨간 바탕에 흰 줄 도색을 유지하는 것과 반대로, IC 등급은 ICE처럼 하얀 바탕에 빨간 줄을 도색한다. 이는 IC와 ICE가 모두 독일철도공사의 장거리 사업부에서 운행하는 열차이기 때문이다. 또한 동력분산식 차량을 적극 도입한 단거리 열차와 달리 거의 동력집중식이다. 정차역간 거리가 길어 가감속이 그리 중요하지 않아서인 듯. 2015년 도입한 2층 객차 인터시티 2(Intercity 2)도 기관차 견인 방식으로 밝혀지면서[5] 동력분산식 신차 도입은 물 건너간 듯 했으나, 2020년 오스트리아의 사철 베스트반으로부터 2층 전동차인 슈타들러 KISS를 중고로 사와 인터시티에 투입하고 있다.
2024년 기준 도이체반에서 운행하는 IC등급 열차는 다음과 같다.
- [ 펼치기 · 접기 ]
- ||<tablewidth=100%><width=10%><tablebgcolor=#ffffff><tablebordercolor=#db0000><colcolor=#db0000><rowcolor=#fff><rowbgcolor=#db0000> 번호 ||<width=90%> 정차역 ||
IC 17 (바르네뮌데 - ) 로스토크 - 슈베린 - 베를린 - 베를린 쥐트크로이츠
- ( BER 국제공항 - 도베를루크-키르히하인 - 엘스터베르다 - 드레스덴 노이슈타트 - 드레스덴 ( - 프라이베르크 - 켐니츠))EC/IC 27 ( 함부르크 알토나 - ) / ( 킬 - ) / ( 플렌스부르크 - ) / ( 베스터란트 - ) 함부르크 중앙역 - 비텐베르게 - 베를린 슈판다우 - 베를린 - 베를린 쥐트크로이츠 - 드레스덴 노이슈타트 - 드레스덴 - 프라하 ( - 브라티슬라바 - 부다페스트 켈레티) EC/IC 30 ( 암스테르담 - 위트레흐트 - ) / ( 도르트문트 - 뒤셀도르프 - ) 쾰른 메세/도이츠 - 본 보이엘 - 코블렌츠 - 마인츠 - 만하임 - 카를스루에 - 프라이부르크 - 바젤 - 취리히 IC 34 도르트문트 - 비텐 - 알테나 - 플레텐베르크 - 레네슈타트-알텐훈뎀 - 지겐 - 프랑크푸르트 IC 35 엠덴 - 라이네 - 뮌스터 - 레클링하우젠 - 겔젠키르헨 - 뒤스부르크 - 뒤셀도르프 - 쾰른 IC 51 게라 - 예나 서 - 에어푸르트 - 카셀 빌헬름스회에 - 파더보른 - 함 - 도르트문트 - 에센 - 뒤셀도르프 - 쾰른 IC 55 드레스덴 - 라이프치히 - 할레 - 마그데부르크 - 하노버 - 도르트문트 - 부퍼탈 - 쾰른 메세/도이츠 - 코블렌츠
- 마인츠 - 만하임 - 하이델베르크 - 슈투트가르트IC 56 노르트아이히 몰레 - 엠덴 - 올덴부르크 - 브레멘 - 하노버 - 마그데부르크 ( - 할레 - 라이프치히)
/ ( - 포츠담 - 베를린 - 베를린 동역)로스토크 - 슈베린 - 슈텐달 - 마그데부르크 - 할레 - 라이프치히 함부르크 - 슈텐달 - 마그데부르크 IC 60 슈투트가르트 - 울름 - 뮌헨 - 로젠하임 - 잘츠부르크 - 린츠 - 빈 중앙역 IC 61 카를스루에 - 포르츠하임 - 슈투트가르트 - 알렌 - 뉘른베르크 (- 에를랑겐 - 밤베르크 - 예나 파라디스 - 라이프치히) IC 75 함부르크 - 슐레스비히 - 콜딩 - 오덴세 - 코펜하겐 EC/IC 76 플렌스부르크 - 콜딩 - 프레데리시아 IC 77 암스테르담 - 아메르스포르트 - 라이네 - 오스나브뤼크 - 하노버 - 베를린 슈판다우 - 베를린 - 베를린 동역 IC 87 슈투트가르트 - 뵈블링겐 - 로트바일 - 투틀링겐 - 징겐 - 라돌프첼 - 콘스탄츠 ECE/EC 88 뮌헨 - 메밍엔 - 린다우-로이틴 - 브레겐츠 - 장크트갈렌 - 빈터투어 - 취리히
4.3. 네덜란드
<colbgcolor=#ffc917> NS 인터시티 VIRM 출처 |
암스테르담-로테르담-안트베르펜 구간 고속선 HSL-자위트(HSL-Zuid)를 다니는 인터시티 열차는 특별히 인터시티 디렉트(Intercity Direct)라고 부른다. 보통 봄바르디어 Traxx 기관차 2대를 앞뒤로 중련해서 다니는데, 엄연히 300 km/h급 고속선을 달리는데도 최고속도는 160km/h 정도로 느리다. 2023년부터는 ICNG(Intercity Nieuwe Generatie, 차세대 인터시티)가 도입되어 최고속도를 200km/h까지 증속시켰다.
