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6 03:02:06

38식 소총

38식 보병총에서 넘어옴
Type 38 rifle
三八式步兵銃
38식 보병총
파일:Aris_38.jpg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종류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 볼트액션 소총
원산지
[[일본 제국|]][[틀:국기|]][[틀:국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이력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역사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 1908년~ 1975년[1]
개발 아리사카 나리아키라
난부 키지로
개발년도 1905년
생산년도 1908년~ 1945년
생산수 3,400,000정
사용국
[[일본 제국|]][[틀:국기|]][[틀:국기|]]

[[만주국|]][[틀:국기|]][[틀:국기|]]

[[러시아 제국|]][[틀:국기|]][[틀:국기|]]

[[핀란드|]][[틀:국기|]][[틀:국기|]]
사용된 전쟁 제1차 세계 대전
에스토니아 독립전쟁
러시아 내전
핀란드 내전
만주사변
제2차 세계 대전
중일전쟁
태평양 전쟁
인도네시아 독립전쟁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국공내전
6.25 전쟁
베트남 전쟁
기종
원형 30년식 소총
파생형 38식 기병총
44식 기병총
북지 19식 소총
북지 19식 기병총
97식 저격총
1식 소총
제원
탄약 6.5×50mmSR 아리사카 (38년식 실포)
급탄 5발 내부탄창
작동방식 볼트액션
총열길이 800mm
전장 1,275mm
중량 4.19kg
탄속 762m/s
유효사거리 366~457m
최대사거리 2,377m }}}}}}}}}
1. 개요2. 설명3. 파생형
3.1. 38식 기병총3.2. 44식 기병총3.3. 북지 19식 소총3.4. 북지 19식 기병총3.5. 97식 저격총3.6. 1식 소총3.7. 918식 보총3.8. 육오보총3.9. 96식 탄창 38식3.10. 협착사격용소총3.11. 전차포사격훈련용소총
4. 매체에서의 등장
4.1. 영화 & 드라마4.2. 만화 & 애니메이션4.3. 게임
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아리사카 소총 시리즈 중 가장 보편적인 유형이다. 1905년 (메이지 38년)에 채용되어 이듬해 제식 화기로 지정된 후,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줄기차게 써먹은 일본군의 주력 볼트액션 소총이다.

이름의 유래는 채용 연도인 메이지 38년(明治38年)이다. 38식 기병총과 구분하기 위해 38식 보병총(三八式歩兵銃 さんはちしきほへいじゅう)이라고도 부른다.

2. 설명

육군 포병 공창에 소속되어 있었던 아리사카 나리아키라(有坂成章)가 개발한 30년식 소총을 살짝 개량한 총이다. 변경사항으로는 제식명에서 이 생략된 것[2] 외에도 부품 간소화와 먼지덮개[3] 추가가 있다.


해당 소총의 완전분해 영상

오늘날 먼지덮개가 없는 38식 소총들이 자주 발견되는 것에 대해 "소음과 작동불량 문제가 있어 일선 병사들은 떼고 사용했다" 라는 설이 널리 퍼져 있는데, 이는 이 소총을 노획하는 과정에서 덮개를 떼고 본토로 돌아간 연합군 병사들과 그 후손들에 의해 퍼진 낭설에 가깝다.[4] 작동을 방해했다는 내부기록이 없다는 것은 둘째치고, 만약 실제로 작동 불량의 요소가 있었다고 해도 위 동영상에서도 언급되듯 국장이 찍혀나오는 천황폐하께서 하사한 제식소총을 감히 제멋대로 개조하거나 관리를 소홀히 하는 것은 일본군에서 상당히 심각하게 처벌받는 행위였다. 기본적으로 모든 개인장비는 부품이 하나도 빠지지 않도록 항상 최상의 조건으로 관리하는 것이 일본군의 규정이었다.

사용 탄약은 6.5×50mmSR탄인데 30년식 소총에 사용된 탄과는 다소 다르다.[5]

초기에는 강선이 6조 우선이었으나, 1921년에 생산성 향상 등의 이유로 4조 우선으로 변경되었다.

반동이 적어 다루기 쉬웠으며 총열이 길어 총구화염도 적은 편이다. # 무엇보다 볼트액션식으로 구조적으로 매우 간단하고 부품 수도 적어 고장도 적고 분해 청소하기가 빠르고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총의 전체 길이가 긴 편이라 키가 작은 일본인 병사들이 다루기가 불편하다는 단점도 있다. 착검을 하면 거의 일본병사들의 키와 맞먹을 정도였다.

유럽에서 영국과 러시아가 1차대전 즈음 구입하여 사용했으며 러시아가 구입한 38식 소총은 이후 노획이나 공여를 통해 몇몇 국가의 2선 장비로 사용되었다. 또한 러시아 제국이 개발한 표도로프 자동소총은 당시 주력소총탄보다 작고 반동이 적으면서 이미 수입된 량이 꽤 되는 이 소총의 탄을 중간탄 개념으로 채용하였다. 아시아에서도 상당한 인기를 끌었으며 돤치루이 정권은 이 총을 상당수 구매하기도 했고 데라우치 마사타케 내각으로부터 제1차 세계 대전 참전을 계기로 공여받기도 했다. 이후 중국에서도 꽤 보이는 총이 되었다.

1941년 99식 소총이 생산되기 시작하며 서서히 대체되었으나 38식 소총의 생산도 일본이 항복할 때까지 계속되었고 이미 생산한 물량도 많았기에 종전까지 두 소총 모두 사용된다.

