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21 02:17:58

성수동

{{{#!wiki style="margin: -12px 0" <tablebordercolor=#009742>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행정동 법정동
<colbgcolor=#009742> 왕십리도선동 상왕십리동 하왕십리동 도선동 홍익동
왕십리2동 하왕십리동
마장동 마장동
사근동 사근동 행당동
행당1, 2동
구청
행당동
응봉동 응봉동
금호1가동 금호동1가
금호2.3가동 금호동2가 금호동3가
금호4가동 금호동4가
옥수동 옥수동
성수1가1, 2동 성수동1가
성수2가1, 3동 성수동2가
용답동 용답동 송정동
송정동 송정동 }}}}}}}}}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ae1932>
서울특별시
2040 서울도시기본계획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2040 서울도시기본계획.jpg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2872b3> 3도심 서울 도심 영등포/ 여의도 강남
7광역중심 상암/ 수색 용산 청량리/ 왕십리 창동/ 상계
마곡 가산/ 대림 잠실
12지역중심 연신내/ 불광 미아 동대문 망우
신촌/ 홍대 마포/ 공덕 성수/ 건대 천호/ 길동
목동 봉천 사당/ 이수 수서/ 문정 }}}}}}}}}
성수동
聖水洞 | Seongsu-dong
파일:성수동 법정동 지도.png
법정동 경계
파일:성수동 행정동 지도.png
행정동 경계
1. 개요2. 역사3. 상세
3.1. 한국의 브루클린?
4. 행정구역
4.1. 성수동1가
4.1.1. 성수1가1동4.1.2. 성수1가2동
4.2. 성수동2가
4.2.1. 성수2가1동4.2.2. 성수2가3동
5. 지리6. 교통
6.1. 도로6.2. 철도6.3. 버스
7. 주거
7.1. 공동주택
8. 상권
8.1. 연무장길8.2. 뚝도시장
9. 교육10. 시설
10.1. 기업10.2. 기관
11. 출신 인물12. 여담13. 관련 자료
[clearfix]

1. 개요

서울특별시 성동구에 속한 법정동 성수동1가와 성수동2가를 포함하는 지역으로, 흔히 '뚝섬'이라고 부르는 지역이다. 한강 중랑천이 만나는 합류부에 위치하는 반도 형태의 지역이며, 중랑천을 따라 조금 더 상류로 올라가면 성수1가1동에서 청계천과 중랑천이 합류한다.

서쪽과 북쪽으로는 중랑천을 사이에 두고 옥수동, 금호동, 응봉동, 행당동, 사근동, 용답동과 인접하며, 송정동은 성수동 바로 북쪽에 광나루로를 사이에 두고 붙어있다. 동쪽은 동일로를 경계로 광진구 화양동, 자양동과 인접한다.

성수동에 오랫동안 거주한 사람들 사이에선 상가가 즐비한 상원길 구간을 '뚝섬'이라고 부른다. 뚝방길이라는 산책로가 인접해 있기 때문에 지어진 듯 하다. 비슷한 케이스로 성덕정길[1]을 '구길'이라 부른다.

2. 역사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삼국시대 ~ 후삼국시대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475 고구려 북한산군(北漢山郡)
553 신라 신주(新州)
557 북한산주(北漢山州)
568 남천주(南川州)
604 한산정(漢山停)
660 한산주(漢山州)
757 한주 한양군(漢州 漢陽郡)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고려시대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995 관내도 양주목(關內道 楊州牧)
1018 양광도 양주목(楊廣道 楊州牧)
1067 남경(南京)
? 양광도 양주목
1104 남경(南京)
1308 한양부(漢陽府)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조선시대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1395 경기좌도 양주군(京畿左道 楊州郡)
1397 경기좌도 양주부(京畿左道 楊州府)
1413 경기도 양주부(京畿道 楊州府)
1461 한성부 남부(漢城府 南部)
1751 한성부 남부 두모방 전관1,2계
(漢城府 南部 豆毛坊 箭串一二契)
1894 한성부 남서 두모방 전관1,2계 전관동
(漢城府 南署 豆毛坊 箭串一二契 箭串洞)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일제강점기 ~ 현대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법정동은 파란색, 행정동은 분홍색
1910. 10. 1. 경기도 경성부 남서 두모방 전관1,2계 전관동
(京畿道 京城府 南署 豆毛坊 箭串一二契 箭串洞)
1911. 4. 1. 경기도 경성부 두모면
(京畿道 京城府 豆毛面)
뚝도2계
(纛島二契)
뚝도1계
(纛島一契)
1914. 4. 1. 경기도 고양군 뚝도면
(京畿道 高陽郡 纛島面)
서뚝도리
(西纛島里)
동뚝도리
(東纛島里)
1949. 8. 13. 서울특별시 성동구
(서울特別市 城東區)
서뚝도리 동뚝도리
1950. 3. 15. 성수동1가
(聖水洞一街)
성수동2가
(聖水洞二街)
1953. 3. 성수1가동
(聖水一街洞)
성수2가동
(聖水二街洞)
1973. 7. 1. 성수2가1동
(聖水二街一洞)
성수2가2동
(聖水二街二洞)
1977. 9. 1. 성수2가1동 성수2가3동
(聖水二街三洞)
1985. 9. 1. 성수1가1동
(聖水一街一洞)
성수1가2동
(聖水一街二洞)
성수2가2동 성수2가4동
(聖水二街四洞)
1995. 3. 1. 성동구 광진구
(廣津區)
성수동1가 성수동2가 노유동
성수1가1동 성수1가2동 성수2가1동 성수2가3동 노유1동
(老遊一洞)
노유2동
(老遊二洞)
2008. 1. 1. 자양4동
(紫陽四洞)
2008. 8. 4. 자양동
(紫陽洞)
}}}}}}}}}

고려 시대에는 양주목(楊州牧)에 속했다. 1067년( 문종 21년)에 양주목이 남경(南京)으로 승격하자 그에 속했는데, 얼마 가지 않아 남경이 다시 양주목으로 격하되었다. 1104년( 숙종 9년)에 다시 남경이 설치될 때에 그에 속해 쭉 유지되었다.

1395년( 조선 4년)에 개경에서 한양으로 천도할 때에 한양도성 내부만 한성부가 되고 그 외 지역은 모두 양주군에 속하게 했는데, 지금의 행당동 지역도 양주군에 속하게 되었다. 1424년( 세종 6년), 한양에서 떨어져 나온 지 29년이 지나서 다시 한성부 성저오리(城底五里)에 편입되어 남부에 예속되었고, 1751년( 영조 27년)에는 신설된 두모방(豆毛坊)에 예속되어 한성부 남부 두모방 전관1,2계 전관(箭串)동이 되었다.

