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4 23:36:03

홍현석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인물의 최근 활약상에 대한 내용은 홍현석/2023-24 시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나르디 · 3 브라운 4 와타나베 · 5 칸두스 · 6 간델만 · 7 홍현석 · 8 제르켄스 · 10 티수달리
12 리더 13 데사르 · 14 요코타 · 16 슈미트 · 17 율사게르 · 18 사무와즈 · 21 아그보르 · 22 파디가 · 23 토루나리가 · [[스벤 쿰스|24 쿰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50a0; font-size: .8em"]]
25 포르투나 26 포르틴 · 28 M.페르난데즈 29 드푸아트르 30 드 슈레벨 · 33 루프 · # 구드욘센
파일:UEFA BEL.png 부터르 프랑켄
{{{#393996 * 이 표는 간략화된 버전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 KAA 헨트 스쿼드에 변동이 있으면 두 틀 모두 수정해주세요.}}}
<colcolor=#ffffff>
파일:hong7(23-24).webp
KAA 헨트 No. 7
홍현석
Hong Hyun-seok
<colbgcolor=#0050a0> 출생 1999년 6월 16일 ([age(1999-06-16)]세)
서울특별시 강서구 화곡동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신체 177cm / 체중 70kg
포지션 미드필더[1], 윙어, 세컨드 스트라이커, 레프트백
주발 왼발[2]
소속 울산 현대 (2018~2020)
SpVgg 운터하힝 (2018~2019 / 임대)
FC 유니오즈 OÖ (2019~2020 / 임대)
LASK (2020~2022)
FC 유니오즈 OÖ (2020~2021 / 임대)
KAA 헨트 (2022~ )
국가대표 12경기 ( 대한민국 / 2023~ )
링크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학력 서울신정초등학교 (졸업)
현대중학교 (졸업)
현대고등학교 (졸업)
병역 예술체육요원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축구 부문)
등번호 KAA 헨트 - 7번
대한민국 대표팀 - 13번
에이전시 HK스포츠매니지먼트[3]
후원사 나이키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국적의 KAA 헨트 소속 축구 선수. 포지션은 중앙 미드필더.

2. 클럽 경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홍현석/클럽 경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국가대표 경력

3.1.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2022년 3월, 황선홍 감독이 이끄는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의 동계 훈련 명단에 포함됐다.

3.1.1. 2022 AFC U-23 아시안컵 우즈베키스탄

2022년 5월 17일, 황선홍 감독이 이끄는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 AFC U-23 아시안컵 본선 대표팀 명단에 포함되었다.

2차전 베트남전 후반 15분 교체 투입하여 투입되자마자 조영욱의 선취골을 어시스트했다.

3차전 태국전에서도 이강인과 중원 조합을 맞추며 거의 풀타임을 소화했다. 결과적으로 조별리그에서부터 전술의 의문을 품게 만들면서 결국 대회 사상 첫 8강에서 탈락한 황선홍호에서 그나마 가장 두각을 보이는 선수 중 하나였다.

3.1.2.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

1 이광연 · 2 황재원 · 3 최준 · 4 박진섭 [[와일드카드(스포츠)|
W
]] · 5 이재익
VC
· 6 홍현석 · 7 정우영 · 8 백승호 [[와일드카드(스포츠)|
W
]]
C

9 박재용 · 10 조영욱 · 11 엄원상 · 12 민성준 · 13 고영준 · 14 이한범 · 15 정호연
16 김태현 · 17 송민규 · 18 이강인 · 19 설영우 [[와일드카드(스포츠)|
W
]] · 20 안재준 · 21 김정훈 · 22 박규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B090C; font-size: 0.8em"


예상대로 최종 엔트리에 발탁됐다.

홍현석 입장에서는 처음이자 마지막 기회로 이번 대회에서 병역 특례를 획득하지 못하면 꼼짝없이 K리그 구단으로 복귀해 김천 상무 FC에 입대해야만 한다. 물론 향후 와일드 카드라는 변수가 있긴 하지만 최근 축협 행보나 본인 나이를 생각하면 선수 본인에게 향후 기회는 그렇게 많지 않은 편이다. 결국 이번 대회에서 무조건 금메달을 따 병역 특례를 따야 하는 실정이다.

