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4 01:26:24

TVB

파일:홍콩 양자형 문양.svg 홍콩의 지상파 방송
{{{#!wiki style="margin:0 -10px -5px"
{{{#000000,#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TV RTHK RTHK TV 31, RTHK TV 32, RTHK TV 33, RTHK TV 34, RTHK TV 35
Fantastic Television Limited HOY TV, Hong Kong International Business Channel, HOY Infotainment
TVB Jade, TVB Plus, TVB News Channel, Pearl, Phoenix Hong Kong Channel
HKTVE ViuTVsix, ViuTV
라디오 RTHK Radio 1, Radio 2, Radio 3, Radio 4, Radio 5, Radio 6, Putonghua Channel
CRHK CR1, CR2, AM864
Metro Metro Info, Metro Finance, Metro Plus
폐국 TV Commercial Television (CTV), aTV
라디오 봉황 U Radio, DBC
<colbgcolor=#de2408> 같이보기: 홍콩 소재 위성 및 인터넷 방송
같이보기: 홍콩의 유료방송 및 OTT 플랫폼
중국어권 같이보기
중국/TV 중국/라디오 마카오 대만/TV 대만/라디오
}}}}}}}}}}}} ||

홍콩 유료방송 및 OTT 플랫폼
{{{#!wiki style="margin:0 -10px -5px"
{{{#000000,#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케이블방송 Hong Kong Cable Television Limited
위성방송 big big channel, Hong Kong Cable Television Limited
IPTV Now TV
OTT HKBN bbTV, HKTV, hmvod, KKTV, LINE TV, Miao Mi, myTV SUPER, myVideo, Netflix, ontv, Silence TV, TVB Anywhere, UTV, Viu
폐국 Go TV, HKT, Rediffusion HK
<colbgcolor=#cc0000> 같이보기 : 홍콩의 지상파 방송국
같이보기 : 홍콩 소재 위성 및 인터넷 방송
중국어권 같이보기
중국/TV 중국/라디오 대만/TV 대만/라디오 마카오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파일:TVB 로고.svg TVB
Television Broadcasts Limited
電視廣播有限公司
}}}
<colbgcolor=#00bef1><colcolor=#fff> 국가
[[홍콩|]][[틀:국기|]][[틀:국기|]]
설립 1967년 11월 19일([age(1967-11-19)]주년)
개국 1967년 11월 19일([age(1967-11-19)]주년)
본사 소재지
TVB City
중화인민공화국 홍콩특별행정구 정관오 공업단지 천차이 77번지)
홈페이지 파일:TVB 로고.svg

1. 개요2. 역사3. 로고 변천사4. 사옥 변천사5. 주요 인물6. 채널
6.1. 지상파6.2. 케이블6.3. OTT6.4. 인터넷 방송6.5. 폐지 채널
7. 방영 프로그램8. 영상9. 사건사고

1. 개요

파일:external/img.b.tvb.com/tvb_city_new09-332x499.jpg
TVB City
중화인민공화국 홍콩특별행정구 정관오 공업단지 천차이 77번지

TVB (무선전시[1]; 無綫電視[2]; 전시광파유한공사; 電視廣播有限公司[3] ; Television Broadcasts Limited; 약칭 無綫.)

홍콩의 민간 방송사이다.

홍콩 대중문화에서 선도적인 방송사이자 중화권( 중국 대륙/ 홍콩+ 마카오/ 대만) 전체에서도 중요한 지분을 차지한다. 시청률 면이나 기타 방면에서의 인기에서도 홍콩은 물론 중국 대만까지 중화권 전체의 유행을 이끌어가는 존재 중 하나이며 국내에서도 CCTV와 함께 가장 많이 알려진 중화권의 방송국이다.

본사 사옥은 TVB 시티라고 불리는데 정관오[4] 산업단지에 있다. 인근에 입주한 언론사로는 반중/반정부 일간지 빈과일보의 사옥이 있었다. 하지만 2021년 빈과일보가 사라지면서 이 사옥도 빈 건물이 되었다. MTR로는 정관오선 로하스파크역보다 좀 남쪽에 있다. 빈과일보가 사라진 지금 이 방송국이 위치한 TVB시티가 가장 크게 눈에 띄게 되었다.

