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07 08:02:37

큐브엔터테인먼트

파일:큐브엔터테인먼트 로고.svg 파일:큐브엔터테인먼트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소속 아티스트 ]
{{{#!wiki style="color: #1D1D1D; margin: -6px -1px -11px"
그룹
솔로
방송인
배우
문수영
}}}}}}}}}
UNITED CUBE CUBE TREE U CUBE 걍 하는 거야
<colbgcolor=#1a75bb><colcolor=#ffffff> 큐브엔터테인먼트
CUBE ENTERTAINMENT
파일:큐브엔터테인먼트 로고.svg 파일:큐브엔터테인먼트 로고 화이트.svg
정식 명칭 (주)큐브엔터테인먼트
영문 명칭 CUBE ENTERTAINMENT Corp.
국가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설립일 2006년 8월 29일 (해산법인 큐브엔터테인먼트)[1]
2013년 7월 25일 (존속법인 우리기업인수목적2호)
업종명 음반기획 및 연예매니지먼트 사업
설립자 홍승성[2]
대표자
대표이사
정철[3] 강승곤[4] 안우형[5]
모기업 VT GMP(2020년~)[6]
기업 규모 중견기업
상장 여부 상장기업
상장 시장 코스닥시장(2015년 4월 9일 ~ )
시가 총액 2,822억 원 (2023년 2월 6일 기준)
종목 코드 182360
소재지 서울특별시 성동구 아차산로 83 ( 성수동2가)
링크 파일:큐브엔터테인먼트 심볼.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V LIVE 아이콘.svg | 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3. 지배구조4. 소속 연예인
4.1. 가수4.2. 배우4.3. 방송인
5. 소속 연습생6. 과거 소속 7. 사옥8. 여담9. 논란 및 사건 사고10. 관련 기업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연예 기획사.

2006년 설립 이후로 포미닛, 비스트, G.NA, 비투비, CLC, 펜타곤, 라이관린, 유선호, (여자)아이들, LIGHTSUM, NOWADAYS 등을 배출했다.

2.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큐브엔터테인먼트/역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큐브엔터테인먼트 로고.svg
역대 배출 아티스트

[ 그룹 ]
||<tablewidth=100%><bgcolor=#006ebd><tablebgcolor=#ffffff,#191919><rowbgcolor=#fff><tablecolor=#000,#fff><rowcolor=#fff><width=100000> 데뷔년도 ||<width=30%><bgcolor=#006ebd> 아티스트 ||<width=30%><bgcolor=#006ebd> 비고 ||
2009년 포미닛 -
비스트 -
2012년 비투비 -
2015년 CLC -
2016년 펜타곤 -
2018년 (여자)아이들 -
2021년 LIGHTSUM -
2024년 NOWADAYS -
[ 솔로 ]
||<tablewidth=100%><bgcolor=#006ebd><tablebgcolor=#ffffff,#191919><rowbgcolor=#fff><tablecolor=#000,#fff><rowcolor=#fff><width=100000> 데뷔년도 (솔로 기준) ||<width=30%><bgcolor=#006ebd> 아티스트 ||<width=30%><bgcolor=#006ebd> 비고 ||
2010년 G.NA -
2017년 유선호 -
2019년 라이관린 Wanna one 멤버

역대 큐브 소속 아티스트 모음 (2019년 기준)[7]
대형 음반사이던 대영AV(현 CJ ENM 음반공연사업본부의 전신)의 이사와 JYP엔터테인먼트의 대표 출신인 홍승성[8]이 JYP 퇴사 후 2006년에 설립했다.[9]

설립 당시 사명은 '주식회사 엠디포'였고 이후 '플레이큐브'로 변경, 4minute 비스트, G.NA를 차례로 데뷔시킨 뒤 2011년 3월 사명이 현재와 같이 변경되었다.[10]

2013년, 아이에이치큐가 165억원에 큐브엔터테인먼트를 인수하였고 포미닛, 비스트, 비투비가 연이어 초대박을 치며 2015년, 상장 기업이 되었다. #

2020년 코스닥 상장회사 브이티지엠피가 큐브엔터테인먼트 지분 30.61%을 291억 원에 아이에이치큐(IHQ)로부터 인수하며 최대주주가 아이에이치큐에서 브이티지엠피로 변경되었다. #

2006년 설립 이후로 포미닛, 비스트, G.NA, 비투비, 펜타곤, CLC, 라이관린, 유선호, (여자)아이들, LIGHTSUM을 배출했다. 이중 포미닛, 비스트, 비투비, (여자)아이들 등을 연속으로 히트시키며, 2022년 매출 기준 국내 기획사 6위[11]인 메이저 엔터테인먼트로 자리잡고 있다.