2018년 8월경, 일본 서도쿄시 타나시소학교의 건물 공사중에 1400여정의 38식 소총이 발굴된 적이 있는데 # 영상으로 보아 38식 보병소총으로 보이고 다수의 총검과 탄창(96/99식 경기관총용으로 보임)이 함께 출토 되었다.

3. 파생형

바리에이션으로는 기병용으로 길이를 줄인 38식 기병총과 44식 기병총, 1937년부터 배치된 97식 저격총과 중국 현지에서 생산된 북지 19식 소총[6]과 북지 19식 기병총 등이 있다.

3.1. 38식 기병총

파일:Aris_38C.jpg
사격 영상
38식 기병총(三八式騎銃 さんはちしききへいじゅう)은 길이를 300mm 정도 줄인 기병용 사양이다. 물론 기병만 사용하지는 않고 포병, 공병, 헌병[7], 치중 병과 등의 후방 지원부대에서도 짧고 가벼워서 많이 들고 다녔고, 심지어는 일반 보병 중에서도 일부가 들고 다녔다. 한국군의 K1 기관단총 같은 감각

3.2. 44식 기병총

파일:Aris_44C.jpg

44식 기병총(四四式騎銃 よんよんしききへいじゅう)은 아리사카 소총 중 유일하게 대검이 고정되어 생산되는 소총인데, 약간 짧은 것 빼고는 성능은 일반형과 비슷하다. 일본군 소총으로서는 특이하게 멜빵고리가 앞쪽은 우측, 뒤쪽은 좌측에 걸게 되어 있는데 이는 기마 상태에서의 빠른 총구방향 전환을 위한 것이다. 9만여 정이 생산되었으며 주로 기병을 엘리트로 보는 시선덕분에 인기가 좋았다. 또한 초기형은 장인들 손에 만들어져서 명중률이 좋았다. 전쟁 중에는 기병의 효율성 문제[8]로 주로 공수부대 등 단총신 소총을 써야하는 부대들에 많이 지급되었다.

3.3. 북지 19식 소총

파일:attachment/northernchinatype19rifle.jpg
파일:attachment/northernchinatype19rifleupper.jpg
총의 윗부분에는 국화 무늬 대신 벚꽃 무늬가 새겨져 있다.
북지 19식 소총(北支一九式步槍)

중국 내의 일본 점령지 내에서 생산된 바리에이션으로 38식 기병총에서 유래한 북지 19식 소총이 있다. 쇼와 19년(1944년, 즉 전쟁 말)에 북지(북중국)에서 만들어졌다는 의미이다. 성능? 남부 권총의 현지 생산 버전인 북지 19식 권총도 개판이라고 날림으로 만들어서 욕 먹는데[9][10] 이거라고 뭐 다를까.(...) 사실 엄밀히 말하면 이 총은 민간 회사에 의해 제조된 사제 총기이다.[11] 이런 북지 19식 소총과 권총은 처음에는 일본군이 직접 사용하기보다는 일본의 괴뢰국인 왕징웨이 정권의 군대인 화평건국군이 쓸 목적으로 만든 총일 가능성이 높은데 알다싶이 전쟁말 일본군의 상황을 생각하면 자기들 쓸 총도 없는 일본군이 자국 조병창에서 만든 총을 화평건국군에게 줄 상황이 아니니 저런게 나온 걸로 보이며 그러다가 무기가 부족해지니까 일본군도 사용하게 된 걸로 추정된다.

3.4. 북지 19식 기병총

파일:external/shejichang.ezweb2-1.35.com/ed75f282f7a098a9420eabf23ca3c784.jpg
북지 19식 기병총(北支一九式马枪)

중국 내의 일본 점령지 내에서 생산된 38식 소총의 바리에이션으로 쇼와 19년(1944년, 즉 전쟁 말)에 북지(북중국)에서 만들어진 기병총으로 전쟁 말기의 일본군 무기들이 그렇듯 성능은 딱히 좋지는 않다.

3.5. 97식 저격총

파일:Aris_97.jpg

97식 저격총(九七式狙擊銃)은 나고야 고쿠라 조병창에서만 제조했다. 38식을 기본으로 하였지만 더 가벼워진 스톡과 꺾인 볼트, 낮아진 방아쇠압 등 차이점이 꽤 있다. 보병용 소총에 대충 망원경 붙여서 저격총이랍시고 던져주던 일이 다반사였던 당시에 드물게 제작부터 저격소총 목적으로 만들어진 소총이다.

파일:external/79e9e1555f85bb232b6bbba8fc05625d88c547f975022ba73d43d378f300e50a.jpg
2.5배율 망원조준경이 공장에서 영점이 맞춰진 상태로 나오기에 영점 수정이 불가능했고 이를 대신해 조준경의 눈금을 이용해서 오조준을 해서 탄착 오차를 수정하는 방식이다. 당시의 저격소총 조준경 치고는 꽤 선진적인 면도 있었는데, 먼저 십자선이 가운데에 교차하는 점이 300m에서의 기준으로 되어있다. 세로선이 거리측정용, 가로선이 풍향측정용이다. 당시에 독일, 소련, 미국, 영국의 저격용 스코프들은 죄다 일자 십자선 뿐이었고 오로지 사수의 감으로만 조절을 했어야했다. 2.5배율은 저격소총 치고는 낮은 배율이긴 했지만 중일전쟁 당시 시가전이나 태평양 전쟁 당시 정글 안에서는 교전거리가 당시 보편적으로 쓰이던 소총들의 사거리에 비해 크게 짧았기에 기본 배율의 크기가 그리 큰 문제가 되지는 않았다.

