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8 14:23:47

포테스타스

[[고대 로마|
파일:Capitoline_Wolf_of_Roman_Kingdom.svg.png 파일:투명.png 파일:로마 제국 깃발.svg 파일:투명.png 파일:라바룸.svg
로마
관련 문서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A00201><colcolor=#FAE572> 체제 고대 로마 ( 로마 왕국 · 로마 공화국 · 로마 제국) · 서로마 제국 · 동로마 제국 · 니케아 제국
역사 로마 왕국 · 로마 공화국 · 로마 제국/역사 · 동로마 제국/역사
분할국 갈리아 제국 · 팔미라 제국
잔존국 귀네드 왕국 · 수아송 왕국 · 마우레타니아 · 트라페준타 제국 · 이피로스 전제군주국 · 모레아 전제군주국
상징 SPQR · 아퀼라 · 파스케스 · 크리스토그램 · 보주 · 쌍두수리
정치 고대 로마의 정치제도 · 로마 국왕 · 집정관 · 독재관 · 감찰관 · 법무관 · 조영관 · 원로원 · 쿠리아 민회 · 켄투리아회 · 평민회 · 트리부스회 · 파트리키 · 플레브스 · 노빌레스 · 노부스 호모 · 임페리움 · 임페라토르 · 포테스타스 · 시빌라 예언서 · 성산 사건 · 옵티마테스 · 포풀라레스 · 루카 회담 · 삼두정치 · 로마 황제 · 카이사르(칭호) · 아우구스투스(칭호) · 기원전 23년 로마 헌정위기 · 피소 음모 · 네 명의 집정관 사건 · 사두정치 · 337년 콘스탄티누스 황족 학살 사건 · 동로마 제국/작위 및 관직 · 녹색당과 청색당 · 바실레프스 · 포르피로게니투스
종교 로마 신화 · 아우구르 · 플라멘 · 폰티펙스 막시무스 · 베스타
미트라 · 마니교
기독교 · 마르키온파 · 아담파 · 도나투스파 · 디오클레티아누스의 기독교 박해 · 밀라노 칙령 · 총대주교 (펜타르키아: 교황 ·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 · 알렉산드리아 총대주교 · 안티오키아 총대주교 · 예루살렘 총대주교) · 제1차 니케아 공의회 · 아리우스파 · 테살로니카 칙령 · 테오도시우스의 이교 박해 · 제1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 에페소 공의회 · 네스토리우스파 · 칼케돈 공의회 · 단성론 · 아카키오스 분열 · 제2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 제3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 퀴니섹스툼 공의회· 제2차 니케아 공의회 · 성상 파괴주의 · 포티오스 분열 · 제4차 콘스탄티노폴리스 공의회 · 헤시카즘 · 호람딘 · 동서 대분열 · 가톨릭 · 정교회 · 아르세니오스 분열
법률 로마법 · 로마 시민권 · 해방노예 · 모스 마이오룸 · 십이표법 · 호르텐시우스 법 · 원로원 최종 권고 · 클리엔텔라 · 밀라노 칙령 · 테살로니카 칙령 · 로마법 대전 · 금인 칙서
군사 로마군 · 글라디우스 · 필룸 · 스파타 · 스쿠툼 · 파르마 · 케트라투스 · 펠타스트 · 마니풀라 · 레기온 · 켄투리오 · 프라이토리아니 · 하스타티 · 벨리테스 · 프린키페스 · 트리아리 · 에퀴테스 · 기병장관 · 레가투스 · 트리부누스 밀리툼 · 트리부스회 · 테스투도 · 스폴리아 오피마 · 10분의 1형 · 로리카 · 마리우스의 군제개혁 · 팔라티나 · 코미타텐세스 · 동로마군 · 테마 제도 ( 군관구) · 타그마 · 바르다리오타이 · 투르코폴레스 · 불사 부대 · 아르콘토풀레 · 에테리아 · 바랑인 친위대 · 그리스의 불
행정구역 수도 ( 로마 · 콘스탄티노폴리스) · 분할 수도 ( 니코메디아 · 메디올라눔 · 라벤나) · 고대 로마/지방행정 · 속주 · 라벤나 총독부 · 아프리카 총독부 · 테마 제도 ( 군관구) · 프로니아 제도
문화 라틴어 · 민중 라틴어 · 코이네 그리스어 · 로마 미술 · 비잔틴 미술 · 네오비잔틴 · 로마력 · 율리우스력 · 우주력 · 로마식 작명법 ( 가족성) · 라틴 축제 · 루디 로마니 · 사투르날리아 · 루페르칼리아 · 고대 로마/성문화 · 빵과 서커스 · 검투사 · 세스타스 · 전차경주 · 개선식 · 로마 인빅타 · 가룸
문헌 사물의 본성에 관하여 · 갈리아 전기 · 내전기 · 파불라 · 아이네이스 · 변신 이야기 · 신약성서 · 박물지 · 게르만족의 기원과 위치 · 플루타르코스 영웅전 · 비블리오테케 · 히스토리아 아우구스타 · 수다 · 알렉시아스
경제 데나리우스 · 세스테르티우스 · 아우레우스 · 솔리두스
외교 로마 제국-중국 관계 · 동로마 제국/외교
정체성 로마인 · 동로마 제국/정체성 · 제3의 로마
매체 동로마 제국/매체 }}}}}}}}}

라틴어 Potestas

1. 개요2. 상세

1. 개요

고대 로마의 정치제도에 귀속된 직함의 권한을 일컫는 라틴어 용어. 흔히 '권력', '권한'으로 번역된다.