2023년 10월 30일, 펜타곤 이후 8년만에 신인 보이그룹 론칭 소식을 알렸다. 기사 5인조 그룹이며 프로듀스 X 101에 참가했던 김현빈이 포함되어 있다고 한다. # 이후 2024년 2월 20일, 나우어데이즈라는 그룹명이 공개되었다.

3. 지배구조

2023년 6월 7일 기준
<rowcolor=#fff> 주주명 지분율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주)브이티지엠피 외 3인
50.63%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주)브이티지엠피
37.59%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강승곤[12]
9.30%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정철[13]
3.21%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강동윤[14]
0.53%

4. 소속 연예인

파일:큐브엔터테인먼트 로고.svg 파일:큐브엔터테인먼트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소속 아티스트 ]
{{{#!wiki style="color: #1D1D1D; margin: -6px -1px -11px"
그룹
솔로
방송인
배우
문수영
}}}}}}}}}
UNITED CUBE CUBE TREE U CUBE 걍 하는 거야

4.1. 가수

볼드체는 팀의 리더

4.2. 배우

4.3. 방송인

5. 소속 연습생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큐브엔터테인먼트 소속 연습생에 대한 내용은 CUBE TREE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과거 소속

===# 연예인 #=== ===# 연습생 #===

7. 사옥

파일:42FD3C7F-35BE-40F0-AC59-6B4025F7E55B.webp
큐브엔터테인먼트 현 성수동 사옥
(2016년 ~ 현재)
성수동 사옥.[38] 지하 3층~지상 10층. 근데 창문수 세려보면 지상 11층인거 같기도

2016년 3월 강남구 청담동에서 성동구 성수동2가로 본사를 이사했다. 체급이 꽤 되는 연예기획사들 중 거의 선두 격으로 강남을 떠났으며, 선두격으로 성동구에 자리를 잡은 회사이기도 하다.[39] 성수동이 특유의 레트로, 힙한 분위기로 젊은층의 핫플레이스로 서서히 떠오르기 시작할 무렵, 리모델링 빌딩에 임차 이전함으로써 업무 효율 극대화를 꾀할 수 있게 되었다. 이전한 후 4년이 지난 2020년, 회사 건물 내부를 자사 소속 개그우먼인 박미선이 '미선임파서블'을 통해 사옥 내부를 소개하기도 했다. #

도보로 약 2분 정도 되는 거리에 2호선 성수역이 있으며, 2호선 특성 상 사옥 바로 앞으로 전철 고가 선로가 지나간다.[40] 때문인지 회사에서 자사 아티스트들이 라이브 방송을 켜면 전동차 운행 소음이 굉장히 큰 소리로 들려오는 편이다.[41]
파일:E7E22591-1DEE-4A9A-9A09-3D82BC627E99.jpg
큐브엔터테인먼트 구 청담동 사옥
(2008년 ~ 2016년)
청담동 구 사옥(청담동 125-20). 이 시절에는 회사 건물 앞에 수많은 사생팬들이 죽치고 앉아 있기로 악명이 높았던 SM이나 JYP 못지않게 사생팬들의 지박령(...)이 심했다. 참고로 당시 JYP 사옥과는 거의 100m 정도 밖에 떨어져 있지 않았다.[42]

8. 여담

9. 논란 및 사건 사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큐브엔터테인먼트/논란 및 사건 사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관련 기업