4.4. 덴마크
<colbgcolor=#C2122B> DSB 인터시티 IC3 출처 |
4.5. 루마니아
<colbgcolor=#fff> 41계(Clasa 41)가 견인하는 CFR 인터리지오 출처 |
2023년 기준 루마니아 CFR에서 인터시티에 대응되는 등급은 인터리지오(InterRegio, IR)다. 2015년 인터시티의 폐지 이후 대부분의 기능을 인터리지오가 넘겨받았기 때문. 인터시티는 이전처럼 주요 구간에 한해 고급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목적으로 운영되는데, 인터리지오보다 높은 최고속도와 현대적인 시설을 자랑하지만 운임도 그만큼 비싸다. 배차 역시 노선별로 하루 왕복 1편 정도로 적은 편이다.
4.6. 벨기에
<colbgcolor=#fff> 18계(Série/HLE 18)[8]가 견인하는 SNCB 인터시티 출처 |
4.7. 스웨덴
파일:SJ 로고.svg |
<colbgcolor=#fff> Rc6계(Rc6)가 견인하는 SJ 인터시티 출처 |
한편 하루 3번 스톡홀름을 출발해 오슬로로 향하는 국제열차도 IC 등급으로 운행한다.
4.8. 스위스
<colbgcolor=#FE0000> SBB 인터시티 IC2000 운전객차 출처 |
스위스 연방 철도는 2035년까지 인터시티 노선망을 확장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미 주요 대도시는 다 인터시티가 다니기 때문에 신규 노선이 생기는 건 아니지만, 현존하는 노선을 대거 연장해 포인트 투 포인트(Point-to-point) 연결을 한층 개선할 것으로 보인다.
4.9. 스페인
스페인 열차 등급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고속열차 Alta Velocidad Española |
|||||||||||
Euromed | ||||||||||||
🚅 특급열차 | ||||||||||||
InterCity | ||||||||||||
🚈 급행열차 | ||||||||||||
Media Distancia | Regional Exprés | Regional | ||||||||||
🚃 광역철도 | ||||||||||||
Cercanías |
<colbgcolor=#fff> 334계(Serie 334)가 견인하는 Renfe 인터시티 출처 |
원래 렌페의 기존선 특급열차 등급은 인터시티 외에도 탈고(Talgo),[10] 알타리아(Altaria), 아르코(Arco) 등 운행 지역이나 차량 조성에 따라 다양한 이름으로 나뉘어 있었지만, 2010년대 후반에 걸쳐 고속선의 확장과 함께 특급열차 등급의 입지가 좁아지면서 모두 인터시티로 통합했다. 따라서 현재 렌페의 인터시티는 상술한 모든 등급을 계승하는 열차라고 봐도 무방하다. 다만 탈고, 알타리아와 달리 고속선은 진입하지 않는다.
스페인의 철도망이 프랑스나 일본처럼 장거리는 대개 고속열차에 의존하고, 기존선은 중단거리 수송에 집중하는 형태라 앞으로 인터시티의 입지는 더욱 좁아질 것으로 보인다. 현재 고속철 없이 인터시티만 다니는 지역도 대부분 고속선 신설 계획이 있기 때문에, 지금의 추세가 계속된다면 앞으로 AVE가 인터시티 등급을 완전히 대체할 가능성이 높다. 물론 비슷하게 고속선 위주의 장거리 철도망을 구축한 일본이 부분부분 기존선 특급을 남겨놓은 것처럼, 인터시티도 지역 내 중단거리 특급열차의 역할을 계속 맡을 수도 있다. 아무리 스페인이 고속철도 강국이라도 전국의 모든 도시에 고속선을 구축할 계획은 없고, 그 정도로 어마어마한 여력은 안 되기 때문.
4.10. 오스트리아
독일/오스트리아 열차 등급 | ||||||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colcolor=#fff> 장거리 열차 Fernverkehr |
|||||
🚄 고속열차 | 🚅 특급열차(D-zug) | |||||
EN | ||||||
중단거리 열차 Nahverkehr |
||||||
🚈 급행열차 | 🚃 보통열차 | 🚃 광역철도 | ||||
<colbgcolor=#fff,#191919> RE | RB&RZ | S-bahn |
<colbgcolor=#E2002A> 타우러스(Taurus)가 견인하는 ÖBB 인터시티 출처 |
4.11. 이탈리아
<colbgcolor=#006A6A> E.401계(E.401)가 견인하는 트렌이탈리아 인터시티 출처 |
이탈리아의 인터시티는 주간편인 인터시티(InterCity)와 야간편 인터시티 노테(InterCity Notte)로 나뉘는데, 밀라노-팔레르모 등 그야말로 국토종주를 찍는 야간편과 달리 주간편은 대개 토리노-제노바, 베네치아-피렌체처럼 중거리 노선 위주로 운행한다. 야간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유럽 야간열차 문서의 해당 문단을 참고할 것.
