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BC < 투나잇 쇼>에 출연한 버락 오바마[1]와 호스트 제이 레노 |
1. 개요
게스트를 초대한 뒤 다양한 주제를 가지고 그 게스트의 이야기를 듣고 대화하는 형식으로 진행되는 TV 프로그램의 한 갈래. 위의 사진에서와 같이 소파(게스트)와 데스크(호스트)를 두고 만담을 나누는 식의 미국형 토크쇼가 가장 전통적인 형식 구조라고 볼 수 있다.2. 역사
2.1. 국내
일반적으로는 스튜디오에 앉아서 진행하며, 예외적인 케이스도 있으나 비교적 최근부터 각광받는 리얼 버라이어티나 서바이벌 오디션 프로그램과는 달리 전통적으로 꾸준히 사랑받는 장르로,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오히려 코미디, 예능 프로그램의 원조격인 미국과 유럽에서는 이런 토크쇼가 스탠드업 코미디, 콩트와 함께 주류이다. 최근에는 전 세계적으로 단순히 게스트들의 이야기만을 듣는 것이 아닌 토크를 하면서 게임이나 코너 등을 추가하는 버라이어티 토크쇼가 많이 등장했다.대한민국에서는 1989년 <자니윤 쇼>가 히트를 치기 시작하면서 여타 방송사에서 이러한 포맷을 돌려쓰기 시작해서 주말이나 프라임타임 때 많이 선보였고 인기를 끌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인기 하락과 방송 환경의 변화 등 여러 이유들로 서서히 사라져 갔고, 지금은 아침 시간대의 교양이나 비수기 시간대에나 주로 보이고, 프라임타임 시간대에는 왠지 보기 힘들며, 시청률이나 인기도 면에서도 흥행은 어려운 듯 보인다. 사실상 1995년 주병진의 <주병진 나이트쇼> 이후로는 프라임타임대 프로그램으로 토크쇼는 거의 나오지 않고 있으며, 그나마 SBS의 < 힐링캠프>가 사실상 정통 토크쇼로는 마지막 형태. 시스템상 가장 유사한 프로였던 MBC의 무릎팍도사는 포맷 자체는 정통 토크쇼지만, 실제로는 토크쇼의 형식으로 게스트의 진을 빼는 류의 예능 프로그램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한국의 경우 대부분 배우는 영화나 드라마가 새로 나올 때, 가수의 경우 새로운 곡이나 앨범을 발매할 때 홍보를 위하여 나오는 경우가 많다. 특히나 이런 경우 토크쇼의 주제가 작품에 대한 소개, 만들면서 있었던 에피소드, 해당 작품에 관련된 앞으로의 계획 등 대놓고 작품에 대한 단편적인 내용만 나와 시청자들에게 재미를 주기 위해 출연한 것인지 작품이나 그에 대한 행사 홍보만 하려고 나온 것인지 모를 수준일 때도 많다.
이는 국내에서 토크쇼가 점차 외면받게 된 이유 중 하나로, 시청자들이 홍보에 대해 반감을 가지는 경우가 많다는 점과 이 때문에 게스트 간 격차가 너무 커서 제작비용이 널을 뛴다는 점을 꼽는다. 그리고 한국의 셀러브리티들이 토크쇼에 출연하면서 개인적인 생각이나 성향, 그에 따른 다양한 에피소드들을 자유롭게 표현하지 않고 형식적인 네 or 아니오 수준의 단순한 답변과 얌전하게 미소짓는 리액션만을 보여주는 것이 거의 전부이다 보니 토크쇼가 재미 면에서도 잡지 인터뷰 수준만 못하게 되어버린 이유도 크다. 또한 되도 않는 수다나 줄창 떨어대는 유치하고 수준 낮고 질떨어지고 지루하고 도움도 안 되고 시끄럽다며 싫어하는 사람들도 많기도 하며, 마지막으로 대중매체의 발달로 특정 스타에 대한 이야기는 다른 방향으로도 알 수 있는 방법이 많이 생겨나서 굳이 토크쇼를 보지 않아도 되거나 다양한 종류의 프로그램들이 생긴 것과 방송 환경의 변화도 쇠락의 원인으로 꼽는다.