게다가 상대적으로 구경이 작은 데다 총열이 800mm나 되는 38식을 기반으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총구화염과 총성이 작았으며, 거기에 더해 일본군 저격수는 총구화염과 총성이 적은 기관총용 탄약[12]을 지급받았기에, 미군이 '거미굴'이라고 불리는 은폐진지나 나무 위에 숨은 저격수를 탐지하는 일이 어려워졌다.[13] 여기에는 뛰어난 위장 및 은폐 능력과 실패를 치욕으로 알던 일본군의 분위기 덕분에 죽을 때까지 총을 놓지 않는 근성도 한 몫했다.

그리고, 그 당시 저격총이 대부분 그랬다시피, 망원조준경이 노리쇠와 탄피 배출 때문에 왼쪽에 있다.

이후 99식 소총이 등장하면서 99식 중 명중률이 좋은 것을 따로 뽑아 저격총으로 이용하였다.

참고로 핀란드에서도 이 물건을 저격총으로 이용하려고 검토했던 적이 있다.

3.6. 1식 소총

파일:17958762_1.jpg

일본군의 공수부대용 소총.[14] 2식 소총과는 다르게 분리되지 않지만 개머리판이 접히는 것이 특징이다. 다만 접히는 방식의 신뢰성이 충분하지 않았기 때문에 도입되지 않았다. #

3.7. 918식 보총

파일:918식.jpg

북만주 조병창에서 생산한 38식. 918식 이라는 명칭 당시 북만주 조병창의 또다른 이름이 제 918 조병창 이라서 라고 한다.

3.8. 육오보총

파일:Aris_65.jpg
옌시산 군벌의 카피품 소총이다.

3.9. 96식 탄창 38식

파일:1000012430.jpg

96식 기관총의 탄창을 쓸 수 있게 개조한 시제품. 기관총 탄창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 이외엔 개조전과 같다.

3.10. 협착사격용소총

협착사격용소총(狭窄射撃用小銃)은 38식 소총의 조작 방법 등을 숙달시키기 위해 제작된 훈련용 총기이다.[15] 실탄 대신, 납 구슬을 탄두로 사용하는 6.5mm 협착사격실포(狭窄射撃実包)[16][17]를 사용했다.

3.11. 전차포사격훈련용소총

전차포사격훈련용소총(戦車砲射撃訓練用小銃)은 90식 57mm 전차포[18] 94식 37mm 전차포[19]의 사격 훈련을 위해 전차포 후면에 장착하여 사격할 수 있도록 제작된 훈련용 총기이다.[20]

4. 매체에서의 등장

제2차 세계 대전을 배경으로 한 작품에서 일본군들의 제식 소총으로 등장한다. 특히 99식 소총도 적잖게 쓰인 태평양 전선과는 달리 아시아 전선은 사실상 38식의 독주였기에, 중일 전쟁을 묘사할 때는 반드시 등장한다.

4.1. 영화 & 드라마

파일:external/image11.m1905.cn/20150827094531435358.jpg }}} ||
파일:external/image11.m1905.cn/20150827094531663474.jpg
||<width=33%>
파일:external/image11.m1905.cn/20150731102213518300.jpg
||
관동군을 포함한 일본 육군 기병들과 헌병들이 38식을 들고 나온다.
파일:external/www.imfdb.org/GBW_Arisaka_01.jpg }}} ||
파일:external/www.imfdb.org/GBW_Arisaka_02.jpg
||
당연히 일본군들이 사용한다. 보병들은 38식을, 기병들은 44식을 사용한다.