경쟁 방송국은 2016년 4월 개국한 또 하나의 민간 지상파인 ViuTV다. 예전에 aTV가 있었지만 지상파 면허 발급에 실패해 2016년 4월 2일 0시를 기해 홍콩 현지의 지상파 방송을 완전히 중단하고 2018년부터 OTT채널로 전환되었다.

한국 민영방송인 SBS와 제휴관계에 있는 방송사 중 하나이다.

2. 역사

1967년 11월 19일 개국했으며 개국 초기의 이름은 HK-TVB이다. TVB가 생기기 전에도 홍콩에 TV 방송국이 있었지만 모두 유선방송이었고, TVB가 최초의 지상파 방송국이었다.

창립자는 쇼브라더스의 창립자인 슈얏푸(邵逸夫)[5] 그는 청나라 시기 중국 대륙 남부 태생으로, 광서 33년, 즉 1907년에 태어났다. 그는 청나라 남부에서 쿨리들을 대거 받던 싱가포르로 건너가서 극장사업을 하다가 홍콩에서 쇼브라더스를 창립했다. 자녀들은 이후에도 싱가포르에 남았고, 현재도 싱가포르 정재계의 큰손으로 활약하고 있다. 이 중 장남 쇼비멩(邵維銘/Shaw Vee Meng)은 NUS의 최대후원자로 매달 거액을 후원하고 있고 그 밖의 싱가포르 내 수많은 병원이나 학교를 짓기도 했다. 오차드 로드에 쇼씨(슈씨) 일가가 만든 쇼핑몰들이 여럿 있다. 쇼브라더스의 쇼는 슈얏푸의 성씨인 슈씨를 민남어로 읽은건데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화교들이 주로 민남어를 사용하는 푸젠성에서 이주해서였다. 2014년 1월 7일 자택에서 별세했다. 향년 107세. TVB에서 그의 생전 출연 영상과 기념관 안내를 담은 페이지를 신설하여 애도를 표했다.

TVB는 경쟁 방송사들이 연달아 생긴 1990년대까지 홍콩 방송계에서 압도적인 점유율을 차지했고, 배우 훈련반은 1990년대까지 엄청난 실력을 자랑했다. 여기에서 유덕화, 양가휘[6] 양조위, 주윤발, 두기봉, 임달화, 주성치, 주해미, 곽부성, 유가령, 오군여 등이 나왔을 정도로 명망이 높았었다. 물론 지금도 배우들을 배출하고 있긴 하지만 예전같은 위세는 잃어버린 지 이미 오래다. 이 외에도 수많은 드라마 제작 감독들이 TVB를 거쳐갔거나, 활약하고 있는 중이다. 아래 항목 참조.

1980년대에 중국에서 개혁개방과 함께 TV가 대중화되기 시작했을 때 광저우와 선전, 둥관을 비롯한 홍콩 근처의 주강 삼각주 지역에서 홍콩 방송의 전파를 받아서 홍콩 TV 드라마와 예능 프로그램, 홍콩 영화를 시청하는 것이 유행이었고, 이 풍경은 2000년대까지도 이어졌다. 마카오에서는 그냥 이웃 홍콩의 전파를 받아서 시청 가능하고 중국 대륙에서는 케이블을 깔면 볼 수 있다. 하지만 대륙에서는 중국 정부 입장과 대치되는 내용이 나오면 바로 업자들이 광고를 그 내용 끝날 때까지 송출한다. 이런 편법은 1989년부터 있어왔던 것이었다.

1993년부터 2016년까지 대만의 방송사인 TVBS를 소유하고 있었다.

2015년부터 경마 중계권을 획득했다.

인터넷에서도 TVB에서 방송하는 채널들을 생방송으로 볼 수 있게 해주는 서비스인 myTV가 있었지만 2017년 4월 17일에 서비스가 종료되었다. 대신 2016년에 홍콩 전용 OTT인 myTV SUPER를 출시되었다. 해외 지역 전용[7] OTT인 TVB Anywhere도 2017년에 출시되었다.