4.12. 체코, 슬로바키아
<colbgcolor=#009FD9> ČD 슈퍼시티 680계(Řady 680) 출처 |
체코보다도 땅이 작고 인구밀도가 낮은 슬로바키아에서 인터시티는 최고등급 열차를 맡고 있다. 다만 노선은 브라티슬라바- 코시체가 끝. 간혹 브라티슬라바에서 더 나아가 빈에서 출발하는 열차도 있다.
4.13. 포르투갈
<colbgcolor=#268B4E> 5600계(Série 5600)가 견인하는 CP 인테르시다데 출처 |
4.14. 폴란드
<colbgcolor=#fff>
EU44계(EU44)가 견인하는 PKP 인터시티.
출처 열차가 찍힌 역은 폴란드가 아닌 독일의 베를린 중앙역으로, 베를린이 폴란드 국경에서 멀지 않아 폴란드 착발 국제열차가 자주 들어온다. |
현재는 EIP는 펜돌리노가 투입되는 고속철도 노선을, EIC는 일반 특급열차 노선을 부르는 이름으로 정착했다. 한편 2009년 시간표 개정에 따라 인터시티라는 등급명은 완전히 사라졌었지만, 2014년 시간표 개정과 함께 인터시티(Intercity)가 다시 부활했다. 돌아온 인터시티는 상위등급인 EIC, EIP보단 저렴한 가격에 완행열차인 TLK(Twoje Linie Kolejowe)보단 빠른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지금의 IC는 최고 160km/h로 달리는 EIC보단 좀 더 느리고 정차역이 많은 준급행 포지션을 담당한다. 대개 기관차 견인의 동력집중식 열차를 쓰지만 주간열차는 슈타들러 FLIRT를 비롯한 동력분산식 열차도 투입한다.
폴란드 곳곳을 누비는 야간열차에도 IC 등급명이 붙는다. 다만 노테(Notte), 누잇(Nuit) 등 야간열차를 뜻하는 수식어가 붙는 이탈리아나 프랑스와 달리 주, 야간 가리지 않고 그냥 IC라고 부른다. 야간열차임에도 좌석의 비중이 더 높은 게 특징.
4.15. 프랑스
프랑스 열차 등급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고속열차 Train Grande Vitesse |
|||
🚅 특급열차 | ||||
🚈 급행열차 | ||||
🚃 광역철도 | ||||
<colbgcolor=#be064a> 알스톰 코라디아 라이너 |
프랑스에선 앵테르시테(Intercités)로 부른다. 2012년 코라유(Corail)와 장거리 버전인 Téoz(테오즈), 야간 버전인 Lunéa(뤼네아)를 하나로 통합해 생긴 등급이다. 독일 이상으로 고속열차 TGV의 영향력이 강해 앵테르시테 등급 열차는 별로 남아있지 않지만, TGV가 다니지 않는 지역 내에서 TER의 상위 열차로 기능하고 있다. 최고속도는 차량에 따라 200km/h까지 올라간다.
4.16. 핀란드
파일:VR 로고.svg |
<colbgcolor=#fff> VR 인터시티 2층객차 출처 |
4.17. 헝가리
파일:MAV 로고.svg |
<colbgcolor=#003B73> V43계(V43 sorozat)가 견인하는 MÁV 인터시티 출처 |
4.18. 기타
5. 참고 항목
6. 관련 문서
[1]
스위스에는 IC와 유사한 IR(InterRegio)라는 등급도 있다. 대략 IC와 비슷한 수준의 차량을 운용한다.
[2]
원래는
Corail라는 명칭을 썼으나 현재는 모두 Intercités로 통합되었다.
[3]
EMR 소속이였던
43형 2세대 102호기, 2021년
미들랜드 본선에서 라스트런 운행을 거친 호기이다.
[4]
영국철도 91형+Mark 4 객차 및 운전소화물차 편성으로, 최근에는 이 도색을 조금 변형한 LNER Swallow 도색을 가진 차량이 등장했다.
[5]
같은 디자인의 차량이 IC와 RE등급에 모두 있는데, Regio 소속인 후자는 동력분산식 전동차 445형인 반면 IC로 들어간 차량은 무동력 객차로 별도의 기관차가 붙는다.
[6]
일부는 과거 인터시티와 완행 Sprinter 사이 등급인 Sneltrein의 유산이다.
[7]
인터리지오도 표정속도가 75km/h 정도로 인터시티보다 크게 느리지 않았다.
[8]
지멘스 벡트론과 비슷하게 생겼지만
오이로슈프린터 계열이다.
[9]
노르더르켐펀 - 안트베르펀 구간도 고속선을 타는 셔틀열차가 있지만, 인터시티가 아닌 S 등급으로 운행한다.
[10]
철도차량 제조사
탈고가 아닌, Renfe의 열차 등급이다. 물론 열차 등급명을 회사 이름에서 따온 건 맞다.
[11]
프라하-브르노 구간이 착공 예정이긴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