4.2. 만화 & 애니메이션

4.3. 게임

5. 둘러보기

제1차 세계 대전기의 연합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564d44> 제1차 세계 대전
연합군 보병장비
파일:영국 국기.svg · 파일:러시아 국기.svg ·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개인화기 <colbgcolor=#564d44> 소총 <colbgcolor=#564d44> 볼트액션 리-메트포드, 리-네이비, 리-엔필드, 리-스피드, P14, M1917 엔필드, 크로파첵 M1884, 르벨 M1886, 베르티에, K11, 베테를리 M1870/87, M1870/87/15, 모신나강, 베르단, 그라, 샤스포 M1866/74, 무라타, 카르카노, 크라그-에르겐센, 마우저 M1889, 마우저 M1893, 로스 소총, 30년식 소총, 38식 소총, 스프링필드 M1903
레버액션 / 폴링ㆍ롤링ㆍ리프팅블록 / 트랩도어 스나이더 Mk.III, 콤블랭 M1870, 레밍턴 롤링블럭, 알비니-브랭들랭, 크른카 M1867, 파콰슨 M1872, 밀로나스 M1872, 스프링필드 M1873, 마티니-헨리, 윈체스터 M1886, 윈체스터 M1892, 윈체스터 M1894, 윈체스터 M1895, 새비지 M99D
반자동 레밍턴 모델 8, M1907 SL, 뫼니에 M1916, RSC M1917, RSC 1918, MAB 18, M1903 Mk 1, 브리티쉬 1918 파콰르-힐, 류장군 소총E
자동 리베롤 1918E, 윈체스터 버튼 1917E, M1907/17, 체이-리고티E, 표도로프, M1918 브라우닝
기관단총 OVP 1918, 쇼샤-리베롤 기관단총E
산탄총 M1897, M1912, 레밍턴 모델 11, 레밍턴 M10, 셰그렌 산탄총, 스티븐스 M520
권총 리볼버 콜트 M1873, 엔필드 Mk.II, 웨블리, MAS 1873, 보데오 M1889, S&W M10, 웨블리-포스베리E, 콜트 M1901, Mle 1892, 26년식 권총, 나강 M1895, S&W M3, S&W 트리플 락, 콜트 M1909, M1917
자동권총 C96, 마스E, FN M1900, FN M1903, 콜트 M1903, 새비지 M1907, FN M1910, 웨블리 권총, 리센티 M1910, M1911, 루비, 스타 M1914, 베레타 M1915/17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마드센 M1902, 루이스, 호치키스 M1909, CSRG M1915, 휴오트E
중기관총 가드너, 맥심, M1895/14 콜트-브라우닝, 빅커스, 호치키스, 생테티엔 M1907, PM M1910, 38식 기관총, 3년식 기관총, 페리노 M1908, 피아트-레벨리 M1914, 빌라르-페로사 M15, M1917 브라우닝
박격포 3인치 스토크스 박격포
유탄발사기 마티니 유탄발사기
유탄 No.1 수류탄, No.2 총류탄, 밀즈 수류탄, RG-14, F-1, Mk.1, Mk.2, Mk.3, 비방-베시에
경야포 빅커스 Q.F. Gun, Mk II, 37mm Mle 1916 보병포
냉병기 도검 구군도, M1902 세이버, U.S M1917 트렌치 나이프, U.S M1918 Mark I 트렌치 나이프
※ 윗첨자E: 테스트만 치른 후 제식 채용되지 않음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무기체계 둘러보기 : 파일:영국 국기.svg · 파일:러시아 국기.svg ·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일본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736942> 중일전쟁 제2차 세계 대전
일본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colbgcolor=#736942> 소총 <colbgcolor=#736942> 볼트액션 소총 13년식 소총, 30년식 소총, 35년식 해군총, 38식 소총, 44식 기병총, 97식 저격총, 99식 소총, 99식 저격총, 100식 소총, 1식 소총, 2식 소총, 간이 소총, 모식 소총, 이식 소총
반자동소총 갑형 자동소총, 을형 자동소총, 병형 자동소총, 4식 자동소총
기관단총 M1927 기관단총, 1형 기관단총, 2형 기관단총, 100식 기관단총, 베식 기관 단총, MAB 38
권총 자동권총 남부 권총, 15년식 권총, 스기우라식 권총, 하마다식 권총, 94식 권총
리볼버 26년식 권총
조명탄 권총 90식 신호권총, 97식 신호권총, 해군 4식 더블배럴 산탄권총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11년식 경기관총, 96/99식 경기관총, 92식 7.7mm 기총, 시제 1식/3식 경기관총
중기관총 3년식 기관총, 92/1식 중기관총, 93식 중기관총, 89/97식 고정 기관총, 98식 중기관총, 97식 중기관총, 98/1식 선회 기관총, 99식 기총
대전차화기 97식 자동포, 4식 7cm 분진포, 5식 8cm 분진포, 99식 파갑폭뢰, 갈고리 폭탄, 자돌폭뢰
화염방사기 93식 소화염발사기, 100식 화염발사기
척탄통 및 박격포 10식 척탄통, 89식 척탄통, 97식 곡사보병포, 94식 90mm 박격포, 96/97식 150mm 박격포
유탄 91식 파쇄 수류탄, 10식 파쇄 수류탄, 수류탄/일본군, 100식 총류탄발사기, 2식 총류탄발사기
냉병기 군도 일본 군도( 구군도/ 신군도), 30년식 총검, 35년식 총검
취소선 : 실전에 투입되지 않음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일본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만주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color=#373a3c> 제2차 세계 대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0px-Flag_of_Manchukuo_WarFlag_And_Naval_Ensign.svg.png 만주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colcolor=#373a3c>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 88식 소총, 30년식 소총, 38식 소총, 99식 소총, 38식 기병총, 44식 기병총, 모식 소총, 13식 소총
기관단총 MP18, EMP35
권총 C96, M900, M1900, M1910, P08, 26년식 권총, 94식 권총, 남부 권총, 브라우닝 하이파워, M1911
지원화기 기관총 11년식 경기관총, 96/99식 경기관총, Vz.26, 3년식 기관총, 92식 중기관총
유탄 10식 척탄통
냉병기 군도 일본 군도( 구군도/ 신군도)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만주국 국기.svg 만주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몽강국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color=#373a3c> 제2차 세계 대전
파일:Menjiang_Flag_(1936)_svg.png 몽강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colcolor=#373a3c>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 88식 소총, 30년식 소총, 38식 소총, 99식 소총
기관단총 MP18, M1920, MKMO
권총 26년식 권총, 마우저 C96, 남부 권총, 루거 P08
지원화기 기관총 루이스 경기관총, 11년식 경기관총, Vz.26, 92식 중기관총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몽강연합자치정부 국기.svg 몽강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화평건국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color=#373a3c> 제2차 세계 대전
화평건국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colcolor=#000096>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 88식 소총, 24식 소총, Vz.24, Wz.29, Kar98k, 38식 소총, 만리허 M1895, 카르카노
기관단총 MP18, SIG M1920, 톰슨 기관단총
권총 C96, 남부 권총, 북지 19식 권총
지원화기 기관총 Vz.26, 24식 중기관총, 11년식 경기관총, 3년식 기관총, 쇼샤
박격포 27년식 척탄통
유탄 23식 수류탄, 91식 수류탄, 97식 수류탄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의 운용장비 |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버마국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color=#373a3c> 제2차 세계 대전
버마 국민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colcolor=#373a3c>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 30년식 소총, 38식 소총, 리-엔필드
기관단총 M1928A1, M1A1, 스텐 기관단총
권총 남부 권총, 웨블리 리볼버
지원화기 기관총 3년식 기관총, 11년식 경기관총, 빅커스 기관총, 루이스 경기관총, 브렌 경기관총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버마국 국기.svg 버마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인도 국민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color=#373a3c> 제2차 세계 대전