조별리그 2차전 태국전에서 고영준의 측면에서 올린 크로스를 받아 머리로 골문으로 돌려 넣으며 대한민국의 선취 골을 넣었다.

16강 키르기스스탄전에서는 왼쪽에서 송민규가 볼을 달고 박스안까지 올라갔다. 그리고 안재준에게 연결, 안재준의 컷백이 수비수와 골키퍼 맞고 흐르자 홍현석이 마무리하며 좋은 집중력으로 골을 만들어내며 스코어 5-1을 만들었다.

8강 중국전에서 전반 18분 왼발 프리킥으로 그림같은 결승 선제골을 넣으며 팀을 준결승으로 이끌었다.

4강 우즈베키스탄전에서는 86분을 소화하고 교체 아웃되었다.

결승에는 벤치에서 대기했으며 62분 정우영을 대체해 들어가 힘을 보태 2:1 리드를 지켰다. 병역 특례 또한 자연스레 따라와 해외 커리어를 자연스럽게 이어갈 수 있게 됐다.
파일:F714Zl4X0AAV7aW.jpg

소속 구단인 헨트 또한 아시안 게임 금메달을 축하했다.

3.2.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3.2.1. 2023년

2023년 2월 부임 이후로 국내에 거주하는 클린스만 감독은 2023년 4월에 해외파 선수들을 점검하기 위해 유럽으로 떠났다. 15일 손흥민(프리미어 리그 31라운드 토트넘 vs 본머스), 16일 오현규(스코티시 프리미어십 32라운드 킬마녹 vs 셀틱), 18일 김민재(UEFA 챔피언스 리그 8강 2차전 나폴리 vs 밀란), 22일 이재성(분데스리가 29라운드 마인츠 vs 바이에른), 23일 정우영(분데스리가 29라운드 프라이부르크 vs 샬케) 순으로 직관 계획이 잡혀있다. 홍현석은 클린스만 감독이 직접 경기를 관전하지 않지만, 안드레아스 헤어초크 수석코치가 13일에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8강 1차전 헨트 vs 웨스트햄 경기를 직관하였다. 위에 소개된 더 큰 무대로 나가 부딪혀보라는 발언은 이 시기에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등장하였다.

헨트에서 꾸준히 출전 기회를 받으면서 공격 포인트를 쌓는 활약을 하고 있는 홍현석은 클린스만호 코칭스태프가 경기를 관전하며 주시하고 있는 만큼 국가대표팀 승선은 시간 문제일 것이다.

예상대로 2022-23 시즌 종료 직후에 클린스만호의 2023년 6월 평가전 소집 명단에 발탁됐다. 처음으로 성인 대표팀에 간 것이다. #

6월 16일 페루 축구 국가대표팀와의 경기에서 데뷔했다. 볼을 잡으면 신중하게 움직였으며 팀은 0:1로 패배했다. 여담으로 이 날은 홍현석의 생일이었다.

10월 13일 튀니지와의 평가전에서 황인범을 대신해 중앙미드필더로 나섰다. 엄청난 영역을 커버하는 활동량에다가 필요한 공간에 적절히 맞춰 들어가는 탁월한 위치 선정을 보이며[4] 대표팀에 한층 더 적응한 모습을 보였다. 80분에 이순민과 교체되었다.

11월에도 발탁 받았으나 16일 피로 골절로 조기 하차했다. 전북의 박진섭이 대체 승선했다.
3.2.1.1. 2023 AFC 아시안컵 카타르
1 김승규[1]
4C
파일:부상 아이콘.svg · 2 이기제 · 3 김진수 · 4 김민재
3C
· 5 박용우 · 6 황인범 · 7 손흥민
C
· 8 홍현석 · 9 조규성
10 이재성 · 11 황희찬 · 12 송범근 · 13 이순민 · 14 문선민 · 15 정승현 · 16 박진섭 · 17 정우영 · 18 이강인 · 19 김영권
VC

20 오현규 · 21 조현우 · 22 설영우 · 23 김태환 · 24 김주성 · 25 김지수 · 26 양현준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0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B090C; font-size: 0.8em"
{{{#!folding [ 각주 ]

[1] 팀 훈련 도중 2024년 1월 19일자로 십자인대 파열을 진단받아 소집 해제. 1월 23일에 중도 귀국하고 # 김준홍이 골키퍼 훈련 파트너로 합류했다.