이 전관(箭串)이라는 지명은 전곶이라고도 하는데, 한자는 같다. 이를 우리말로 풀어 쓰면 살곶이가 되는데, 살곶이다리에서 따온 것이다. 살곶이란, 무인정사(왕자의 난이라고도 하는 그 사건) 이후 함흥으로 낙향한 태조가 한양으로 돌아올 때 태종이 지금의 행당동 덕수고등학교 땅에 마중을 나왔는데, 이를 본 태조가 태종에게 화살을 쏘았다는 고사에서 유래한 것이다. 다른 야사로는 지금의 응봉동 일대에서 매사냥을 하던 태종이 화살을 쏘니 성수동의 어느 나무에 꽂혀 이 일대를 살곶이라고 불렀다는 설도 있고, 화살이 나무에 꽂혔는데 그 나무에서 피가 흘러 살곶이가 되었다는 설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하여 이곳은 조선시대부터 전관평(箭串坪)이라 불렸고, 이는 경마장 앞에서 동서울터미널까지 이어지는 도로에 관평로(串坪路)라는 이름으로 남았다. 훗날 이 도로는 뚝섬로로 개명하였다.

조선시대 왕들은 이곳에서 매 사냥을 자주 하였는데, 특히 태종, 성종, 연산군이 그러하였다. 또, 조선시대부터 병사를 사열하는 연무장(演武場)을 이곳에 두었는데, 이는 연무장길의 이름으로 남게 되었다. 이 연무장 근처에 둑신사(纛神祠)를 세우고 치우천왕을 상징하는 둑기(纛旗)를 두어 제사를 지냈다.[2] 여기서 뚝섬이라는 지명이 유래되어 현재도 뚝섬이라고 불리게 되었는데, 1927년 을축년 대홍수 때에 성수동 전역이 물에 잠기며 둑신사 역시 사라지게 되어 뚝섬이라는 이름으로만 남았다. 실제로는 섬이 아닌데 뚝섬이라 불리는 이유는, 홍수가 발생하면 가끔 중랑천 물길이 성수동을 가로질러 한강으로 곧장 통해 일시적으로 섬이 되었기에 그렇다. 제방 공사가 완료된 지금은 섬이 되는 일이 없다.

1911년에는 이 지역을 경기도 경성부 두모면 뚝도1계, 뚝도2계라고 부른다. 뚝도1계는 지금의 성수동2가, 뚝도2계가 지금의 성수동1가 지역이다. 1914년 부군면 통폐합 이후로는 경기도 고양군에 속하였고, 현 성동구 지역인 두모면에서 떨어져 나와 광진구와 함께 뚝도면(纛島面)에 속하게 되었다. 뚝도1계는 동뚝도리로, 뚝도2계는 서뚝도리로 변경되었다. 1936년 경성부 확장으로 성동구 본토는 경성부에 속하게 된 반면, 성수동 일대는 그대로 고양군 뚝도면에 남았다.

1930년에는 동대문에서 뚝섬유원지까지 이어지는 경성궤도가 개통되어 성수동을 관통하게 되었다. 이때부터 성수동은 경성 교외의 관광지로 나들이객이 붐비는 지역이 되었다. 성수동 곳곳에는 격자형 도로망 사이로 불규칙한 골목들이 남아 있는데, 이것이 옛 경성궤도의 흔적이다.

1949년에야 비로소 서울특별시에 편입되어 35년 만에 다시 성동구 지역에 합쳐지게 되었고, 1950년에는 서뚝도리가 성수동1가, 동뚝도리가 성수동2가로 동명이 변경되었다. 이는 현재의 서울숲 트리마제 부지에 있었다던 성덕정(聖德亭)의 '성(聖)'과 뚝도수원지의 '수(水)'를 합쳐 새로 만든 지명이다.

6.25 전쟁 전후로 하여 현재의 서울숲 트리마제 인근에 유엔군이 주둔하였다. 전쟁의 여파로 성동교가 폭파되며 성동교를 건너 성수동으로 진입하던 경성궤도마저 끊어져 한동안 성수동에 접근하려면 조선시대에 세워진 살곶이다리로 건너야 했던 때도 있었다.

1966년 이전까지는 개발이 이루어지지 않아 한적한 시골 농경지였는데, 뚝섬지구가 새로 토지구획정리사업 대상지로 선정되어 준공업지구로 급격히 탈바꿈하였다. 이때 즈음하여 경성궤도가 폐선되고 시가지의 형태를 띄게 되었으며, 1970년대에 이르면 인구가 폭증하게 된다.

1973년에 이르러 성수동2가는 성수2가1동과 성수2가2동으로 분동되었고, 1977년에는 성수2가1동에서 성수2가3동이 분동되었다. 1985년에는 성수동1가가 성수1가1동과 성수1가2동으로, 성수2가2동에서 성수2가4동이 분동되었다. 1995년에 성동구와 광진구가 동일로를 기준으로 분구되며 동일로 동쪽의 성수2가2동과 성수2가4동을 성수동과 떨어져 그대로 광진구에 소속되었고, 성수2가2동이 노유동으로, 성수2가4동은 노유2동과 화양동에 나누어 편제되었고, 2008년에 노유동이 자양동과 통폐합되며 옛 성수2가2동과 성수2가4동 일부 지역은 자양4동이 되었다.

3. 상세

성수동은 왕십리, 한양대 일대와 건국대학교의 중간에 있어 두 생활권의 연결지대 역할을 하고 있다. 성수대교가 지어진 이후로는 왕십리와 강남구를 잇는 가교 역할도 하고 있다.

성수동은 성동구 본토와는 중랑천으로 인해 단절되어 있어 왕십리와는 분리된 별개의 생활권을 이루어 왔다. 역사적으로 보아도 1995년 이전까지는 광진구와 맥을 같이 하여 왔을 정도로 성동구보다는 광진구에 조금 더 가까운 편이다. 그러나 그동안은 건대로 통하는 길목에 큰 규모의 공업지역이 있었기 때문에 상권이 완전히 연담화되지 않았고, 이는 2010년대 이후 서울숲역을 중심으로 하는 성수동 생활권이 독자적으로 발전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현재는 연무장길을 따라 건대거리 상권과도 이어지게 되며 조금씩 상권이 더 커져 가고 있다.

흔히 서울의 공장지대 하면 구로구나 성수동을 떠올리는데, 요즘 성수동의 공장지대는 점점 줄어들고 점차 재개발되어 주거지와 업무지구의 면모를 갖추어 가고 있다. 특히 이 공장들을 재건축하여 아파트형 공장이라는 다소 특이한 형태의 오피스 공간이 생겨났는데, 한 건물에 여러 개의 공장과 사무실이 혼재하는 지금의 오피스텔 비슷한 개념이었다. 2000년대만 해도 이 생소한 아파트형 공장이 성수동이나 구로구 같은 옛 공장지대에만 분포하기도 했다. 2008년 이후로는 아파트형 공장이라는 용어가 없어지고 지식산업센터로 대체되었다. 이 지식산업센터 건물에 초창기 IT기업들을 비롯한 벤처기업들이 대거 입주하면서 지금의 IT산업단지가 생긴 것이다.

