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에 있는 박물원에 대한 내용은 국립고궁박물원 문서
, 중국에 있는 박물원에 대한 내용은
고궁박물원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 |
|
||||||||||||||||||||||||||||
천하제일복지천 | |||||||||||||||||||||||||||||
|
|
||||||||||||||||||||||||||||
|
청와대 관저 | ||||||||||||||||||||||||||||
청와대 본관 | 청와대 녹지원 |
|
|
||||||||||||||||||||||||||
칠궁 |
|
|
|
|
|||||||||||||||||||||||||
|
|
|
청와대 위민관,헬기장 |
|
청와대 춘추관 | ||||||||||||||||||||||||
|
|
|
|||||||||||||||||||||||||||
|
청와대 영빈관,경호실 |
||||||||||||||||||||||||||||
|
|
|
|
||||||||||||||||||||||||||
┏ | ㅡ | ㅡ | ㅡ | ㅡ | ┛ | ㅡ | ㅡ | ㅡ | 신무문 | ㅡ | ㅡ | ㅡ | 수문 | ㅡ | ㅡ | 계무문 | 광무문 | ㅡ |
|
ㅡ |
|
ㄴ | ㅡ | ㅡ | ㅡ | ㅡ | ┓ | ||
ㅣ | 숙문당 |
|
|
팔우정 | 집옥재 | 협길당 |
|
건청궁 |
서녹산 |
|
동녹산 | ㅣ | |||||||||||||||||
ㅣ | 태원전 | 영사재 | 대왕대비전 세답방 | ㅣ | |||||||||||||||||||||||||
ㅣ | 순화궁 세답방 | 중궁전 세답방 |
|
ㅣ | |||||||||||||||||||||||||
ㅣ | 빈궁 세답방 | 공묵재 | 왕대비전 세답방 |
|
|
|
|
|
|
ㅣ | |||||||||||||||||||
ㅣ |
|
|
|
|
|
|
|
|
ㅣ | ||||||||||||||||||||
ㅣ |
|
|
|
|
|
ㅣ | |||||||||||||||||||||||
ㅣ |
|
|
서장고 | 향원정 |
|
|
|
|
ㅣ | ||||||||||||||||||||
ㅣ |
|
ㅣ | |||||||||||||||||||||||||||
ㅣ | 함화당 집경당 |
|
|
|
|
어린이박물관 국립민속박물관 |
ㅣ | ||||||||||||||||||||||
ㅣ |
|
|
ㅣ | ||||||||||||||||||||||||||
ㅣ |
|
|
|
|
ㅣ | ||||||||||||||||||||||||
ㅣ |
|
|
ㅣ | ||||||||||||||||||||||||||
ㅣ |
|
|
흥복전 |
|
|
제수합 |
|
|
ㅣ | ||||||||||||||||||||
ㅣ |
|
|
ㅣ | ||||||||||||||||||||||||||
ㅣ |
|
|
|
|
아미산 |
|
자경전 |
|
|
|
|
ㅣ | |||||||||||||||||
ㅣ |
|
|
|
|
ㅣ | ||||||||||||||||||||||||
ㅣ |
|
|
ㅣ | ||||||||||||||||||||||||||
ㅣ |
|
|
ㅣ | ||||||||||||||||||||||||||
ㅣ |
|
┏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 | ㅣ | 함원전 |
건순각 ┏ |
|
|
|
|
|
ㅣ | |||||||||||
ㅣ | ㅣ | 경회루 | ㅣ | ㅣ |
함홍각 ㅏ |
교태전 |
원길헌 ┓ |
복희당(대전 생물방) | ㅣ | ||||||||||||||||||||
ㅣ |
|
ㅣ | ㅣ | ㅣ | 흠경각 | ㅣ | ㅣ | ㅣ | |||||||||||||||||||||
ㅣ | ㅣ | ㅣ | ㅣ | ㅏ | 양의문 | ㅗ | ┓ | 대전 내소주방 | 난지당(대전 외소주방) |
|
ㅣ | ||||||||||||||||||
ㅣ |
|
ㅣ | ㅣ | ㄴ | ㅜ | 응지당 | 강녕전 | 연길당 | ㅣ | ㅣ | |||||||||||||||||||
ㅣ |
|