그리고 예상대로 아시안컵 최종 명단에 포함, 대표팀 발탁 반년만에 생애 첫 메이저 대회에 출전하게 되었다.

1월 6일 이라크와의 평가전에서는 선발 출전했다.

바레인과의 1차전에는 72분경 조규성을 대신해 투입되었다.

요르단과의 2차전 후반 시작과 동시에 박용우 대신 투입되었다. 후반 중반 오프사이드 깃발이 올라갔지만 끝까지 상대 수비를 뚫은 다음 조규성에게 넘겨 주었으나 조규성이 빈 골대 위로 넘겨 버리는 빅 찬스 미스를 기록해 버렸다. 추가로 후반 99분 경기 종료 직전 막판 좋은 기회가 있었으나 밀어넣기만 하면 되는 상황에서 몸을 날린 슛이 옆그물을 때리고 말았다.

3차전 말레이시아전에는 후반 62분 황인범과 교체 투입되었다.

16강 사우디전에서도 교체 투입 되었다. 자신감을 잃은 조규성이 빈 골대임에도 슛을 하지 않고 패스를 주기에 받았으나 이미 수비는 복귀해서 각이 없었고 다시 손흥민에게 패스했다.

8강 호주전에서도 후반 77분 황인범과 교체 투입 되었다. 투입된 이후 공수 측면에서 열정적인 플레이를 보였고 연장전에서도 지쳐있던 주전 플레이어들을 대신해 그라운드 전반을 투지있게 뛰어다니며 많은 팬들에게 박수를 받았다.

꾸준히 교체 투입되던 지난 경기들과 달리 4강 요르단전에서는 출전하지 못했다.

3.3. 황선홍호

3월 월드컵 2차 예선 태국전 명단에 뽑혔다. 1차전에서 62분에 주민규와 교체투입됐고, 2차전에서는 출전하지 못했다.

3.4. 김도훈호

2024년 5월 27일, 김도훈 임시감독 체제로 운영되는 6월 북중미 월드컵 2차예선 대한민국 대표팀 명단에 이름을 올렸고 중국전에서 후반 79분 경 이강인과 교체되어 출전했다.

4. 기록

4.1. 대회 기록

5. 플레이 스타일

전반적으로 부족한 능력치가 없이 2-3선을 오가며 공수에 영향을 끼치는 육각형 미드필더이다.

오스트리아 시절에는 주로 3-4-3의 8번 역할의 박투박 중앙 미드필더로 출전했고 이는 FK 츠르베나 즈베즈다 황인범과 비슷한 플레이 스타일이었다. 왼발잡이지만 오른발도 수준급으로 양발로 스루패스와 크로스에 모두 능하고 플레이가 간결해 팀의 공격 리듬에 도움을 주며 경기당 11~12km씩 뛰는 하드워커.

벨기에 입성 후에는 주로 2선에 기용되며 공격형 미드필더로 자리잡았다. 이 자리에서는 공격적인 부분이 주로 돋보이나 수비적인 측면에서도 박수 받을 만 한 플레이를 보여주고 있다. 벨기에 무대에서는 특히 공격 작업에서 테크니컬한 모습을 보이며 넓은 시야와 함께 상대 미드필더진의 압박을 자연스레 벗어나 볼을 몰고 가거나 소유한 뒤 양질의 패스를 공급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컨디션이 최상인 날에는 이니에스타를 떠올린만한 번뜩이는 모습을 보여준다. 한편으론 수비적으로 왕성한 모습을 보여주어 중원 장악력에서 발군의 모습을 선보이며 팀에 기여하고 있다. 왼발 킥이 좋아 소속팀 및 연령별 국가대표팀에서 코너킥, 프리킥 처리를 담당한다.