이외에도 성수동 공장지대에는 구두를 만드는 곳이 많았는데, 이 일대에 젠트리피케이션이 진행되면서 성수동 수제화거리라는 이름으로 재탄생하였다. 현재도 구두 장인들이 이곳에 많이 있다. 또, 옛날 공장들을 리모델링하여 청년 스타트업을 위한 사무공간, 예술가들을 위한 전시공간 등이 많이 생기면서 MZ세대의 핫플레이스로 이름을 높이는 중이다.

사대문 안과 강남 모두 가기 편리한 교통의 요지로 부각되면서 2020년대 기준 서울에서 땅값이 제일 가파르게 오르는 중이다. 특히 성수동의 3대 아파트가 성수동이 부촌으로 성장하는데 큰 기여를 했다는 것이 중론이다. 갤러리아 포레는 분양 당시 강남을 넘어서는 분양가를 내세웠으며, 한강 전망, 내구재 등 덕분에 아직까지 한화 건설의 역작이라고 불리고, 서울숲 트리마제의 경우 연예인 아파트로 굉장히 큰 관심도를 얻었고, 아크로 서울포레스트 역시 많은 연예인들과 신흥 부자들이 많이 거주하게 되어 서울숲의 한 축으로 자리잡았다.

한강뷰 + 거대한 공원 부지로 가격이 안 오를 수가 없는 구조인데다가 이로 인해 사람들이 많이 방문하자, 디올 성수나 블루보틀 같은 SNS에서 핫한 장소들이 대거 입점하였으며, 공장 지대를 개발한 소위 말하는 '힙한 감성'이 어우러진 가게들이 많이 생겨나는 중이고 기존 강남구 청담동에 위치해 있던 SM엔터테인먼트 큐브엔터테인먼트와 같은 아이돌 소속사도 많이 옮겨오는 추세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개발되지 않은 공장지대도 많이 남아있어서 초호화 아파트단지와 공장지대가 혼재한 특이한 양상을 보이기도 한다. 현재는 성수동의 한강변 일대를 50층 아파트와 대규모 공원으로 재개발하는 성수전략정비구역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3.1. 한국의 브루클린?

성수동은 일부 네티즌들에게 한국의 브루클린이라 불리기도 한다. 2010년대 이후 핫플레이스가 되기 전까진 강 건너 강남과 비교해 낙후된 공장지대라는 인식이 있던 성수동이 뉴욕의 브루클린 사례와 유사한 점이 있기 때문.

브루클린 역시 뉴욕의 공장지대로서, 1980년대 이후 제조업의 쇠퇴와 함께 낙후되어 있다가 1990년대 이후 젊은 예술가들이 모여들며 힙합이 유행하여 신 문화의 중심지로 재탄생하였고, 젠트리피케이션으로 부흥하게 되었는데, 이것이 성수동의 양상과 꽤 비슷하다.

오래된 도시에 신세대의 힙한 감성이 더해져 독특한 풍경을 자아내게 된 데에 더하여 지리적으로 큰 강으로 타 지역과 단절되어 있고, 오래된 고가철도가 있어 그늘이 진다는 점, 동네에 붉은 벽돌 건물이 많다는 점에서 브루클린과 풍경이 흡사하다. 특히 레트로 감성을 선호하는 요즘 세대에게 각광 받는 지역이기도 하다.

이런 이유로 브루클린에 방문한 한국인 관광객들 중 성수동을 접해본 적이 있는 사람들은 묘한 향수를 느끼기도 하는 모양인데, 방탄소년단 슈가도 브루클린을 딱 보고는 "여기 성수동 같지 않냐?" 라고 할 정도로 유사성이 눈에 띄는 모양.

다만 그 때문인지 미국 컨셉을 너무 쫓다가 영어로 묻지 않으면 대꾸도 안하고 모든 안내가 영어인 가게도 하나둘씩 생겨서 빈축을 사고 있다.

4. 행정구역

4.1. 성수동1가

성동구 법정동
성수동1가
聖水洞一街 | Seongsu-dong 1(il)-ga
<colbgcolor=#018c0d><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서울특별시
기초자치단체 성동구
행정표준코드 1120011400
관할 행정동 성수1가1동, 성수1가2동
하위 행정구역 52통 424반
면적 2.85㎢
인구 27,240명[A]
인구밀도 9,557.89명/㎢
뚝섬역 서울숲역을 중심으로 성수동의 서쪽 지역을 관할하는 법정동으로, 과거 서뚝도리였던 지역이다. 남쪽은 성수1가1동이, 북쪽은 성수1가2동이 관할하고 있다.

성동구 본토와 강남구를 잇는 중간지대이며, 성수대교, 강변북로, 동부간선도로, 내부순환로가 모두 이곳에서 모이기 때문에 교통의 요지로 주목 받아 발전이 빠른 편이다.
[clearfix]

4.1.1. 성수1가1동

성동구 행정동
성수1가제1동
聖水一街第一洞 | Seongsu 1(il)-ga 1(il)-dong
<colbgcolor=#fbe706><colcolor=#000> 광역자치단체 서울특별시
기초자치단체 성동구
행정표준코드 3030054
관할 법정동 성수동1가
하위 행정구역 29통 243반
면적 1.97㎢
인구 15,377명[A]
인구밀도 7,805.58명/㎢
정치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국회의원 | 중구·성동구 갑

전현희 (3선)
서울특별시의원 | 제4선거구

황철규 (초선)
성동구의원 | 라 선거구

고용필 (초선)

김현주 (3선)

주복중 (초선) }}}}}}}}}
행정복지센터 뚝섬로3길 18[5]
성수1가제1동 주민센터
성수동1가의 남쪽 지역을 관할하는 행정동으로, 한강변에 면한 지역이다. 1985년 9월 1일 서울특별시조례 제2015호에 의해 성수동1가를 성수1가제1동과 성수1가제2동으로 분동하게 됨에 따라 신설되었다.

성수동 전체로 보면 가장 발전된 지역인데, 서울숲역을 중심으로 근방에 서울숲과 성동구민 종합체육센터, 성수도서관, 현대글로비스, SM엔터테인먼트, 메가박스 성수 등이 있다.

1928년에 지금의 동대문구 신설동에 세워졌던 경성경마장이 1954년에 이 지역으로 옮겨 와 뚝섬경마장이 되었는데, 그로부터 이 지역에 경마장이 있던 35년 동안 말똥 냄새가 진동을 하면서 거주 기피 지역이 되었다. 이 뚝섬경마장은 1989년에 과천으로 옮겨 가면서 렛츠런파크 서울이 되었고, 남은 경마장 부지는 한동안 방치되어 있었다. 이후 뚝섬경마장 부지에 뚝섬 돔 경기장을 유치하려다 1997년 외환 위기로 무산되었다. 그 후로도 경강선 출발역을 세울 계획이 있었으나 무산되고 뚝섬경마장이 과천으로 이전한 후 14년이 지나서야 서울숲이 개장했다.

