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뷔시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프랑스의 축구선수에 대한 내용은
마티유 드뷔시 문서 참고하십시오.서양 음악사의 주요 인물·기록물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고대 | 메소포타미아 음악 | <colbgcolor=#FFF,#1C1D1F>후르리인의 닌갈 찬가 | |
그리스 음악 | 세이킬로스의 노래 · 델포이 찬가 | |||
중세 음악 | 노트르담 악파 | 레오냉 · 페로탱 | ||
아르스 노바 | 비트리 · 마쇼 | |||
기타 | 란디니 · 던스터블 · 빙엔 | |||
르네상스 음악 | 부르고뉴 악파 | 뒤파이 · 뱅슈아 | ||
플랑드르 악파 | 오케겜 · 프레 · 이자크 | |||
이탈리아 | 팔레스트리나 · 라수스 · 카치니 · 가브리엘리 | |||
스페인 | 빅토리아 | |||
영국 | 탈리스 · 버드 · 다울런드 | |||
독일 | 루터 · 스벨링크 · 프레토리우스 · 하슬러 | |||
프랑스 | 샹보니에르 · 륄리 · 레벨 · 마레 · 캉프라 · 샤르팡티에 · 라모 · 쿠프랭 · 드 라 게르 · 르클레어 · 루아예 | |||
이탈리아 | 몬테베르디 · 알레그리 · 프레스코발디 · 카발리 · 카리시미 · 스트로치 · 스트라델라 · 코렐리 · 스테파니 · 토렐리 · A. 스카를라티 · 비탈리 · 로티 · A. 마르첼로 · 칼다라 · G. 보논치니 · 알비노니 · A. M. 보논치니 · 비발디 · 사로 · D. 스카를라티 · B. 마르첼로 · 포르포라 · 제미니아니 · 빈치 · 페오 · 타르티니 · 로카텔리 · 레오 · R. 브로스키 · 로그로시노 · 셀리토 · 파리넬리 · 페르골레지 | |||
중부 유럽 | 비버 · 쉿츠 · 산즈 · 프로베르거 · 파헬벨 · 툰더 · 북스테후데 · 젤렌카 · 마테존 · 하이니헨 · 텔레만 · J. S. 바흐 · 파슈 · 피젠델 | |||
영국 | 퍼셀 · 헨델 · 애비슨 | |||
고전주의 | 전고전(로코코) | 하세 · J. G. 그라운 · C. H. 그라운 · 마르티니 · 아라야 · F. 벤다 · 루소 · W. F. 바흐 · 보이스 · C. P. E. 바흐 · 글루크 · 욤멜리 · J. 슈타미츠 · L. 모차르트 · 아벨 | ||
초기 고전파 | G. 벤다 · 베르토니 · 트라에타 · 하이든 · 고세크 · M. 하이든 · C. 슈타미츠 · J. C. 바흐 · 파이지엘로 · 보케리니 | |||
후기 고전파와 과도기 | 치마로사 · 살리에리 · 클레멘티 · 모차르트 · 케루비니 · 카룰리 · 베토벤 · 훔멜 · 소르 · 줄리아니 · 쿨라우 · 리스 · 카르카시 | |||
낭만주의 | 전기 낭만주의 | 초기 낭만파 | 아구아도 · 베버 · 파가니니 · 레냐니 · F. 모차르트 · 슈베르트 · 글린카 · 슈포어 · 메르츠 | |
독일, 오스트리아 낭만주의 |
멘델스존 · 슈만 · C. 슈만 | |||
미국, 프랑스 낭만주의 |
베를리오즈 · 코스트 · 구노 · 포스터 · 고트샬크 | |||
비르투오소 피아니스트 | 체르니 · 쇼팽 · 리스트 · 탈베르크 · 알캉 · 헨젤트 · 루빈시테인 | |||
오페라 | 로시니 · 마이어베어 · 도니체티 · 벨리니 | |||
빈 왈츠 | 라너 · J. 슈트라우스 1세 · 주페 · J. 슈트라우스 2세 · 페피 · E. 슈트라우스 · 치러 · J. 슈트라우스 3세 | |||
후기 낭만주의 |
독일, 오스트리아 후기 낭만 |
바그너 · 라이네케 · 브루크너 · 뷜로 · 브람스 · 브루흐 · 로트 · 볼프 · 말러 · R. 슈트라우스 · 레거 · 라블 · 크라이슬러 · 푸르트뱅글러 · 코른골트 · 슈레커 · 라프 · 라인베르거 | ||
이탈리아 낭만주의 오페라 |
베르디 · 폰키엘리 · 푸치니 · 레온카발로 · 마스카니 | |||
프랑스 후기 낭만 |
비외탕 · 생상스 · 비제 · 오펜바흐 · 발퇴펠 · 뒤카 · 포레 · 프랑크 · 랄로 · 이자이 · 사티 | |||
러시아 후기 낭만 |
차이콥스키 · 라흐마니노프 · 스크랴빈 · 메트네르 · 아렌스키 · 글라주노프 · 칼리니코프 · 보르트키에비치 | |||
영국 낭만주의 |
엘가 · 홀스트 · 브리지 · 본 윌리엄스 · 블리스 · 핀치 | |||
폴란드 낭만주의 |