때문에 한국 연예계 특성상 한 명의 인터뷰어가 한 사람의 게스트를 가지고 이야기하면서 내용이 적어질 수 밖에 없는 1인 토크쇼보다는 일명 떼토크[2], 여러 명의 MC와 여러 명의 패널, 여러명의 게스트가 여러가지 주제로 떠들어 내용이나 재미를 보충하는 잡탕형 토크쇼가 현재 한국 예능 토크쇼의 주류 겸 트렌드가 된 것. 대표적으로 < 라디오 스타>, < 해피투게더>, < 세바퀴>, < 강심장>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선 그나마 라디오 스타가 토크쇼의 본질인 리얼하면서도 수위 높은 다양한 질문들을 통해 게스트의 솔직한 생각과 리액션, 개인적인 에피소드들을 조금이나마 볼 수 있는 편이다.
2.2. 국외
대한민국 연예계와 비슷하게 개인을 드러내는 것을 꺼리는 일본 연예계 또한 이런 이유로 정통 토크쇼보다는 자극적이면서 다양한 기획의 스튜디오 예능, 리얼 버라이어티, 관찰 예능, 체험 예능, 게임 형식이 많이 가미가 된 떼토크가 예능계 주류다. 예전의 한국이 일본 예능 프로그램들을 벤치마킹한 이유 중 하나라고 볼 수 있는 점이다. 쿠로야나기 테츠코가 테레비 아사히에서 진행하는 <테츠코의 방> 역시 현재까지 일본에 남아 있는 얼마 안 되는 정통 토크쇼에 해당한다.미국의 경우도 종종 홍보 차원의 출연도 물론 많지만, 이미 이름을 널리 알린 배우나 정상에 오른 뮤지션, 운동선수, 정치인 등 유명인사들이 홍보 목적과는 별개로 개인적으로 나오고 싶어서 출연하는 경우가 더 많다. 토크쇼 문화가 가장 발달한 미국의 경우, 아래 목차에 열거되어 있는 심야 토크쇼들은 가장 시청률 경쟁이 치열하기로 유명하며, 그만큼 미국의 미디어에서는 뉴스 프로그램 못지 않게 상징적인 장르이기도 하다. 미국 대통령이나 영부인이 출연하여 애드립과 우스갯소리 수준의 말장난부터 심도깊은 주제의 토크는 물론이고 심지어 망가져가면서 콩트까지 하는 것은 미국인들에게 그다지 낯선 광경이 아니다. 유럽 국가들에서도 미국의 포맷을 모방한 토크쇼들이 인기를 얻고 있다.
3. 목록
- 말 그대로 정통 토크쇼 그 자체인 경우 볼드로 작성.
- 인지도가 높은 방송 프로그램: ☆
3.1. 국내
3.1.1. 지상파
3.1.1.1. KBS
- 자니 윤 쇼(1989~1990)
- 대국민 토크쇼 안녕하세요(☆)(2010~2019)
- 해피투게더 시리즈(☆)(2001~2020)
-
서세원쇼(1996~2002) - 박중훈쇼 대한민국 일요일 밤
- 샴페인
- 상상플러스(☆)(2004~2010)
- 김승우의 승승장구(2010~2013)
- 아침마당(1991~)
- 행복채널(1998~2003)
- 여유만만(2003~2018)
- 그녀들의 여유만만(2018~2019)
- 일요일은 즐거워 MC대격돌 - 위험한 초대(2002~2003)
3.1.1.2. MBC
- 주병진 나이트쇼
- 라디오 스타(☆)(2007~)
- 공감토크쇼 놀러와(☆)(2004~2012)
- 세바퀴(☆)(2008~2015)[3]
- 황금어장 - 천기누설 무릎팍도사(☆)(2007~2011, 2012~2013)
- 주병진 토크 콘서트(2011~2012)
- 배철수 잼(JAM)
- 명랑 히어로
- 무한도전 퀴즈의 달인
-
거성쇼
3.1.1.3. SBS
- 주병진 데이트라인
- 이승연의 세이 세이 세이(1998)
- 김혜수 플러스 유(1998~2000)
- 신동엽 김원희의 헤이헤이헤이(☆)(2002~2003)
- 야심만만 만명에게 물었습니다(☆)(2003~2008)
- 강심장 #(☆)(2009~2013)
- 강심장 리그(2023)
- 힐링캠프(☆)(2011~2016)
- 이홍렬쇼(1996~1998, 1999~2001)
- 이동욱은 토크가 하고 싶어서(2019~2020)
- 고쇼(2012)
- 틈만나면, (2024)
- 화신 - 마음을 지배하는 자(2013)
3.1.2. 케이블
