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7-09 19:08:09

요하네스 블라스코비츠

파일:나치 독일 국장(화이트).svg 독일 국방군의 장성급 장교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상급대장 OF-9
Generaloberst / General admiral
파일:Si_4a.png / 파일:130px-WMacht_Lw_OF9_GenOberst_1945.png / 파일:AA-2A.png
육군
상급대장
한스 폰 젝트 | 쿠르트 폰하머슈타인에크보르트 | 게오르크 린데만 | 베르너 폰 프리치 | 루트비히 베크 | 요하네스 블라스코비츠 | 프리드리히 프롬 | 하인츠 구데리안 | 오이겐 리터 폰 쇼베르트 | 쿠르트 하제 | 에리히 회프너 | 프란츠 할더 | 헤르만 호트 | 게오르크한스 라인하르트 | 고트하르트 하인리치 | 알프레트 요들 | 로타르 렌둘릭 | 에르하르트 라우스 | 에버하르트 폰 마켄젠 | 요하네스 프리스너 | 한스 위르겐 폰 아르님 | 에두아르트 디틀 | 카를 힐페르트 | 니콜라우스 폰 팔켄호르스트
공군
상급대장
쿠르트 슈투덴트 | 에른스트 우데트
해군
상급대장
알프레트 잘베히터 | 오스카 쿠메츠 | 한스 게오르크 폰 프리데부르크 | 빌헬름 마르샬 | 발터 빌헬름 율리우스 바르체하
병과대장 OF-8
General der Waffengattung / Admiral
파일:Si_4b.png / 파일:200px-WMacht_Lw_OF8_GenWaGtg_h_1945.svg.png / 파일:AA-3A.png
육군
병과대장
보병대장
프란츠 마텐클로트 | 안톤 도슈틀러 | 프리드리히-빌헬름 뮐러 | 쿠르트 폰 티펠슈키르히 | 테오도어 부세 | - 한스 크렙스 | 빌헬름 부르크도르프 | 알렉산더 폰 팔켄하우젠 | 디트리히 폰 콜티츠 | 카를 에두아르트 | 카를-하인리히 폰 슈튈프나겔 | 프리드리히 올브리히트 | 요아힘 폰 코르츠플라이슈
명예 파울 폰 레토포어베크
기갑대장
핫소 폰 만토이펠 | 발터 벵크 | 빌헬름 리터 폰 토마 | 발터 네링 | 발터 크뤼거
포병대장
발터 폰 자이틀리츠-쿠르츠바흐 | 헬무트 바이틀링 | 에두아르트 바그너 | 에리히 마르크스 | 에른스트에버하르트 헬 | 프리츠 린데만
통신대장
에리히 펠기벨 | 알베르트 프라운
산악대장
카를 에글제어 | 프란츠 뵈메
공병대장
발터 쿤체
공군
병과대장
브루노 브로이어공수 | 오이겐 마인들공수 | 울리히 케슬러조종
해군
대장
빌헬름 카나리스 | 오토 칠리악스 | 귄터 뤼첸스
중장 OF-7
Generalleutnant / Vizeadmiral
파일:Si_5a.png / 파일:1256px-WMacht_Lw_OF7_GenLt_h_1945.svg.png / 파일:AA-4A.png
육군
중장
한스 폰 보이네부르크-렝스펠트 | 히아친트 그라프 슈트라흐비츠 | 헬무트 폰 판비츠 | 한스 슈파이델 | 오스카 폰 힌덴부르크 | 아돌프 호이징거 | 아구스틴 무뇨스 그란데스 | 에밀리오 에스테반 인판테스
공군
중장
발터 베버 | 아돌프 갈란트 | 테오도어 오스터캄프
해군
중장
-
소장 OF-6
Generalmajor / Konteradmiral
파일:Si_6a.png / 파일:200px-WMacht_Lw_OF6_GenMaj01_h_1945.svg.png / 파일:AA-5A.png
육군
소장
발터 도른베르거 | 카를 게프하르트 | 카를 브란트 | 헤닝 폰 트레슈코프 | 하인리히 크라이페 | 하인리히 폰 베어 | 한스 오스터 | 오토-에른스트 레머 | 루돌프-크리스토프 폰 게르스도르프
공군
소장
디트리히 펠츠
해군
소장
-
※ 문서가 있는 경우만 기재
※ 준장 계급은 독일 국방군 해군, 즉 크릭스마리네에만 존재.
※ 윗 첨자 : 전사
{{{#!wiki style="margin: -6px -5px; font-size: 0.8em; color:#FFF" ※ 둘러보기 }}}
}}}}}}}}}
파일:Johannes_Blaskowitz.webp
<colbgcolor=#666> 이름 Johannes Albrecht Blaskowitz
요하네스 알브레히트 블라스코비츠
출생 1883년 7월 10일
독일 제국 동프로이센
사망 1948년 2월 5일
연합군 점령하 독일 뉘른베르크
복무 독일 제국군
독일 국가방위군
독일 국방군
최종 계급 파일:Si_4a.png 상급대장
주요 참전 제 1차 세계대전
제 2차 세계대전 안톤 작전·라일라 작전
서부전선}}}
주요 서훈 백엽검 기사십자 철십자장

1. 개요2. 생애
2.1. 폴란드 침공2.2. 프랑스 점령2.3. 네덜란드 전선2.4. 이야깃거리
3. 대중 매체

[clearfix]

1. 개요

나치 독일의 군인. 최종계급은 상급대장.