ㅣ | ㅣ | ㅣ | 경성전 | 연생전 | ㅣ | ㅣ | |||||||||||||||||||||
|
|
ㄴ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 | ㅏ | 향오문 | ㅓ | ㅣ | ||||||||||||||||
영추문 |
|
|
|
|
ㅣ | 천추전 | 사정전 | 만춘전 | ㅣ | 자선당 | 비현각 |
|
|
건춘문 | |||||||||||||||
|
|
|
ㅣ | ㅣ |
|
|
|
|
|
관리사무소 | |||||||||||||||||||
|
ㅣ | 수정전 | ㅣ | ㅣ | ㅣ |
|
|
||||||||||||||||||||||
ㅣ |
|
|
|
|
ㅏ |
|
ㅓ | ㅏ | 사정문 | ㅓ |
|
|
|
ㅣ | |||||||||||||||
ㅣ |
|
|
|
|
ㅣ | ㅣ |
협의문 융무루ㅓ |
근정전 |
계인문 융문루 ㅏ |
|
|
|
ㅣ | ||||||||||||||||
ㅣ |
|
|
ㅏ |
|
ㅓ |
|
ㅣ | ||||||||||||||||||||||
ㅣ |
( 홍문관) |
|
|
ㅣ | ㅣ | 계조당 |
|
|
ㅣ | ||||||||||||||||||||
ㅣ |
|
|
|
ㄴ |
|
┛ | ㅏ | 월화문 근정문 일화문 | ㅓ | ㅣ | |||||||||||||||||||
ㅣ |
|
|
|
ㅣ 기별청 유화문 ㅣ |
ㅣ 덕양문 ㅣ |
봉선문 |
|
주차장 | ㅣ | ||||||||||||||||||||
ㅣ | 영제교 | ㅣ | |||||||||||||||||||||||||||
ㅣ |
|
|
|
ㅣ | |||||||||||||||||||||||||
ㅣ |
|
|
ㅡ | ㅡ |
|
ㅏ | 흥례문 | ㅓ | ㅣ | ||||||||||||||||||||
ㅣ |
|
|
|
|
|
|
용성문 | 어도 | 협생문 | ┓ |
|
|
ㅣ | ||||||||||||||||
ㅣ |
|
국립고궁박물관 |
|
|
|
|
ㅣ |
수문장청 매표소 |
수문장청 매표소 |
ㄴ | ┓ |
|
|
ㅣ | |||||||||||||||
ㅣ |
|
|
|
초관처소 영군직소 |
ㅣ |
|
|
ㅣ | |||||||||||||||||||||
|
ㅡ | ㅡ | ㅡ | ㅡ | 수문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ㅗ |
광화문 ( 월대) |
ㅡ | ㅡ | ㅗ | 수문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동십자각 | |||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
<colbgcolor=#003964><colcolor=#fff> 국립고궁박물관 國立古宮博物館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
|
|
|
소속 | 국가유산청 |
종류 | 국립 박물관 |
설립일 | 1908년 ([age(1908-01-01)]주년)[1] |
박물관장 | 정용재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효자로 12( 세종로1-57) |
연락처 | (02) 3701-7500 |
관련 링크 | | | | | | |
[clearfix]
1. 개요
국가유산청과 그 소속기관 직제
제2조(소속기관) ① 국가유산청장의 관장사무를 지원하기 위하여 국가유산청장 소속으로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국립고궁박물관, 현충사관리소, 칠백의총관리소, 만인의총관리소 및 국립무형유산원을 둔다.
제18조(직무) 국립고궁박물관은 궁중유물의 연구ㆍ조사ㆍ수집ㆍ보관 및 전시에 관한 사무를 관장한다.
제2조(소속기관) ① 국가유산청장의 관장사무를 지원하기 위하여 국가유산청장 소속으로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국립고궁박물관, 현충사관리소, 칠백의총관리소, 만인의총관리소 및 국립무형유산원을 둔다.
제18조(직무) 국립고궁박물관은 궁중유물의 연구ㆍ조사ㆍ수집ㆍ보관 및 전시에 관한 사무를 관장한다.
