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3 14:18:17

홍성군

홍주시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홍성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경기도 고양시 마을버스 회사에 대한 내용은 홍성(버스회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8c8c70>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시(행정구역)/대한민국|{{{#fff 자치시}}}]]
파일:계룡시 CI.svg
계룡시
파일:공주시 CI.svg
공주시
파일:논산시 CI.svg
논산시
파일:당진시 CI.svg
당진시
파일:보령시 CI.svg
보령시
파일:서산시 CI.svg
서산시
파일:아산시 CI.svg
아산시
파일:천안시 CI.svg
천안시
[[군(행정구역)/대한민국|{{{#fff 자치군}}}]]
파일:금산군 CI.svg
금산군
파일:부여군 CI.svg
부여군
파일:서천군 CI.svg
서천군
파일:예산군 CI.svg
예산군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파일:청양군 CI.svg
청양군
파일:태안군 CI.svg
태안군
파일:홍성군 CI.svg
[[충청남도청|
도청
]] 홍성군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bordercolor=#00a784><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a784>
충청남도 홍성군
#!wiki 2131AA="margin:0px;margin-top:-2px;margin-bottom:-7px;padding:0px"
'''[[홍성군/행정|{{{#ffffff {{{+1 행정구역}}}}}}]]'''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5bac> 광천읍 홍북읍
군청
홍성읍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005bac> 갈산면 결성면 구항면 금마면
서부면 은하면 장곡면 홍동면 }}}}}}}}}
충청남도 자치군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파일:홍성군 CI.svg
홍성군
洪城郡
Hongseong County
}}}
<colbgcolor=#00a681><colcolor=#fff> 군청 소재지 홍성읍 아문길 27 (오관리)
광역자치단체 충청남도
하위 행정구역 3 8
면적 446.69㎢[1]
인구 99,198명[2]
인구밀도 221.74명/㎢[3]
군수
이용록 (초선)
군의회
7석[4]

4석[5]
도의원
2석[6]
국회의원
강승규
( 홍성·예산 / 재선)
상징 군화 개나리
군목 느티나무
군조 파랑새
지역번호 041[7]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SNS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미래로 홍성.png
브랜드 슬로건[8]
파일:홍성마스코트.jpg
마스코트 복돌이[9]
파일:홍주천년마스코트.jpg
마스코트 천년도령 천년낭자[10]

1. 개요2. 역사3. 지리
3.1. 자연지리3.2. 인문지리
4. 인구5. 교통6. 경제
6.1. 산업6.2. 상권
6.2.1. 재래시장6.2.2. 프랜차이즈 매장6.2.3. 주요 마트
6.3. 금융
7. 관광 및 특산물
7.1. 관광7.2. 특산물
7.2.1. 문제점과 개선
8. 생활문화
8.1. 교육
8.1.1. 대학교
8.2. 의료기관8.3. 스포츠8.4. 도서관8.5. 방송
9. 정치10. 하위 행정 구역11. 사건사고12. 여담13. 자매도시 및 우호도시
13.1. 국내13.2. 국외
14. 출신 인물15. 같이 보기1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홍성군 관련 각종 사진 자료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파일:홍성읍내전경.png
▲ 홍성 읍내 전경 (2021년)
파일:홍성읍내야경.png
▲ 홍성 읍내 야경(2019년)
파일:내포전경.png
▲ 내포신도시 전경(2021년)[11]
}}}}}}}}} ||
충청남도 서쪽에 있는 . 북동쪽으로는 예산군, 남동쪽으로는 청양군, 남서쪽으로는 보령시, 북서쪽으로는 서산시와 접한다.

충청남도청 소재지[12]이며, 전라남도 무안군과 더불어 광역자치단체 청사를 보유한 단 둘뿐인 군단위 기초자치단체이다.

2.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홍성군/역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지리

3.1. 자연지리

전체적으로 높은 산이 드물고 구릉지와 평지가 많은 편이다. 산지는 주로 남부의 오서산(790.7m), 아차산(424.4m)과 동부의 봉수산(483.9m), 북부의 삼준산(489.9m), 용봉산(381m), 백월산(월산, 394m) 등이며, 이들 산지가 경계를 이루면서 북으로는 덕산의 가야산(678.2m), 동으로는 청양의 칠갑산(561m)로 이어지며, 그 경계로 홍성읍과 홍북읍 등 북동부 지역은 삽교천과 무한천 권역[13], 갈산면과 서부면, 결성면, 구항면 일부는 와룡천 권역, 광천읍과 구항면, 장곡면 일부는 광천천 권역, 그 외 지역들은 작은 소하천 권역들로 나눈다.

해안은 과거에는 리아스식 해안의 모습을 그대로 갖추어 과거에는 광천읍 시가지 앞까지 바닷물을 들어왔다고 전해지며[14], 지금의 천수만과 모산만 일대도 복잡했고 많은 간석지가 펼쳐졌지만, 1970년대 이후 간척 사업이 시행되면서 지금은 서부면 일부만 해안과 접한다.

대체적으로 지형이든 기후이든 괜찮아 과거부터 명명있는 사대부들이 살 만한 곳으로 여겨졌으며, 최근 내포신도시 건설로 이를 입증하고 있지만, 때때로 주변 지역 못지않게 호우나 태풍, 폭설 피해를 겪기도 한다. 특히, 1978년 10월 7일 한국 지진 관측 사상 8번째(2023년 기준)[15]로 강한 ' 홍성 지진'[16]이 홍성군의 대표적인 재해 중 하나로 기록되고 있다. 일본이나 중국에 비하면 작은 규모이지만, 2016년 경주 지진 이전엔 한국에서 지진 피해를 입은 대표적인 지역을 거론하면 홍성군을 떠올리는 사람이 많았다.

여담으로 한반도 생성설 중에 2억 3천만년전 북중국지괴와 남중국지괴가 충돌하여 한반도가 생성되었다는 이야기가 있는데, 그 중 2가지가 서울-원산 사이의 임진대 충돌설과, 홍성-오대산 충돌설이다. 그 중에서도 홍성에서 에콜로자이트라는 광물이 발견되어, 친링-다비-수루-홍성을 잇는 라인인 일명 충돌대가 발견되어 최근 국내의 지질학계에서 주목받고 있다.