이러한 배경으로 본래는 한강변의 수려한 풍치지구로 각광 받던 이 지역은 50년 동안 낙후된 주택가로 남았었다. 그러나 서울숲 개발과 맞물려 서울숲 일대의 정비계획이 세워졌고, 젠트리피케이션이 활발히 진행되며 임대료가 많이 오른 홍대거리 지역의 대체 지역으로 주목 받아 소셜 벤처나 예술가들, 카페나 음식점 등 소규모 자영업자들이 옮겨오게 되었다. 또, 서울 지하철 2호선 아차산로를 중심으로 하는 기존 성수동의 교통축과는 조금 떨어져 있는 관계로 본래는 한적한 주택가였으나,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이 강북으로 연장되며 서울숲역이 이 지역에 새로 개통되고, 기존에는 소외되었던 왕십리로를 중심으로 카페와 레스토랑, 명품 매장들이 생기며 신흥 상권을 형성하게 되었다.

낙후된 주택가를 재개발하며 세워진 갤러리아 포레, 서울숲 트리마제, 아크로 서울포레스트 등 한강뷰 고급 아파트들이 이 지역에 들어서며 신흥 부촌을 형성하게 되었고, 인근 상권도 현재는 강남만큼이나 임대료가 비싸졌다. 2017년 상반기 서울에서 임대료가 가장 많이 오른 상권이었을 정도로( #) 젠트리피케이션의 여파를 받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소상공인 보호를 위해 2017년 8월 1일부터 성수동1가 서울숲길 일대에 대기업과 프랜차이즈가 운영하는 카페·음식점·제과점·화장품판매점의 입점을 제한하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갤러리아 포레에는 인순이, 한예슬, 김수현, G-DRAGON[6] 등 유명 연예인들이 많이 거주하고 있으며, 트리마제에는 한은정[7] , 걸스데이 유라, JYJ 김재중[8], 서강준, 소녀시대 써니[9], 소녀시대 태연, 아크로 서울포레스트 역시 이제훈, 주상욱& 차예련 부부, 샤이니 태민 등 유명 연예인들이 많이 거주하고 있다. 동쪽으로는 오래된 단독주택들과 재개발 예정지들, 군데군데 들어선 소규모 아파트 단지와 연립주택 등이 있어 서울숲 근처와는 다른 분위기이다.

최근에는 강남에 사옥을 두고 있던 기업들이 이곳으로 옮겨 오면서 업무지구와 주택가가 혼재하는 양상을 띄고 있으며, 대단위 재개발 구역으로 설정되며 지가는 나날이 경신하는 중이다. 또, 최근에는 강남 지역에서 이 지역으로 옮겨 오는 기업들이 많아 강남을 대체할 신흥 업무지구로도 각광 받으며 제2의 압구정동으로 변모하고 있다.

한때 오세훈 서울특별시장이 취임하면서 주민들은 성수동이 고향인 시장의 향후 행보를 기대했다. 주민들은 오랜 숙원사업이었던 삼표레미콘 공장을 이전하고 현대자동차그룹 글로벌비즈니스센터(GBC)를 유치하고자 했지만, 오세훈 시장이 임기 중에 갑자기 사퇴하고, 박원순 시장이 취임하면서 건설을 불허, 결국 무산되었다. 그리고 GBC는 삼성동 구 한전 부지로 옮겨지게 되었다. 2020년 이후 삼표레미콘 공장부지에는 성수문화예술마당이 생겼다.

성수대교 강변북로, 동부간선도로가 만나는 곳으로, 도로교통이 편리한 지역인데, 교통량이 점점 늘어나게 되면서 만성 교통체증에 시달리는 문제를 떠안고 있기도 하다.

드라마 펜트하우스에서는 달현동으로 나오고, 트리마제가 있는 아파트는 “보현마을2차아파트”로 나온다.

4.1.2. 성수1가2동

성동구 행정동
성수1가제2동
聖水一街第二洞 | Seongsu 1(il)-ga 2(i)-dong
<colbgcolor=#e6df07><colcolor=#000> 광역자치단체 서울특별시
기초자치단체 성동구
행정표준코드 3030055
관할 법정동 성수동1가
하위 행정구역 23통 181반
면적 0.89㎢
인구 11,863명[A]
인구밀도 13,329.21명/㎢
정치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국회의원 | 중구·성동구 갑

전현희 (3선)
서울특별시의원 | 제4선거구

황철규 (초선)
성동구의원 | 라 선거구

고용필 (초선)

김현주 (3선)

주복중 (초선) }}}}}}}}}
행정복지센터 왕십리로5길 3[11]
성수1가제2동 주민센터
성수동1가의 북쪽을 관할하는 행정동으로, 중랑천변에 면한 지역이다. 1985년 9월 1일 서울특별시조례 제2015호에 의해 성수동1가를 성수1가제1동과 성수1가제2동으로 분동하게 됨에 따라 신설되었다. 중랑천을 따라 동부간선도로가 지나가고, 성동교를 통해 성동구 본토로 이어지는 성수동의 관문 역할을 하는 곳이다.

서울 지하철 2호선 뚝섬역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이고, 관내에 삼표레미콘 공장 철거됨과 뚝섬유수지가 있고, 한국방송통신대학교가 뚝섬역 8번 출구 앞에, 버스 동호인이라면 알 만한 KD 운송그룹의 본사[12]가 뚝섬역 교차로 앞에, 무신사 본사가 뚝섬역 5번 출구 앞에 있다. 무신사 본사는 2023년에 성수2가3동에 새 사옥을 마련하는대로 이사를 갈 예정이다.

사무실과 소규모 공장들, 주택가가 혼재하는 지역으로, 특히 아파트형 공장이 많다. 뚝섬역을 중심으로는 사무실이 많이 입주해 있고, 공장 지대는 좀 더 북쪽에 자리 잡고 있다. 서울숲 북쪽으로는 카페거리 등 상권이 자리잡고 있다. 블루보틀 성수 카페도 이 지역에 있다. 성수전략정비구역의 개발호재로 반사이익을 직.간접적으로 받을수 있는 가장 큰 수혜지역이다. 777세대대단지의 서울숲쌍용아파트, 서울숲현대아파트, 그리고 성수동 신축 대단지아파트로 탄생할 서울숲아이파크리버포레는 성수1가2동에서 인지도가 특히 높은 아파트이다. 1970년대에 준공업지역으로 개발되었고, 1990년대에 이르러 성수동에서는 가장 먼저 재개발에 착수하여 대단위 아파트 단지가 들어섰다. 특히 뚝섬역 근처에 있는 서울숲 성수 쌍용아파트는 성수동 최대의 대단지라 불리는 최상의 입지를 자랑하고 있다. 777세대로서 타지역의 대단지 아파트보다 세대수가 작아 보이지만 준공업지에 해당되기에 이만한 세대수는 대단지라 불리워도 손색이 없다. 2호선과 한강, 중랑천, 강변북로를 끼고 있어 최적의 교통의 요지로 향후가 기대되는 아파트다. 그러나 성수동 최대의 대단지라는 타이틀도 몇년안에 서울숲 아이파크 리버포레에게 자리를 내줄 예정이다. 하지만 30년이 다 되어가는 오래된 구축아파트 치고 2호선 초역세권에 지하주차장(총 2개층)이 딸린 계단식 소형 아파트는 서울안에서도 흔치 않다. 다만 재건축의 경우 연식을 채워도 조금 시간이 걸릴 예정이다. 당시 삼풍백화점의 붕괴 사건의 여파로 시공사인 남광토건이 작정하고 튼튼하게 만들었기 때문.