2. 역사
연혁은 1908년 대한제국 시절 창경궁 내에 만들어진 제실박물관(帝室博物館)부터이다. 경술국치 이후 이왕가미술관(李王家美術館)으로 바뀌어서 덕수궁 석조전으로 입주했다. 해방 이후 1946년에 '덕수궁미술관'으로 바뀌어 1961년 '덕수궁사무소'로 바뀌었다가, 1992년에 종전의 덕수궁사무소가 궁중유물전시관으로 개편되었다가 2005년에 국립중앙박물관이 용산구로 이사가자 현 명칭으로 개편해 현재의 경복궁 경내에 자리잡았다.2019년 11월 내부 리모델링이 있었는데, 대한제국 전시와 고궁 전시 분량이 다소 줄어들었다. 대한제국 후반부는 아예 가벽으로 막아놨으며 조선 시대 수라간 파트는 축소되고 문방구( 연적, 머루), 선원록 파트는 아예 제거해버렸다. 기존에 선원록이 있던 곳은 왕의 친서가 담긴 비석으로 바꿔놨다.
2020년 6월에 소장품인 사각유리등을 온라인으로 공개했는데, 꽤 예쁘다는 반응이 많이 쏟아져서 2020년 하반기에 DIY 모형을 내놓았다. 그랬더니 물량을 내놓는 족족 매진행렬을 이어갔고, 2021년 4월 말까지 판매된 분량이 9700여 개에 달한다. 이 상품을 기획한 공무원은 적극행정 유공 포상 최우수상을 받았다고 한다. 비디오머그 관련 인터뷰
2023년 최하층 '조선의 과학' 전시실이 큰 폭으로 개편되었다. 디스플레이 기기를 다수 설치하여 시인성을 크게 높였고 설명도 친절해졌다. 동선도 획일함을 추구함으로써 기존에 불친절하게 느껴졌던 부분을 해소하였다. 큰 변화점은 천상열차분야지도 각석에 초대형 원형 디스플레이 특별실을 따로 두어 그 비중을 크게 높였는데, 대신에 대형으로 구현해놓았던 자격루가 종적을 감추었다.
3. 관람 안내
관람료는 무료. 주로 대한제국~ 일제강점기 왕실 의복이나 조선시대 옥새 등 조선 왕실 관련 유물을 다수 볼 수 있다. 지하 1층에는 자격루의 복원 모형을 전시하고 있는데, 실제로 징, 종, 북을 친다. 천상열차분야지도 실물[2]도 있는데 바로 앞의 어차에 밀려 관심이 별로 없다.대한제국 시기에 사용한 근대 유물들도 다수 소장하고 있다. 특히 제일 인기 있는 전시물인, 순종과 순정효황후가 타고 다닌 어차( 등록문화재 제319호)는 100여 년 전의 실차를 복원 처리한 실물이다. 미국 제너럴 모터스가 1918년에 제작한 캐딜락 리무진으로 세계적으로도 희귀한 차종이다. 리플렛이나 안내도에도 특별히 표시돼 있다. 창덕궁 시절에는 실외에 지붕만 씌우고 먼지가 쌓인 상태로 무성의하게 방치했었다. 그때 많이 훼손되었고, 복원에 오랜 시간과 비용이 들었다.
내부 관람 동선을 알기가 어렵다. 바닥의 화살표 같은 안내 표시가 전혀 없기 때문이다. 천 원을 주면 빌려주는 음성 안내기를 통해서야 겨우 알 수 있는데 이마저도 그다지 도움이 되지는 않는다. 그래서 다른 관람객들과 동선이 엉키는 경우가 많다.
지하철로는 경복궁역이 바로 옆에 위치해 있다. 경복궁역과 지하 통로로 연결이 되는데 꼭 이렇게 궁궐을 훼손하면서 통로를 만들어야 하느냐고 말이 많았다. 사실 지금 고궁박물관이 있는 지역은 아래에도 언급되다시피 내사복시 소속 관료들이 왕의 어가인 연과 어마 공주, 옹주의 가마인 덕응을 관리하는 실무를 하던 곳인데 언젠가 복원 작업이 시작되면 고궁박물관을 헐고 밖으로 나가야 한다. 처음부터 잘못된 위치 선정이었던 셈이다.
