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1 21:45:04

을축년 대홍수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한반도의 폭우
{{{#!wiki style="margin:0 -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 -7px"
▶ 한반도의 집중호우 목록
▼ 문서가 존재하는 주요 폭우 사태 목록
<colbgcolor=#ddd,#000><colcolor=#000,#fff> 1925년 <colbgcolor=#fff,#212121><colcolor=#000,#ddd> 7~9월 한반도 전역
1998년 7~8월 구례군, 산청군
2010년 9월 서울특별시
2011년 7월 중부권 전역
2014년 8월 동남권 전역
2016년 8~9월 함경북도
2017년 7월 중부권 전역 · 9월 동남권 전역
2018년 8월 강원 영동권 · 8~9월 한반도 중부 이남
2020년 6~9월 한반도 전역
2022년 6~8월 중부권 전역( 수도권)
2023년 5월 한반도 전역 · 6~9월 한반도 전역
2024년 한반도 전역 ( 7월 압록강 유역)
}}} 둘러보기: 한반도의 폭염 · 한반도의 폭설}}}}}} ||
[[파일:을축년대홍수기념비.jpg
width=100%]]| 서울특별시 송파구 송파동 송파근린공원 입구에 있는 을축년 대홍수 기념비
1. 개요2. 진행
2.1. 1차 홍수2.2. 2차 홍수2.3. 3차 홍수2.4. 4차 홍수
3. 피해 및 영향4. 여담
[clearfix]

1. 개요

을축년 대홍수(乙丑年 大洪水)는 일제강점기였던 1925년[1] 여름 네 차례에 걸쳐 일어난 홍수다. 한반도 전역이 피해를 입었지만 그 중에서도 한강 낙동강 일대가 특히 막심한 타격을 입었다. '을축년 장마'[2] 또는 '을축년 홍수'라고 부르기도 한다. 아래 2개의 자료는 기상청 태풍백서에 있는 1925년 한반도에 영향을 준 태풍의 이동 경로다.

파일:을축년대홍수1.jpg

파일:을축년대홍수2.jpg

2. 진행

2.1. 1차 홍수

대만 부근에서 생성된 태풍(2559호 태풍)이 7월 11일부터 12일에 걸쳐 한반도 중부지방을 관통했는데 이 때문에 황해도 이남 지역에 무려 시간당 최고 300mm[3][4]가 넘는 기록적인 폭우가 쏟아져 한강, 금강 낙동강 등 한반도 중남부 지역의 주요 강들이 대부분 범람했다.

2.2. 2차 홍수

7월 16일, 1차 홍수로 생긴 피해를 채 수습하기도 전에 타이완에서 생성된 또다른 태풍(2560호 태풍)이 한반도에 상륙했다. 특히 경성부(현 서울특별시)와 경기도에 누적 강수량 650mm라는 기록적인 폭우가 내려 한강 수위가 당시 기준으로 역대 최고치[5]를 갱신하였고 피해도 막심했다. 한강에 쌓았던 제방이 무너지면서 경성 전역이 물바다가 되었는데 숭례문 바로 앞까지 물이 차올랐다고 하며, 경성의 교통과 통신도 마비되었다.

당시 경성 전역에서 익사자만 400여 명에 가옥 1만 2천여 호가 유실되었다. 특히 고양군 한지면 이촌리[6]· 둑도면[7] 일원과 잠실리[8] 일대· 광주군 구천면 풍납리[9] 일대의 피해가 막심했다. 심지어 송파구에는 홍수에 대한 경각심을 고취하고자 이듬해인 1926년에 이재민들이 세운 비석이 오늘날까지 남아 있을 정도.[10]

얄궂게도 2차 홍수가 뜻밖에 가져온 이점도 있었다. 지층이 쓸려가는 바람에 땅에 파묻혀 있던 암사동 선사유적지가 발견되었고 풍납토성 서벽이 유실되면서 각종 유물이 확인되어 주목받았던 것. 그러나 이때 풍납토성의 서쪽 성벽은 완전히 쓸려나갔고, 2017년 조사에서 서벽과 성문 흔적이 확인되었다.