- 순위 정하는 여자 시리즈
- 비디오 스타(☆)(2016~2021)
- 새롭게 하소서(☆)(1980~)[5]
-
XY그녀
3.1.2.1. tvN
- 유 퀴즈 온 더 블럭(☆)(2018~)[6]
- 현장토크쇼 TAXI(☆)(2007~2017)
- 화성인 바이러스(☆)
- 화성인X파일
- 인생술집(☆)(2016~2019)
- 백지연의 피플 INSIDE
3.1.3. 종합편성채널
3.1.3.1. MBN
3.1.3.2. JTBC
3.1.3.3. 채널A
3.1.3.4. TV조선
3.1.4. OTT
3.1.5. YOUTUBE
3.2. 해외
3.2.1. 미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font-size:0.85em" |
|||||
The Tonight Show Starring Jimmy Fallon |
The Kelly Clarkson Show |
Late Night with Seth Meyers |
The Late Show with Stephen Colbert |
The Late Late Show with James Corden |
|
지미 팰런 | 켈리 클락슨 | 세스 마이어스 | 스티븐 콜베어 | 제임스 코든 | |
Jimmy Kimmel Live! |
Amanpour & Company |
Real Time with Bill Maher |
Last Week Tonight with John Oliver |
The Daily Show with John Stewart |
|
지미 키멜 | 크리스티안 아만푸어 | 빌 마허 | 존 올리버 | 존 스튜어트 | |
Fox & Friends |
Gutfeld! |
Desus & Mero |
|
My Next Guest Needs No Introduction with David Letterman | |
스티브 두시, 에인슬리 이어하르트, 브라이언 킬미드, 제니스 딘, 칼리 심커스, 로렌스 존스, 윌 케인, 레이첼 캄포스-더피, 피트 헤게스, 릭 라이히무스, 로렌스 존스 | 그렉 구트펠트 | 데수스 나이스, 더 키드 메로 | 데이비드 레터맨 | ||
신디케이션 자체 제작 | |||||
The Amber Ruffin Show |
The Kids Tonight Show |
The Drew Barrymore Show | The Jennifer Hudson Show | ||
앰버 러핀 | 레커 딘스, 딜런 길머, 미칼-미셸 해리스, 올리비아 페레즈 | 드루 배리모어 | 제니퍼 허드슨 | }}}}}}}}} |
- NBC
- 더 투나잇 쇼(The Tonight Show)(1954~): NBC의 살아있는 역사와도 같은 장수 프로그램이자 토크쇼의 본좌. 역대 호스트와 관련 역사는 문서 참조.
- 레이트 나이트(Late Night)(1982~): 초창기 프로그램 제작자이자 호스트가 바로 데이비드 레터먼(1982~1993)이었으며, 이후 코난 오브라이언(1993~2009), 지미 팰런(2009~2014)을 거쳐 2014년부터는 SNL Weekend Update의 진행자 출신인 세스 마이어스가 진행을 맡고 있다. 보통 레이트 나이트의 진행자가 차기 투나잇 쇼 진행자가 된다.
- 라스트 콜(The Last Call with Carson Daly)(2002~2019)
- CBS
- 더 레이트 쇼(The Late Show)(1993~): 데이비드 레터먼(1993~2015)이 NBC 레이트 나잇을 코난 오브라이언에게 물려주고 이적해서 만든 쇼. 2015년 가을부터 스티븐 콜베어가 진행한다.[7]
- 더 레이트 레이트 쇼(The Late Late Show)(1995~2023): 1995년에 신설되어 톰 스나이더가 1999년까지, 크레이그 킬본이 2004년까지, 2005년부터 2014년까지 크레이그 퍼거슨이, 2015년 봄부터 제임스 코든이 진행하다가 2023년 종영했다.