히틀러의 지시와 나치의 전쟁범죄에 대항하여 한 번도 아니고 여러 번이나 비판 문서를 올리고 항명했다가 해임되는 것을 반복한 국방군에서 흔치 않은 개념인이었다. 보통의 국방군 장성들이 명령이라는 명목으로 포로 학대와 민간인 학살 등에 어느 정도는 관여 혹은 최소한 방임했다는 것을 생각하면, 깨끗하기 그지없는 블라스코비츠의 경력이 대단해보일 지경. 자세한 것은 후술한다. 어느 나치분쇄기하고는 관련이 없다

2. 생애

아버지가 루터교 목사여서 본인도 독실한 루터교 신자였고, 나치의 종교와 군에 대한 간섭을 혐오하여 드레스덴의 3집단군 사령관에 재직할 당시 이미 드레스덴 관구장과 상당히 갈등을 빚었다.

2.1. 폴란드 침공

실력을 인정받아 폴란드 침공 이전에 이미 보병대장으로 진급했고, 독일 국방군이 급속히 확장되면서 제8군과 제9군의 초대 사령관으로 폴란드 침공에서 상급대장까지 고속으로 진급했지만, 점령지에서 무장친위대와 군 소속이 아닌 나치 경찰이 저지른 강간, 살인, 유대인과 폴란드인 상점의 약탈 사례를 상세히 기록하여 그들의 행동이 국방군의 권한 밖에서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자기로서는 단속할 방도가 없다고 호소하는 2개의 진술서를 총사령부로 보냈다. 히틀러는 그러한 진술서에 격분하여 블라스코비츠의 지위를 해임시켰고, 결국 블라스코비츠는 한직에만 머물며 원수로 진급하지 못했다.

2.2. 프랑스 점령

프랑스 점령 이후에도 약간의 좌천성 인사를 당했지만 1940년 5월 15일, 9군의 사령관으로 부임하게 된다. 하지만, 부임한 지 14일만에 해임당했지만, 1940년 10월에 1군 사령관으로 부임하게 되었다. 1942년, 연합군이 횃불 작전을 성공하면서 비시 프랑스군 및 프랑수아 다를랑 제독이 항복하자 나치 독일은 비시 프랑스가 점유하고 있는 남부 프랑스의 점령 및 잔여 병력의 제압에 목적을 둔 안톤 작전을 시행하였으며, 이에 따라 블라스코비츠가 이끄는 1군은 프랑스 남부를 점령하는 데에 성공하였다. 그러나 툴롱의 비시 프랑스 해군의 군함들을 확보하려고 하였으나 비시 프랑스 해군이 자신들의 전함을 자침시키면서 일련의 비시 프랑스 해군 제압 작전은 실패로 끝나게 된다.

1944년, 북부 아프리카 및 지중해 연안의 제해권을 잃고 프랑스 남부에 연합군의 상륙이 예상되는 상황이 되면서 프랑스 남부를 수비하는 G집단군이 신설되었고 블라스코비츠는 초대 사령관으로 부임하게 된다. 연합군이 용기병 작전을 개시하면서 남부 프랑스에 고립되었으나, G집단군을 무사히 서부방벽으로 퇴각시키면서 서부전선의 기적에 일익을 담당했지만, 이번에도 히틀러와 독일군 최대 권력자로 떠오른 하인리히 힘러의 노여움을 사서 또 다시 사령관 지위에서 해임당한다.

2.3. 네덜란드 전선

1945년 1월에 쿠르트 슈투덴트의 후임으로 1944년에 신설된 네덜란드 지역의 방어임무를 맡은 H집단군의 사령관으로 다시 부임하였으며, 그해 말부터 이듬해까지 있었던 대기근으로 연합군과 네덜란드 주민들에 대한 식량지원 협약을 체결하기도 했다.[1] 결국 1945년 5월 5일에 몽고메리가 이끄는 연합군에 항복한다.