현재는 재개발이 진행된지 20년이 넘어가고, 아차산로 이북으로는 아직 70년대에서 80년대에 지어진 집들이 많아서 성수1가1동에 비해서는 조금 뒤떨어지고 있다. 연무장길과 아뜰리에길에만 즐비했던 스토어가 성수 1가 2동으로도 확산되는 와중이다. 불과 1년 전만 해도 한적하고 고즈넉한 동네 분위기를 풍겼는데, 주말 외지인들의 성수 1가 2동 방문 추세가 증가하고 있다.

쌍용 동서로 단체 철거가 예정되어 있다.(상원 주택가 단체 재개발, 뚝섬 1구역) 2호선 지하화가 예정되어있다.(뚝섬역, 성수역) 성수전략정비구역 다음으로 주거지가 밀집되어있어 미래가 밝은 동네이다.
[clearfix]

4.2. 성수동2가

성동구 법정동
성수동2가
聖水洞二街 | Seongsu-dong 2(i)-ga
<colbgcolor=#018c0d><colcolor=#ffffff> 광역자치단체 서울특별시
기초자치단체 성동구
행정표준코드 1120011500
관할 행정동 성수2가1동, 성수2가3동
하위 행정구역 57통 435반
면적 2.23㎢
인구 24,447명[A]
인구밀도 10,962.78명/㎢
성수동의 동쪽 지역을 관할하는 법정동으로, 과거 동뚝도리 지역이다. 전체적으로 서쪽의 성수동1가보다는 발전이 더딘 편이지만, 이 지역도 건대 상권과 맞물려 꽤 좋은 입지를 가지고 있다.

남쪽은 성수2가1동이, 북쪽은 성수2가3동이 관할하고 있다. 성수2가2동이 없는데, 원래는 있었으나 1995년 성동구 광진구가 분구할 때 동일로를 경계로 분구되면서 동일로 동쪽에 있던 성수2가2동과 성수2가4동은 광진구에 소속되었고, 노유동과 화양동에 각각 편제되었다가 현재는 자양4동과 화양동 일부 지역으로 편제되었다. 지금도 카카오맵에 성수2가2동과 성수2가4동을 검색하면 자양4동으로 안내한다.

연무장길을 따라 성수2가1동과 성수2가3동이 남북으로 나뉜다. 연무장길은 젠트리피케이션을 거치며 소위 MZ세대 핫플레이스로 자리잡았고, 이 길의 연선으로 카페나 전시회가 열리는 갤러리나 옛 공장을 개조하여 만든 복합문화공간이 핫플레이스이다.
[clearfix]

4.2.1. 성수2가1동

성동구 행정동
성수2가제1동
聖水二街第一洞 | Seongsu 2(i)-ga 1(il)-dong
<colbgcolor=#e5d800><colcolor=#000> 광역자치단체 서울특별시
기초자치단체 성동구
행정표준코드 3030056
관할 법정동 성수동2가
하위 행정구역 34통 277반
면적 1.17㎢
인구 14,487명[A]
인구밀도 12,382.05명/㎢
정치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국회의원 | 중구·성동구 갑

전현희 (3선)
서울특별시의원 | 제4선거구

황철규 (초선)
성동구의원 | 라 선거구

고용필 (초선)

김현주 (3선)

주복중 (초선) }}}}}}}}}
행정복지센터 뚝섬로 385-19[15]
성수2가제1동 주민센터
성수동2가의 남쪽 지역을 관할하는 행정동으로, 동일로 서쪽 지역이며, 성수2가3동과는 연무장길을 경계로 남북으로 나뉜다. 영동대교를 통해 강남구 청담동 지역으로 이어진다.

1973년 7월 1일 서울특별시조례 제784호로 성수동2가가 성수2가1동과 성수2가2동으로 분동될 때 신설된 동이다. 대개는 주택가로 이루어져 있고, 연무장길을 따라 옛 공장지대와 카페거리가 조성되어 있다. 성수이로의 동쪽 지역은 아직까지는 공장이 많이 분포하고 있다.

이마트 성수점 및 본사 사옥이 있는 곳이다. 단, 크래프톤이 교직원공제회, 미래에셋과 컨소시엄을 맺어 성수동 이마트 건물 및 본사 건물을 매입함에 따라 본사 기능은 2023년 4월까지 진행되며, 이후 크래프톤 본사가 이마트 본사 건물에 입주할 예정이다. [16] 지금이야 왕십리점과 자양점이 생겨서 고객이 많이 줄었지만, 둘 다 없던 200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성동구 지역[17]과 광진구 서부를 모두 여기서 커버해야 하는지라 주말이면 장 보러 오는 차량으로 뚝섬로 일대는 교통정체가 발생할 정도였다.
[clearfix]

4.2.2. 성수2가3동

성동구 행정동
성수2가제3동
聖水二街第三洞 | Seongsu 2(i)-ga 3(sam)-dong
<colbgcolor=#acc811><colcolor=#000> 광역자치단체 서울특별시
기초자치단체 성동구
행정표준코드 3030057
관할 법정동 성수동2가
하위 행정구역 23통 158반
면적 1.03㎢
인구 9,960명[A]
인구밀도 9,669.90명/㎢
정치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국회의원 | 중구·성동구 갑

전현희 (3선)
서울특별시의원 | 제4선거구

황철규 (초선)
성동구의원 | 라 선거구

고용필 (초선)

김현주 (3선)

주복중 (초선) }}}}}}}}}
행정복지센터 광나루로2길 35[19]
성수2가제3동 주민센터
성수동2가의 북쪽 지역을 관할하는 행정동으로, 동일로 서쪽 지역이며, 성수2가1동과는 연무장길을 기준으로 남북으로 나뉜다. 1977년 9월 1일 서울특별시조례 제1181호에 의하여 성수2가1동에서 분동하여 새로 신설된 동이다. 북쪽으로는 광나루로를 경계로 송정동과 맞닿아 있고, 성수이로 동쪽 지역은 동일로를 건너가면 건대 생활권인 화양동이 바로 나오기 때문에 건대 생활권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서울 지하철 2호선 성수역이 있다. 성수역에서 뚝섬역 방향으로 2호선 본선과 성수지선이 분기하는 시설이 있는데, 아차산로 위에 고가로 거대한 분기시설이 올라가 있어 미관상으로는 썩 좋지 못 한 편이다. 이러한 경관은 성수동의 낙후된 이미지를 만들어 내는 것에 한몫 하고 있다.