봉다제프스카 · 모슈코프스키 · 호프만 · 시마노프스키 | |||
미국 후기 낭만 |
와이먼 · 수자 · 오르트 · 고도프스키 | |||
루마니아, 크로아티아 낭만주의 |
이바노비치 · 페야체비치 | |||
국민악파 | 러시아 | 무소륵스키 · 보로딘 · 림스키코르사코프 · 발라키레프 · 큐이 · 글리에르 · 랴푸노프 | ||
중부 유럽 | 스메타나 · 드보르자크 · 야나체크 · 에네스쿠 · 도흐나니 · 흐리스토프 · 블라디게로프 · 모니우슈코 · 비에니아프스키 · | |||
북유럽 | 닐센 · 그리그 · 시벨리우스 · 알벤 | |||
스페인 | 사라사테 · 타레가 · 알베니스 · 라라 · 그라나도스 · 파야 · 요베트 · 투리나 · 토로바 · 사인스 데 라 마사 · 로드리고 | |||
프랑스, 이탈리아 | 쇼송 · 당디 · 레스피기 | |||
20세기음악 | ||||
인상주의 | 드뷔시 · 라벨 · 고베르 · 이베르 · 호세 | |||
신고전주의 | 부조니 · 스트라빈스키 · 힌데미트 · 바체비치 | |||
제2 빈 악파 | 쇤베르크 · 베베른 · 베르크 | |||
프랑스 근현대 음악 | 풀랑크 · 불랑제 · 미요 · 테유페르 · 오네게르 · 메시앙 · 뒤티외 · 불레즈 · 뒤사팽 · 졸리베 · 디앙 · 페송 | |||
영국 근현대 음악 | 소랍지 · 월튼 · 티펫 · 브리튼 · 두아르테 | |||
앵글로아메리카 근현대 음악 |
바레즈 · 조플린 · 아이브스 · 거슈윈 · 그로페 · 바일 · 코플런드 · 앤더슨 · 카터 · 바버 · 케이지 · 낸캐로우 · 배빗 · 해리슨 · 번스타인 · 로렘 · 펠드먼 · 무친스키 · 크럼 · 존 윌리엄스 · 테니 · 라일리 · 영 · 라이히 · 글래스 · 다비도브스키 · 제프스키 · 볼컴 · 애덤스 · 에바즌 · 랭 · 체르노빈 · 리버만 · 히그던 · 캐시디 · 노먼 · 비비에 · 아믈랭 | |||
라틴 아메리카 근현대 음악 |
로사스 · 폰세 · 브라우어 · 라우로 · 레쿠오나 · 망고레 · 빌라로부스 · 히나스테라 · 피아졸라 | |||
소련-러시아 근현대 음악 |
프로코피예프 · 쇼스타코비치 · 하차투리안 · 시닛케 · 카발레프스키 · 먀스콥스키 · 스비리도프 · 구바이둘리나 · 셰드린 · 카푸스틴 · 스코릭 · 아르투니안 | |||
헝가리 근현대 음악 | 버르토크 · 코다이 · 리게티 · 쿠르탁 · 외트뵈시 | |||
폴란드 현대 음악 | 루토스와프스키 · 펜데레츠키 · 구레츠키 | |||
독일-오스트리아 현대 음악 |
슈토크하우젠 · 치머만 · 라헨만 · 헨체 | |||
이탈리아 현대 음악 | 카스텔누오보테데스코 · 로타 · 노노 · 달라피콜라 · 베리오 · 샤리노 · 페델레 | |||
한국 현대 음악 | 백병동 · 강석희 · 나인용 · 나운영 · 이만방 | |||
기타 | 크세나키스 · 바인 · 아브라함센 · 김순남 · 윤이상 · 라우타바라 · 카잔지예프 · 탄 · 타케미츠 · 진은숙 · 박-파안 영희 · 요시마츠 · 첸 · 도이처 | }}}}}}}}} |
<colbgcolor=#000><colcolor=#fff> 클로드 드뷔시 Claude Debussy |
|
|
|
본명 |
클로드 아실 드뷔시 Claude Achille Debussy |
출생 | 1862년 8월 22일 |
프랑스 제국 생제르맹앙레 | |
사망 | 1918년 3월 25일 (향년 55세) |
프랑스 공화국 파리 | |
국적 |
[[프랑스| ]][[틀:국기| ]][[틀:국기| ]] |
직업 | 작곡가, 피아니스트 |
장르 | 인상주의 |
종교 | 가톨릭 → 무종교( 범신론) |
[clearfix]
1. 개요
프랑스의 작곡가이자 피아니스트로,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까지 가장 영향력 있는 작곡가 중 한 명이다. 인상파 음악의 창시자로 기틀을 마련하여 근대와 현대의 가교 역할을 담당해 낸 혁명가적 인물로 평가받는다. 모리스 라벨과 함께 프랑스 인상주의 음악의 대가로 평가받는다.2. 생애
1862년 파리 근교의 생제르맹앙레[1]에서 태어났다.아버지는 도자기상을 경영했지만 사업에 실패했다. 그가 어렸을 때 프로이센-프랑스 전쟁을 피하려 임신 중인 어머니와 두 누이동생과 함께 칸에 있는 백모에게 보내지기도 했는데, 이때의 경험이 이후 그의 교향시 바다의 밑바탕이 되기도 했다. 칸에서 드뷔시는 7살 되던 해에 백모의 지원 아래 피아노를 배웠다.