이런 플레이 스타일에서 나타나듯 잘풀리는 날에는 키패스와 크로스, 태클, 리커버리, 경합 지표가 모두 높아 중원에서 필요한 모든 플레이를 보여준다.[6] 또한 좋은 축구지능, 활동량, 키핑능력, 운반능력, 수비력으로 센터백과 스트라이커를 제외한 모든 포지션 또한 소화하는 멀티성도 있다.

굳이 약점이 있다면, 키가 크지 않은 편이고 점프력도 좋지 않아서 공중볼에는 취약하다.[7] 게다가 주력도 빠른 편은 아니고 보통이다. 이런 약점은 남들보다 먼저 빠르게 예측해서 움직이는 순발력으로 커버해야 한다.

현재 한국 선수 중에서 가장 스타일이 비슷한 선수는 이재성이다. 중앙 미드필더와 2선 중앙, 양 측면을 모두 오간다는 점과 많은 활동량을 기반으로 한 수비 가담, 넓은 시야를 기반으로 한 공격적인 킬패스와 준수한 탈압박 등이 닮았다. 때문에 A 대표팀에 소집된다면 이제 30세가 넘어가는 그의 후계자로 등극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리고 움직임이 매우 좋은 오프 더 볼 플레이와 넓은 시야 덕분에 킬패스에 매우 능하고 테크니컬하면서도 성실하게 수비 가담을 해주기에 황인범뿐만 아니라 여러 선수들과 좋은 파트너쉽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미 황선홍호에서도 이강인과 중원에서 호흡을 맞춘 바 있다. 10월 A매치에서도 선발 출전 직전에 경미한 허벅지 부상이 발생한 황인범을 대신해 투입되었음에도 이재성, 이강인과 좋은 호흡을 보여준 적이 있었다.

6. 여담

7. 관련 문서

8. 둘러보기

파일:KAA 헨트 로고.svg
KAA 헨트 1군 스쿼드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KAA 헨트 2023-24 시즌[1]
<rowcolor=#0050a0><colcolor=#0050a0> 등 번호 국적 포지션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비고
1 파일:프랑스 국기.svg GK 폴 나르디 Paul Nardi
3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DF 아치 브라운 Archie Brown
4 파일:일본 국기.svg DF 와타나베 츠요시 Tsuyoshi Watanabe
5 파일:모로코 국기.svg DF 이스마엘 칸두스 Ismaël Kandouss
6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MF 옴리 간델만 Omri Gandelman
7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MF 홍현석 Hong Hyun-Seok
8 파일:벨기에 국기.svg MF 바디스 오지자-오포 Vadis Odjidja-Ofoe 주장
10 파일:모로코 국기.svg FW 타릭 티수달리 Tarik Tissoudali
11 파일:벨기에 국기.svg FW 위고 카위퍼르스 Hugo Cuypers
12 파일:벨기에 국기.svg MF 노아 드 리더 Noah De Ridder
13 파일:벨기에 국기.svg MF 쥘리앵 데사르 Julien De Sart
14 파일:일본 국기.svg MF 요코타 다이스케 Daisuke Yokota
15 파일:벨기에 국기.svg DF 브람 라가에 Bram Lagae
16 파일:일본 국기.svg GK 슈미트 다니엘 Daniel Schmidt
17 파일:덴마크 국기.svg MF 앤드류 율사게르 Andrew Hjulsager
18 파일:벨기에 국기.svg MF 마티스 사무와즈 Matisse Samoise
21 파일:카메룬 국기.svg DF 브라이언 아그보르 Brian Agbor
22 파일:세네갈 국기.svg DF 노아 파디가 Sulayman Marreh
23 파일:독일 국기.svg DF 조던 토루나리가 Jordan Torunarigha
24 파일:벨기에 국기.svg MF 스벤 쿰스 Sven Kums 부주장
25 파일:앙골라 국기.svg DF 누리우 포르투나 Núrio Fortuna
26 파일:벨기에 국기.svg GK 루이스 포르틴 Louis Fortin
28 파일:벨기에 국기.svg FW 마티아스 페르난데즈 파르도 Matias Fernandez-Pardo
29 파일:벨기에 국기.svg FW 로랑 드푸아트르 Laurent Depoitre
30 파일:벨기에 국기.svg GK 셀레스틴 드슈레벨 Célestin De Schrevel
33 파일:벨기에 국기.svg GK 다비 루프 Davy Roef
구단 정보
구단주: 이반 더 비터 / 감독: 부터르 프랑켄 / 홈 구장: 겔람코 아레나
출처: 공식 홈페이지