2.3. 3차 홍수

이렇게 한동안 잠잠한가 싶었는데 양쯔강 일대의 저기압의 영향으로 8월 초 관서 일대에 폭우가 쏟아지면서 이번에는 북부의 대동강, 청천강, 압록강이 범람했다.

2.4. 4차 홍수

8월 말 마리아나 제도에서 발생한 2563호 태풍이 북상하여 9월 초에 한반도 남부를 관통[11]했고 이로 인해 남부 지방에 들이닥친 호우로 낙동강, 영산강, 섬진강이 범람했다.

3. 피해 및 영향

홍수가 한 해에 모두 4차례나 닥쳐 논 3만 2천여 단보, 밭 6만 7천여 단보, 가옥 6천여 호가 유실되었다. 그 외에 붕괴된 가옥은 1만 7천여 호, 침수된 가옥은 4만 6천여 호에 사망자가 647명이나 발생하여 피해액만 당시 돈으로 1억 300만원에 이르렀다. 이 액수는 당시 조선총독부 1년 예산의 60%에 맞먹었으니 을축년 대홍수로 인한 피해가 얼마나 컸는지 짐작할 수 있다. 이후 총독부는 군대까지 동원하여 본류는 물론 안양천과 같은 한강 지류에까지도 제방을 엄청나게 건설하여 복구 작업을 펼쳤다. 이 과정에서 골재를 확보한다는 명분으로 선유봉(오늘날의 선유도)을 폭파했다.

파일:external/www.segye.com/20141118003907_0.jpg

또 이 홍수의 영향으로 잠실섬 주변의 한강 본류가 바뀌었다. 잠실섬 남쪽의 송파강( 석촌호수)에서 북쪽의 신천강( 잠실새내역 이북)으로 바뀐 것이다. 20세기 초반 이래 이 지역에서 한강의 직류화 경향이 자연적으로 진행되던 상황이었다. 즉, 기존의 송파강이 아니라 새로 생긴(新) 하천(川)인 신천으로 유량 유입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였다. 그런데 이 대홍수를 계기로 아예 신천이 본류가 되어 버렸다.

결국 이로 인해 송파강으로 먹고 살았던 송파나루는 급격히 쇠퇴했다. 송파나루는 유량이 풍부해서 배가 정박하기 좋았기 때문에 원주, 춘천, 단양, 영월 등 한강 상류의 물자가 이곳으로 집결했고 이곳을 통해 영남, 강릉으로 갈 수 있었기 때문에 사람들이 많이 왕래했고, 그 덕에 조선시대 전국 15대 상설장터였던 송파시장이 있었다. 그리고 이곳에 송파진이라는 군영이 설치되어 강 건너 뚝섬, 동잠실, 삼전도, 광나루까지 관할하였다. 조선시대만 해도 매우 번화한 곳이었다. 하지만 일제강점기에 접어들면서 철도 개통으로 서서히 쇠퇴의 기미를 보이더니 을축년 대홍수의 직격탄을 맞아 모든 것이 말 그대로 쓸려나갔다. 을축년 대홍수의 여파로 송파나루와 송파시장에 자리잡던 주민들도 인근 석촌, 가락 등지로 이주하여 송파나루와 송파시장은 흔적도 없이 사라지고 말았다. 2018년 송파나루역이 개통하여 이름 남았을 따름이다. 이후 중대면 일대의 주거지가 현재의 백제고분로 남쪽으로 크게 후퇴했다. 그리고 잠실 일대의 양잠도 홍수로 뽕밭이 다 쓸려나가고 토양이 척박해짐으로써 쇠퇴해 버렸다. 양잠으로 번성하였던 잠실, 신천 일대와 송파나루로 번성하였던 광주군 중대면 일대[12]는 1971년 한강공유수면사업으로 인한 잠실택지지구 개발, 1985년 가락시장 개장, 1986 서울 아시안 게임 개최, 1988 서울 올림픽 개최, 1989년 롯데월드 개장까지 약 50년 동안 버려진 땅 취급을 받아야 했다.[13]

안양천의 물길도 바뀌어 지금의 영등포구 양화동 지역이 영등포 생활권에 편입되어 버렸다. 또 이 홍수 때문에 영등포의 경성부 편입 논의가 중단되기도 했지만 1936년에야 경성부에 편입되었다.