[1] 법인 등록이 2006년일뿐, 큐브 엔터라는 회사가 운영되기 시작한건 2008년 4월이다. [2] JYP엔터테인먼트 공동 창립자 출신으로, 2020년 대주주들과 분쟁이 일어나면서 큐브를 떠나고 S2엔터테인먼트를 설립한 상태이다. [3] 모회사 (주)브이티지엠피 최대주주. [4] 모회사 (주)브이티지엠피 2대주주. [5] 서태지컴퍼니 전 대표. [6] 2020년 2월 21일 인수되었다. 기사 [7] 근데 비스트의 그룹 무대가 빠졌다. [8] 월드스타 수식어를 만든 게 이 사람으로, 한때 JYP가 언론플레이를 심하게 하는 회사라는 이미지가 강했던 데에는 이 사람의 공(?)이 컸다. [9] 큐브와 JYP는 홍승성이 JYP 출신이기도 해서 초창기까지만 해도 JYP가 2AM의 매니지먼트를 큐브에 맡겼을 정도로 돈독했으나, 2AM 데뷔 후 불과 1년 여만에 수뇌부 간 갈등으로 남보다 못한 사이가 되었다.(...) 다만 홍승성 대표도 대주주와의 분쟁으로 2020년 큐브 엔터를 떠났다. [10] 다만 '큐브엔터테인먼트'라는 이름이 공식화된 건 대략 2010년 G.NA가 데뷔할 때부터이고, 이 때부터 '플레이큐브'라는 이름은 전산 상에만 남게 되었다. [11] 참고로 5위는 스타쉽엔터테인먼트. 다만 큐브에선 자기들이 빅5라고 밀고 있다. 차이가 꽤 나는 1~4위는 당연히 4대 엔터사. [12] (주)브이티지엠피 공동 대표이사 겸 2대 주주 [13] (주)브이티지엠피 공동 대표이사 겸 최대주주 [14] (주)브이티지엠피 부사장 [15] 2AM 멤버 [16] 2023년 11월 9일 기준, 여전히 사업 보고서 내 전속 계약 아티스트로 분류되어 있으나 큐브 공식 사이트의 아티스트 명단에는 보이지 않는다. [17] CLC 출신 중 유일하게 남은 큐브엔터테인먼트 소속이다. [18] 1인 기획사로 설립한 소속사. 써브라임과 MOU 계약체결 하고 활동하였다가 종료로 설립한 기획사로만 활동중이다. [19] 그룹 상표권을 소속사가 소유하고 있어 독립 후 새로운 이름의 그룹을 결성한 케이스. 때문에 지금도 하이라이트 팬들에겐 큐브가 인상이 안 좋은 편이다. [20] 그룹 Wanna One 멤버. [21] 현재는 권은빈만 남았다. [B] 아무 소식이 없어 원인은 불분명 [B] [C] 2023년 10월 9일 계약 종료. [C] [C] [C] [C] [D] 2023년 11월 6일 계약 종료. [D] [D] [D] [D] [D] [D] [36] 정은지는 에이큐브엔터테인먼트 설립 이후 에이큐브로 입사하였으므로 해당 없음. [37] 연습생 시절엔 큐브 직속이었으나 데뷔는 자회사인 에이큐브엔터테인먼트에서 했으며, 2015년 11월 25일에 Apink 소속사의 큐브 측 지분이 로엔으로 넘어가면서 관계가 끊어졌다. [38] [기획사 탐방]트리플H 음료 한잔, 펜타곤과 커피 한잔… ‘덕질의 성지’ 큐브엔터테인먼트 [39] 이후 SM도 강남을 떠나 성동구로 본사를 이전하였다. [40] 특히 성수지선 신설동 방향 선로는 인도 하나 사이에 두고 붙어 있는 수준으로 가깝다. [41] 특히 2호선 열차들이 운행을 마치고 군자차량기지로 줄줄이 입고하는 야간 시간대에 그 빈도가 심해진다. 그나마 현재는 약간 덜 해진 편인데, 2020년 이전까지 다니던 구형 차량들은 소음이 훨씬 심했기 때문. [42] 여담으로 JYP 역시 2018년 6월 강남을 떠나 강동구 성내동으로 사옥을 이전했다. [43] 아이돌들은 본명에서 성을 뺀 이름으로 활동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회사 소속 아이돌들은 펜타곤이 데뷔하기 전까지는 본명에 성까지 포함한 이름을 썼다. [44] 데뷔 전 한정으로 데뷔 시점에서 Apink는 큐브엔터테인먼트의 자회사 격 독립 레이블인 에이큐브엔터테인먼트(현 IST엔터테인먼트)로 분리되었다. [45] 이 시기에도 보이그룹 런칭을 준비하긴 했으나 수차례 무산되었다. [46] CLC SORN 태국 출신이기는 하나, 아시아 K팝 스타 헌트 시즌1 우승 이후 큐브와 계약을 맺었다. [47] 큐브에 잠시 있었을 때 육성재와 같이 연습하면서 알았다고 한다. [48] 남자 연습생들의 경우 대부분 플랜에이(현. 