3.2. 인문지리

홍성군의 주요 시가지는 중북부의 홍성읍과 북부 홍북읍에 조성 중인 내포신도시, 남쪽에 광천읍을 중심으로 생활권이 형성되어 있다. 각 지역들을 자세히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내포신도시를 비롯하여 충남 정치권에서 천안, 공주, 논산 등 충남 동부와 대전에 집중된 인프라를 충남 서부로 분산하기 위해, 혁신도시 지정 지역으로 선정하는 등 각종 장기적 발전 계획을 추진하는 등 대체로 준수한 지역이기 때문에, 쇠퇴하고 있었던 충남 서부의 타 시군들에 비하여 전망이 양호한 편이다. 다만 2010년대 이후 내포신도시가 홍성읍 원도심 인구를 이전시켜버려 지역 경제에 비상이 걸렸고, 홍성 지역에는 아파트 공급마저 중단되는 등의 악재로 인해 발전이 정체된 상태였다.[21] 하지만 2020년대 들어서는 지역 숙원 사업인 KTX 서울역 직결 문제가 해결되는 등 호재가 생겨났고, 그 덕에 아파트 신규 공급이 시작 되었으며, 아예 자이, 승원팰리체, e편한세상 같은 메이저 브랜드 아파트들이 홍성읍에 속속 분양을 시작하고, 추가로 몇몇 단지들이 분양을 위한 행정 절차를 추진하고 있는등 주변 지역들과 비교 했을 때 홍성은 긍정적인 성장세로 가고 있는 추세이다.

4. 인구

파일:홍성군 CI.svg 충청남도 홍성군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52,362명
1970년 141,207명
1975년 144,086명
1980년 132,194명
1983년 2월 15일 서산군 고북면 대사리 → 홍성군 갈산면 편입
1985년 120,316명
1989년 1월 1일 서산군 안면읍 죽도리 → 홍성군 서부면 편입
1990년 105,399명
1995년 103,118명
2000년 95,369명
2005년 91,031명
2010년 88,078명
2015년 94,553명
2020년 100,102명
2024년 11월 99,13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읍면별 인구 통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홍성읍 35,532명
홍북읍 32,523명
광천읍 7,490명
갈산면 3,331명
구항면 3,328명
홍동면 3,315명
금마면 3,281명
서부면 3,003명
장곡면 2,727명
은하면 2,082명
결성면 1,946명
2024년 8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3.5만 명
}}}}}}}}} ||

2012년 당진군이 당진시로 승격한 이래로 충청남도 중에서 인구 수 1위를 차지하고 있다. 현재는 보령시보다 위에 자리했고, 공주시와 근접한 수준이다. 내포신도시의 개발로 2017년 20년만에 10만을 돌파할 정도로 인구 상승세를 보이기도 했으나, 2018년 이후로는 감소세로 돌아섰고, 2020년 하반기 인구 10만 대가 다시 붕괴되었으며, 이후 현재까지 신도시가 있는 홍북읍과 홍성읍 외에는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이다. #

현행법 상 자치군 내 2개 지역을 묶어 인구 5만 명 이상 + 행정 구역 내 인구 15만 명 이상의 조건을 갖춰야 시 승격이 가능하다. 하지만 홍성군은 홍성읍 홍북읍 인구를 합치면 5만 명이 넘지만, 홍성군 전체 인구가 15만 명에 미달하므로 시 승격이 불가능하다. 내포신도시 조성 초창기에는 인구가 쭉쭉 늘면서 시 승격이 머지않았다고 잔뜩 기대에 부풀기도 했지만 10만 달성 이후 기대가 무색하게 인구 증가세가 꺾이고 도리어 감소 추세로 전환되자 내포신도시 조성과 함께 예산군과 통합, 시 승격 조건에 도청 소재지 추가 등의 갖은 수를 써봤지만 전부 허사로 끝을 맺었다.[22]

다만 2024년 11월 기준으로 인구 9만 9천명을 다시 넘어 10만에 가까워졌고 아이러니하게도 완주군과 인구가 정확히 같아졌다.

===# 읍면별 인구 #===
파일:홍성군 CI.svg 홍성읍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21,564명
1970년 23,358명
1975년 26,988명
1980년 30,975명
1983년 2월 15일
홍북면 내법리 → 홍성읍 편입
홍동면 구룡리 → 홍성읍 편입
1985년 33,427명
1990년 33,568명
1995년 35,445명
2000년 36,786명
2005년 40,117명
2010년 43,096명
2015년 42,299명
2020년 38,232명
2024년 8월 35,53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25만 명
파일:홍성군 CI.svg 광천읍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24,034명
1970년 23,213명
1975년 24,629명
1980년 22,607명
1983년 2월 15일 홍동면 월림리·대평리·운용리 → 광천읍 편입
1985년 21,884명
1990년 18,550명
1995년 18,103명
2000년 14,996명
2005년 12,719명
2010년 11,144명
2015년 10,258명
2020년 8,520명
2024년 8월 7,490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파일:홍성군 CI.svg 홍북읍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3,862명
1970년 12,455명
1975년 11,906명
1980년 10,523명
1983년 2월 15일 홍북면 내법리 → 홍성읍 편입
1985년 8,388명
1990년 6,707명
1995년 6,489명
2000년 6,164명
2005년 5,341명
2010년 4,553명
2015년 14,989명
2017년 8월 1일 홍성군 홍북면 → 홍북읍 승격
2020년 28,834명
2024년 8월 32,52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5만 명
파일:홍성군 CI.svg 금마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1,848명
1970년 10,323명
1975년 10,515명
1980년 8,805명
1985년 8,039명
1990년 6,728명
1995년 6,107명
2000년 5,275명
2005년 4,328명
2010년 3,899명
2015년 3,705명
2020년 3,500명
2024년 8월 3,28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파일:홍성군 CI.svg 홍동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5,598명
1970년 13,934명
1975년 13,699명
1980년 11,722명
1983년 2월 15일
홍동면 구룡리 → 홍성읍 편입
홍동면 월림리·대평리·운용리 → 광천읍 편입
1985년 7,753명
1990년 6,279명
1995년 5,952명
2000년 5,049명
2005년 4,421명
2010년 3,878명
2015년 3,527명
2020년 3,432명
2024년 8월 3,315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파일:홍성군 CI.svg 장곡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4,421명
1970년 12,712명
1975년 12,121명
1980년 9,960명
1985년 8,243명
1990년 6,454명
1995년 5,737명
2000년 4,684명
2005년 3,995명
2010년 3,545명
2015년 3,238명
2020년 2,919명
2024년 8월 2,72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파일:홍성군 CI.svg 은하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9,848명
1970년 8,622명
1975년 8,307명
1980년 6,918명
1985년 5,805명
1990년 4,848명
1995년 4,216명
2000년 3,687명
2005년 3,285명
2010년 2,897명
2015년 2,628명
2020년 2,311명
2024년 8월 2,08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만 명
파일:홍성군 CI.svg 결성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0,928명
1970년 9,798명
1975년 9,329명
1980년 7,907명
1983년 2월 15일
결성면 중리 → 서부면 편입
결성면 와리 → 갈산면 편입
1985년 5,527명
1990년 4,491명
1995년 4,015명
2000년 3,361명
2005년 3,052명
2010년 2,561명
2015년 2,338명
2020년 2,103명
2024년 8월 1,946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만 명
파일:홍성군 CI.svg 서부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9,291명
1970년 8,307명
1975년 8,378명
1980년 6,792명
1983년 2월 15일 결성면 중리 → 서부면 편입
1985년 6,643명
1989년 1월 1일 서산군 안면읍 죽도리 → 홍성군 서부면 편입
1990년 5,223명
1995년 5,236명
2000년 4,579명
2005년 4,293명
2010년 3,855명
2015년 3,583명
2020년 3,252명
2024년 8월 3,00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9천 명
파일:홍성군 CI.svg 갈산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0,629명
1970년 9,372명
1975년 9,536명
1980년 8,468명
1983년 2월 15일
결성면 와리 → 갈산면 편입
서산군 고북면 대사리 → 홍성군 갈산면 편입
1985년 8,175명
1990년 7,005명
1995년 6,362명
2000년 5,446명
2005년 4,723명
2010년 4,214명
2015년 3,872명
2020년 3,533명
2024년 8월 3,33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만 명
파일:홍성군 CI.svg 구항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0,332명
1970년 9,113명
1975년 8,670명
1980년 7,517명
1985년 6,432명
1990년 5,456명
1995년 5,360명
2000년 5,342명
2005년 4,757명
2010년 4,436명
2015년 4,116명
2020년 3,466명
2024년 8월 3,32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만 명