[1] 스쿼드에 변동이 있으면 간략화된 틀도 수정해주세요.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e6002d>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스쿼드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rowcolor=#ffffff> 포지션 등번호 이름 생년월일 출장 득점 소속 구단
<colbgcolor=#0b090c> GK 1 송범근
(Song Bum-Keun)
1997년 10월 15일 ([age(1997-10-05)]세) 1 0 파일:일본 국기.svg 쇼난 벨마레
12 황인재
(Hwang In-Jae)
1994년 4월 22일 ([age(1994-04-22)]세) 0 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포항 스틸러스
21 조현우
(Jo Hyeon-Woo)
1991년 9월 25일 ([age(1991-09-25)]세) 32 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울산 HD FC
DF 2 황재원
(Hwang Jae-Won)
2002년 8월 16일 ([age(2002-08-16)]세) 2 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구 FC
3 김진수
(Kim Jin-Soo)
1992년 6월 13일 ([age(1992-06-13)]세) 73 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전북 현대 모터스
4 하창래
(Ha Chang-Rae)
1994년 10월 16일 ([age(1994-10-16)]세) 0 0 파일:일본 국기.svg 나고야 그램퍼스
14 조유민
(Cho Yu-Min)
1996년 11월 17일 ([age(1996-11-17)]세) 7 0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샤르자 FC
15 최준
(Choi Jun)
1999년 4월 17일 ([age(1999-04-17)]세) 0 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FC 서울
16 이명재
(Lee Myung-Jae)
1993년 11월 4일 ([age(1993-11-04)]세) 1 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울산 HD FC
20 권경원
(Kwon Kyung-Won)
1992년 1월 31일 ([age(1992-01-31)]세) 32 2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수원 FC
22 박승욱
(Park Seung-Wook)
1997년 5월 7일 ([age(1997-05-07)]세) 2 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천 상무 FC
MF 5 정우영
(Jung Woo-Young)
1989년 12월 14일 ([age(1989-12-14)]세) 74 3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칼리즈 FC
6 황인범
(Hwang In-Beom)
1996년 9월 20일 ([age(1996-09-20)]세) 60 6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FK 츠르베나 즈베즈다
7 손흥민 파일:주장 아이콘.svg
(Son Heung-Min)
1992년 7월 8일 ([age(1992-07-08)]세) 127 48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토트넘 홋스퍼 FC
8 박용우
(Park Yong-Woo)
1993년 9월 10일 ([age(1993-09-10)]세) 15 0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알 아인 FC
10 이재성
(Lee Jae-Sung)
1992년 8월 10일 ([age(1992-08-10)]세) 88 11 파일:독일 국기.svg 1. FSV 마인츠 05
11 황희찬
(Hwang Hee-Chan)
1996년 1월 26일 ([age(1996-01-26)]세) 66 14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울버햄튼 원더러스 FC
13 홍현석
(Hong Hyun-Seok)
1999년 6월 16일 ([age(1999-06-16)]세) 12 0 파일:벨기에 국기.svg KAA 헨트
17 엄원상
(Um Won-Sang)
1999년 1월 6일 ([age(1999-01-06)]세) 8 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울산 HD FC
18 이강인
(Lee Kang-In)
2001년 2월 19일 ([age(2001-02-19)]세) 29 10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리 생제르맹 FC
23 배준호
(Bae Jun-Ho)
2003년 8월 21일 ([age(2003-08-21)]세) 2 1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스토크 시티 FC
FW 9 주민규
(Joo Min-Kyu)
1990년 4월 13일 ([age(1990-04-13)]세) 4 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울산 HD FC
19 오세훈
(Oh Se-Hun)
1999년 1월 15일 ([age(1999-01-15)]세) 1 0 파일:일본 국기.svg FC 마치다 젤비아
일정 2026 FIFA 월드컵 아시아 2차예선 2024년 6월 6일(목) 원정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2024년 6월 11일(화)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출처: 대한축구협회
2024년 6월 12일 기준
}}}}}}}}}