2. 상세

칙령을 공포하고 소송 당사자에게 조치를 취하는 등 로마 행정관의 권한을 의미하는 단어로, 19세기 역사학자 테오도르 몸젠은 "공권력은 로마인 사이에서 임페리움과 포테스타스로 불렸다"고 밝혔다. 고대 로마 학자들은 고대 로마의 정치제도에 귀속된 관직들 중 수석 조영관, 법무관, 집정관, 독재관, 기병장관은 포테스타스와 임페리움을 모두 가지고 있는 것으로 간주했고, 재무관, 호민관, 평민 조영관, 감찰관 등 다른 관직들은 포테스타스만 가지는 것으로 간주했다.

로마사를 처음 접한 이들은 포테스타스를 행정관의 권위를 상징하는 임페리움과 종종 혼동하곤 하는데, 많은 로마 법학자 및 변론가들이 두 용어의 의미를 대중에 설명하는 데 공을 들인 걸 볼 때 당대 로마인들 역시 많이 헷갈려 했던 듯하다.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는 포테스타스를 "행정관이 직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한 법률적 관념"이라고 설명했고, 페스투스는 "국민이 개인에게 공적인 임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부여한 권한"을 의미한다고 밝혔다. 또한 아울루스 겔리우스는 포테스타스를 행정관이 보유한 실질적인 힘이라고 설명하면서, 호민관이 원로원을 소집할 수 있는 권리는 임페리움이 아니라 포테스타스에 의해 비롯되었다고 주장했다. 이렇듯 로마 학자들은 포테스타스를 임페리움과 별개의 개념으로 간주했다.

로마의 각 행정관은 로마법에 정해진 대로의 권력을 부여받았으며, 더 많은 권력을 가진 행정관이 더 적은 권력을 가진 행정관보다 중요하게 평가되었다. 집정관은 민사 및 군사 문제 모두에서 최고의 권한을 가졌으며, 위기 상황에서 선출된 독재관 역시 집정관을 포함한 다른 어떤 행정관보다 많은 권력을 가졌다. 각 행정관은 낮은 순위의 행정관이 취한 조치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해 차단할 수 있었다. 동등한 권한을 가진 두 행정관이 서로의 조치에 반대할 경우, 더 많은 권력을 가진 행정관이 중재할 수 있었다. 다만 어떤 행정관도 원로원이나 민회의 결정을 거부할 수 없었다. 로마 제국 수립 후, 로마 황제 로마군 전체에 대한 포테스타스를 부여받았으며, 호민관 특권(Tribunicia Potestas, 트리부니키아 포테스타스)을 통해 로마 시민을 관리하는 권한 역시 부여받았다.

게르만족의 대이동 이후, 로마 제국의 영역 각지에 정착한 게르만인들은 로마의 정치 체제를 본땄다. 살리 프랑크족의 왕 킬데리크 1세는 제2 벨기카 속주의 군사 및 시민 지도자로서 포데스타스를 행사했으며, 킬데리크 1세의 무덤에서 발견된 금색 십자형 비골과 인장 반지는 로마 황제에게 수여받은 것으로 짐작된다. 램스 주교 레미가 킬데리크 1세의 아들 클로비스 1세에게 보낸 서신에는 "당신은 방금 제2의 벨기카 행정부를 접수했다. 당신이 당신의 부모님처럼 되기 시작한 것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라는 구절이 있다. 이는 킬데리크가 적어도 로마 속주에 속한 벨기카 속주의 제2의 군사 및 시민 지도자로서 로마 사회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

중세 초기, 유럽 사회는 로마의 정치 이론 대부분을 수용했다. 교황은 아우크토리타스(auctoritas)로 식별되는 영적 힘을 가진 것으로 간주되었고, 신성 로마 제국 황제는 포테스타스로 식별되는 현세적 힘을 가진 것으로 간주되었다. 볼로냐, 밀라노를 비롯한 일부 이탈리아 도시 국가들은 포테스타스를 행정관의 직함인 포데스타(podestà)로 변형하여 사용함으로써, 신성 로마 제국에 대한 독립성을 강조했다. 12세기 후반과 13세기 동안 대다수 이탈리아 도시들은 포데스타의 통치를 받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사법 권한에 국한되다가 16세기 초에 사라졌다. 20세기, 트렌토 트리에스테 시는 최고 행정관에게 포데스타라는 명칭을 붙이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