味 맛 미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口, 5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8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ミ, ビ
|
||||||
일본어 훈독
|
あじ, あじ-わう
|
||||||
-
|
|||||||
표준 중국어
|
wèi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味는 '맛 미'라는 한자로, ' 맛', ' 기분', ' 취향' 등을 뜻한다.2. 상세
유니코드에는 U+5473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RJD(口十木)로 입력한다.뜻을 나타내는 口(입 구)와 소리를 나타내는 未(아닐 미)가 합쳐진 형성자다.
한국의 맛의 뜻처럼 기분이나 취향의 뜻도 같이 나타내는 한자다. 아예 이 한자음 자체가 한국어 어휘 '맛'과 '멋'과 동계어였을 수 있다는 학설도 존재한다. 이두문에서는 '뜻'을 의미하는 글자로도 사용되었는데,[1] 음독은 '맛'이라고 읽었다.
이체자로 苿가 있는데 苿는 뜻을 나타내는 부분이 艹( 초두머리)다.
3. 용례
3.1. 단어
- 가미( 加味)
- 감미( 甘味)
- 구미( 口味)
- 무미( 無味)
- 묘미( 妙味)
- 미각(味 覺)
- 미미( 美味)
- 미소(味 噌)
- 별미( 別味)
- 성미( 性味)
- 음미( 吟味)
- 의미( 意味)
- 조미( 助味/ 調味)
- 진미( 珍味/ 眞味)
- 취미( 臭味/ 趣味)
- 흥미( 興味)
3.2. 고사성어/ 숙어
3.3. 인명
- 고미카와 키요시( 五味 川 清)
- 기미( 岐味)
- 미구루압로(味 仇 婁 鴨 盧)
- 미료(味 料)
- 미추 이사금(味 鄒 尼 師 今): 신라 13대 국왕
- 복부미신( 福 富味 身)
- 시이노 미린( 椎 乃 味 醂)
- 아지노 고라쿠(味 野 娯 楽)
- 우스키누 야스미( 薄 絹 休味)
- 임견미( 林 堅味)
- 카미모토 코토네( 嘉味 元 琴 音)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4. 모양이 비슷한 한자
- 怽(잊을 말)
- 𩎟[⿰韋未](가죽 매)[2]
- 䵢(거무스름할 매)
- 㭑(나무이름 매)
- 妹(누이 매)
- 抺(더듬을 매)
- 祙(매혹할 매)[3]
- 跊(밟을 매)
- 佅/ 昧/ 眛(어두울 매)
- 𩈐[⿰面未](얼굴모양 매)
- 沬(희미할 매, 낯씻을 회)
- 鮇(곤들매기 미)
- 呠(꾸짖을 본)
- 𡶎[⿰山未]
- 𢓛[⿰彳未]
- 𫭥[⿰土未]
- 𭘕[⿰巾未]
- 𰡃[⿰犭未]
- 𪸙[⿰火未]
- 𰠭[⿰牛未]
- 𱭏[⿰爿未]
- 𬂧[⿰未未]
- 𤽜
- 𥑘[⿰石未]
- 𥞊[⿰禾未]
- [⿰田未]
- 𱷑[⿰窄未]
- 𧙕
- 𦕜[⿰耳未]
- 𧉿[⿰虫未]
- 𫃟[⿰糸未]
- 𧵖[⿰貝未]
- 𨠝[⿰酉未]
- [⿰身未]
- 𰴫[⿰言未]
- 𮡮[⿰金未]
5.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菋(오미자 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