인도 국민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colcolor=#373a3c>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 리-엔필드, 38식 소총, 99식 소총
기관단총 톰슨 기관단총, 100식 기관단총
권총 웨블리 리볼버, M1911A1, 남부 권총, 94식 권총
지원화기 기관총 루이스 경기관총, 브렌 경기관총, 빅커스 기관총, 11년식 경기관총, 96/99식 경기관총, 92식 중기관총
유탄 밀즈 수류탄, 97식 수류탄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제2차 세계대전기의 필리핀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bgcolor=#FFFFFF> 2차 세계대전
필리핀군의 보병장비
개인화기 볼트액션 소총 M1899, M1893, 30년식 소총, 38식 소총, 99식 소총, M1903, P14, M1917
반자동소총 M1 개런드, M1 카빈
기관단총 톰슨 기관단총, M42, M3
산탄총 M1897, M1912, Auto-5
권총 26년식 권총, 남부 권총, M1911, M1917, 웨블리 리볼버
지원화기 기관총 <colbgcolor=#ff0000> 경기관총 11년식 경기관총, 96/99식 경기관총, M1918
중기관총 M1895, 3년식 기관총, 92식 중기관총, M1917, M1919, M2
대전차화기 바주카
화염방사기 M1, M1A1, M2 화염방사기
유탄 91식 수류탄, 10식 수류탄, 97식 수류탄, Mk.2
박격포 M1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필리핀 제2공화국 국기.svg 필리핀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적백내전기의 적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bgcolor=#DB261D> 적백내전
적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colbgcolor=#DB261D> 소총 <colbgcolor=#DB261D> 볼트액션 소총 모신나강 M1891, 30년식 소총, 38식 소총, Gew88, Gew98
레버액션 소총 윈체스터 M1895
단발 소총 크른카 M1867, 베르단 II
자동소총 표도로프 자동소총
기관단총 MP18
권총 S&W M3, 나강 M1895, 마우저 M1921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마드센 M1902, MG08/15
중기관총 PM M1910, 브라우닝 M1895/14, MG08
유탄 RG-14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적백내전기의 백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bgcolor=#FFFFFF> 적백내전
보병장비
개인화기 <colbgcolor=#FFFFFF> 소총 <colbgcolor=#FFFFFF> 볼트액션 소총 모신나강 M1891, 30년식 소총, 38식 소총, Gew88, Gew98, 르벨 M1886, 베르티에 Mle 1907/15, 만리허 M.88-90, 만리허 M.95, 베테를리 M1870/87
레버액션 소총 윈체스터 M1895
단발 소총 크른카 M1867, 베르단 II
반자동소총 윈체스터 M1907
권총 S&W M3, 나강 M1895, FN M1900, 마우저 M1921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마드센 M1902, MG08/15, 쇼샤, 루이스 경기관총
중기관총 PM M1910, 브라우닝 M1895/14, MG08, 슈바르츠로제 M07/12
유탄 RG-14
냉병기 샤쉬카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스페인 내전기의 공화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스페인 내전
스페인 공화국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 마우저 M1893, 베테를리 M1870/87, 그라 M1874, 크로파첵 M1886, 르벨 M1886, 베르티에 M1907/15, 만리허 M1886, 만리허 M1888, Gew88, M1891/30, Vz.24, Wz.29, 로스 Mk.III, 리-엔필드, M1917 엔필드, 30년식 소총, 35년식 소총, 38식 소총
레버액션 소총 M92 "엘 티그레", 윈체스터 M1895
기관단총 MP28, EMP35, 라보라 M1938, KP/-31, PPD-38
권총 베르크만 M1903, 베르크만 M1908, 아스트라 400, 아스트라 900, C96, M1895, 캄포 히로
기관총 M1895, PM M1910/30, 호치키스 M1914, 호치키스 M1922, 쇼샤, 루이스 경기관총, KE7, Wz.30, M1918 브라우닝, 맥심-토카레프, DP-28, DT-29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스페인 제2공화국 국기.svg 스페인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2차 세계대전기의 한국독립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fff> 2차 세계대전
보병장비
개인화기 <colbgcolor=#fff> 볼트액션 소총 Gew71, 그라 소총, 13년식 소총, 베르단, Kar98k, Gew88, 88식 소총, Gew98, Vz.24, 24식 보총, 30년식 소총, 38식 소총, 99식 소총, M1903, 모신나강
반자동소총 M1 개런드, M1 카빈
기관단총 톰슨 기관단총, M3 기관단총, PPSh-41
권총 C78, M1879, Mle 1873, Mle 1892, 웨블리 리볼버, M1895, 26년식 권총, C96, 14년식 권총, 94식 권총, M1911, P08, TT-33, P38
지원화기 기관총 맥심 기관총, M1895/14, 루이스 경기관총, 96/99식 경기관총
유탄 91식 파쇄 수류탄, 10식 파쇄 수류탄, 97식 파쇄 수류탄, 밀즈 수류탄, F1, Mk.2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대한민국 임시정부 국기.svg 한국광복군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태국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제2차 세계 대전
태국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 45식 소총, 66식 소총, 99식 소총, 리-엔필드
반자동소총 M1 카빈
기관단총 MP18, 100식 기관단총
권총 남부 권총, M1911
지원화기 경기관총 66식 경기관총, M1918 브라우닝, 브렌 경기관총
중기관총 92식 중기관총, M1917 브라우닝, 빅커스 기관총
대전차화기 97식 자동포
박격포 10식 척탄통
유탄 91식 파쇄 수류탄, 10식 파쇄 수류탄, 97식 파쇄 수류탄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냉전기의 대한민국 군경의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냉전기
대한민국 군경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 38식 소총, 44식 기병총, 99식 소총, M1903, M1917, 대한식 소총
반자동소총 M1 개런드, M1 카빈
자동소총 M1918A2, M2 카빈, M14, M16A1, MX 소총, K2
기관단총 톰슨 M1928A1, M1A1, M3, M3A1, K1, K1A
산탄총 S&W M916TG, M1200TG, 스티븐스 67/77TG, FABARM SDASS(초기형)TG
권총 자동권총 M1911A1, K5
리볼버 M1917, 콜트 디텍티브 스페셜, CAL-38, M10 M&PP, M19P, M36P
지원화기 기관총 92식 중기관총, M1917A1, M1919A4, M1919A6, M73, M60, M2, K6, M134C
유탄발사기 M7, M8, M79, M203, K201, 페더럴 37mm 최루탄 발사기TG
대전차화기 M9, M20, M20A1K, M18, M20, M67, M40, M72 LAW, K.LAW, BGM-71
화염방사기 M2, KM202A1
박격포 M1, M2, M29, KM29A1, KM181, KM187, M2, KM30
견인포 M101A1, M101A2, M114, M59, KH178, KH179
맨패즈 재블린 지대공미사일
유탄 MK2, MK3A2, M26, M61, M67, K75, K400
지뢰 M14, M15, M16, M18A1, M19
특수전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SSG 69, 마우저 SP66
반자동소총 PSG1P
자동소총 CAR-15, XM177
기관단총 UZI, Mini UZI, MAC-10, MAC-11, MP5A3, MP5SD3
권총 PPK, 베레타 92SB, 92F, P7M13P, M459
산탄총 M1897, M1912, M870
냉병기 도검류 신군도, 경찰도, 30년식 총검, KM7, KCB-77
TG: 경찰이 시위 진압을 위한 최루탄 발사용으로 사용
P: 군 이외의 경찰이나 대통령경호실 등이 사용
취소선: 테스트만 치른 후 제식 채용되지 않음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냉전기의 중국 인민해방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냉전기
인민해방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 88식 소총, 81식 기병총, 24식 보총, Kar98k, 38식 소총, 44식 기병총, 99식 소총, 53식 보기총