5. 교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홍성군/교통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경제

6.1. 산업

전통적으로 구릉지와 간척지를 활용한 농업과 수산 자원 채집이 기본적인 1차 산업이며, 여기에 더해 축산업은 전국 1위라 할 정도로 매우 많은 편이다. 특히 돼지의 경우 사육두수가 전국에서 가장 많으며, 한우도 많은 편이다. 그래서 구제역이나 아프리카돼지열병, 조류독감 등이 발생할 때 가장 많이 언론에 보도되는 편이다. 문제는 이러한 축산 시설이 무분별하게 많아서 전염병에 한 번 노출되면 지역이 초토화되며, 축산 시설에서 발생한 악취가 바람을 타고 주택가로 오면서 생기는 불만과 민원들이 끊이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23] 한편으로는 친환경 농법( 유기농법)도 홍동면을 중심으로 이어져 오고 있으며, 전국적으로도 10위권 안에 자리잡고 있다.

추가로 광업의 경우, 위에서 서술했듯이 일제강점기부터 금광이나 사금 채취가 많았고, 특히 광천읍과 은하면 일대에 석면 광산이 있었으나 1980년대 이후 폐광되었다. 다만, 그 흔적이 아직 남아 있으며 지금도 주변 주민들과 근로자들은 후유증에 시달리고 있다.

지역 내에 농공단지와 산업단지는 옆 동네와 함께 충청남도 군 단위에서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다. 현재 내포신도시에 첨단산업단지 조성 사업이 진행 중이며, 2023년엔 국가산업단지를 유치하는 데에 성공했다. 따라서 수소차와 이차 전지등 미래 에너지 관련 기업들이 입주할 예정이다.

6.2. 상권

지역치고는 이례적으로 대형마트와 복합 쇼핑몰이 입점해 있으며 상권의 규모외 구성도 웬만한 지역의 상권을 넘어설 정도로 좋은 편이다. 또한 후술할 특성 상 상권이 한 곳에 모여 있는 것이 아닌 여러 군데로 나뉘어져 있다.

홍성역에서 가까운 버스 터미널에 2011년 롯데마트 홍성점 CGV 등등 여러 매장이 입점했는데, 정확히는 '리산인플렉스'라는 쇼핑몰(2020년 이후 '시티아일랜드'로 변경)로서 홍성종합터미널(건물 1층) 외에도 다양한 시설들이 자리해있다. [25] 이외에도 내포신도시 메가박스 홍성내포가 개관했으며, 두 지역의 중간 지점인 홍성읍 내법리 일대에도 가칭 홍성 패션시네마타운 조성을 위해 공사에 들어갔지만, 유물 발견과 운영사 파산으로 결국 취소되었다.[26]

홍성군의 지역 상권은 인근 예산군 덕산면과 청양군 서부에서도 올 정도로 많이 발전한 상황이며, '인문지리' 문단의 내용처럼 '홍성읍', '광천읍', '내포신도시'로 나눌 수 있다. 또한, 홍성읍 내에서도 상권이 오관리 '홍성명동상가'과 '홍성전통시장' 및 '홍성상설시장'을 중심으로 고암리( 홍성역 홍성종합터미널), 남장리( 주공(LH) 아파트), 월산리( 대전지방검찰청 홍성지청 대전지방법원 홍성지원, 부영아파트)로 나눠진다. 홍성읍 내 상권에 대해서는 아래와 같다.

추가로, 광천읍 홍성읍 오관리처럼 일제강점기부터 들어선 상점가와 전통시장이 현재까지 유지는 되고 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노후화되어 활기를 잃어가고 있는 상황이다. 그래도, 2010년 이후 내포신도시 개발과 함께 시공된 광천 LH 아파트 입주가 성사적으로 이루어졌으며, 이어서 2020년 대에는 홍성2차 승원팰리체 구역이 광천읍으로 선정되었다. 또한, 홍성군 측에서 광천읍 원도심 살리기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음으로서, 성장이 기대되는 전망이다. 관련 기사

2010년대 후반부터 현재까지는 홍성군의 상권을 새롭게 이끌고 있는 곳은 내포신도시 충청남도청 이전과 브랜드 아파트 신축으로 주변 상가에 음식점과 프랜차이즈 매장들이 들어섰으며, 홍성낙농농협을 비롯한 일부 은행들도 홍성읍에 두었던 본점이나 지점을 내포신도시로 이전하고 있는 상황이다. 프랜차이즈 상당 수가 내포신도시로 이전해 홍성읍 내 많은 사람들이 불편해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 매장 수는 서로 비슷하다.[32]

6.2.1. 재래시장

6.2.2. 프랜차이즈 매장

홍성군 관내에 들어선 '프랜차이즈 매장'들은 다음과 같으며, 서술한 곳 외에도 많은 매장들이 있다.