뉘른베르크 전범 재판에서 처음에는 풀려났지만, 1948년 뉘른베르크 최고사령부 재판에 기소됐을 때 수감된 장소의 발코니에서 투신, 추락사한다. 그의 죽음에는 의문점이 많아서 자살인지, 아니면 떠밀려 죽은 것인지 해석이 분분하고 있다. 그는 전술했듯이 민간인이나 포로 학살 등 전범 행위에 전혀 관여되지 않았기 때문에 사후 판결에서 모든 혐의에서 무죄를 받았고, 재판관들이 재판 중에도 그가 무죄 판결을 받을 것을 알렸기 때문. 이 때문에 당시 현지에서는 블라스코비츠를 증오하던 전직 SS대원이 그를 살해했다는 소문까지 돌았다.

2.4. 이야깃거리

전쟁범죄에 전면적으로 항의한 그의 전적 때문에 나치에 저항하는 많은 레지스탕스들이 그를 영입할 것을 고려하였고 실제로 울리히 폰 하셀은 그를 만나며 히틀러 암살계획에 영입하려고도 했었다. 그러나 블라스코비츠는 철저한 군인이었고 군인으로써 군법, 심하면 기사도에 비견될 만큼의 엄격한 규정을 지키는 대신 히틀러와 정권을 상관으로 여기고 노골적으로 반기를 들지 않았다. 그는 나치즘에 대해서 잘 알지도 못했고 관심도 없는 비정치적 군인이었지만, 오히려 그 비정치적인 태도때문에 나치즘에 전면적으로 대항하지 않았던 것이다.

지금까지도 학계에서는 블라스코비츠가 전쟁범죄에 항의한 것이 양심의 가책을 느껴서였는지, 군인정신에 맞지 않다고 느껴서였는지, 혹은 나치의 팽창주의 정책에 협조하여 더 수월한 지배와 통치를 위했던 것이었는지는 논란이 분분하다. 물론 블라스코비츠는 생전에 폴란드에서든, 프랑스에서든, 네덜란드에서든 일관적인 태도를 유지하였고 학살 명령을 내리지 않거나, 꼭 내려야만 할 때는 아예 권한을 넘기는 식으로 행동해 재판에서도 무죄를 선고받았다. 뉘른베르크 재판의 판사들은 최고사령부의 군인들을 상대로 재판을 진행하면서 블라스코비츠를 '이렇게 행동했어야 하는 모범'으로 삼았었다고 전해진다.

3. 대중 매체

서든 스트라이크 4에서 나치 독일 국방군의 세 장군중 한 명으로 등장한다. 나머지 장군은 하인츠 구데리안 페도어 폰 보크.

Hearts of Iron IV에서도 여러 유명한 독일 육군 장군들 중 한 명으로 등장한다. 만슈타인이나 구데리안, 룬트슈테트 등등 독일의 휘황찬란한 장교단 때문에 능력치는 좀 보잘것없어 보이지만, 그래도 보병 장군 고증을 위해 보병 장교 트레잇을 붙여놔 보병사단을 이끌 경우 경험치가 팍팍 올라간다. 대부분이 기갑 트레잇이 붙었거나 보병과 함께 신중함과 보수파 트레잇 등등이 붙은 반면 블라스코비츠는 보병 장교 트레잇을 제외하고는 어떤 것도 붙지 않아서 적극적으로 써서 나쁠 건 없는 장군으로, 플레이어가 적극적으로 써서 경험치를 쌓아 직접 필요로 하는 트레잇을 달아줄 수 있다는 장점 덕에 많이 선택된다. The Road to 56에서는 진급 비용이 5000% 추가되는 논란의 여지가 있는 인물 특성이 붙어 사용하기 어렵다.[2] 항명으로 승진길이 막힌 것을 반영한 듯.

울펜슈타인 시리즈의 주인공인 B.J. 블라즈코윅즈와 성씨가 같다. 이쪽은 폴란드인이라 철자가 독일식인 Blaskowitz가 아닌 폴란드식으로 Blazkowicz.


[1] 협약에서 지원품을 전달할 영국, 미국 폭격기에 대해 공격하지 않을 것을 약속하였으나, 1기의 항공기는 독일군의 대공사격으로 추락하였다. 다만 대대적인 대공사격은 아니었으며, 명령의 혼선으로 소규모 대공포대가 실수로 격추시킨 것으로 결론 내려졌다. [2] 비슷한 경우로 조지 패튼이 있다. 패튼의 경우는 불같은 성격으로 겉으로는 멀쩡해 보이는 환자를 한 번도 아니고 여러 번이나 마구 구타한 탓에(PTSD 환자, 참호족염 환자. PTSD는 시대가 시대라 그렇다 치더라도 심지어 참호족염은 이미 대전쟁 당시부터 악명을 널리 떨쳤던지라, 병명을 알아보지도 않고 일단 두들겨패고 본 패튼의 명백한 잘못.) 각계각층에서 질타를 받아 전방과 한직을 자주 왔다갔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