성수역을 중심으로 대개 공장지대와 업무지구로 이루어져 있는데, 특히 성수이로의 동편으로는 성수IT산업단지로 지정되어 현재 IT 기업들이 입주하고 있다. KT 성수지사, SK텔레콤 성수사옥, 신도리코 본사 등이 이곳에 둥지를 틀었다. 비투비, 펜타곤, (여자)아이들, LIGHTSUM 등이 소속된 큐브엔터테인먼트의 본사도 이곳에 있다.

크리스찬 디올 성수점이 있는데, 건물이 예뻐서 많은 사람들이 사진을 찍고 가는 곳이다. 무신사 신사옥도 완공하는대로 이곳에 옮겨올 예정인데, 점차 연무장길을 따라 새로운 패션 스트리트로 발전하고 있다.
[clearfix]

5. 지리

한강 중랑천이 만나는 합류부 부분에 위치하며, 동 전역이 퇴적 지형의 평지이고, 자연적으로는 거대한 범람원이다. 그래서 예전부터 장마철에는 중랑천 물이 넘쳐 원래는 서쪽으로 휘어져 돌아가야 할 중랑천이 송정동, 성수동을 지나쳐 바로 한강으로 들어갔다. 이때 만들어지는 일시적인 섬이 바로 뚝섬이었다. 큰 홍수가 날 때에는 아예 성수동 전체가 잠겨버리기도 했던듯. 참고로 1925년 을축년 대홍수 당시에는 한강변의 거의 모든 동네들이 초토화되었었는데, 잠실도와 뚝섬 일대는 아예 한강에 잠겨버리기도 했다. 이때 둑신사가 사라져 버렸다. 1980년대까지도 장마철이면 홍수가 빈번히 발생했다.

성수천이라는 하천이 있었는데 현재의 건국대학교 서울캠퍼스의 일감호에서 발원하여 중랑천으로 합류하였다. 1980년에 서울 지하철 2호선 공사를 하면서 그 위를 복개했고 현재는 아차산로 서울 지하철 2호선이 그 위로 다닌다. 2호선 지하화가 떡밥만 무성하고 실현되지 않는 이유는 이 성수천 때문에 실현하기 어려운 데에 있다.

6. 교통

6.1. 도로

서울시내 10개 도시고속도로 중 3개가 성수동을 지나간다. 강변북로가 한강변을 따라 성수동의 남쪽으로 통과하고, 동부간선도로가 중랑천변을 따라 동의 북쪽으로 통과한다. 내부순환로 성동JC에서 동부간선도로와 합류한다.

왕십리로를 따라 남쪽으로 가다 보면 서울숲 트리마제 앞에서 강변북로를 이용할 수 있다. 우회전을 하여 쭉 가면 반포대교, 한강대교 방면으로 가게 되며, 우회전을 한 다음 곧바로 우측 차선을 이용해 빠지면 영동대교, 청담대교 방면으로 진출하게 된다. 이곳이 워낙 많은 도로가 모이는 곳이라 안내 표지판을 보다 헷갈려서 길을 잘못 드는 경우가 있으니 참고하자. 다만 경부고속도로를 이용할 시에는 한남대교 북단에서 부산 방면으로 나갈 수 없으니, 성수대교를 건너 올림픽대로를 이용해야 한다.

동부간선도로를 이용하면 상계동, 의정부시 방면으로 논스톱으로 이어지며, 내부순환로 타면 서울시내 방면으로 빠른 접근이 가능하다. 성수동1가에서 내부순환로나 동부간선도로를 이용하려면 성수대교북단교차로에서 응봉교 방향으로 진행한 다음 우측 차선의 응봉지하차도로 들어가면 되고, 반대로 의정부 쪽에서 성수동 방면으로 진입 시에는 용비교에서 우측 차선으로 빠지면 성수대교북단교차로 방향으로 나오게 된다. 거기서 쭉 직진하면 서울숲역이 나온다.

고산자로 서울숲 내부를 남북으로 통과하는데, 북쪽으로는 응봉교를 통해 응봉동, 왕십리역 방면으로 이어지고, 남쪽으로는 성수대교를 건너 언주로에 접속하며 강남으로 연결된다. 언주로를 타고 쭉 달리면 분당내곡간도시고속화도로에 진입하게 되는데, 분당신도시 용인시 방면으로 빠르게 접근할 수 있다.

왕십리로는 서울숲 동쪽을 남북으로 지난다. 북쪽으로는 성동교를 지나 한양대학교 서울캠퍼스, 왕십리역 방면으로 진행하게 되며 남쪽으로는 강변북로와 이어진다.

동일로는 성수동2가 동쪽 경계 끝으로 지나는데, 남쪽으로는 영동대교를 통해 강남구 청담동으로 이어지고, 북쪽으로는 중랑구 노원구 방면으로 나아간다.

뚝섬로는 서울숲에서 영동대교북단까지 동서로 놓인 도로로, 서쪽으로 가면 두모교를 통해 금호동, 옥수동, 한남동으로 이어진다. 강변북로로 들어가면 반포대교 전까지는 빠지는 구간이 없으니 금호, 옥수, 한남 방면으로 진행 시에는 뚝섬로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특히 옥수역을 지나면 한남역 방면 차로는 터널을 통과하게 되는데, 옛날 두무개길이라고 불리던 곳으로, 터널에서 한강변으로 아치형 구멍이 뚫려 운전하면서도 한강을 조망할 수 있어 드라이브 코스로 좋은 곳이다.

아차산로, 광나루로는 성수동을 동서로 관통하며 광진구와 이어지는 간선도로망이다. 광진구로 이어지며 특히 광나루로는 올림픽대교를 이용하는 차량이 많다.

이외에도 성수일로, 성수이로가 성수동 내부를 남북으로 관통하며, 뚝도시장을 따라 동서로 관통하는 성덕정길은 성수전략정비구역 공사에 들어가면 사라질 예정이다.

6.2. 철도

예전에는 동대문에서 뚝섬한강공원으로 가는 경성궤도가 성수동 일대를 지났다. 현재의 뚝섬역에서 광장리 지선이 분기되어 성수동 북쪽을 지났고, 뚝섬유원지행이 현재의 2호선 선형 비슷하게 진행하다가 화양리 방면에서 뚝 너머의 뚝섬유원지(현재의 뚝섬한강공원)으로 들어갔다. 1966년 이후 폐선되고 14년 동안은 성수동에 철도교통이 전무하다가 1980년에 서울 지하철 2호선이 개통되며 대체되었다.