6.2.3. 주요 마트

6.3. 금융

홍성군에 위치한 금융기관 [괄호]
제1금융권 [괄호]
국가기관
홍성우체국 (12)
특수은행
농협은행(중앙회) (6)
시중은행
우리은행 (1) SC제일은행 (1) 하나은행 (1) 국민은행 (2)
제2금융권(상호금융) [괄호]
농업협동조합
홍성농협 (3) 광천농협 (4) 홍북농협 (3) 장곡농협 (2) 구항농협 (2)
서부농협 (2) 결성농협 (1) 갈산농협 (1) 금마농협 (2) 홍동농협 (1)
홍성축협 (3) 홍성낙농농협 (2) 충서원예농협 (1)
새마을금고
홍성중앙새마을금고 (2) 홍주새마을금고 (4)
신용협동조합 /산림조합
홍성신용협동조합 (2) 풀무신용협동조합 (2) 홍주신용협동조합 (1) 홍성군산림조합 (1)

본래 내포 지역의 중심지로서 은행 지점들이 많이 있었지만[45], 2005년 2월 한국은행 대전충남본부 홍성분실이 폐쇄된 이후 모바일 금융으로의 전환과 수익성 감소 등의 이유로 통폐합되거나 이전하는 은행들이 늘어나고 있어서 지역 내 우려가 큰 상황이다.( 관련 기사 1, 관련 기사 2)

2012년 3월 오관리 전통시장 입구에 개업한 신한은행 홍성지점은 2021년 9월 서산시 서산금융센터로 통폐합되었다. 하지만 기존 점포를 이용하는 지역 주민들의 불편을 완화하기 위하여 완전 폐쇄 대신 기존 은행 업무를 볼 수 있는 기계인 STM과 화상 상담 창구가 있는 '디지털 라운지'를 설치했지만 무인으로 운영되고 있어서 불편을 호소하는 여론도 있다.

2022년 11월에는 홍성읍 조양문 앞에 자리한 SC제일은행 홍성지점이 12월에는 오관사거리에 자리한 우리은행 홍성지점이 각각 내포신도시 충청남도교육청 맞은편으로 이전하고 기존 영업 점포에는 무인 금융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다만, 2023년 2월 우리은행의 무인 금융시설이 기존 오관사거리에서 조양문 앞으로 이동했다.

7. 관광 및 특산물

7.1. 관광

지역을 대표하는 문화유산과 자연 관광지들이 제법 있는 편이다. 가장 대표적인 곳들은 홍성군에서 '홍성 12경'(예전에는 '홍성 8경'이었던 것을 12곳으로 확대함)이라 하여 홍보하고 있는데, 순서대로 보면, 홍주읍성(홍성읍), 남당항(서부면), 용봉산(홍북읍), 오서산(광천읍, 장곡면), 죽도(서부면), 명품낙조(서부면), 한용운선생 생가지(결성면), 김좌진장군 생가지(갈산면), 성삼문선생 유허지(홍북읍), 고암 이응노생가기념관(홍북읍), 홍주의사총(홍성읍), 그림이 있는 정원(광천읍)이다.[46]

이 외에도 역재방죽공원, 홍주순교성지, 구항 거북이 마을 등 많이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그래도 명소들이 많은 편이며, 인근의 보령시만큼 관광지로 성장시킬 지역도 많고, 벽화 조성, 공원 조성 등 관광지로 발돋움할 시설들도 많다. 실제로 2024년 7월에는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 주관 농어촌 삶의 질 지수 평가에서 문화·공동체 부문 전국 1위라는 쾌거를 거둔 적이 있다. 관련 기사

홍주읍성의 일부와 그 동문(東門)인 조양문(朝陽門)이 남아 있다. 조선 초기에 건축된 것으로, 조선 시대의 건축 양식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유물이다. 홍주성 안에 있는 홍성군청 본관 뒤편의 잔디밭에는 동헌 건물인 안회당과 여하정이라는 정자(함께 묶어서 사적 제 231호로 지정되어 있다)가 있다.

홍주성의 성문 이름에서 유래한 '조양'이라는 상호를 쓰는 많은 업체 혹은 기업들은 보통 홍성 출신이거나, 홍성·광천 쪽을 기반으로 성장한 경우가 많다. 조양문이라는 이름은 흥선 대원군이 직접 지었다고 전해진다. 흥선 대원군이 홍주에 내려왔을 때 조양문을 보며 '이 아름다운 성문의 이름이 무엇이냐'고 묻자, 홍주 관리가 '이름이 없다'고 했다. 이에 흥선 대원군이 홍주성의 동문이니 '아침 햇볕'이란 뜻의 '조양(朝陽)'문으로 이름을 달아주었다고 한다.

7.2. 특산물

특산물의 경우, '5품() 3미()'라 하여 한우[47] 한돈, 광천 과 토굴 새우젓, 유기농 메카 친환경 농산품이 5품, 한우구이과 남당항 대하구이, 새조개 샤브샤브가 3미에 속한다. 이 외에도 국내 품종인 ' 홍산마늘'과 ' 아리향'도 지역에서 많이 재배하고 있다.

7.2.1. 문제점과 개선

문제는 지자체가 홍보에 관심이 없어 결과적으로 인지도가 낮다는 것이다. 어느 정도냐면, 적절한 간과 굵기로 뛰어난 맛을 자랑해 전국적으로 이름을 알린 광천김도 홍성군 광천에서 생산하는 걸 잘 모르는 사람이 꽤 많은 편이다. 광천이 어딘지 아냐고 물어보면 전라도 바닷가 어디쯤이 아니냐고 대답하는 경우도 있을 정도. 보령도 보령대천김이라 해서 보령시 홍보효과도 누리고 있는데 광천김은 그냥 '광천김'이라고만 해서, 아는 사람은 많지만 홍성군에서 나오는 건 잘 모른다. 그나마의 홍보도 김병만[48]을 광천김 홍보 모델로 고용하고, 그 외에는 대전구장 광고 게재 말고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리고 관광지를 만들고, 리모델링하는데 재주가 없었다. 인근 예산군은 그래도 최근 낙후된 시설들을 대거 재활용해서 관광지가 많기로 유명해지고 있었지만 홍성은 활용하거나 설치할 의향이 거의 없었다. 어지간한 대도시들에도 없는 조양문이나 홍주성 같은 양질의 문화재를 보존 또는 복원하는 추세면서도 도통 홍보가 되지 못했다. 최근 들어 광천읍에 소재한 그림이 있는 정원을 홍성 8경에서 제외하려고 시도한 적도 있었다.