- 애프터 미드나이트(After Midnight)(2023~): 레이트 레이트 쇼 후속으로 테일러 톰린슨이 진행한다.[8]
- CNN
- 래리 킹 라이브(Larry King Live)(1985~2010): 오락이 주인 대부분의 토크쇼와 달리 이쪽은 주로 뉴스 인터뷰 형식이다.
- 코미디 센트럴
- 더 데일리 쇼(The Daily Show)(1996~): 정치시사 토크쇼. 크레이그 킬본이 1999년까지 맡았다가 존 스튜어트가 2대 MC로 들어오면서 전성기를 맞았다. 시사 토크쇼의 개념을 정립한 레전드 프로그램으로 평가받는다. 존 스튜어트는 2015년 가을까지 맡았으며, 이후 트레버 노아가 2022년까지 진행했다. 현재 1년 가까이 후임 MC를 확정하지 못해 매주 스페셜 MC를 불러 방송하고 있다.
- 콜베어 르포어(The Colbert Report)(2005~2014): 스티븐 콜베어가 진행하던 데일리 쇼의 한 코너였으나, 인기가 좋아지자 독립 편성되었다. 콜베어가 CBS 레이트 쇼로 이적하면서 종영.
- 더 나이틀리 쇼(The Nightly Show with Larry Wilmore)(2015~2016)
- 신디케이션[9]
- 더 오프라 윈프리 쇼(The Oprah Winfrey Show)(1986~2011)
- 엘런 디제너러스 쇼(The Ellen DeGeneres Show)(2003~2022)
- 켈리 클락슨 쇼(The Kelly Clarkson Show)(2019~)
3.2.2. 기타
- 닛폰 테레비
- 11PM(1965~1990): 상술된 투나잇 쇼를 바탕으로 만든 심야 토크쇼 프로그램이다.
- 테레비 아사히
- 테츠코의 방(1976~): 일본의 국민배우 쿠로야나기 테츠코 여사가 진행하는 일본의 유일하게 남은 정통 토크쇼이자 진행자 교체 없이 제일 오래 방영한 토크쇼.
- BBC
- 그레이엄 노튼 쇼(The Graham Norton Show)
- 러시아 채널1
-
비체르늬 우르간트(Вечерний Ургант - Evening Urgant): 러시아의 유명 TV쇼 호스트 이반 우르간트[10]가 진행하는 이브닝 토크쇼. 미국식 토크쇼와 플랫폼이 비슷하다.2022년 3월 8일 호스트 이반 우르간트의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반대 표명으로 인해 무기한 방영 중지.
- 카날 플뤼스
- 르 그랑 주르날(Le Grand Journal)
[1]
오바마 대통령은 이 외에 다른 토크쇼 프로그램에도 종종 출연했다.
[2]
일본에서는 이러한 집단 토크쇼가 TV 예능의 주류가 되어,
히나단 게닌이라는 코미디언 분류도 생겨났다.
[3]
초창기에는 퀴즈 비중이 많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여느 토크쇼와 다름이 없어졌다.
[4]
프로그램의 제목 변경.
[5]
1980년부터
2002년까지는 라디오 단독 프로그램이었다.
[6]
초창기에는 이름답게 퀴즈의 비중도 많았지만,
사회적 거리두기 이후에는 사실상 여느 토크쇼와 다름 없어졌다.
[7]
동시에
존 스튜어트가 공동 제작책임자(EP)로 합류했다.
[8]
스티븐 콜베어가 공동 제작책임자(EP)를 맡는다.
[9]
특정 방송국에 의해 고정 편성되는 쇼가 아니라, 제작사가 자체 제작한 뒤 각 방송국에 제공하는 방식.
[10]
러시아 월드컵 조추첨식에서 사회자로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