2017년부터 유튜브에서 TVB의 유명 드라마 및 프로그램을 여러개의 계정을 통해서 공식으로 업로드하고 있다. 특정 지역[8]은 시청이 막혀 있지만 한국에서는 시청이 가능하다. 북미 쪽에 TVB-USA가 있는데 미국, 캐나다, 멕시코, 페루, 파나마 아메리카를 중심으로 TVB 프로그램을 방영한다. TVB J1 채널은 지역제한으로 한국에서 시청이 막혀있어 VPN을 사용해야 볼 수 있다.

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 기간 중에 TVB 뉴스가 편파, 왜곡 보도를 자주 내보내면서 홍콩 시민들의 비판과 조롱을 받고있다. 민주파에서는 TVB의 멸칭 중 하나인 CCTVB로 부르기도 한다. 2020년 3월 RTHK 프로그램 방영 중단을 발표했는데 #, 그 이유가 헤드라이너(頭條新聞) 등 홍콩 정부와 홍콩 경무처에 비판적인 시사교양 관련 프로그램들의 전파를 의도적으로 막으려는 속셈이 아니냐는 의혹이 나왔다. 정작 똑같이 RTHK 프로그램을 내보내는 ViuTV나 Hong Kong Open TV는 RTHK 프로그램 방송 중단 계획이 없었다. 문제가 된 프로그램은 홍콩 상무부의 눈에 들어와 폐지되고, 시위 관련 프로그램 제작자 전원을 해고되었다.

평균 시청률은 거의 10~20%의 시청률을 보이고 있으며, 황금시간대 드라마는 30%, 대형 드라마는 최고 40~45%까지 올라가기도 한다. 하지만 2010년대 이후로는 이보다 더욱 떨어져서 황금시간대 드라마도 20%가 위태로운 상황이 자주 보여지고 있다. 그나마 코로나 판데믹 기간에 주중 황금시간대 시청률이 많이 올라가긴 했으나, 일시적인 현상으로 남을 가능성이 높다.

3. 로고 변천사

파일:TVB 로고 1967.svg 파일:TVB 로고 1972.svg 파일:HK-TVB 로고.png
창립시기
(1967년 ~ 1972년)
컬러 방송 시절
(1972년 ~ 1975년)
HK-TVB
(1975년 ~ 1991년)[9]
파일:TVB 로고.svg
TVB
(1991년 ~ 현재)

4. 사옥 변천사

파일:200908191639553efda.jpg 파일:20090819164010f51e1.jpg 파일:bkn-20140107222358137-0107_00822_001_04p.jpg
구룡반도 브로드캐스트 드라이브(Broadcast Drive, 廣播道)[10]에 위치해 있던 초대 사옥. 1967년부터 1988년까지 사용되었다. 현재는 아파트가 들어서있다.

파일:1458538414187_0E83FAB7E9F0E75EAA1F0A2160F2F609.jpg
당시 사옥은 aTV 구 사옥(오른쪽)과 엄청 가까이 있었다. aTV도 2010년대에 신계로 이전하였다. 두 사옥 사이의 공터에는 현재 RTHK가 들어서있다.

파일:e6b885e6b0b4e781a3e99bbbe8a696e59f8e_1.jpg
1988년부터 2003년까지 사용한 두 번째 사옥. 신계 사이쿵구 클리어 워터 베이(Clear Water bay, 清水灣)에 있었다.

파일:cgigNq9GQ1xSQ435oPKJeysHdkRrSe0g2EMz-thDM_o.jpeg.jpg

파일:fbia-20180414154533098-0414_31011_001_13p.jpg
한때 폐건물로 방치되어 있었다가 2021년 7월에 철거되었다.

파일:20090819163908de18c.jpg
2003년부터 지금까지 사용하고 있는 정관오 사옥.

5. 주요 인물

6. 채널

aTV보다 채널 수가 많다.[16] 케이블 채널도 몇개 있...긴 하지만 여러 방면에서 적자를 내고 있다.

