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09 12:48:13

송범근

송범근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송범근의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AFC-U23-2020-logo.png
최우수 GK
송범근 ( 대한민국)
}}} ||
}}} ||
파일:송범근 24시즌.jpg
쇼난 벨마레 No. 1
송범근
宋範根[1] | Song Bum-keun
<colbgcolor=#65b721><colcolor=#005d9f> 출생 1997년 10월 15일 ([age(1997-10-15)]세)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신체[2] 196cm / 체중 93kg
포지션 골키퍼
주발 오른발
등번호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3] 12[4]
쇼난 벨마레[5] 1
소속 <colbgcolor=#65b721><colcolor=#005d9f> 유소년 수원 삼성 블루윙즈 (2010~2011)
상주 상무 FC (2013~2015)
선수 전북 현대 모터스 (2018~2022)
쇼난 벨마레 (2023~ )
국가대표 1경기 ( 대한민국 / 2022~ )
링크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정보 더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65b721><colcolor=#005d9f> 연령별 국가대표 31경기 27실점 ( 대한민국 U-20 / 2015~2017)
23경기 26실점 ( 대한민국 U-23 / 2017~2021)
학력 서울신용산초등학교 (2004~2010 / 졸업)
매탄중학교 (2010~2012 / 전학)
세일중학교 (2012~2013 / 졸업)
용운고등학교 (2013~2016 / 졸업)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체육교육학 / 중퇴)[6]
본관 여산 송씨 (礪山 宋氏)
가족 아버지 송태억, 어머니, 누나 송문영 외 1명
종교 개신교( 감리회)[7]
병역 예술체육요원
(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축구 부문)
서명 파일:송범근서명.png
}}}}}}}}} ||

1. 개요2. 클럽 경력3. 국가대표 경력4. 플레이 스타일5. 기록
5.1. 대회 기록5.2. 개인 수상
6. 여담7. 논란
7.1. 문선민에게 백태클
8.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국적의 쇼난 벨마레 소속 축구 선수. 포지션은 골키퍼.

2. 클럽 경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송범근/클럽 경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국가대표 경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송범근/국가대표 경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플레이 스타일

상당한 킥력을 필두로 한 좋은 빌드업 능력을 갖추고 있다. 그간의 한국 골키퍼 상당수가 킥력, 빌드업보다는 선방 수비 조율 등에 강점을 가진 고전적 스타일의 골키퍼였기에 희소성 있는 자원이며, 체격도 좋아 공중 볼에도 강하다. 거기에 2020년 들면서부터 좋은 공중 볼 능력과 경험이 쌓여 성장한 판단력을 이용해 넓은 범위를 스위핑하는 스위퍼 키퍼로서의 면모도 보여주고 있다.[8] 실점도 적어 국내에서 뛰던 시절에는 0점대 방어율을 찍기도 했다.

그러나 골키퍼는 무엇보다 안정감이 중요한데도 송범근은 기복이 심하고 수비 조율 능력이 부족하다는 치명적인 약점이 있다.[9] 어떤 날은 야신이 빙의한 듯 어마무시한 순발력을 자랑하며 엄청난 선방쇼를 보여주지만, 어떤 때에는 '이걸 왜 못 막지?'라는 소리가 나오는 순간이 있다.[10] 정확히 말하면 송범근의 순발력과 반사 신경은 그렇게 뛰어난 편이 아니며, 수비 조율도 서툴러서 경기 도중 어이없는 실수가 나오고 안정성이 떨어지면서 기복이 생기는 것이다.[11] 그렇다 하더라도 비슷한 나이의 골키퍼들과 비교하면 송범근 수준의 안정감을 가진 키퍼는 한국에서 사실상 없다고 볼 수 있다. U-23에서 송범근과 경쟁하는 입장이었던 이광연 안찬기 둘 다 송범근 수준의 판단력과 안정감을 갖추지 못했기 때문에 프로 무대에서 기회를 못 받는 것을 생각하면 송범근의 안정감은 절대 무시당할 게 아니다.

두 번째 단점으로 집중력과 멘탈을 들 수 있다. 사실 보유한 멘탈 자체는 그렇게 나쁘지 않다. 문제는 클럽에서는 잘만 활약하면서도 이상하게 국가대표로 출전할 때는 말이 안되는 실책을 자주 보인다는 것이다.[12] 다행히 성인 대표팀 데뷔전은 상대가 약체이긴 했으나 동아시안컵이란 무대에서 큰 실수 없이 좋은 모습을 보여 주긴 했다.