그리고 그나마 인지도가 다소 있는 '홍성내포축제'도 '홍성역사인물축제'로 명칭을 변경했으나, 개칭 당시 아무한테도[49] 정보를 공개하지 않았다. 이리하여 지역민들은 축제가 하나 추가되었다고 막상 좋아하기도 했었는데, 이는 신규 축제와는 별개로 '내포축제'에서 이름이 바뀌었던 거였다.

당연히 홍성군에서 홍보를 아예 안 하는 것은 아니었다. 이게 방송을 통한 것이 대부분이었는데 당시 귀농, 귀촌 홍보를 위하여 홍성군 일대에서 촬영했던 SBS 시사교양 프로그램 ' 농비어천가'은 시청률이 매우 저조한 평일 오후 시간대여서 큰 홍보 효과를 창출하지 못했으며, 2014년에는 망해도 시청률 20퍼센트는 찍는다고 한 KBS 주말드라마 가족끼리 왜 이래에 주 스폰서로 참여했고, 드라마 자체는 대박이 났으나 드라마 극초반에 홍성 출신으로 설정된 강서울이 가출하기 전까지만 홍성이 출연했지 그 이후에는 딱히 홍보될 소재가 전무하여 그냥 드라마 종영 직후 스폰싱 자막 이외에 언급이 전혀 되지 못했다.

그래도 이러한 노력은 꾸준히 이뤄져 KBS 드라마 구르미 그린 달빛(결성동헌)과 교양 프로그램 오늘부터 무해하게(서부면 죽도), 영화 피끓는 청춘(舊 홍성고등학교[50] 광천읍 일대, 서부면 속동마을), TvN 예능 여고추리반 시즌 1(舊 결성중학교), OCN 구해줘 시즌 2(광천읍, 장곡면 일대) 등 촬영지로 사용되었고, 이상벽, 정흥채, 임선택, 김태균 등을 홍보대사로 위촉해 나름 지역 홍보에 열을 올리고 있으며( 관련 기사, 언급된 블로그), 2023년 11월에는 백종원과의 협업으로 진행했던 '글로벌 바비큐 페스티벌'이 성황리에 마무리되었다.

물론 이런 홍보가 너무 지나쳐 이런 일까지 발생해 망신을 산 적도 있었다.

8. 생활문화

8.1. 교육

파일:홍성군 CI_White.svg 충청남도 홍성군 초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갈산초등학교 결성초등학교 광천초등학교 구항초등학교
금당초등학교 금마초등학교 내포초등학교 대정초등학교
배양초등학교 서부초등학교 서해삼육초등학교 신당초등학교
용봉초등학교 은하초등학교 장곡초등학교 한울초등학교
홍남초등학교 홍동초등학교 홍북초등학교 홍성초등학교
홍주초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고등기술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홍성군 CI_White.svg 충청남도 홍성군 중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갈산중학교 광천중학교 금마중학교 내포중학교 서해삼육중학교
홍동중학교 홍성서부중학교 홍성여자중학교 홍성중학교 홍주중학교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고등기술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홍성군 CI_White.svg 충청남도 홍성군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갈산고등학교 서해삼육고등학교 충남드론항공고등학교 한국K-POP고등학교
홍성고등학교 홍성공업고등학교 홍성여자고등학교 홍주고등학교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고등기술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2024년 현재 홍성군 내에는 초등학교 21개교, 중학교 11개교, 고등학교 8개교가 위치해 있는데, 대부분이 공립이며, 사립으로는 홍성읍( 홍주중, 홍주고), 광천읍(서해삼육초/중/고, 한국K-POP고등학교[51]), 홍동면(풀무농업고등기술학교)에 소재하고 있다.

다만, 최근 저출산 수도권 집중 현상 등으로 인해 내포신도시를 제외한 대부분의 학교들의 학생 수가 줄어들었으며, 대부분 면 지역의 학교들이 통폐합 위기에 직면한 상황이다.[52]

8.1.1. 대학교

홍성읍 남장리에 청운대학교 홍성캠퍼스, 혜전대학교, 한국폴리텍대학 홍성캠퍼스가 있다. 추가로 현재 내포신도시 대학 2부지에는 충남대학교 내포캠퍼스 신설을 추진 중이다. '충남대 내포캠퍼스' 2027년 시작…10년 만에 본궤도
청운대학교 홍성캠퍼스
주소 충청남도 홍성군 홍성읍 대학길 25
재학생 수 7,292명[65]
혜전대학교
주소 충청남도 홍성군 홍성읍 대학길 25[66]
재학생 수 3,287명[67]
한국폴리텍대학 충남캠퍼스
주소 충청남도 홍성군 홍성읍 충서로 1200
재학생 수 253명[68]

8.2. 의료기관

홍성의료원
주소 충청남도 홍성군 홍성읍 조양로 224
전문의 내과/외과 등 전문의 51명[69]

종합병원으로는 충청남도에서 운영하는 홍성의료원(471병상)이 유일하며, 지방 의료원치고는 병상 수도 많고 규모가 커서 질병 때문에 타지로 나가거나 심하게 앓는 경우는 매우 적다.[70] 하지만 홍성의료원에서도 어려운 경우가 종종 있기에 타 지역 상급 종합병원들과 환자 교류 협약이 체결되어 있어서 천안이나 대전, 심하면 서울까지 이송하는 경우도 가끔 있다. 과거에는 홍성한방병원이 부속되어 있었으나 독립되어 의료원 건너편 상가건물로 이전되었다. 이후 홍성노인전문병원으로 지정되었다. 2015년 메르스 사태 이후 음압병동도 마련되어 있다.