플레이엠)로 옮겨서 빅톤 멤버로 데뷔하였다. 한승우도 여기에 해당된다. [49] 성수동으로 이전하기 전이었다. [50] 우기, 민니, 엘키, , 라이관린 [51] 믹스나인의 경우 큐브가 프듀1에서 데뷔 멤버를 한 명도 배출하지 못한 것이 한동철과의 악연이 되어 불참한 것으로 추정되며, 프듀X의 경우 쇼미더머니6 출신의 조우찬이 나간다는 소문이 돌았으나, 큐브가 아예 불참하면서 그저 소문으로 남게 되었다. 언더나인틴에 나선 이종원도 프듀X에 불참했고, 결국 큐브와 결별했다. 다만 조우찬은 2020년 1월 19일까지 야간활동 제한에 걸리는 입장이라, 프듀X에 출전하기가 곤란하다. 당장 프로듀스 X 101 참가자들 및 X1 멤버들 중에서 최연소자는 2019년 내 야간활동 제한이 풀리는 2004년생들이며, 조우찬은 얼마 후 큐브와 결별했다. [52] 팬들은 큐브카페, 큡카라고 불렀었다. [53] 대표적인 예시 [54] 보이그룹의 경우 비투비(2012) → 펜타곤(2016), 걸그룹의 경우 CLC(2015) → (여자)아이들(2018) → LIGHTSUM(2021) [55] 홍승성이 SNS에다가 대놓고 큐브를 떠나겠다고 선언한 뒤 본인이 직접 S2엔터테인먼트를 설립하면서 완전히 독립한 것, 후이가 사회복무요원 소집 해제 후 팀에 돌아왔을 때 "상황이 많이 변해 있더라고요. 저희가 원하는 분들과 일하는 것조차 힘들어져 있더라고요. 거절을 그렇게 많이 당해 본 적이 처음인 것 같아요"라고 보이즈플래닛에서 언급한 것도 이와 무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56] 이들은 펜타곤 멤버들과 연배가 전혀 겹치지 않기 때문에 큐브에 잔류했다면 차기 보이그룹으로 데뷔했을 가능성이 꽤 있었다. [57] 유선호도 솔로 음반을 발매한 이력이 있긴 있으나 이후에는 추가 음반 없이 연기에 전념하고 있으며, 이미 연기자로서도 준수한 커리어를 쌓아온 것은 물론 1박 2일, 라디오 스타 등 각종 유명 예능에도 고정과 게스트를 막론하고 자주 출연하며 예능 대세로도 입지를 굳히고 있던 상황에서 그동안의 커리어를 전부 뒤로 하고 신규 보이그룹으로 재데뷔를 준비하는 것은 유선호 본인에게도 큐브에게도 리스크가 큰 시도이다. [58] 아이돌 연습생들은 사생활 관리 차원에서 개인 SNS 사용을 암묵적으로 금지하고 있는데, 이종원은 2023년에 개인 인스타그램을 개설한 것으로 보아 큐브에서 퇴사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59] 게다가 라이관린은 큐브와 결별한 후 친중 행보를 보이는 바람에, 국내 팬덤에서의 인식도 나빠졌다. [60] 펜타곤의 진호, 후이, 신원은 군 복무 기간 때문에 계약 완료일이 달라 펜타곤은 아직 큐브 소속 그룹이긴 하다. [61] 게다가 내리사랑이라고 표현하는 이 낙수 효과는 보통 동성 그룹끼리 이어지며 걸그룹의 팬덤이 보이그룹에 관심 갖는 경우는 내리사랑으로 유명한 소속사일지라도 거의 없다. [62] 당장에 큐브에서 아이들 다음으로 데뷔한 동성 걸그룹 라잇썸부터가 낙수 효과를 받지 못했는데(선배 걸그룹 CLC도 포미닛 낙수 효과를 받지 못한 바 있다.)어떻게 저런 바람을 가지고 있는지 도무지 이해가 가지 않는다는 반응이 대다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