마지막 단점은 상당히 느린 민첩성과 둔한 움직임이다. 이 단점은 청소년 국가대표 시절부터 지적되던 단점으로, 신장이 큰 것이 장점인 동시에 단점이 된 것이다. 이 단점으로 인해 간혹 정말 “이걸 왜 서 있지?”, “이걸 왜 못 따라 가?” 하는 장면이 나온다. 특히 2022년 리그 35라운드 울산과의 현대가 더비에서 경기 종료 직전 마틴 아담의 극장 헤더골은 충분히 막을 수 있는 거리였음에도 불구하고 어찌 된 일인지 그냥 바라보기만 했다. 키가 한국에선 압도적으로 큰 덕분에 이로 인한 문제점이 자주 드러나진 않지만 순발력과 반사 신경이 요구되는 페널티 킥 상황에서는 선방 능력이 떨어지게 된다. 2021년 ACL 16강전 승부차기에서 2연속 선방을 보여주기 전까지는 승부차기 포함 프로 통산 PK 선방 횟수가 1회에 불과했다.

전북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주다가 국대나 올림픽 대표팀에서 좋지 않은 모습을 보여주는 이유를 수비 조율 능력에서 보는 의견도 있다. 송범근의 소속 구단인 전북 현대는 매 시즌 우승을 노리는 우승권의 전력이고 따라서 수비수 개개인의 능력 역시 리그 탑급이다. 또한 전북의 수비수 중 홍정호가 주장과 수비 라인 조율을 도맡아 하고 있어 송범근의 수비 조율 능력의 미숙이 덜 돋보이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리그 밖으로 나올 경우 올림픽 대표팀이나 국대의 수비 라인이 탑급이 아니고 커맨더형 수비수들 또한 별로 없다 보니 송범근에게 수비라인 조율의 역할이 돌아가는데 이에 미숙한 송범근이 대표팀이나 큰 경기에서 저평가를 받는 이유가 아니냐는 해석이다. 이것은 나이와 경험이 쌓이면[13] 해결할 수는 있기 때문에 현재는 선수 본인이 경기 흐름을 파악하는 것이 과제다.

2019 시즌 중후반부터는 빵빵한 스쿼드를 자랑하는 전북의 수비 빨이라는 저평가[14]에서 서서히 벗어나고 있다.

2020 시즌에는 오히려 팀의 멱살을 잡고 승점을 따내는 역할도 하는 중이며 리그 최소 실점 및 최다 클린시트 공동 1위를 달성하며 괄목할 만한 성장을 보여 줬다. 2018 러시아 월드컵 독일전 후광의 조현우에 가려졌지만 K리그1 최우수 골키퍼로 선정되어도 전혀 손색이 없었던 활약이었다.

2021 시즌부터 경질 당한 2023 시즌 전북 김상식 감독의 전술이 없다시피 한 경기 운영이 문제가 되며 팀의 조직력이 전반적으로 약해졌는데 그래도 좋은 성적을 유지하는 건 송범근 덕분이라는 평가가 많았다. 수비 리딩이 좋지는 않지만 강력한 골킥과 공중볼 장악 능력, 때로 보여주는 슈퍼세이브로 팀에 큰 힘이 된다는 평이다.

종합하면 동물적인 감각과 세이브보다는 안정적인 캐칭과 정확한 킥력, 공중볼 경합 등에 강점이 있는 골키퍼. 한국의 다른 골키퍼들과 비교하면 정성룡과 닮은 점이 많다. 둘 다 일본행을 택한 것과, 일본에서는 좋은 모습을 보여주며 호평을 받고 있다는 점, 가끔씩 엄청난 실수를 하며 팬들과 대한민국 국민들의 간담을 서늘하게 한다는 점, SNS로 논란을 사기도 했다는 점, 그리고 메이저 대회를 크게 말아먹은 적 있는 점도 비슷하다.[15] 그러나 수비진 조율이 뛰어난 편이었던 정성룡과 달리, 송범근은 수비 라인 조율이 최대 약점이라 정성룡보다 저점이 더 낮다고 평가 받는다.