반자동소총 M1 개런드, M1 카빈, M1941 소총, 56식 반자동소총, 79/85식 저격소총
자동소총 56식 자동소총, 63식 자동소총, 81/87식 자동소총
기관단총 M1928A1, M1A1, 50식 기관단총, 36식 기관단총, 54식 기관단총, 64식 소음기관단총, 79식 기관단총, 82식 기관단총, 85식 기관단총
권총 C96, 52식 권총, 54식 권총, 59식 권총, 64식 권총, 64/67식 소음권총, 77식 권총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Vz.26, MG34, 브렌 경기관총, 96식 경기관총, 99식 경기관총, 53식 경기관총, 56식 분대 기관총, 67식 다목적 기관총, 80식 다목적 기관총, 81식 분대 기관총
중기관총 92식 중기관총, 24식 기관총, 53/57식 중기관총, 54식 중기관총, 77/85식 중기관총
유탄발사기 QLZ-87
대전차화기 PTRD-41, PTRS-41, 52식 무반동포, 56식 무반동포, 56식 화전통, 69식 화전통, 65식 무반동포, 78식 무반동포, HJ-73, HJ-8
화염방사기 74식 화염방사기
박격포 비뢰포, 53식 박격포, 67식 박격포, 84식 박격포, 86식 120mm 박격포, PP-87, PP-89, QLT-89
맨패즈 HY-5
유탄 인민해방군/수류탄
지뢰 59식 대인지뢰
냉병기 군도 65식 기병도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북아일랜드 분쟁기 아일랜드 공화국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북아일랜드 분쟁(1969~1997)
아일랜드 공화국군(IRA)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 SMLE No.4 Mk.I, No.5 Mk.I, Kar98k, M77, M300, G98, Type 38
반자동소총 M1 Garand, M1 Carbine, L1A1, G43, Mle 1949, Mini-14, AR-15C, AR-180C, SKS
자동소총 M14, M16A1, XM177, FAL, G3, BM59, FNC, SG510, SG540, AK-47, AKM, Vz.58, M62/S, PM.md.63, Type 56
기관단총 Mk.II, Mk.V, L2A1, F1, M1928A1, M1A1, M42, M3, M3A1, MAC-10, M2, MP40, MPL, m/45, M12, Vz.23, Vz.61, UZI, MP5
산탄총 SPAS-12
권총 Webley Mk.IV, Mk.VI, Hi-Power L9A1, FN M1903, FN M1910, M1911A1, M1920, C93, C96, P08, M1934, PT92, M1907, M1912, MCM, Type 94, Type 14
지원화기 기관총 Lewis Mk.IV, Bren Mk.II, L4, Besa Mk.III, L7A1, MG08/15, MG34, MG3, FALO, M1919A4, M60, M2, DShK
유탄발사기 M79
대전차소총 Boys Mk.II, S-18/1000
로켓발사기 M20, RPG-7
무반동포 m/42, M40, MBB Armbrust
미사일발사기 9K32
박격포 M-37
화염방사기 M2, LPO-50
유탄 F1, Mk.2, RGD-5
※ 윗첨자C: 민수용 반자동화기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FFF
※둘러보기 : 파일:지구본_white.png 유럽권 국가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반영 민족해방전쟁기의 말라야 공산당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반영 민족해방전쟁
말레이시아 해방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1f2023> 리-엔필드, M.95, 38식 소총, 44식 기병총, 99식 소총, 모신나강, Gew88, Gew98, Kar98k, M1903A3
반자동소총 M1, M1A1
자동소총 AK-47
기관단총 100식 기관단총, 스텐 Mk.II, Mk.V, 스털링 기관단총, M50, M55, M1928A1, M1A1, PPSh-41
산탄총 Auto-5
권총 웨블리 리볼버, 브라우닝 하이파워, M1911A1, TT-33, C96, P08, P38
지원화기 기관총 11년식 경기관총, 92식 중기관총, 96/99식 경기관총, 브렌 경기관총
척탄통 10식 척탄통, 89식 척탄통
유탄 밀즈 수류탄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6.25 전쟁기의 대한민국 군경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한국전쟁 시기
대한민국 국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 38식 소총, 44식 기병총, 99식 소총, 스프링필드 M1903, M1917 엔필드
반자동소총 M1 개런드, M1 카빈
자동소총 M1918A2, M2 카빈
기관단총 M3 기관단총, 톰슨 기관단총
권총 M1911A1, M1917, M10
지원화기 기관총 92식 중기관총, M1917A1, M1919A4/A6, M2 중기관총
대전차화기 M9, M20 로켓발사기, 57mm 무반동총, 75mm 무반동총
화염방사기 M2 화염방사기
박격포 M1 81mm 박격포, M2 60mm 박격포
유탄 Mk.2 수류탄, MK3A2 수류탄, M7 총류탄발사기
냉병기 군도 구군도, 신군도, 경찰도, 30년식 총검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6.25 전쟁의 북한군 및 인민지원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6.25 전쟁
조선인민군, 인민지원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191919> 30년식 소총, 38식 소총, 44식 기병총, 97식 저격총, 99식 소총, 모신나강, 50식 보총, 한양 88식C, 24식 보총C, 81식 마병총C, Kar98kC, Vz.24C. 스프링필드 M1903C. M1917 엔필드C
반자동소총 SVT-40, SKS
자동소총 AVS-36C
권총 남부 권총, 나강 M1895, C96, TT-33, 발터 P38, 루거 P08C
기관단총 PPSh-41, 49식 기관단총, 50식 기관단총, PPS-43, 봉천 2형 기관단총C, 36식 기관단총C, M1921C, M1928A1C, M1A1C, MP34C, 스텐 기관단총C, 100식 기관단총C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11년식 경기관총, 91식 경기관총, 89식 기관총, 96식 경기관총, 99식 경기관총, DP-28, DPM, Vz.26, Vz.30
중기관총 92식 중기관총, 97식 중기관총, 24식 중기관총, PM M1910, DT, DTM, DShK, SG-43, KPV, MG34C
대전차화기 PTRD-41, PTRS-41, RPG-43, 52식 무반동포C
화염방사기 ROKS-3
박격포 27년식 척탄통C, 82-PM-37, 120-PM-43
유탄 F1 수류탄, RGD-33, RG-42
지뢰 목함지뢰, POMZ-1
※ 윗첨자C: 중공군이 사용
취소선 : 사용 여부에 논란이 있음.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군의 운용장비 |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베트남전기의 베트남 인민군(월맹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bgcolor=#6e8b3d> 베트남 전쟁
베트남 인민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colbgcolor=#6e8b3d> 소총 <colbgcolor=#6e8b3d> 볼트액션 소총 M1886F, M1902F, MAS-36F, K-44, 38식 소총J, 99식 소총J, Kar98kF, 88식 소총
반자동소총 SKS, SVT-40, SVD, Vz.52, MAS-49F
자동소총 AK-47, 58식 보총, K-56, K-63L, AKM, Vz.58, StG44L, FG42L
기관단총 K-50M, PPSh-41, 50식 기관단총, PPS-43, Vz.25, M1928A1, M1A1, 마드센 M/50, M56, PM-63, Vz.61, 100식 기관단총J, MAS-38F, MAT-49F, MP40F
권총 K-54, K-59, CZ52, C96, APSL, 나강 M1895, 남부 권총J, MAB 모델 DF, MAC M1950F, P-64, 67식 권총L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호치키스 M1922F, 11년식 경기관총J, 96/99식 경기관총J, DP-28, RP-46, Vz.26/30, FM 24/29F, 브렌 경기관총, RPD, Vz.59, 67식 기관총, RPKL, PK, PKML
중기관총 호치키스 M1914F, 24식 중기관총, DTM, M1910/30, MG34, MG42, SG-43, 92식 중기관총J, DShK, KPV
대전차화기 PIATF, B-40/50, B-41, B-10, B-11, SPG-9, 54식 무반동포, 자돌폭뢰J
화염방사기 LPO-50
박격포 10식 척탄통J, 89식 척탄통J. 50-PM-40, 82-PM-41, 53식 박격포, 120-PM-43, 55식 박격포
유탄 10식 수류탄J, 91식 수류탄J, 97식 수류탄J, 1식 수류탄, RGD-33, RG-42, RPG-43, RGD-5
지뢰 POMZ-1, POMZ-2
※ 윗첨자J/F: 일본/프랑스군으로부터 노획
※ 윗첨자L: 제한적 사용
※ ''기울임체'': 소련으로부터 지원받음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