그 외에 성수동 뚝섬의 유래가 된 사당 둑신사(纛神祠)가 흔적도 없이 사라져 버렸고 뚝도공립보통학교(현 서울경동초등학교)의 교사가 유실되었으며 암사동 선사유적지가 이때 발견되었다.

남한산성 행궁과 북한산성 행궁, 그리고 성벽 일부가 당시 홍수로 인해 발생한 산사태에 매몰되었다. 산성은 1975년부터, 남한산성 행궁은 2002년부터 복원을 시작해서 2014년에 마무리되었다. 북한산성 행궁은 정비, 복원 중이다.

4. 여담

당시 봉은사 주지였던 청호 스님은 절의 재산을 털어서 배를 구입해 고립된 이재민들을 구조하였는데 그 수가 700여 명에 달했다. 목숨을 건진 사람들은 이후 청호를 기리는 공덕비를 세웠는데 봉은사에 남아 있다. 또 당시 지식인들이 청호를 기리는 글과 그림 등을 모은 불괴비첩(不壞碑帖)도 남아 있다.

이 당시와 2020년의 음력 3~7월이 완전히 달력과 일치하고 윤 4월도 있었다. 마찬가지로 2020년에 옆나라 들은 폭우가 일어났지만 한국에서는 장마전선이 북상하지 않았다 보니 부울경 등을 제외하고는 비가 적었으나 곧 2020년 한반도 폭우 사태가 일어나고 이상 저온까지 발생하면서 2020년 역시 비가 많이 왔다. 다만, 앞에서 설명했던 을축년 대홍수와 2020년 한반도 폭우 사태는 그 양상이 다르다.

2022년에도 서울에서 짧지만 강력한 폭우가 나타났다. 그리고 2023년에는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1] 이름만 봐도 알 수 있듯이 60갑자로 을축년이었다. [2] 이름과는 달리 정체전선이 아닌 태풍의 영향으로 발생한 집중호우 사례이다. 장마라는 정의가 '정체전선에서 내리는 비'가 된 것은 오늘날 기상학의 발전으로 인한 것이고 당시에는 그냥 여름철에 오랫동안 내리는 비를 모두 장마라고 표현했다. [3] 누적 강수량이 아니라 시간당 강수량이다. 누적 강수량으로 하면 관측상 500 mm가 넘게 온 지역도 있었다. [4] 시간당 10mm만 되어도 비가 많이 온 것이며 30mm면 집중호우 급으로 온 건데 10mm의 30배, 30mm의 10배다. 이게 얼마나 엄청난 것이냐면 백여년 후 2022년 8·8 폭우 당시 서울특별시( 동작구 신대방동 일대)의 시간당 최고 강수량은 141.5 mm에 불과(?)했다. [5] 뚝섬 13.59m, 한강대교 11.66m, 용산구 12.74m. [6] 현재의 용산구 동부이촌동 [7] 성동구 광진구 [8] 송파구 잠실동 신천동 일대 [9] 송파구 풍납동 [10] 현재 있는 비석은 6.25 전쟁 등으로 훼손된 것을 2012년에 복원하여 다시 세운 것이다. 위치도 당시 중대면사무소가 있었던 송파구 송파동 95번지에서 서초구 반포동 한강홍수통제소로 옮겼다. [11] 제주도와 목포·대구를 거쳐서 동해에서 소멸. [12] 1963년 서울특별시에 편입되었다. [13] 실제로 1960년대까지만 해도 잠실을 낙도(落島)라고 했으며 전기도 없었고 전화는 거녕 나룻배 한 척이 섬 바깥을 이어주는 유일한 수단이었다. 또 틈만 나면 홍수로 물에 잠기는 그러한 곳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