5. 기록

5.1. 대회 기록

5.2. 개인 수상

6. 여담

7. 논란

7.1. 문선민에게 백태클

2020년 7월 5일, 전북 현대 상주 상무의 하나원큐 K리그1 2020 10라운드 경기 후반 추가 시간에 논란의 장면이 발생했다.

1:0으로 상주가 전북을 앞서고 있던 상황 속 종료 직전 전북에게 코너킥이 주어졌고 송범근은 골문을 비우고 최전방으로 나가 코너킥에 가담했다. 하지만 되려 상주가 역습 기회를 잡아 문선민이 빈 골문을 향해 드리블했다. 이를 저지하기 위해 송범근이 뒤에서 태클을 가했고 문선민은 쓰러졌다. 하지만 주심은 경고나 퇴장 없이 그대로 경기를 진행시켰다.

많은 축구인과 전문가는 이 장면은 퇴장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하지만 대한축구협회 심판위원회는 2020년 7월 7일 6명이 참석하는 소위원회를 열어 이 장면을 분석, 정심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원창호 축구협회 심판위원장은 "일반 영상으로는 송범근이 이미 도전할 수 없는 위치로 보이지만 VAR을 보면 충분히 태클할 수 있는 상황이다. 문선민이 그때 넘어진 건 송범근의 발등을 밟고 중심을 잃었기 때문"이라며 정상 플레이로 보는 것이 맞다고 설명했다.

이런 설명에도 축구 팬들과 축구 전문가 사이에서는 이 상황이 오심이라는 지적의 목소리가 컸다. 축구 심판 사이에서도 이 상황에 대한 의견이 갈리는 등 의문점이 증폭되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송범근은 자신의 인스타그램 스토리에 태클 장면 영상과 함께 "ㅋㅋㅋㅋㅋㅋㅋㅋㅋ?", "발 310이라서 닿았다"라는 게시물을 작성해 논란을 불러 일으켰다.

당시 판정 자체에 대한 팬들의 불신이 있는 상황에서 오해의 소지가 있는 글을 올린 것 자체가 문제라는 지적이다.

논란이 커지자 그는 문제의 게시물을 삭제했지만 이미 퍼진 게시물로 인해 많은 비난과 비판을 감수해야 했다.

