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03 12:55:32

숭양문

경복궁 숭양문에서 넘어옴
1. 개요2. 경복궁 숭양문
2.1. 역사2.2. 특징
3. 경희궁 숭양문
3.1. 역사3.2. 특징

[clearfix]

1. 개요

조선 시대 궁궐 경복궁 경희궁 편전 기능을 했던 수정전 흥정당 정문이다.

이름은 ‘남쪽(南)을 우러른다(崇)’는 뜻이다. 전통 예법 상 임금의 자리는 남쪽을 바라본다. 즉 왕이 제 자리에서 올바른 정치를 하라는 의미이다.

아래 소개할 두 문은 현재 모두 남아있지 않다.

2. 경복궁 숭양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
현무문
천하제일복지천
오운각 옥련정
벽화실 청와대 관저
청와대 본관 청와대 녹지원 춘안당 융문당
칠궁 양정재 수궁(구 관저터) 융무당 태화궁
지희실 경농재(관풍루) 대유헌 경무대
청와대 위민관,헬기장
수궁 청와대 춘추관
마장 관가문 희맹공신단
금화문 팔도배미
청와대 영빈관,경호실
추성문 금위군직소 춘화문 춘생문
신무문 수문 계무문 광무문 춘도문 수문
숙문당 수문장청 군사방 팔우정 집옥재 협길당 각감청 관문각
건청궁
서녹산 어구 동녹산
태원전 영사재 대왕대비전 세답방
순화궁 세답방 중궁전 세답방 종각
빈궁 세답방 공묵재 왕대비전 세답방 가회정 보현당 남여고 육우정 녹직처소 내재실
동장고 통화당 순화궁 외소주방 숙경재 서진설청 선원전 동진설청 경안당
순화궁 내소주방 진전 소주방 진전 생물방 화락당 나인처소
회안전 문경전 서장고 향원정 만화당 벽혜당(왕대비전 생물방) 대향당 나인처소
정훈당
함화당 집경당 전기등소 만경전 건기당(왕대비전 내소주방) 요광당(왕대비전 외소주방) 어린이박물관
국립민속박물관
나인처소
숙설소 영훈당
빈궁 생물방 상궁처소 다경합 건복합
회광당(빈궁 내소주방) 광원당(빈궁 외소주방)
원역처소 수인문 흥복전 중궁전 수방 대왕대비전 수방 제수합 영보당 벽월당(상궁처소)
중궁전 침방 대왕대비전 침방
제관방 원역처소(접견소) 장방 원역처소 아미산 자미당 자경전 집희당(대왕대비전 내소주방) 춘소당(대왕대비전 침방) 취운당(대왕대비전 수방) 나인처소
침채고 예춘당(대왕대비전 생물방) 벽로당(상궁처소) 웅향당(상궁처소)
함정당(대왕대비전 외소주방) 계응당(상궁처소)
임향당 나인처소
국별장직소 함원전 건순각
인지당 나인처소 보월당(상궁처소) 자운당(상궁처소) 나인처소
경회루 함홍각
교태전 원길헌
복희당(대전 생물방)
국출신직소 흠경각
양의문 대전 내소주방 난지당(대전 외소주방) 대소대금방(나인처소)
무겸직소 응지당 강녕전 연길당
북소위장직소 경성전 연생전
수문 파수각 향오문
영추문 수문장청 내각( 규장각) 검서청( 규장각) 대전장방( 내시부) 천추전 사정전 만춘전 자선당 비현각 장방 수문장청 건춘문
습회당 협오당 장원당 중궁전 수랏간 왕대비전 수랏간 등촉방 등촉방 장방 관리사무소
군사방 수정전 별감방 군사방
초관직소 장무관직소 입심억석( 내의원) 주원( 사옹원) 수정문 사정문 오상방 원역처소
훈국군번직소 침의청( 내의원) 약방( 내의원) 내반원( 내시부) 협의문
융무루ㅓ
근정전 계인문
융문루
통장청 문기수청 춘방
서소위장직소 의약청( 내의원) 영화문 계방
옥당
( 홍문관)
검서청( 규장각) 대전 수랏간 계조당 훈국군번처소 초관처소
누국 당후( 승정원) 정원( 승정원) 숭양문 월화문 근정문 일화문
일영대 선전관청 빈청
기별청
유화문
수각