어찌 되었건 경복궁과의 접근성이 높은 덕에 외국인 관람객의 비율은 상당히 큰 편이다. 때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평균적으로 30%~40%는 차지하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영문 해설의 상세함은 국립중앙박물관과 비교하면 다소 빈약한 편이다.
참고로 경복궁 야간 개장 시 야간 관람객을 흡수하기 위해 이곳 역시 야간 개장을 한다. 그래서 평소 주중에는 오후 6시에, 야간 개장 시에는 10시에 문을 닫는다. 대신 경복궁의 휴관일인 화요일에는 야간 개장을 하지 않는다.
지하 1층의 휴게 공간은 라이엇 코리아의 후원으로 만들어졌다. 가보면 벽의 작은 판자에 라이엇 로고와 함께 쓰여 있다.
전시물들의 온습도에 따른 보존 문제가 까다로워지기 때문에 여름철에는 그 숫자가 급격하게 감소한다. 예전에 봤던 전시물이 사라지거나 뭔가 좀 허전해졌다면 여름철일 가능성이 크다. 대부분 수장고로 향한다. 혹은 특별 전시실로 옮겨지는 경우도 상당하다.
3.1. 전시실
전시안내3.1.1. 특별전시
특별전 명칭 | 날짜 | 장소 | 설명 |
백자달항아리 | 2005.08.15~09.25 |
2층 특별전시실 |
국립고궁박물관의 첫 특별전 |
조선왕실의 가마 | 2005.12.30~2006.03.31 | 기획전시실 | |
조선왕조실록 오대산사고본 | 2006.07.26~10.08 | 2층 제왕기록실 | 오대산사고본 환수 기념 특별전 |
조선왕실의 인장 | 2006.08.15~10.08 | 2층기획전시실 | 국립고궁박물관 개관 1주년 기념 특별전 |
화폭에 담긴 영혼 - 초상肖像 | 2007.11.27~2008.01.13 | 2층 기획전시실 | 조선시대 초상화 보물 지정 특별전 |
수자기帥字旗 - 136년만의 귀환 | 2008.04.01~05.05 | 기획전시실 | 신미양요 당시 빼앗긴 어재연 수자기의 반환 기념 특별전 |
꾸밈과 갖춤의 예술, 장황粧䌙 | 2008.09.05~11.02 | 기획전시실 Ⅰ, Ⅱ | ‘제2차 한·중·일 문화셔틀 사업’으로 한·중·일 공동 개최 특별전 |
서울, 타임캡슐을 열다 | 2008.12.16~2009.02.01 | 기획전시실 | 故 임인식 사진작가가 소장하고 있던 미공개 사진자료 공개 특별전 |
궁궐의 장식그림 | 2009.05.12~07.05 | 기획전시실 | |
조선왕조의 관인 | 2009.11.04~2010.02.15 | 2층 기획전시실 | |
영친왕 일가 복식 | 2010.04.27~05.23 | 2층 기획전시실 | |
100년 전의 기억, 대한제국 | 2010.06.29~08.29 | 2층 기획전시실 및 1층 대한제국실 | 경술국치 100주년 기념 특별전 |
베트남 마지막 황실의 보물 | 2010.11.09~2011.02.06 | 2층 기획전시실 및 1층 정보검색실 | 베트남 후에궁정박물관 소장품 전시 특별전 |
보물 마천목 좌명공신 녹권을 만나다 | 2011.02.18~04.10 | 2층 제왕기록실 | |
순천 송광사 목조관음보살좌상 복장유물 | 2011.05.03~06.12 | 2층 왕실생활실 | 부처님 오신날 특별전 |
창덕궁, 아름다운 덕을 펼치다 | 2011.06.28~08.28 | 2층 기획전시실 및 1층 정보검색실 | 문화재청 50주년 기념 특별전 |
하정웅 기증전 - 순종황제의 서북순행과 영친왕·왕비의 일생 | 2011.11.22~2012.02.05 | 1층 전시실 | 재일교포 하정웅 선생의 자료 기증 기념 특별전 |