이 외에도 홍성읍 시내에 병원 및 의원들이 대거 포진해있다. 특히 하나빌딩이 홍성군 홍성읍 내의 주요 의원들이 완공 당시에 대거 입지했다.[71] 오관파출소 옆에 푸른외과는 연합의원으로 전환되어 인근에 각종 의원 및 약국들이 입주를 완료했다. 오관리 하상주차장 건너편으로는 건강성모의원이 자리하며, 이 주변으로도 밝은안과, 연세이비인후과, 연세김치과, 경희자연한의원 등 각종 의원들이 산재해있고, 최근 신축된 두리프라자에는 서울미래의원, 홍주튼튼 정형외과, 예인치과, 경희정일한의원 등의 다양한 전문 의원이 입점했다.

8.3. 스포츠

충남에서 야구의 인기가 많은 지역 중 하나다. 충청남도인 만큼 한화 이글스 팬들이 절대적인 다수를 차지하며,[72] 특히나 한화가 호성적을 보였던 2018년도엔 거리응원도 진행됐고, 야구 시즌이 되면 대다수의 식당이나 각종 점포들은 관성적으로 한화 경기를 틀어 놓는다. 또한 주말에 초, 중 ,고, 대학 운동장이나 공원에 나가보면 야구를 하고 있는 어린이들이나 어른들이 매우 많다. 특히 이러한 열기 덕분인지 군 지역에선 보기 힘든 고등학교 야구부가 2017년 한화 이글스 관할로 광천고등학교(2020년 한국K-POP고등학교로 개칭)에 개설되었고, 폐교된 결성중학교 부지에 '홍성만해야구장'을 2023년 설치해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K-POP고등학교 야구부는 폐교 방지를 위한 읍면 지역 소규모 학교의 운동부 설치가 주는 폐해를 고스란히 드러낸 채 2023년을 끝으로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홍성여중과 홍성여고에 양궁부를 운영 중이며 올림픽 메달리스트까지 배출했을 정도로 명문이다. 초등학교는 원래 홍주초등학교에서 양궁부를 운영했지만 내포신도시 건설과 학령인구 감소 등으로 재학생 수가 급감하면서 2014학년도부터 홍남초등학교로 이적되었다.

또한 대체적으로 지역 내에서 스포츠 문화가 활성화되어 관내 초·중·고등학교들에 씨름이나 정구, 배드민턴, 배구 같은 운동부들이 기본적으로 운영 중이고 우슈 등의 비인기 종목이나 태권도 등 인기 종목들도 존재하여 도대회나 전국대회에서 상위권을 항시 유지하고 있다. 특히 2020 도쿄 올림픽에서 홍성고등학교 출신 장준 선수가 태권도 종합 3위로 동메달을 수상하는 쾌거를 선사했다.

8.4. 도서관

공공 도서관 목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rowcolor=#373a3c,#212121> 도서관명 주소 도서자료 수 링크
충청남도홍성교육지원청홍성도서관 충청남도 홍성군 홍성읍 충절로 1050 91,107권 충청남도홍성교육지원청홍성도서관
광천공공도서관 충청남도 홍성군 광천읍 광천로 342 113,392권 광천공공도서관
충남도서관 충청남도 홍성군 홍북읍 도청대로 577 266,573권 충남도서관
}}} ||
공공 작은 도서관 목록
{{{#!folding [ 펼치기 · 접기 ] <rowcolor=#373a3c,#212121> 도서관명 주소 도서자료 수 링크
글마루작은도서관 충청남도 홍성군 홍성읍 문화로33번길 33 15,976권 홍성군 작은도서관 현황
홍화문작은도서관 충청남도 홍성군 홍성읍 내포로 64 3,595권 홍성군 작은도서관 현황
늘배움터작은도서관 충청남도 홍성군 홍성읍 온천1길 11 2,010권 홍성군 작은도서관 현황
한울작은도서관 충남 홍성군 홍북읍 홍예로 213 11,071권 홍성군 작은도서관 현황
}}} ||

8.5. 방송

대체로 홍성읍을 중심으로 하는 동, 북부는 서울 관악산 전파의 영향권이고, 광천읍을 중심으로 하는 서, 남부는 서산 원효봉과 보령 옥마산, 그리고 그보다 남쪽에 있는 전라도 지역 전파의 영향권 안에 있다.

홍성읍 일대는 관악산 송신소에서 송출되는 라디오 방송을 들을 수 있는 서남쪽 끝 지역에 해당되는데, 출력이 5kW 이상이어야 이곳까지 전파가 닿을 수 있다. 이보다 남쪽으로 내려가면 서울 전파를 잡기 정말 어려워진다.

9. 정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홍성군/정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하위 행정 구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홍성군/행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사건사고

비교적 큰 사건사고가 적은 편이나, 뉴스에 보도되지 않는 작은 사건사고는 꽤 일어나는 편이다.

12. 여담

파일:홍성군청신청사.png
홍성군청 신청사 조감도

13. 자매도시 및 우호도시

13.1. 국내

13.2. 국외

14. 출신 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홍성군/출신 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유명한 독립운동가 한용운 김좌진 등을 배출한 곳으로, 홍성에서는 이를 근거로 충절의 고장이라고 홍보하고 있다. 그 외에도 2020 도쿄 올림픽에서 메달을 따낸 장준과 코미디언 유병재 등 여러 인물의 출신지이기도 하다.

15. 같이 보기

1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경기도
파일:강원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강원특별자치도
파일:충청북도 휘장_White.svg
충청북도
파일:충청남도 휘장_White.svg
충청남도
파일:전북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전북특별자치도
수원시
도청

의정부시
북부
춘천시
도청

강릉시
제2청사
청주시
도청

제천시
북부

옥천군
남부
홍성군
도청

금산군
남부
전주시
파일:전라남도 휘장_White.svg
전라남도
파일:경상북도 휘장_White.svg
경상북도
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
경상남도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제주특별자치도
파일:황해도 휘장(이북5도위원회) 하양.svg 파일:평안남도(이북5도위원회) 휘장_White.svg 파일:정부상징 단색형.svg 파일:함경남도(이북5도위원회) 휘장_White.svg 파일:함경북도(이북5도위원회) 휘장_White.svg
이북 5도
무안군
도청