8. 둘러보기

파일:쇼난 벨마레 로고.svg
쇼난 벨마레 2024 시즌 선수 명단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000,#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쇼난 벨마레 2024 시즌
등번호 국적 포지션 한글 성명 일문/로마자 성명 생년월일 체격
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GK 송범근 宋範根 / Song Bum-keun 1997.10.15 194cm/88kg
3 파일:일본 국기.svg DF 하타 타이가 畑 大雅 / Taiga Hata 2002.01.20 175cm/70kg
4 파일:일본 국기.svg DF 타치 코키 舘 幸希 1997.12.14 173cm/73kg
5 파일:일본 국기.svg MF 다나카 사토시 田中 聡 2002.08.13 173cm/70kg
6 파일:일본 국기.svg DF 오카모토 타쿠야 岡本 拓也 1992.06.18 175cm/73kg
7 파일:일본 국기.svg MF 아베 히로유키 阿部 浩之 1989.07.05 170cm/67kg
8 파일:일본 국기.svg DF 오노 카즈나리 大野 和成 1989.08.04 180cm/75kg
10 파일:일본 국기.svg MF 야마다 나오키 山田 直輝 1990.07.04 168cm/66kg
11 파일:브라질 국기.svg FW 루키앙 Lukian Araújo de Almeida 1991.09.21 183cm / 87kg
13 파일:일본 국기.svg MF 히라오카 타이요 平岡 大陽 2002.09.14 173cm/68kg
14 파일:일본 국기.svg MF 바라다 아키미 茨田 陽生 1991.05.30 173cm/63kg
15 파일:일본 국기.svg MF 오쿠노 코헤이 奥野 耕平 2000.04.03 174cm/63kg
16 파일:일본 국기.svg FW 네모토 료 根本 凌 2000.02.03 183cm/83kg
19 파일:일본 국기.svg FW 후쿠다 쇼 福田 翔生 2001.03.23 173cm/63kg
21 파일:일본 국기.svg GK 마와타리 히로키 馬渡 洋樹 1994.08.16 187cm/78kg
22 파일:일본 국기.svg DF 오이와 카즈키 大岩 一貴 1989.08.17 169cm/69kg
28 파일:일본 국기.svg DF 요시다 아라타 吉田 新 2000.06.29 173cm/69kg
29 파일:일본 국기.svg FW 스즈키 아키토 鈴木 章斗 2003.07.30 178cm/70kg
30 파일:일본 국기.svg MF 스즈키 준노스케 鈴木 淳之介 2003.07.12 180cm/76kg
31 파일:일본 국기.svg GK 사나다 코타 真田 幸太 1999.04.21 190cm/90kg
32 파일:일본 국기.svg MF 마츠바라 세레 松村 晟怜 2003.12.03 184cm/75kg
33 파일:일본 국기.svg DF 타카하시 나오야 髙橋 直也 2001.05.28 180cm/70kg
37 파일:일본 국기.svg MF 스즈키 유우토 鈴木 雄斗 1993.12.07 182cm/76kg
4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DF 김민태 Kim Min-Tae 1993.11.26 187cm/84kg
77 파일:일본 국기.svg FW 이시이 히사츠구 石井 久継 2005.05.07 170cm/65kg
99 파일:일본 국기.svg GK 카미후쿠모토 나오토 上福元 直人 1989.11.17 182cm/76kg
<colbgcolor=#76b82a> 구단 정보
회장: 미즈타니 나오히토 / 감독: 야마구치 사토시 / 구장: 레몬 가스 스타디움 히라츠카
출처: 쇼난 벨마레 / 최종 수정 : 2024년 8월 6일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e6002d>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스쿼드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rowcolor=#ffffff> 포지션 등번호 이름 생년월일 출장 득점 소속 구단
<colbgcolor=#0b090c> GK 1 김경민
(Kim Kyeong-Min)
1991년 11월 1일 ([age(1991-11-01)]세) 0 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광주 FC
12 이창근
(Lee Chang-Geun)
1993년 8월 30일 ([age(1993-08-30)]세) 1 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전 하나 시티즌
21 조현우
(Jo Hyeon-Woo)
1991년 9월 25일 ([age(1991-09-25)]세) 39 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울산 HD FC
DF 2 김문환
(Kim Moon-Hwan)
1995년 8월 1일 ([age(1995-08-01)]세) 28 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전 하나 시티즌
3 이명재
(Lee Myung-Jae)
1993년 11월 4일 ([age(1993-11-04)]세) 7 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울산 HD FC
4 김민재
(Kim Min-Jae)
1996년 11월 15일 ([age(1996-11-15)]세) 69 4 파일:독일 국기.svg FC 바이에른 뮌헨
13 이기혁
(Lee Gi-Hyuk)
2000년 7월 7일 ([age(2000-07-07)]세) 1 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강원 FC
14 조유민
(Cho Yu-Min)
1996년 11월 17일 ([age(1996-11-17)]세) 11 0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샤르자 FC
15 정승현
(Jung Seung-Hyun)
1994년 4월 3일 ([age(1994-04-03)]세) 26 1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알 와슬 FC
20 권경원
(Kwon Kyung-Won)
1992년 1월 31일 ([age(1992-01-31)]세) 32 2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코르 파칸 클럽
22 설영우
(Seol Young-Woo)
1998년 12월 5일 ([age(1998-12-05)]세) 22 0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FK 츠르베나 즈베즈다
이태석
(Lee Tae-Seok)
2002년 7월 28일 ([age(2002-07-28)]세) 1 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포항 스틸러스
MF 5 백승호
(Paik Seung-Ho)
1997년 3월 17일 ([age(1997-03-17)]세) 20 3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버밍엄 시티 FC
6 황인범
(Hwang In-Beom)
1996년 9월 20일 ([age(1996-09-20)]세) 66 6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7 손흥민 파일:주장 아이콘.svg
(Son Heung-Min)
1992년 7월 8일 ([age(1992-07-08)]세) 131 51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토트넘 홋스퍼 FC
8 박용우
(Park Yong-Woo)
1993년 9월 10일 ([age(1993-09-10)]세) 20 0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알 아인 FC
10 이재성
(Lee Jae-Sung)
1992년 8월 10일 ([age(1992-08-10)]세) 94 13 파일:독일 국기.svg 1. FSV 마인츠 05
11 정우영
(Jeong Woo-Yeong)
1999년 9월 20일 ([age(1999-09-20)]세) 22 4 파일:독일 국기.svg 1. FC 우니온 베를린
16 홍현석
(Hong Hyun-Seok)
1999년 6월 16일 ([age(1999-06-16)]세) 14 0 파일:독일 국기.svg 1. FSV 마인츠 05
17 배준호
(Bae Jun-Ho)
2003년 8월 21일 ([age(2003-08-21)]세) 6 2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스토크 시티 FC
18 이강인
(Lee Kang-In)
2001년 2월 19일 ([age(2001-02-19)]세) 35 10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리 생제르맹 FC
김봉수
(Kim Bong-Soo)
1999년 12월 26일 ([age(1999-12-26)]세) 0 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천 상무 FC
이현주
(Lee Hyun-Ju)
2003년 2월 7일 ([age(2003-02-07)]세) 1 0 파일:독일 국기.svg 하노버 96
FW 9 주민규
(Joo Min-Kyu)
1990년 4월 13일 ([age(1990-04-13)]세) 8 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울산 HD FC
19 오세훈
(Oh Se-Hun)
1999년 1월 15일 ([age(1999-01-15)]세) 6 2 파일:일본 국기.svg FC 마치다 젤비아
23 오현규
(Oh Hyeon-Gyu)
2001년 4월 12일 ([age(2001-04-12)]세) 15 2 파일:벨기에 국기.svg KRC 헹크
일정 2026 FIFA 월드컵 아시아 3차예선 2024년 11월 14일(목) 원정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2024년 11월 19일(화) 원정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출처: 대한축구협회
2024년 11월 20일 기준
}}}}}}}}} ||