해외 송출 채널도 몇몇 있으며 한국에서도 2006년 CMB와 합작법인 'TVB 코리아'를 세워 운영하였으나 2016년 6월 30일부로 계약 만료되며 철수했고, 법인마저 청산됐다.

2024년 4월 22일, 경제, 스포츠, 정보채널을 폐국하고, 그 자리에 봉황위성TV 홍콩채널 재전송을 시작했다. #

6.1. 지상파

2024년 4월 22일 채널 개편 기준이다.

6.2. 케이블

6.3. OTT

6.4. 인터넷 방송

6.5. 폐지 채널

7. 방영 프로그램

7.1. 뉴스


여담이지만 중국 CCTV 신문연파나 한때의 경쟁방송국이었던 aTV와 비슷하게 시그널 음악을 수십년째 돌려먹기로 유명하며, TVBS도 TVB 뉴스 시그널을 그대로 받아서 썼다가 2017년부터는 자체 음악을 쓰고있다. 특히 1970년대 무렵부터 써온 모스 부호는 유명하다.[24]


모스 부호를 해석한 영상인데 영상을 느리게 해서 모스 부호의 이해가 쉽도록 만들어졌다.

7.2. 드라마

1970년대~ 1990년대 수많은 명작을 배출하며 이름을 드날렸다.

여기 제작 드라마는 한국에도 비디오로 수입되었는데 국내에서는 비디오, 1987년 이후로는 서진통상(93)이라는 비디오회사[25]를 통해 홍콩 시리즈물을 봤던 사람들은 웬만하면 aTV는 몰라도 TVB는 알 것이다.[26]

하지만 현재 제작하는 드라마나 프로그램의 질도 예전만 못하다. 질이 낮아진 대표적인 이유가 창작부의 지위가 낮아졌다는 것. 그래서 표절논란에 시달린 작품도 몇개 있다.[27] 사실 2000년대 이전부터 경쟁사 aTV의 프로그램의 형식을 베껴갔다는 사실은 이미 홍콩 내부에서조차 잘 알려져 있으며, 2000년대 이후의 경우에서도, 2009년 빅히트를 친 《궁심계》도 부정적으로 보면 《 대장금》의 짝퉁이라고도 볼 수 있다.[28][29]

거기에 케이블 사업에 잘못 발을 들여놓는 바람에 많은 적자를 보게 되었다. 덕분에 TVB의 경영도 점점 안 좋아지고 있는게 현실이다.

결국 홍콩 국가보안법 통과까지 겹치며 가뜩이나 열악해지는 제작 환경이 더욱 위협받는 듯하자 수많은 스탭들이 퇴사 후 홍콩을 떠나서 싱가포르의 미디어코프의 드라마 제작부인 미디어코프 드라마(Mediacorp Drama)로 이적했으며 특히 중국어 채널[30] 내 드라마 제작부로 이적했다. 그래서 중국어 채널에서 제작한 싱가포르 드라마는 언어만 표준 중국어고 분위기가 왕년의 TVB 제작 홍콩 드라마하고 왠지 비슷한 느낌이 난다.

J2채널에서 한국 드라마를 방영하기도 한다. 2010년대 후반엔 SBS 드라마들을 많이 수입해서 방영했는데, 2021년 펜트하우스 시리즈를 방영하기도 했고 2022년에는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가 여기서 방영되었다.

7.2.1. 무협 드라마

7.2.2. 한국 드라마

7.3. 특촬물

7.4. 애니메이션

케이온!, 나루토 질풍전, 은혼을 J2 채널에서 방영하고 있으며, 이 외에도 태극천자문 등 몇몇 한국 애니메이션 작품들도 翡翠台에서 방송했었다. 강철의 연금술사 역시 여기에서 방송했다. 翡翠台 채널에서는 주로인 4시에서 5시 정도의 시간대에 애니를 편성하는 편이다.