다시 찾은 조선왕실 의궤와 도서 | 2011.12.27~2012.02.05 | 2층 왕실의 생활실 | 일본 궁내청 소재 조선왕조도서 환수 기념 특별전 |
왕의 상징 어보御寶 | 2012.08.01~10.14 | 2층 기획전시실 | |
왕세자의 쾌유를 축하하다 | 2012.10.09~12.30 | 왕실의 회화실 | |
덕혜옹주 | 2012.12.11~2013.01.27 | 기획전시실 | 덕혜옹주 출생 100주년, 환국 50주년 기념 특별전 |
일제 강점기 궁중의 일본 회화 | 2013.03.19~05.26 | 왕실의 회화실 | |
그림으로 쓴 역사책 - 국보 반구대 암각화, 물속에 잠깁니다 | 2013.04.21~05.26 | 기획전시실 | |
정조의 효성과 노인공경 | 2013.05.07~09.08 | 2층 조선의 국왕실 | |
아름다운 궁중의 자수 | 2013.06.25~09.01 | 기획전시실 | |
호조태환권 원판 환수 | 2013.09.05~11.03 | 1층 대한제국과 황실실 | 호조태환권 인쇄 원판 환수 기념 특별전 |
고국으로 돌아온《겸재정선화첩》 | 2013.11.26~2014.02.02 | 왕실의 회화실 | |
헝가리 왕실의 보물 | 2013.12.03~2014.03.09 | 지하 1층 | 헝가리 국립박물관과 공동 개최 특별전 |
아름다운 궁중채화 | 2014.04.08~05.25 | 기획전시실 | |
종묘 | 2014.04.29~08.03 | 지하층 전시장 | |
자주독립의 꿈, 대한제국의 국새 | 2014.05.13~08.03 | 제2전시실 | 대한제국 어보·국새·인장 환수 기념 특별전 |
조선왕실의 生老病死 -질병에 맞서다- | 2014.07.15~10.05 | 기획전시실 | 한독의약박물관 개관 50주념 기념 특별전 |
류큐 왕국의 보물 | 2014.12.09~2015.02.08 | 기획전시실 | |
고국으로 돌아온 데라우치문고 | 2014.12.17~2015.02.22 | 기획전시실 ll | |
그림으로 본 조선통신사 | 2015.04.14~05.10 | 왕실의 회화실 | 광복 70주년, 한일수교 50주년 기념 특별전 |
창덕궁 대조전 벽화 | 2015.04.28~05.31 | 기획전시실 | |
황제국의 상징 환구단과 환구제 | 2015.05.05~12.31 | 지하 1층 왕실의 의례실 | |
오백년 역사를 지켜온 조선의 왕비와 후궁 | 2015.07.07~08.30 | 기획전시실 | 국립고궁박물관 개관 10주년 기념 특별전 |
"돌아온 덕혜옹주 유품"특별공개 | 2015.08.25~09.06 | 1층 대한제국과 황실실 | |
하와이에서 온 우리 옛 그림 | 2015.09.22~10.11 | 왕실의 회화실 | |
조선 왕실의 어진御眞과 진전眞殿 | 2015.12.08~2016.02.14 | 2층 기획전시실 | |
어필御筆 현판懸板, 나무에 새긴 임금님의 큰 글씨 | 2016.05.03~07.03 | 2층 조선의 국왕실 | |
조선왕릉, 왕실의 영혼을 담다 | 2016.06.21~08.28 | 기획전시실 Ⅰ, Ⅱ | |
영건營建, 조선 궁궐을 짓다 | 2016.12.06~2017.02.19 | 2층 기획전시실 및 조선의 국왕실 | |
만복萬福을 바라다 - 미국소재 <곽분양행락도郭汾陽行樂圖> 보존처리 특별공개전 | 2016.12.13~2017.02.05 | 왕실의 회화실 | |
현판으로 보는 대한제국 황궁 경운궁 慶運宮 | 2017.04.24~07.02 | 1층 기획전시실 Ⅱ | |
조선왕실의 포장 예술 | 2017.06.27~09.03 | 기획전시실 | |
다시 찾은 조선 왕실의 어보 | 2017.08.19~10.29 | 1층 기획전시실 Ⅱ | 문정왕후어보와 현종어보의 환수 기념 특별전 |