덕양문
수각
봉선문 별군직청 주차장
영제교
춘방책고대청 상의원 면복각
신당 덕응방 북마랑 흥례문
전사청 연고 내사복시 거달처소 중마랑 동마랑 용성문 어도 협생문 계방 오위도총부
우마랑 국립고궁박물관 좌마랑 내구 연지 수문장청
매표소
군사방
수문장청
매표소
남소부장청 동소부장청
견마배청 남마랑 군사방 초관처소 영군직소
측사
측사 충장장청
서십자각 수문 광화문
( 월대)
수문 동십자각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정식 편전 정문 경복궁 사정문
景福宮 思政門
창덕궁 선정문
昌德宮 宣政門
창경궁 문정문
昌慶宮 文政門
경희궁 자정문
慶熙宮 資政門
부 편전 정문 경복궁 숭양문
景福宮 崇陽門
창덕궁 협양문
昌德宮 協陽門
경희궁 숭양문
慶熙宮 崇陽門
덕수궁의 편전은 한 건물에 고정되어있지 않았다.
창경궁의 부 편전인 숭문당의 정문은 따로 없다.
정문 · 중문 · 금천교 · 정전 정문 · 정전 · 편전 정문 · 편전 · 내정전 · 동궁 · 선원전 }}}}}}}}}

파일:경복궁 숭양문.jpg
景福宮 崇陽門

경복궁 편전 중 하나였던 수정전 정문이었다. 1층 목조[A]으로 되어 있었다.

위치는 수정전의 남쪽, 근정전의 서쪽에 있었으며 존재할 당시 남향하고 있었다.

2.1. 역사

수정전을 처음 세운 1867년(고종 4년)에 같이 지어졌다. 수정전은 건물도 크고 궐내각사와 내전이 만나는 영역에 있었기 때문에 굉장히 중요한 곳으로 받아들여져 부속 건물들과 영역의 격이 다른 곳과는 사뭇 달랐다. 그 일환으로 남쪽에 무려 3중의 행각을 두었는데 수정전 기준으로 바로 남쪽에 수정문, 그리고 그 남쪽에 영화문, 제일 바깥쪽에 숭양문(崇陽門)을 세웠으며 이 중 숭양문이 가장 규모가 컸다.

그러나 일제강점기에 대부분의 부속 건물, 행각들과 함께 철거되었고 지금은 수정전 건물 한 채만 남아있다.

2.2. 특징

3. 경희궁 숭양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
무덕문
계상당 춘화각 영취정
서암 덕유당 상휘당 광명전 어조당 용비루 장락전 봉상루
영렬천 자정전 집경당 회상전 융복전 융무당 집희당 경선당
위선당 태령전 자정문 영선당 사현합
태령문 향실 숭정전 정시합 흥정당 청한정 지효합 상의원
내삼청 #s-1.2
숭정문 승휘전 흥원문
직조청 내각( 규장각) 예문관 서방색 궁방 사옹원 사은원 양덕당
일영대 금루 호위청 선부관청 경현당
기상청
국립기상박물관
무겸청 연화문 광달문 화경문 경헌문 승화문
숭의문 서울특별시교육청 금상문 서울역사박물관 건명문 금천교 흥화문
남소 옥당( 홍문관) 약방( 내의원) 약원 도감군사대직청 빈청 전설사
오위도총부 정원( 승정원) 덕응방 내구 마구
개양문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정식 편전 정문 경복궁 사정문
景福宮 思政門
창덕궁 선정문
昌德宮 宣政門
창경궁 문정문
昌慶宮 文政門
경희궁 자정문
慶熙宮 資政門
부 편전 정문 경복궁 숭양문
景福宮 崇陽門
창덕궁 협양문
昌德宮 協陽門
경희궁 숭양문
慶熙宮 崇陽門
덕수궁의 편전은 한 건물에 고정되어있지 않았다.
창경궁의 부 편전인 숭문당의 정문은 따로 없다.
정문 · 중문 · 금천교 · 정전 정문 · 정전 · 편전 정문 · 편전 · 내정전 · 동궁 · 선원전 }}}}}}}}}

景熙宮 崇陽門

경희궁 편전 중 하나였던 흥정당 정문이었다. 1층 목조[A]이었다.

위치는 흥정당의 동쪽에 있었으며 존재할 당시 동향하고 있었다.

3.1. 역사

1620년( 광해군 12년) 경희궁 창건 당시 처음 세워졌으나, 1829년( 순조 29년) 화재로 불탔고 2년 뒤에 중건되었다. 하지만 고종 시기 경복궁을 재건하면서 대부분의 경희궁 건물들이 경복궁 중건의 자재로 쓰여 철거되어 경희궁이 궁궐로서의 기능을 잃게 되었다. 단, 이 때 숭양문의 본당인 흥정당 건물 자체는 숭정전 · 회상전 · 정심합 · 사현합 · 흥화문 등과 함께 헐리지 않고 살아남았다. 숭양문은 어떻게 되었는지 모르나 옛 사진을 보면 흥정당의 행각이 남아있던 것을 보아 남아있던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나 일제 강점기에 일제가 그나마 경희궁의 남은 건물들을 매각, 철거하면서 경희궁의 흔적이 완전히 사라질 때 숭양문도 사라졌다. 헐렸는지 팔렸는지는 모른다. 확실한 것은 현재는 남아있지 않으며 복원되지도 못했다.

3.2. 특징


[A] 보통 한옥의 경우 1층보다는 단층(單層)으로 말한다. [A] 보통 한옥의 경우 1층보다는 단층(單層)으로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