2호선은 아차산로 위에 놓인 고가철도를 따라 동서로 관통한다. 뚝섬역 성수역이 있으며 성수역에서 신설동역 방면으로 성수지선이 분기한다. 밑에서 바라보면 거대한 분기시설이 그늘을 드리워 미관상으로는 영 좋지 못 하지만, 고가철도 위에서 바라보는 성수동의 풍경은 꽤 운치가 있다.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왕십리로 지하를 통과하며 서울숲역에서 정차한다. 관내에서 2호선과의 환승은 되지 않고 왕십리역에서 환승이 되는데, 서울숲역 1번 출구에서 뚝섬역 7번 출구까지는 겨우 450m 거리이므로 왕십리역에서 환승하지 말고 서울숲역에서 내릴 것을 권장한다.
걸어보면 생각보다 멀기에 주변 정류장의 버스를 이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6.3. 버스

고산자로 경유
( 서울숲 정차)
<colbgcolor=#fff,#1f2023> 도봉산역, 미아사거리역, 고려대역, 왕십리역 141 <colbgcolor=#fff,#1f2023> 도산공원, 역삼동, 개포동, 염곡동
번동, 신이문역, 답십리역, 용두역, 왕십리역 145 압구정로데오역, 신사역, 강남역
수유역, 미아사거리역, 고려대역, 왕십리역 148 압구정역, 신사역, 고속터미널, 방배역
국회의사당, 공덕역, 서울역,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 왕십리역 463 압구정역, 학동역, 역삼역, 염곡동
왕십리로 경유, 고산자로 회차
( 서울숲역, 서울숲 정차)
화계사, 길음역, 고려대역, 청량리역, 한양대역 121 종 점
왕십리로, 광나루로 경유
(상원 ~ 화양사거리 정차)
상왕십리역, 왕십리역 302 어린이대공원역, 구의역, 잠실역, 복정역, 상대원동
동대문역사문화공원, 왕십리역 2012 군자역, 아차산역, 용마산역, 망우역, 신내역
고려대역, 왕십리역 2222 어린이대공원역, 건대입구역
왕십리로, 아차산로 경유
( 성동교남단 ~ 성수사거리 정차)
원효대교, 한강대교, 서빙고역, 한남오거리, 왕십리역 2016 건대입구역, 어린이대공원역, 상봉역, 신내역
신월동, 등촌역, 홍대입구역, 시청, 종각역, 동대문역, 왕십리역 N62 건대입구역, 군자역, 용마산역, 서일대
구산동, 홍대입구역, 시청, 을지로, 동대문역사문화공원, 왕십리역 N73 건대입구역, 잠실역, 거여역, 복정역
왕십리로, 성덕정길 경유
( 성동교남단. 서울숲역, 영동대교 정차)
동대문역사문화공원, 왕십리역 2014 자양역
왕십리로, 뚝섬로 경유
( 서울숲, 서울숲역, 이마트 정차)
옥수역 성동13 종 점
아차산로, 동일로 경유
( 성수역, 경수중학교입구, 성수이비즈센터 정차)
종 점 성동10 화양사거리, 송정동
뚝섬로 경유
( 서울숲~ 영동대교 정차)
인천국제공항 6013 건대입구역, 군자역, 장한평역, 장안교
성덕정길, 왕십리로, 아차산로, 성수일로, 뚝섬로 경유
(뚝도시장, 서울숲역, 뚝섬역, 이마트 정차)
종 점 2224 건대입구역, 구의역, 강변역
종 점 2413 청담역, 코엑스, 대치역, 도곡역, 구룡마을
성덕정길, 왕십리로, 뚝섬로 경유
(뚝도시장, 뚝도정수장, 이마트 정차)
종 점 2412 잠실역, 가락시장역, 수서역, 세곡동

7. 주거

본래 연립이나 다세대주택이 많은 지역이었지만, 꾸준히 정비계획을 세우고 재개발을 거치며 갤러리아 포레, 아크로 서울포레스트, 서울숲 트리마제가 들어서며 고급 주거지로 변모하고 있다. 이른바 마용성으로 묶이는 지역으로, 성동구의 지가를 올리는 데에 크게 기여하고 있고, 이 점 때문에 옥수동, 금호동, 왕십리도선동과 함께 성동구의 보수화에 큰 기여를 한 곳이다.[20]

서울숲 뚝섬한강공원 등이 인근에 있어 거주하기는 상당히 좋은 환경이고, 집에서 가까운 곳에 상권이 발달했다는 것이 장점이다. 다만, 최근 들어 주택가 사이사이로 상권이 파고 들어 유동인구가 늘어나면서 조용한 주거 분위기를 선호하는 사람들에게는 악조건일 수 있다.

현재 한강변을 따라 뚝섬로 이남 지역을 성수전략정비구역으로 설정되어 있다. 아예 성수대교부터 영동대교까지의 구역을 싹 밀고 들어서는 것이기 때문에 사업의 규모가 상당히 크다. 이 지역은 현재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고시되어 있는데, 잔금 당일부터 2년간 실거주해야 한다.[21]

최근에는 이 지역에서 출퇴근하는 직장인들을 위한 오피스텔이 많아지고 있다.

7.1. 공동주택

주택명 건설사 입주 동수 세대수 토지거래허가구역
강변건영아파트 건영 2002. 02. 6 580 X
갤러리아 포레 한화건설 2011. 07. 2 230 X
서울숲 대림아파트 대림산업 2000. 10. 6 372 X
서울숲 동아아파트 동아건설 1989. 09. 3 390 X
서울숲 트리마제 두산중공업 2017. 05. 4 688 X
서울숲 한진타운 한진중공업 1994. 04. 5 378 X
성수동양아파트 동양메이저(주) 2001. 08. 29. 2 142 O
성수쌍용아파트 쌍용건설 1997. 10. 9 777 X
아크로 서울포레스트 DL E&C 2021. 01. 04. 2 280 X
장미아파트 1982. 04. 6 173 X
중앙하이츠빌아파트 중앙건설 2003. 10. 3 256 X

8. 상권

성수동 구석구석 카페나 레스토랑, 갤러리 등이 생기면서 어느 곳이 성수동의 메인스트리트라고 하기는 곤란하다. 대략 성수동 전역이 상권이라고 보면 될 것이다. 다만 그 또한 밀도의 차이가 있는데, 대개 서울숲에서 성수이로 사이, 아차산로에서 뚝섬로 사이의 구역이라고 보면 되고, 이 구역의 중심이 되는 길이 바로 연무장길이다. 이 밖으로 벗어나면 군데군데 카페나 식당이 있긴 하지만 한적한 편이다.