베트남전기의 베트남 공화국군(월남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color=#373a3c> 베트남 전쟁
베트남 공화국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colcolor=#373a3c> 소총 <colcolor=#373a3c>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 MAS-36, 38식 소총, 스프링필드 M1903
반자동소총 M1 개런드, M1 카빈 M1A1 카빈, M14
자동소총 M2 카빈, M16, XM16E1, M16A1, CAR-15, XM177
기관단총 M45, UZI, S&W M76, M3A1, M-50, MAS-38, MAT-49, MP40, M1928A1, M1A1
권총 M1911, 콜트 디텍티브 스페셜, M1917, S&W M10
산탄총 이사카 M37, 레밍턴 M31, 윈체스터 M21, 스티븐스 M77E
지원화기 기관총 M60, M1918, FM 24/29, M1917, M1919, M37, M73, M2
유탄발사기 M7, M8, M79, M203
대전차화기 M9, M20, M18 무반동포, M20 무반동포, M67 무반동포, XM26, M72 LAW
화염방사기 M9A1-7, XM202
박격포 M2, 브랑 M27/31, M1, M29
폭발물 수류탄 OF-37, DF-37, M26, Mk.2
지뢰 M14, M15, M16, M18/M18A1 클레이모어
냉병기 총검 M1905, M1, M6, M7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냉전기 보병장비 }}}}}}}}}