파일: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
<colcolor=#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002d 23%, #073E90 77%)"
{{{#!wiki style="color: #00498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1부 리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colcolor=#fff> 파일:프리미어 리그 로고(화이트/가로형).svg {{{#!folding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 파일:토트넘 홋스퍼 FC 로고.svg
No. 7
C
파일:울버햄튼 원더러스 FC 로고.svg
No. 11
파일:브렌트포드 FC 로고.svg
No. 36
손흥민 황희찬 김지수 }}}
파일:분데스리가 워드마크(화이트).svg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1. FSV 마인츠 05 로고.svg
No. 7
파일:VfB 슈투트가르트 로고.svg
No. 10
파일:FC 바이에른 뮌헨 로고.svg
No. 3
이재성 정우영 김민재
}}}}}} ||
파일:리그 1 워드마크.svg {{{#cdfb0a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파리 생제르맹 FC 로고.svg
No. 19
이강인 }}}}}}
파일:리가 포르투갈 벳클릭 로고 가로.png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포르티모넨스 SC 로고.svg
No. 30
파일:GD 이스토릴 프라이아 로고.svg
No. 35
김용학 황인택
파일:포르티모넨스 SC 로고.svg
No. 23
파일:포르티모넨스 SC 로고.svg
No.
이예찬 김태원
}}}}}} ||
파일:벨기에 프로 리그 로고.svg {{{#FF174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KAA 헨트 로고.svg
No. 7
홍현석
}}}}}} ||
파일:트렌디욜 쉬페르리그 로고.svg {{{#8B384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알란야스포르 로고.svg
No. 16
황의조
}}}}}} ||
파일:스코티시 프리미어십 로고.svg {{{#202958,#d4a81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셀틱 FC 로고.svg
No. 19
파일:셀틱 FC 로고.svg
No. 13
파일:셀틱 FC 로고.svg
No. 22
오현규 양현준 권혁규
}}}}}} ||
파일:아드미랄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가로형) 로고.svg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SK 아우스트리아 클라겐푸르트 로고.svg
No. -
이민영
}}}}}} ||
파일:덴마크 수페르리가 로고.svg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FC 미트윌란 로고.svg
No. 10
파일:FC 미트윌란 로고.svg
No. 3
조규성 이한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6070b, #ee1c25, #ee1c25, #96070b)"
파일:세르비아 수페르리가 가로 로고.png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FK 츠르베나 즈베즈다 로고.svg
No. 66
파일:FK 노비 파자르 로고.svg
No. 26
황인범 조진호
파일:FK 추카리치키 로고.svg
No. 13
파일:FK 파르티잔 로고.svg
No. 77
유지운 고영준
}}}}}}}}} ||
파일:eliteserien_a_rgb.svg.png {{{#07203C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FK 하우게순 로고.svg
No. 17
서종민
}}}}}} ||
파일:Czech First League Logo.png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1. FC 슬로바츠코 로고.svg
No. 18
김승빈
}}}}}} ||
파일:폴란드 엑스트라클라사.png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MKS 푸슈차 니에포워미체 로고.svg
No. 6
이진현
}}}}}} ||
파일:BOV 몰타 프리미어 리그 로고 화이트.svg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발잔 FC 로고.svg
No. 17
한의권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002d 23%, #073E90 77%)"
{{{#!wiki style="color: #00498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2부 리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EFL 챔피언십 로고(가로형).svg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
파일:스토크 시티 FC 로고.svg
No. 22
파일:버밍엄 시티 FC 새 로고.svg
No. 13
배준호 백승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62deg, #d10214 50.0%, #929292 50.0%)"
파일:2. 분데스리가 워드마크(화이트).svg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SV 베헨 비스바덴 로고.svg
No. 20
이현주
}}}}}}}}} ||
파일:아드미랄 오스트리아 2. 리가(가로형) 로고.svg {{{#df061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SK 슈투름 그라츠 로고.svg
No. 28
이도안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04675, #217bb8, #217bb8, #104675)"
파일:세르비아 프르바리가 가로 로고.png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sloboda_uzhice [Converted].png
No. 29
명세진
}}}}}}}}} ||
파일:포르투나 나드로니 리가.png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FK 프르지브람.png
No.
박준용
}}}}}} ||
파일:prvaligafbih.png {{{#df061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HNK 토미슬라프.png
No. 14
김경수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002d 23%, #073E90 77%)"
{{{#!wiki style="color: #00498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3부 리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colcolor=#000> 파일:3. 리가 워드마크.svg {{{#!folding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 파일:SG 디나모 드레스덴 로고.svg
No. 2
박규현 }}}
파일:프리메라 페데라시온 로고.svg {{{#df061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CD 테루엘 로고.svg
No. 7
안준혁 }}}
파일:3. HNL.png {{{#df061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GOSK-두브로브니크 로고.png
No.
서우민 }}}
}}}}}}
}}}}}}}}}}}} ||