나라 밖 우리 그림, 제 모습을 되찾다 | 2017.11.13~12.10 | 1층 기획전시실 Ⅱ | |
창덕궁 희정당 벽화 | 2017.12.13~2018.03.04 | 기획전시실 | |
조선왕실 아기씨의 탄생 | 2018.06.27~09.02 | 기획전시실 Ⅰ, Ⅱ | |
세조世祖 | 2018.10.22~2019.01.13 | 지하 궁중서화실 | |
리히텐슈타인 왕가의 보물(LIECHTENSTEIN: 900 Years of a Ruling Family in the Heart of Europe) | 2018.12.05~2019.02.10 | 기획전시실 | |
100년 전, 고종 황제의 국장 | 2019.03.01~03.31 | 1층 전시실 | 3.1운동,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 기념 특별전 |
기증·기탁 특별전 조선의 공신 | 2019.05.28~06.30 | 1층 전시실 | |
문예 군주를 꿈꾼 왕세자 효명 | 2019.06.28~09.22 | 2층 기획전시실 | |
우리 손에서 되살아난 옛 그림 | 2019.09.11~10.13 | 1층 기획전시실 Ⅱ | |
화협옹주의 얼굴 단장 | 2019.10.01~10.31 | 1층 특별전시실 | |
청 황실의 아침, 심양 고궁 | 2019.12.11~2020.03.31 | 기획전시실 | 심양고궁박물원의 교류 기념 특별전 |
숙종대왕 호시절에 | 2020.05.26~07.19 | 1층 기획전시실 Ⅱ | |
新왕실도자, 조선왕실에서 사용한 서양식 도자기 | 2020.07.29~11.01 | 기획전시실 | |
국외 소재 한국문화재 특별 공개 <해학반도도>, 다시 날아오른 학 | 2020.12.04~2021.02.14 | 1층 기획전시실 Ⅱ | |
조선 왕실 군사력의 상징, 군사의례 | 2021.01.19~03.28 | 2층 기획전시실 | |
안녕, 모란 | 2021.07.07~10.31 | 2층 기획전시실 | |
고려 미美·색色-벨기에 왕립예술역사박물관 소장 한국문화재 | 2021.09.08~10.17 | 1층 기획전시실 | |
인사동 출토 유물 공개전 | 2021.11.03~12.31 | 1층 기획전시실 | 인사동 출토 유물 공개 특별전 |
고궁연화古宮年華 | 2021.12.01~2022.02.27 | 2층 기획전시실 | 경복궁 발굴, 복원 30주년 기념 특별전 |
조선의 이상을 걸다, 궁중 현판 | 2022.05.19~08.15 | 2층 기획전시실 | |
나라 밖 문화재의 여정 | 2022.07.07~09.25 | 1층 기획전시실 | 국외소재문화재재단 설립 10주년 기념 특별전 |
오대산에서 피어난 꽃, 실록과 의궤 | 2022.09.19~09.23 | 국회의원회관 2층 중앙홀(제2로비) | |
갓 쓰고 米國에 公使 갓든 이약이 | 2022.10.14~12.13 | 2층 기획전시실 Ⅰ | 한미수교 140주년 기념 특별전 |
다시 마주한 우리 땅, 돌아온 대동여지도 | 2023.05.16~07.02 | 2층 기획전시실 Ⅰ | 대동여지도 환수 기념 특별전 |
활옷 만개滿開, 조선왕실 여성 혼례복 | 2023.09.15~12.13 | 2층 기획전시실 | |
세밀가귀細密可貴의 방-나전 국화넝쿨무늬 상자 | 2023.12.07~2024.01.07 | 1층 기획전시실 4 | 나전 국화넝쿨무늬 상자 환수 기념 특별전 |
작은 금강, 칠보산을 거닐다 - 미국 클리블랜드미술관 소장 《칠보산도병풍》 디지털 영상 전시 | 2024.03.15~05.26 | 2층 기획전시실 | 미국 클리블랜드미술관 소장 《칠보산도병풍》 디지털 영상 전시 특별전 |