1 송범근 · 2 윤종규 · 3 우찬양 · 4 정태욱 · 5 이상민
C
· 6 이승모 · 7 이진현
VC

8 한찬희 · 9 조영욱 · 10 이승우 · 11 하승운 · 12 안준수 · 13 이유현 · 14 백승호
15 김민호 · 16 이상헌 · 17 강지훈 · 18 임민혁 · 19 김승우 · 20 이정문 · 21 이준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신태용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전경준 ·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공오균 ·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김해운 · 파일:브라질 국기.svg 루이스 플라비오

1 송범근 · 2 황현수 · 3 김민재 · 4 김진야 · 5 정태욱 · 6 김문환 · 7 손흥민 [[와일드카드(스포츠)|
W
]]
C

8 이진현 · 9 황희찬 · 10 황인범 · 11 나상호 · 12 이시영 · 13 조유민 · 14 장윤호
VC

15 이승모
3C
· 16 황의조 [[와일드카드(스포츠)|
W
]] · 17 이승우 · 18 조현우 [[와일드카드(스포츠)|
W
]] · 19 김건웅 · 20 김정민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23f3f; font-size: 0.8em"

1 송범근 · 2 이유현 · 3 강윤성 · 4 이상민
C
· 5 정태욱 · 6 김동현 · 7 정우영 · 8 김진규
9 조규성 · 10 이동경 · 11 이동준 · 12 김재우 · 13 김진야 · 14 김대원 · 15 김태현 · 16 정승원
17 엄원상 · 18 오세훈 · 19 맹성웅 · 20 원두재
VC
· 21 안찬기 · 22 윤종규 · 23 안준수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23f3f; font-size: 0.8em"

1 송범근 · 2 이유현 · 3 김재우 · 4 박지수 [[와일드카드(스포츠)|{{{#!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6002d; font-size: .8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b090c; font-size: 0.8em"

1 김승규 · 2 윤종규 · 3 김진수
4C
· 4 김민재 · 5 정우영
3C
· 6 황인범 · 7 손흥민
C
· 8 백승호 · 9 조규성
10 이재성 · 11 황희찬 · 12 송범근 · 13 손준호 · 14 홍철 · 15 김문환 · 16 황의조 · 17 나상호 · 18 이강인
19 김영권
VC
· 20 권경원 · 21 조현우 · 22 권창훈 · 23 김태환 · 24 조유민 · 25 정우영 · 26 송민규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B090C; font-size: 0.8em"

1 김승규[1]
4C
파일:부상 아이콘.svg · 2 이기제 · 3 김진수 · 4 김민재
3C
· 5 박용우 · 6 황인범 · 7 손흥민
C
· 8 홍현석 · 9 조규성
10 이재성 · 11 황희찬 · 12 송범근 · 13 이순민 · 14 문선민 · 15 정승현 · 16 박진섭 · 17 정우영 · 18 이강인 · 19 김영권
VC

20 오현규 · 21 조현우 · 22 설영우 · 23 김태환 · 24 김주성 · 25 김지수 · 26 양현준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0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b090c; font-size: 0.8em"
{{{#!folding [ 각주 ]

[1] 팀 훈련 도중 2024년 1월 19일자로 십자인대 파열을 진단받아 소집 해제. 1월 23일에 중도 귀국하고 # 김준홍이 골키퍼 훈련 파트너로 합류했다.