1 이광연 · 2 황재원 · 3 최준 · 4 박진섭 [[와일드카드(스포츠)|
W
]] · 5 이재익
VC
· 6 홍현석 · 7 정우영 · 8 백승호 [[와일드카드(스포츠)|
W
]]
C

9 박재용 · 10 조영욱 · 11 엄원상 · 12 민성준 · 13 고영준 · 14 이한범 · 15 정호연
16 김태현 · 17 송민규 · 18 이강인 · 19 설영우 [[와일드카드(스포츠)|
W
]] · 20 안재준 · 21 김정훈 · 22 박규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B090C; font-size: 0.8em"

1 고동민 · 2 최준 · 3 이규혁 · 4 이상민 · 5 김주성 · 6 고재현 · 7 조영욱 · 8 홍현석
9 오세훈 · 10 박정인 · 11 양현준 · 12 조현택 · 13 이강인 · 14 엄지성 · 15 박재환 · 16 권혁규
17 이진용 · 18 정상빈 · 19 고영준 · 20 김현우 · 21 민성준 · 22 김태환 · 23 박지민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B090C; font-size: 0.8em"



[1] 전 지역이 가능하며 주 포지션은 중앙 미드필더. [2] 왼발에 집중하는 편이지만, 오른발 사용 또한 준수하다. [3] 오현규, 정우영, 이현주 등 현재 대한민국의 해외파 유망주들을 맡고 있다. [4] 해설이 홍길동이라고 칭찬할 정도였다. [A]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로 인해 1년 연기된 2023년 개최. [6] 벨기에 주필러리그 22-23 30라운드 KAS 외펜전에서 패스 성공률 90%, 키패스 5회, 슈팅 2회, 크로스 3회 성공, 롱 패스 3회 성공, 태클 3회 성공, 리커버리 2회, 지상 경합 5회 성공, 공중 경합 2회 성공, 피파울 1회로 중원에서 홍현석의 장점이 모두 드러났다. [7] 많이 나오는 그림은 아니지만, 헤더 시도를 아예 안하는 건 아니다. [8] 2022-23 시즌 헨트에서 54경기를 소화했다. 시즌 초반 LASK 소속 경기까지 합치면 58경기. [9] 홍현석은 독일어권 국가인 오스트리아와 독일에서 5년을 거주했다. 이후 헨트로 이적하여 처음으로 비 독일어권 국가에서 생활하게 되었다. 소속팀이 네덜란드어권 벨기에 지역이라 독일어를 쓸 기회가 많지 않은데 토루나리가가 독일어 원어민이라 그런 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