국가유산을 지킨 사람들 | 2024.05.17~06.30 | 1층 기획전시실 IV | 국가유산청 출범 기념 특별전 |
실감 화성, 디지털로 체험하는 8일간의 왕실 행차 | 2024.05.21~06.16 | 1층 기획전시실 Ⅲ | |
파리 노트르담 대성당 증강현실 특별전: 내 손으로 만나는 860년의 역사 | 2024.07.02~09.01 | 2층 기획전시실 |
3.2. 수장고
지하 수장고는 흥례문 앞 지하통로로 연결되어 동쪽 건너편 지하에 위치하고 있다. 원래 박정희 정부 시절 중앙청과 연결된 벙커였다가 수장고로 용도가 바뀌었다. 20동으로 구성되어 있고 3만8천여 점이 보관중인데 공간 부족이 심하다. ※ 이외에도 전시관 내, 경기도 여주시에도 수장고가 있으나 기증이 들어온 양이 많아서 수용량이 160% 수준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수장고를 추가로 추진 중이다. ※3.3. 고양 분관 추진
수장고 포화를 이유로 고양시와 본 박물관 간 제2 수장고 건설 협약을 맺었다. # 전시도 가능한 분관으로 추진하며 현재 기획재정부가 소유하고 있는 구 LH고양사무소 부지 삼송동 343번지 일대에 2029년까지 짓기로 했다. 그러나 덕양구 분구 주장 단체와 주민들이 아곳은 공공부지라고 주장하며 구청 등 행정기관이 들어서야 한다며 격렬하게 반발하고, 당국은 반대 주장을 폈다. #4. 조직
- 국립고궁박물관장( 고위공무원단 나급 일반직 임기제 공무원)
- 기획운영과
- 전시홍보과
- 유물과학과
5. 역대 관장
- 궁중유물전시관장
- 이명희(1992~1997)
- 김선태(1997~1998/2004~2005)
- 안희균(1998~2001)
- 강순형(2001~2004)
- 소재구(2005)
- 국립고궁박물관장
- 소재구(2005~2009)
- 정종수(2009~2013)
- 이귀영(2013~2015)
- 최종덕(2015~2016)
- 김연수(2016~2018): 전 국립중앙박물관장 이영훈의 부인.
- 지병목(2018~2020)
- 김동영(2020~)
6. 나무위키에 문서가 생성된 소장 유물
자세한 내용은 분류:국립고궁박물관 소장품 문서 참고하십시오.7. 건물에 대해
현존하는 유일한 중앙청 부속 건물.현 국립고궁박물관 터는 경복궁 마굿간(내사복시)이 있었던 곳이다. 이 내사복시를 1910년 한일 강제 병합 이후 1916년 조선총독부 청사를 지을 때 헐려나가면서 상당 기간 동안 빈 터만 남았다. 해방 이후 1978년에 해당 부지를 이용해 중앙청에 근무하는 공무원들의 복지 시설 '후생관'을 지어 이듬해에 개관했다.
이후 1982년에 중앙청 내 5개 기관이 경기도 시흥군 과천면(현 과천시)로 이전한 뒤 건물 내부가 텅 비게 된 중앙청 청사를 1986년에 국립중앙박물관으로 개조하면서 마찬가지로 빈 건물이 되었던 후생관은 사회교육관으로 개편하여 박물관 학예사 연수, 박물관 특설 강좌, 이동 박물관 설치, 청소년 문화 강좌 등 각종 세미나 공간으로 사용되었다. 이후 1994년에 '조선왕궁 역사박물관' 건축을 위해 증축을 시작하여 1995년에 구 조선총독부 건물이 철거되면서 중앙청 청사 사용이 중지되었고, 구 총독부 철거 완료 이듬해에 맨 상단의 사진과 같은 외관으로 리모델링되어 약 8년을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사용하다가 2005년에 국립중앙박물관이 용산으로 이전함으로써 국립고궁박물관으로 전환되면서 현재의 국립고궁박물관 건물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