순천시
동부
안동시
도청

포항시
동부
창원시
도청

진주시
서부
제주시 -
}}}}}}}}} ||

[1] 출처: 홍성군 행정구역 [2] 2024년 12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3] 2024년 10월 기준 [4] 홍성군 가선거구 (홍성읍): 권영식, 김은미
홍성군 나선거구 (홍북읍): 이정윤
홍성군 다선거구 (광천읍, 금마면, 홍동면, 장곡면): 장재석
홍성군 라선거구 (은하면, 결성면, 서부면, 갈산면, 구항면): 김덕배, 이선균
홍성군 비례대표: 윤일순
[5] 홍성군 가선거구 (홍성읍): 최선경
홍성군 나선거구 (홍북읍): 문병오
홍성군 다선거구 (광천읍, 금마면, 홍동면, 장곡면): 신동규
홍성군 비례대표: 이정희
[6] 홍성군 제1선거구 (홍성읍, 홍북읍): 이상근 (초선)
홍성군 제2선거구 (광천읍, 금마면, 홍동면, 장곡면, 은하면, 결성면, 서부면, 갈산면, 구항면): 이종화 (4선)
[7] 041-630~636, 640~642. 이 중 041-640 국번은 신세계백화점 천안아산점과 함께 사용된다. [8] 21세기 미래지향적 도시 브랜드 조성 및 경쟁력과 인지도 상승을 담았다고 한다. 홍성군청 로고 소개 [9] 지역의 특산물이자 전국에서 생산량 1위인만큼, 이를 마스코트로 삼았다. [10] 2018년부터 홍성군이 홍주라는 이름으로 시작한지 천년이 되는 해이기도 하고 과거 홍성군의 마스코트였던 복돌이가 너무 축산 지역적인 이미지는 부각한다는 말이 있었기 때문에 지난 2016년 이 마스코트가 제작되어 홍성읍과 내포신도시의 시설물엔 복돌이 대신 이 마스코트로 대체하기 시작했다. [11] 사진의 충청남도청을 기준으로 왼쪽은 예산군 삽교읍, 오른쪽이 홍성군 홍북읍이다. [12] 단, 다른 도청 소재지와는 달리 도의회가 없다. 내포신도시를 만들 때 도청은 홍성, 도의회는 예산이 나눠갖도록 했기 때문이다. [13] 장곡면 동쪽 일부가 무한천 권역에 속한다. [14] '광천'의 '광'자가 '', ''이 아닌 ''이며, 천은 ''이다. 즉, '넓은 하천'이란 뜻이다. [15] 바다가 아닌 내륙 발생으로 보면, 6번째로 강한 지진이다. [16] 해당 지진 문서에는 진앙지를 홍성읍 외곽으로 설정했지만, 당시를 기억하는 주민들 증언에 의하면, 진앙지는 홍성읍 중심부였다. [17] 홍북읍 삽교읍 [18] 이 때문에 1970년대까지 경제나 인구, 학교의 수 면에서 홍성읍을 추월했던 적도 있어서 이로 인해 홍성읍의 상권이 위축 되었을 정도였다. '광천에서는 개도 만 원짜리를 물고 다닌다', '광천 독배에 시집 못 간 이 내 팔자', '광천에서 돈 자랑 하지 마라' 등 전국적으로 흥했던 지역에서 나왔던 우스갯소리들이 광천에도 존재했다. [19] 오서산 일대에 소규모의 금광들이 있었다고 하나, 지금은 모두 폐쇄되었고, 일부 금광에서는 현재 토굴 새우젓을 숙성하는 장소요 사용하고 있다. 사실 광천을 비롯한 홍성군 일대에서는 금광보다는 사금으로 더 유명했었다. [20] 그나마 '토굴새우젓'과 '김'이 지역 특산물로 이어오고 있는데, 그나마도 보령방조제 건설로 바닷물이 차단된 현재로서는 과거 주산지 기능이 일부 상실한 상태로, 전남 완도에서 생산 및 수송하여 2차 가공을 한 조미김과 목포 등지에서 경매로 구입한 새우를 토굴에서 숙성시켜서 출하하는 토굴 새우젓으로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21] 2017년 이안 아파트 입주 이후 신규 물량이 존재하지 않는 실정이다. 다만 이는 홍성군의회 측에서 운영하는 도시개발위원회 측이 인위적으로 아파트 건설 논의를 파행하고 있어 이로 인해 분양이 무산된 단지가 몇군데 있다. [22] 홍성읍 홍북읍을 하나의 읍으로 통합한 뒤 도시 형태를 갖춘 지역의 인구가 5만 이상이라는 조건을 만족하는 형태의 승격 시도 역시나 불가능하다. 시 승격 조건을 맞추기 위한 인위적인 통합은 행정안전부에서 절대 인정해주지 않는다. # 이미 칠곡군에서 시도해 봤다가 퇴짜맞은 바 있다. [23] 초창기 내포신도시 개발이 지지부진한 것도 이러한 축산 시설의 악취가 한몫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물론 대규모 축산 시설들이 사라진 지금은 잦아들긴 했지만... [24] 이 산업단지는 상단 내포도시첨단산업단지와는 다르게 내포신도시 개발 구역이 아닌 홍북읍 대동리에 조성된다. 하지만 내포신도시와 진입로 중 하나인 용봉로, 그리고 내포도시첨단산업단지에 인접하여 조성된다는 것. [25] 자세한 건 홍성종합터미널 문서 참조. [26] 해당 부지는 흉물로 방치되다가 2022년 이후 철거되었고, 그 주변으로는 소규모 가게들과 이편한세상의 모델하우스가 들어섰다. [27] 그 중에서도 보통은 조양문에서 홍성의료원까지 잇는 도로와 그를 포함한 명동 상가 등의 인근이 상용화 되어 있다. [28] 그러나 청소년들이 모여드는 지역 특성상 일부 불량청소년들 같은 분위기가 저해되는 이들도 몰려드는 만큼 그로 인해 상권 방문을 꺼리는 사람들도 많아져 상인들의 골치가 깊어지고 있다. [29] 맘스터치 T스테이션, 드림디포 등이 위치한 길 입구에는 홍성 월산상가라는 명칭을 사용 중이다. [30] 홍성군청은 2025년 완공을 목표로 이전 중이다. [31]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고. [32] 참고로, 홍성군 관내의 대형마트는 홍성읍 롯데마트 홍성점 하나 뿐이다. [33] 홍성군 면 단위 내에도 많은 시장이 위치했지만, 현재는 모두 사라지고 이 곳만 남았다. [34] DT(드라이브 스루)시설이 포함된 단독형 직영점으로, 홍성읍에서 내포신도시로 가는 길목에서 구 홍성여고 - 홍성여중의 중간에 있다. [35] DT(드라이브 스루)시설이 포함된 단독형 직영점으로 홍성읍에서 내포신도시로 가는 도청대로 진입 직전에 있다. [36] 홍성종합터미널 건너편으로 종합터미널에서 내포신도시로 진입하는 회전교차로에 자리잡았다. 