한창 젊은 세대들의 취향을 저격하는 분위기의 카페나 식당이 정말 많다. 그러나 임대료가 많이 올라서 가격대는 그다지 싸지 않다는 점은 참고하길 바란다.

서울숲 정문에서 서울숲역 쪽으로 나오는 사이의 광장에는 언더스탠드에비뉴라는 공간이 있다. 성동구청에서 주도하여 만든 곳으로, 청년 스타트업 사무실과 전시, 공연 등의 문화공간을 갖춤과 동시에 식당이나 카페 등도 입점한 복합공간이다. 바로 옆으로는 아크로 서울포레스트와 연결되는 지하상가가 있고, 그 안에 디뮤지엄 미술관이 있으므로 함께 들르면 좋을 만한 곳이다.

성수역 앞에는 신세계프리퍼티가 MZ세대를 타겟팅하고 레트로 스타일로 꾸민 스탈릿성수가 있다. 여기도 쇼핑몰과 카페, 문화공간이 복합적으로 입주한 곳으로 많은 이들이 찾고 있다. 그 밖으로 서울숲 북쪽으로는 아틀리에길이나, 서울숲 카페거리, 성수동 갈비골목 등이 있고, 아차산로 주변으로 성수동 수제화거리가 조성되어 있다.

서울의 핫 플레이스로 각광받으면서 사람들이 몰려서 사고 위험까지 높아지고 있다. 정부는 안전요원 배치를 늘리기로 했다. # 이후 성수역 문서에 나오듯 출구 신설 등 확장을 추진 중이다.

8.1. 연무장길

뚝섬역 5번 출구로 나와서 오른쪽 샛길로 쭉 들어가면 경동초등학교 바로 왼편으로 난 길이 있는데, 여기가 연무장길이다. 그로부터 성수이로와의 교차점까지 약 600m의 골목길 주변으로 식당, 카페, 펍 등이 몰려있다. 성수동의 경리단길이라고 보면 되겠다.

성수이로와의 교차점 이후로 동일로 방면으로도 연무장길은 이어지지만 길을 건너가면 복합문화공간인 성수연방, 팬암 성수플래그십스토어가 나오며, 그 이후로는 공장지대만 나온다. 그 구간만 지나가면 건대 양꼬치골목 나오고, 그 길 끝으로 스타시티가 나오니 건대생들도 부담 없이 걸어서 올 수 있는 거리이기도 하다.

성수이로와의 교차점에서 성수역 방향으로 올라가는 곳에는 성수동 카페거리가 조성되어 있는데, 카페가 길 양 옆으로 정말 다닥다닥 붙어 있다.

8.2. 뚝도시장

성수동 이마트 인근에 있는 재래시장이다. 본래 성수동 주민들의 먹거리를 담당하던 곳이었으나, 성수전략정비구역으로 지정됨에 따라 이곳도 머지 않은 시일 내에 사라지게 되었다.

9. 교육

성수1가1동에는 서울경일초등학교, 서울경동초등학교, 경일중학교, 경일고등학교가 있고, 성수1가2동에는 성수중학교 성수고등학교가 있다. 성수2가1동에는 서울경수초등학교, 경수중학교, 성원중학교, 성수공업고등학교[22]가, 성수2가3동은 서울성수초등학교가 있다.

성수동1가에 비해 성수동2가는 학군이 약간 부실한 것처럼 보이지만, 성수동 주택가의 대부분은 성수동1가에 몰려 있고, 성수동2가는 공장과 사무실이 많이 있기 때문에 학교가 성수동1가에 몰려 있는 것이 당연하다.

만성 학교난에 시달리는 성동구의 여타 지역들과는 다르게 성수동은 학교 걱정은 없는 편이다. 일단 초중고를 모두 성수동 관내에서 다닐 수 있는 게 장점이다. 성동구의 다른 지역들의 경우는 초등학교, 중학교는 몰라도 고등학교는 다른 동네로, 심지어는 중구 용산구로 가는 경우가 허다한데, 성수동은 적어도 그럴 일은 없다.

본래 성수동 관내에는 고등학교라고는 1998년에 개교한 성수공고가 유일했다. 따라서 인문계 고등학생들은 중구 성동고등학교 광진구에 있는 학교에 수용되었는데, 2000년대에 들어 경일고와 성수고가 잇달아 개교하면서 이런 부담을 줄게 되었다.

경일고는 내륙에 위치해 성수동 통학 학생이 대부분을 차지하지만 성수고는 중랑천과 한강에 끄트머리에 인접하기에 성수동 통학 학생 비율이 생각보다 높지 않다.

10. 시설

10.1. 기업

10.2. 기관

11. 출신 인물

12. 여담

13. 관련 자료

서울경제썸 - 역지사지 EP.7 성수동 편

[1] 성수동 성당에서 뚝도시장을 거쳐 영동대교로 이어지는 2차선 도로이다. [2] '둑기'는 조선에서 군권(軍權)을 상징하는 깃발이라, 매년 2차례씩 병조판서 주관으로 무관들이 모여 제사를 지내곤 했다. 纛이란 한자는 본디 '독'으로 읽어야 하지만, 한국에서는 관용적으로 '둑'이라 읽는다. [A] 2024년 5월 주민등록인구 [A] [5] 성수동1가 27-23 [6] 현재는 한남동 나인원 한남으로 이사갔다. [7] 현재는 이사갔음 [8] 현재는 이사갔음 [9] 현재는 이사갔음 [A] [11] 성수동1가 685-580 [12] 신사옥을 만들어서 자양동에서 성수동으로 이전했다. [A] [A] [15] 성수동2가 333-134 [16] 원래 2008년까지 본사는 응암동의 은평점이었으나, 본점의 기능을 담당하는 7층, 8층을 스포츠 매장 및 문화 공간으로 개장하고 본점은 성수점으로 옮겼다. 이는 아마도 전국 매출 1위 매장인 은평점에 남은 공간을 매장으로 돌리는 편이 더 이익이 크다는 판단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전국매출 1위발언은 이마트 트위터로 확인됨). 성수점에 지은 본사는 사무실 전용 건물을 따로 세웠다. [17] 다만 여기서 용답동과 마장동, 왕십리는 제외. 이쪽은 더 가까운 홈플러스 용두점을 많이 이용했다. [A] [19] 성수동2가 299-240 [20] 강북에서는 용산구 다음으로 보수세가 강한 곳으로 평가받으며, 이곳과 분위기가 비슷한 곳이 바로 마포구 동부 지역이다. [21] 트리마제, 강변건영, 한진타운, 두산위브, 대명루첸 등 5개 아파트는 허가제 아님. [22] 2024년 폐교. [23] 다만 태어난 지 얼마 안 지나서 노원구 상계동에서 자랐기 때문에 상계동 출신으로 더 많이 인식된다. [24] 옆동네 구의동 출신인 Web.을 제외한 멤버 전원이 성수동 출신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