J2채널에서는 마이너한 애니메이션을 많이 편성한다. 그것도 더빙음성다중으로 말이다. 더빙 퀄리티는 등장인물 나이에 맞지 않는 미스캐스팅 국어책 읽기 수준의 연기력이었지만, 최근엔 캐스팅과 연기력에서 많이 좋아졌다.

1996년 일본에서 울트라맨 티가가 방송될 때[31]도 여기서 방영했으며 이 작품의 주제가인 Take me higher는 저작권이 더럽게 복잡하게 꼬여서[32] 광동어로 새로 만들어 불렀다. 위에 나오는 논란과 달리 울트라맨 티가의 더빙은 무난한 편이었다. 그 외 울트라맨 넥서스, 울트라맨 맥스도 방영하기도 했다.

화면수정이나 편집은 그야말로 충공깽인 게 논크레딧 영상을 받기 귀찮았던 건지 제작사에서 주질 않은 건지 오프닝과 엔딩 등에 나오는 스탭롤이 전부 일본어다. 오프닝에 나오는 애니메이션 로고도 일본어인 경우가 많다. 가끔씩 영어로 되어있기도 하지만, 그건 TVB 측에서 작업한게 아닌, 제작사가 수출용으로 만들어 둔 영상이다. 이는 중화권의 많은 방송국들이 애니메이션 오프닝과 엔딩 수정을 잘 하지 않기 때문이다. 애니맥스 코리아를 제외한 애니맥스 해외법인들도 오프닝, 엔딩을 잘 수정하지 않는다.

2012년 이전까지는 애니메이션 주제곡을 번안/작곡했었다. 위의 울트라맨 티가도 저작권 문제 등으로 주제곡을 직접 작곡했었다. 지금은 원작자 요청인지 예산 문제인지 거의 번안이나 작곡을 하지 않고 있다. TVB의 애니메이션 번안곡으로는 한국에서도 유명한 게 몇가지 있는데 대표적으로 불사전설-강철의 연금술사 자동승리 Let's fight-디지몬 어드벤처가 있다.

대체로 일본 애니메이션 편성이 많긴 하지만, 가끔씩 미국 애니메이션도 방영하는 모양이다. 디즈니 만화동산을 하기도 했었다. 홍콩 만화도 나름대로 재미있는 작품들이 있기는 하지만 홍콩의 시장규모가 작아 홍콩 자체 애니메이션은 소수에 불과하기 때문에[33] 이들 만화가 애니화되는 일은 잘 없고 따라서 방영되는 일은 없다시피하다. 그리고 미국 애니메이션보다 편성률이 적긴 하지만 가끔씩 한국 애니메이션도 방영된다. 미국 애니메이션은 마블 시리즈나 배트맨, 슈퍼맨, 심슨 가족, 디즈니 시리즈 등 인지도가 넘사벽인 것들이라서 어쩔 수 없다.

7.4.1. 일본 애니메이션

7.4.2. 미국 애니메이션

7.4.3. 한국 애니메이션

일본 애니메이션과 다르게 이쪽은 주로 영문버전으로 제작한 수출판으로 송출한다. 그래서인지 주제곡이 영어일때도 있다.