외진 곳이라 방문객이 뜸한 편. [남당항점] [38] 서해안고속도로 홍성 휴게소에도 지점이 있다. [39] 명동상가에 위치해 있다. [40] 후술할 시티아일랜드에 입주해 있다. [41] 본래 홍성읍 옥암리와 남장리에도 각각 지점이 존재했지만, 현재는 폐업하고 내포신도시에만 남았다.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45] 홍성군뿐만 아니라 보령시, 예산군, 청양군에서도 홍성에서 금융 업무를 보기도 했었다. [46] 이 중 죽도와 성삼문선생 유허지, 고암이응노생가기념관, 홍주의사총을 제외한 8곳이 과거 '홍성 8경'에 속했던 곳이다. 기존 '궁리포구'는 주변과 합쳐 '명품낙조'로 변경했다.( 관련기사) [47] 한우는 전국적으로 많이 키우고 있고 지역에서 생산에 브랜드화된 곳도 많은데, 그 중 대표적인 곳이 강원도 횡성군이며, 그 다음으로 강원도 홍천군과 충청남도 홍성군 등이 있다. 다만, 홍성 지역의 한우는 횡성과 홍천과 달리 지리적 표시제에 등록되지 않았다. [48] 이쪽은 백제식품에서 계약한 것으로 군 차원에서의 홍보와는 관계가 없다. [49] 심지어 관련 광고 및 지역 신문에 개명 관련 기사도 게재를 안 했다. [50] 2018년 이후 홍성여자고등학교로 사용 중 [51] 2020년 3월 1일 광천고등학교에서 한국K-POP고등학교로 교명변경 [52] 홍성 초등학생 47.1% 내포서 학교 다닌다 - 홍성신문 내포타임즈 [53] 이는 기존 홍성여고 건물이 노후화된데다가 기존 부지 주변의 축사 악취와 통학로 문제 등으로 인해 교육 여건이 좋지 않았다. 여담으로 홍성고 옛 부지의 활용을 두고 '홍주초 이전', '홍성여중 이전', '홍성여고 이전'이 팽팽했다. [54] 본래는 사립학교였던 '덕명학교'에서 시작했다고 보는 의견이 있다. [55] 이 중 과거 홍동면 지역에 있었던 대평초등학교를 제외하면 해방 이후 덕명초등학교에서 분리 개교했던 학교들이다. [56] 그 전까지 대평초 자리에서 광천초등학교를 운영했다. [57] 광천중→광천중/광천여중 분리(1970년대)→광천중 통합(2014년) [58] 광천중학교 교사 재건축 관계로 광천중/광천여중 통합 때부터 기존 광천여자중학교를 임시로 활용했다. [59] 광천상업고등학교→광천정보고등학교→광천제일고등학교→'충남드론항공고등학교', 광흥여자고등학교→광천고등학교→'한국k-pop고등학교' [60] 현재 충청남도교육청 유아교육원으로 쓰이던 산수초등학교는 학생 수 감소로 2007년 통폐합되었다. [61] 당시 덕산중학교가 원래 위치에서 내포신도시로 이전한 이후였고, 먼 거리와 낙후된 인상 때문에 꺼렸던 것으로 보이나, 현재는 공동학구로 지정되었다. [62] 1994년 대하국교, 2007년 갈산초 가곡분교, 신당초 천수분교, 2009년 용호초, 2015년 광성초, 장곡초 오서분교장, 2017년 장곡초 반계분교장이 각각 폐교되었다. [63] 이들 학교 중 서부면은 서부초도 있어서 통합이 재기될 수 있지만, 통학 거리가 멀 수 있고, 결성초등학교의 경우, 학교 부지가 결성읍성 내에 자리해 장기적으로 결성읍성 복원 시 이전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64] 다만, 폐교 및 타 중학교 학구와 통합했을 때를 기준으로 주변의 서부중이나 갈산중, 또는 광천 지역으로 갈 수 있었는데, 결국 홍성읍 쪽으로 배치하면서 결성 출신 학생들은 중학교는 먼 길을 돌아 홍성읍으로 가야 했었다. 물론 지금은 희망자에 한해 홍성읍과 광천, 갈산, 서부로 선택해서 통학이 가능하다. [65] 2024년 5월 기준 [66] 여담으로 청운대학교와 같은 곳에 위치해 있는데, 이는 예전에 동일 재단 소속이였기 때문이다. [67] 2024년 5월 기준 [68] 2024년 5월 기준 [69] 2024년 5월 기준 [70] 다만 2000년대 이전까지 충청남도 홍성의료원 자체가 협소했고, 병상 수도 매우 적어 환자들을 대거 수용하기도 힘들었으며 타 대형병원에 비해 꽤 많던 수준이었다, 중증 환자와는 별개의 경증 환자들에 대해서는 서비스 자체 또한 불친절한 편이었지만, 2000년대 이후 의료원 현대화 사업의 일환으로 지상 8층, 지하 2층 규모로 재건축되어 병상 증설 및 시설의 개선과 더불어 서비스도 한결 개선되었으며 무엇보다 진료수준이 대폭 향상되면서 이러한 불만은 사라지게 되었다. [71] 유재명피부과, 김창덕소아과, 한만봉방사선과, 고정치과, 김안과, 홍성산부인과, 강정형외과 등등 [72] 그 덕에 2012년 충남도가 내포신도시에 야구장 조성을 추진할 당시 한화에서 뛰던 박찬호 한화 이글스 구단이 건립비를 함께 투자했다. [73] 당시 한국 건축에 내진 설계라는 개념 자체가 없었어서 홍성읍 일대에 큰 피해를 남기고 갔다. [74] 문서의 내용은 서부면과 결성면 지역이지만, 이 날 금마면에도 산불이 벌어지기도 했다. [75] 다만, 대전이나 천안 쪽 유입 인구보다는 인근 지역이나 홍성군 내 읍, 면에서 내포신도시로 유입되는 인구가 더 많다. [76] 정확히는 홍성읍. [77] 자세한 내용은 홍성군청 이전 관련 문서을 참고하자. [78] 2024년 8월 기준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