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9 23:45:04

음식점

식당에서 넘어옴
🏪 상점의 종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40%; min-height: 2em;"
{{{#!folding [ 운영 방식별 분류 ]
{{{#!wiki style="margin: -5px 0;"
<colbgcolor=#eee,#000> 도매상 도매 시장
소매상 공공 시장 - 지방 정부 소유 건물이나 땅에 개별 점포가 입점
재래시장 · 수산시장 · 야시장 · 시전 · 벼룩시장
기업형 소매 시장 - 기업 소유 건물이나 땅에 개별 브랜드가 입점
쇼핑몰 · 백화점 · 면세점 · 아울렛
소매점 단독
슈퍼마켓(슈퍼마트) · 할인점(울트라마트) · 편의점 · 대리점 · 체인점 · 플래그십 스토어 · 팝업스토어 · 노점 · 노포
}}}}}}}}}
[ 업종별 분류 ]
}}} ||
파일:서양 식당.jpg
양식 식당
파일:ㅎㅅㄷ.jpg
한식당
【언어별 명칭】
한국어 음식점, 식당[1]
중국어 饭馆[fànguǎn], 餐馆[cānguǎn][2][3]
餐厅[cāntīng][4]
일본어 飲食店(いんしょくてん), 食堂(しょくどう)
영어 Restaurant
스페인어 Restaurante
이탈리아어 Ristorante

1. 개요2. 선택 방법3. 대한민국의 분류 방식
3.1. 대한민국의 법적 분류3.2. 메뉴와 서비스 분류3.3. 이용 대상과 장소별 분류
4. 서구권의 분류 방식5. 운영 방식에 따른 분류6. 소비자의 이용 방식 분류7. 위생 건강8.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음식을 파는 가게. 식사 시설을 갖춘 음식점의 경우, 식당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를 경영하는 것은 요식업에 속한다.

2. 선택 방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음식점/선택 방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대한민국의 분류 방식

3.1. 대한민국의 법적 분류

음식점은 식품위생법상 '식품접객업'으로 분류되며(식품위생법 제36조 제1항 제3호), 세부적 분류는 다음과 같다(같은 조 제2항, 같은 법 시행령 제21조 제8호).

3.2. 메뉴와 서비스 분류

3.3. 이용 대상과 장소별 분류

4. 서구권의 분류 방식

대한민국의 식당은 보통 장소와 메뉴로 구분된다. 가격대 역시 음식 메뉴에 따라 달라진다. 가령 파스타 스테이크 전문점 등은 중간 가격대의 패밀리 레스토랑으로 분류시킨다. 동종 메뉴를 파는 더 높은 가격대의 파인 다이닝과 낮은 가격대의 패스트푸드 레스토랑이 잘 활성화 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반면 서구권은 가격대에 따라 음식점을 구분하며, 비슷한 메뉴가 모든 가격대에 분포해 있다.

5. 운영 방식에 따른 분류

6. 소비자의 이용 방식 분류

7. 위생 건강

8. 관련 문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18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18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 원 의미는 말 그대로 밥 먹는 곳이다. 정확히 말해서 불교 사찰에서 스님들이 음식을 먹으며 불도를 닦는 공간에서 유래된 말로 절이 갖추어야 할 7대 요소 중 하나이다. # 서양의 주택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다이닝 룸을 식당으로 번역하거나, 회사·공공기관·군부대 또는 학교 내에 있는 법적으로는 음식접객업으로 분류되는 급식실 등의 식사 시설을 식당으로 칭하는 경우도 있다. [2] 일반적인 식당 [3] 중국어로 食堂은 구내식당이란 뜻으로 쓰인다. [4] 고급식당 [5] PC방이 가장 문제가 된다. [6] 여담이지만 대한민국 외식업계가 서양과 다른 특징이기도 하다. 레스토랑처럼 여러 가지 메뉴를 취급하는 식당이 적고, 주로 특정 메인 메뉴 별로 분화되어서 전문점 형태로 식당이 분포한다는 점이 큰 차이. 때문에 대한민국의 외식업은 점주 개인에겐 오히려 진입장벽이 낮은 편에 속한다. 전문점 형태의 식당은 레스토랑이나, 중화요리점처럼 메뉴를 여러 가지 취급할 필요성이 적어서 주방 규모도 줄이고 전문 주방장을 두지 않을 수도 있지만, 그만큼 손님도 가려 받을 수밖에 없어서 안정된 수익을 기대하기 어렵다. 서양인들 입장에서도 적응하면 일장일단이 있는 듯 하다. [7] 근데 요즘에는 햄버거도 배달을 하는 추세다. 혼밥을 극도로 혐오하는 대한민국 사회의 특성상 햄버거집에서 혼밥을 하기 어려워하는 사람들을 위해 배달을 하는 추세다. 그리고 취업난으로 인해 결혼, 출산, 육아 등을 포기하는 N포 세대를 위시한 1인 가정이 늘어나게 되었기 때문. 다만 햄버거의 경우 피자, 치킨과 다르게 유통기한이 매우 짧은 편이고, 김밥처럼 가급적 1시간 내로 먹지 못하면 상해서 버려야 되는 그런 경우가 많아 배달을 잘 하지 않는 것일 뿐이다. [8] 버스 차고지 주변에 기사식당이 흔하다. [9] 대체로 한식당과 메뉴가 비슷하지만 기사들의 직업 특성상 소화가 잘 안 되거나 수분이 많은 음식은 기피하는 편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