보병장비 둘러보기
근대 (~1914) 대전기 (1914~1945) 냉전기 (1945~1991) 현대전 (1992~)


파일:호와 공업 로고.svg 호와 공업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iki style="word-break:keep-all;"
<colbgcolor=#fff,#232323> 호와 공업 제품 라인업
소총 <colbgcolor=#fff,#232323> 볼트액션 38식 · 99식 · 골든베어 · M1500
반자동 M300 · AR-180
자동 64식 · 89식 · 20식
산탄총 S&W M1000 · S&W M3000
유탄발사기 96식
무반동포 84mm 무반동포
}}}}}}}}}}}} ||


[1] 일본은 1945년까지 사용했다. [2] 이전의 제식 총기는 개발 연도에서 이름을 땄을 경우 XX년식 소총/기병총이라는 이름이다. [3] 일본군 용어로 유저(遊底)라고 하며, 야전에서 약실로의 이물질 유입 문제가 발생하자 도입된 부품이다. [4] 가장 많은 수를 노획한 미국의 경우 본국으로 돌아가는 배 안에서는 노획 총기의 노리쇠를 분해해 별도로 보관했다가, 항구에 도착하면 조립을 허용하는 규칙이 흔했다. 이 과정에서 장병들이 조립이 까다로운 먼지덮개를 버리고 가면서 덮개 없는 38식이 탄생하게 된다. [5] 30년식 소총에 사용된 30년식 실포는 탄두가 둥글게 생긴 데 반해 이 총에 사용되는 38년식 실포는 뾰족하게 생겨서 살상력을 높였다. 상호 호환엔 문제가 없다. 하지만 그냥 사용하면 탄도가 달라져서 정확도에 문제가 생기기 때문에 명중률을 위해서는 가늠쇠와 가늠자의 조정이 필요하다. [6] 이건 38식 기병총의 파생형이다. 3차 창작 [7] 헌병은 승마병과로 분류되어 사병에게도 가죽장화가 지급되는 등 기병에 준하는 군복과 군장을 사용한 병과다. [8] 자동화기의 보급률이 떨어지며 사기 역시 떨어지던 중국 군벌과 국민당군 민병대같은 상대로는 말을 탄 기병은 상당한 위압감을 주기 좋은 병과였다. 그러나 거대하게 우거진 정글과 자동화기로 무장한 미군/영국군 상대로는 말을 탄 기병은 큰 위력을 내기 어려운데다가 불필요하게 포착되어 벌집이 되기 십상이었다. 결국 태평양 전쟁 말기에 보병사단 직할 기병연대가 모두 수색연대로 개편된다. [9] 이 부분은 원판인 남부 권총도 개판이었으니 참작 가능한 면이 있긴 하다. [10] 근데 편의성 면에서는 오히려 북지 19식이 원본 남부 권총보다 더 좋다. 자세한건 해당 문서 참조. [11] 당시 일본의 군납용 소총은 원래 군 소속의 조병창에서 만든다. 99식부터 다소 예외는 있지만... [12] 약장탄이라고 잘못 알려져 있으나, 실제로는 총열이 짧은 11년식 경기관총에 사용할 때 총구화염을 줄이기 위해 장약 성분을 변경한 탄이다. 성분 변화로 인해 장약 양이 줄었으나, 성능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자세한 내용은 6.5 mm 문서의 6.5×50mmSR 아리사카 문단 참조. [13] 나무 위에서 저격하면 위치가 발각되어도 도망칠 수가 없을 뿐더러, 나무에서 떨어지지 않으려고 밧줄 등으로 나무에 몸을 묶는 경우도 많아서 자살 행위나 다름없었다. 하지만 저격수가 설마 스스로 퇴로를 끊어버리는 전술을 사용하리라 예상하기 어려웠을 뿐더러, 온갖 식물이 득실거리는 정글이라 위장한 저격수가 있는 나무를 빠르게 선별할 수 없었기에 미군이 일본군 저격수의 공격에 상당히 애를 먹었다. [14] TERA(挺進落下傘小銃(정진낙하산소총, 특수낙하부대소총) Teishin Rakkasan Shyoujyu의 축약어.) 소총 중 하나. 다른 총기로는 99식 소총을 기반으로 개량한 2식 소총, 시제품으로 Kar98k를 기반으로 제작한 100식 소총이 있다. [15] # [16] # [17] 사진 [18] # [19] # [20] # [21] 연도를 감안하면 30년식 소총일 수도 있지만 불가능하지는 않다. [22] 조우진이 분했다. [23] 설정상 로마숫자를 사용하는 국가이기 때문.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55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55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