7.5. 기타 프로그램

8. 영상

9. 사건사고



[1] 무선전시란 단어 자체가 중국어로는 지상파 방송을 의미한다. [2] 광동어 발음으로는 모신딘시, 표준 중국어로는 우셴뎬스. 綫은 線(실 선)의 이체자로, 홍콩 교육부에서도 線으로 가르치고 있으나, 홍콩에서는 綫을 많이 쓰는 분위기이다. MTR에서도 線이 아닌 綫을 쓴다. [3] 표준 중국어로는 뎬스광보요우셴궁쓰(Diànshìguǎngbō Yǒuxiàngōngsī)이다. [4] 將軍澳; Tseung Kwan O. 청콴오라고도 불린다. [5] 보통화로는 샤오이푸라고 하며 영어권에서는 런런쇼(Run Run Shaw)로도 알려져 있다. [6] 규정을 위반하여 1년도 안되어 해고되었다. [7] 중국, 미국, 대만, 베트남, 말레이시아 제외. 싱가포르는 VOD만 서비스 제공 [8] 중국 대륙, 타이완, 미국, 싱가포르, 베트남, 말레이시아 국가는 VPN으로 우회하여 시청 가능. [9] 다만 1991년에 TVB라는 사명을 본격적으로 사용하기 전까지 과도기라 할 수 있는 80년대에는 위의 로고에 홍콩(香港)이라는 한자가 빠진 채 HK-TVB라는 사명을 병행해서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며 한국의 서진통상에 수입된 무협물의 로고로도 사용했다. [10]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이 도로는 방송국들을 유치하기 위해 개발된 곳이다. 현재는 RTHK만이 남아있고 TVB, aTV는 모두 이전하고 그 자리에는 아파트로 재개발되었다. [11] 다만 點解阿Sir係阿Sir등 몇몇 드라마에서 한국 드라마의 컨셉을 베끼는 등의 이유로 이래저래 비판을 받기도 했다. 하지만 이건 이 작품만의 문제가 아니다. 아래 표절 관련 문장 참조. [12] 자매편은 공주가도도 꽤나 짭짤한 시청률을 남겼다. [13] 시즌 3까지 만들어졌다. 역시 우려먹기의 제왕 TVB!!! [14] CTV(佳藝電視)는 1978년에 폐국하였다. [15] 2008 사조영웅전, 선검기협전, 보보경심 등등의 제작사. [16] 이중 翡翠台를 비롯한 광동어 채널의 경우 모든 프로그램에 한자 자막을 입히고 있다. 물론 이게 다 정체자라는 사실은 논외로 하고... 대만이 좋아합니다. 디지털 방송 개시 이후엔 자막 선택에서 영어나 간체자로 바꿀 수 있다. [17] 2017년 8월 15일 기존 명칭인 互動新聞台에서 개명. [18] 싱가포르는 2018년 10월 26일에 서비스가 시작되었으나, TV 라이브 시청은 불가능하고 VOD만 볼 수 있다. [19] 네티즌이 붙이는 별명 CCTVB를 살짝 바꾼 것. [20] 히카리TV등에서 중국 방송을 위성 송출하는 기업인 다이후(大富)와의 합작으로 만든 채널. 2011년 9월 30일 방송 중지. [21] 2016년 2월 22일 기존 채널 명칭인 高清翡翠台에서 J5로 개편했다가 2017년 8월 15일에 無綫財經台로 개명했고, 2018년 1월 20일에 無綫財經·資訊台로 개명했다가 2022년 9월 5일부터 스포츠를 추가해 개명했다. 한때 저녁 8시 반부터 9시 15분까지 표준 중국어로 뉴스, 날씨, 경제, 시사 프로를 내보냈다. 이전에는 TVB Pearl에서 번체 자막을 달고 방송했는데, 이 채널로 옮기면서 자막도 간체자로 바꿔 홍콩 내 여러 언론에서 문제를 제기했다. # [22] 2020년 기준 Pearl에서 방영중 [23] 광동어로는 산만타우시에 가까우며 표준중국어로는 신원터우스(Xīnwén tòushì)이다. [24] 그 모스 부호를 해석하자면 – ·  ·  · – –  · · ·  –  – – –  – · ·  · –  – · – – . News Today, 오늘의 뉴스가 된다. [25] 보련 등 1986년판을 시작으로 1980년대 후반에서 1990년대 중반까지 비디오로 출시된 앞에는 먼저 서진통상의 로고가 나온 뒤 TVB 로고가 나오는 순서로 나왔으며 맨 마지막에는 저작권표시가 나왔었다. 1990년까지는 2D 애니메이션 형식으로 TVB로고가 선보였지만 그 이후부터는 3D 형식으로 나왔었다. [26] 하지만 aTV의 일부 작품들도 한국에 수입되어 비디오로 제작되기도 했다. [27] 국내(TVB Korea)에서 방송된 On The Road(원제-향세계출발/向世界出發)도 옆 방송국 aTV의 심조타향적고사(尋找他鄉的故事)와 성광반아행(星光伴我行), 종향항출발(從香港出發)의 형식을 카피했다. 