[1] 가타카나 - ソン・ボムグン [2] 쇼난 벨마레 공식 프로필. [3] 2017 FIFA U-20 월드컵,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2020 AFC U-23 챔피언십 태국, 2020 도쿄 올림픽, 2026 FIFA 월드컵 아시아 2차예선(3차전부터) - 1번 [4] 2022 EAFF E-1 풋볼 챔피언십,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2023 AFC 아시안컵 카타르 [5] 전북 현대 모터스 - 31번 [6] 16학번으로, 2학년을 마치고 중퇴하였다. [7] 기사 부친 송태억은 분당 만나교회 장로며 친누나 송문영은 분당 만나교회 청년부에 소속되어 있다. 축구 또한 그곳에 있는 유치원 꾸러기 축구단에서 접했다고 한다. [8] 스위핑 능력을 발휘한 경기는 대표적으로 K리그1 2020 시즌 9라운드 울산 현대전이 있다. [9] 전북에서는 수비진이 워낙 좋아 문제 없지만 국대만 가면 다른 건 다 좋은데 리딩이 개판이 돼서 문제가 된다. [10] 이로 인해 송범근의 국대관련 영상들에서는 송범근을 국가대표로 뛰게 하지말라는 댓글들이 많이 달린다. [11] 아시안 게임 조별 리그 말레이시아전에서 일어난 황현수와의 사인 미스로 발생한 충돌 후 1실점, 도쿄올림픽 예선 결승전 사우디전에서의 상대 공격수의 압박에 안일하게 대처하다 공을 뺏길 뻔하는 등, 종종 순발력과는 관련없는 어처구니없는 실수를 저지르기도 한다. [12]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에서의 부진, 2021년 프랑스와의 친선전에서 보여준 알까기 미스 등 국대에서만 유독 안 좋은 실책을 자주 보여주고 있다. [13] 성인 대표팀에서 활약하게 된다면 필요한 것으로 현재 대표팀에서는 송범근이 다른 선수들에 비해 많이 어리고 경험도 적다 보니 훨씬 선배인 베테랑 수비진을 직접 이끌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그래도 올대에서도 그러지 못 하는 건 문제다. [14] 이러한 저평가도 반은 걸러 들어야 한다. 송범근 정도 하는 골키퍼니까 2019 시즌까지 선발로 넣어서 U-22 쿼터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이고 그 자리에 다른 필드 플레이어를 넣어서 경기를 지배할 수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송범근의 든든한 버팀목인 전북의 선수 빨에 역설적으로 송범근이 기여하는 측면이 있는 것이다. [15] 정성룡은 브라질 월드컵, 송범근은 도쿄 올림픽. 그리고 이들 대회 직전 시점에 있던 한국이 전성기였던 메이저 대회에서도 오점으로 손꼽힌다.(정성룡은 남아공 월드컵, 송범근은 자카르타 아시안게임) [16] 전경기 & 전시간 출장 [17] 한국은 신태용 감독과 송범근, 이승우가 있었으며, 당시 아르헨티나에는 훗날 2021코파우승과 유럽리그로 이적하는 마르코스 세네시, 후안 포이스, 곤살로 몬티엘, 산티아고 콜롬바토, 에세키엘 팔라시오스, 산티아고 아스카시바르, 라우타로 마르티네스(1차전 잉글랜드전 퇴장으로 한국전 불참)가 뛰었으며, 이 중 곤살로 몬티엘, 라우타로 마르티네스, 후안 포이스, 에세키엘 팔라시오스는 2022카타르월드컵 우승 멤버이다. 파일:Screenshot_20221222-010423_Gallery.jpg 본선인데 예선으로 잘못 적혀있다. [18] 송범근 말고도 강현무, 김동준, 김영광, 신화용, 노동건, 이창근, 김동헌 등이 리그에서 뛰어난 활약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조현우에게 밀려 시즌 베스트 11에 오르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