외국을 표절하는게 아닌 같은 나라 걸 표절해 모를 뿐 표절 논란이 꽤 심각하다. [28] 대장금의 주인공인 서장금은 실존인물인데 반해 궁심계의 주인공 유삼호(劉三好)는 가상의 인물이다. [29] 그럼에도 궁심계는 한국의 케이블TV를 통해 방영되기도 했다. [30] 싱가포르는 다인종/다문화 국가로서 영어, 중국어, 말레이어, 타밀어의 4개 언어 방송이 모두 제공된다. 물론 제1언어인 영어 채널이 가장 많고 각 인종별 모국어로 1개씩 채널들이 배정된다. 드라마 역시 영어 드라마뿐만 아니라 중국어 드라마, 말레이어 드라마, 타밀어 드라마가 모두 제작된다. [31] 간사이 지방에선 방영되지 않았다. [32] 이 모든게 주제가를 부른 그룹 V6의 기획사였던 쟈니스 탓이다. 쟈니스는 오프라인 팬미팅이 아니면 팬들 버릇이 나빠진다는 명분으로 이런저런 방송 협조에 까칠하고 저작권도 민감해한다. [33] 애니화되어도 중국 본토와 합작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중국 본토는 시장 규모는 엄청나게 크기 때문. [34] 이 당시 방영하던 이름은 叮噹. [35] 참고로 미국 원판이 아닌 일본의 토에이가 약간 수정한 걸 수입했는지 시즌 3 분량 부터 "2010" 이란 부제가 붙는다. (2010이란 부제는 오로지 일본판에서만 붙음) [36] 국내 방영판은 TVB의 자회사인 Jade Animation에서 수입한 것이다. [37] 유튜브에 있는 디지몬 중국판 오프닝은 이 방송국에서 번안한 주제곡이다. [38] 2010년부터 J2채널에서 재더빙했다. 미소녀 전사 세일러 문 Crystal의 판권은 HKTVE가 가져갔다. [한일합작] [한일합작] [41] 다들 익히 알고있는 스누피라는 캐릭터가 주인공인 애니메이션이다. [42] 과거 흑백시절 제작된 프로그램이 끝나는 장면이 나온다. 終劇(종극; 극을 마친다.)이라는 자막이 나오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43] 국가와 같이 나오는 영상은 1975년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의 홍콩 방문 장면이다. [44] 본명 소담생(蘇潭生) [45] 홍콩 TVB의 음악 순위 프로그램. 방송 시간대는 RTHK 프로그램 편성 시간대에 따라 1년에 한번씩 변동된다. [46] 유니버설 뮤직 홍콩(環球唱片)과 부속 기획사, 소니 뮤직, 워너 뮤직(華納唱片), EMI 홍콩(百代唱片), bma 엔터테인먼트(博美娛樂) 등의 기획사. [47] 홍콩에서 가장 오래된 세개의 의원인 동화의원(東華醫院; 1870년 개원), 광화의원(廣華醫院; 1911년 개원), 동화동원(東華東院 ; 1929년 개원)을 합쳐서 일컫는 말로 병원 그룹 겸 복지단체다. [48] 세계에서 최장수 자선 프로그램으로 기네스북에 올라와 있는 자선 행사쇼. 1979년부터 매년 12월에 개최한다. [49] 해당 프로그램의 분류도 飲食旅遊, 번역하자면 음식 and 여행 관련 분류다. [50] 신동혁, 안명철, 지성호(북한인권단체 대표), 송벽(탈북 화가) 등이 출연하였다. 그러나 이 프로그램의 제작 시기가 2012년~ 2013년 사이라서 신동혁이 2015년에 번복한 증언 내용이 들어가 있다. 10회에는 이제 만나러 갑니다에 고정으로 출연했었던 이순실과 박예주(박연미)도 출연했으며, 고위층 탈북자의 경우, 얼굴이 보이지 않도록 조명을 꺼서 인터뷰했다. [51] 금수산기념궁전은 촬영이 엄격히 제한되어 있는 곳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