우연히 시인 폴 베를렌의 의모(義母)가 되는 모테 부인에게 음악의 재능을 인정받은 것이 그가 음악가가 되는 계기였다. 아마추어면서도 뛰어난 피아니스트였던 모테는 무상으로 클로드의 레슨을 맡았으며, 11살에는 파리 국립음악원에 입학, 12살에는 쇼팽의 피아노 협주곡을 협연할 정도의 천재성을 보였다. 그 외에도 17세에는 악보 초견[2]대회에서 1등을 차지하는 등 피아노 연주만이 아닌 작곡 등에도 재능이 있음을 입증하기도 했다.
다만 학교에서는 반항아로 통했는데, 수업이 휴강되자 자기 멋대로 대신 강의한다든지, 듣도 보도 못한 화음을 작품에 넣는 등의 행동으로 교수들 사이에서는 악명높았다고 한다. 그러나 정작 로마 대상[3]을 준비할 때 주위에서 계속 이렇게 파격적으로 곡을 쓰면 상을 못 탄다고 조언을 하자 바로 멀쩡한 곡을 작곡, 로마 대상을 받는다.
그러나 로마 대상의 부상으로 로마로 유학을 떠난 후 드뷔시는 다시 자기 스타일로 복귀, 다시 악명을 쌓아간다. 파리로 돌아온 뒤, 인상파 화가, 시인들과 교류하면서 인상주의에 대한 관심을 가졌는데, 한편으로 바그너의 음악에도 관심을 가져 바그너 음악의 중심지인 바이로이트로 성지순례를 떠났으나, 오히려 바그너의 안티만 되어서 돌아왔다.[4][5]
이후 피아노 레슨으로 생계를 유지하던 중, 1889년 파리에서 세계박람회가 개최되었을 때, 그곳에서 자바 섬의 전통음악을 듣게 된다. 그는 이 음악에서 신선한 영감을 얻게 되고 이후 그의 음악에 영향을 주고, 이때 쓰여진 곡으로 '달빛'으로 유명한 ' 베르가마스크 모음곡'이 있다.
그리고 1894년, 그의 걸작 중 하나이자 근, 현대 음악의 시작을 알린 ' 목신의 오후 전주곡'을 발표하게 된다. 이 작품은 환상적이고 몽롱한 느낌을 주는 화음의 사용으로 인상주의 음악의 지표를 세운다. 이어서, 오페라 '펠레아스와 멜리장드'[6]를 발표하는데, 찬반양론이 거세게 맞붙긴 했지만 어쨌든 상연을 거듭하면서 성공을 향해 나아가기 시작한다.
그러나 그는 여기에 만족하지 않았다. 단지 몽환적인 분위기를 벗어나 가능한 모든 색채를 음악에 도입하기 위해 노력했고, 그 결과 탄생한 작품이 그의 대표작인 바다(교향시)이다. 이전의 작품들과 달리 웅장함과 부드러움을 동시에 간직하여 인상파 음악을 본격적으로 드러내기 시작한다.
그러나 얼마 안 가 점차 그의 생활에 불행이 드리우기 시작했다. 잇따른 이혼과 재혼을 시작으로 딸의 죽음, 그리고 이고르 스트라빈스키와 아르놀트 쇤베르크 등을 필두로 한 새로운 음악의 태동으로 높은 명성 속에서도 행복하지 못했다. 얼마 안 가 그 역시 암에 걸리고, 제1차 세계대전의 발발로 그의 몸과 마음 모두 쇠약해져 갔다. 그 와중에도 필사적으로 작곡, 만년의 작품인 피아노 연습곡집, 바이올린 소나타 등을 마지막으로 남기고 전쟁의 포화 속에서 1918년 3월 25일 55세의 나이에 숨을 거둔다.[7] 이후 라벨, 스트라빈스키, 파야 등의 후배 격 작곡가들이 드뷔시를 추모하며 헌정곡을 냈다.
3. 작곡 성향
초기에는 바그너 등의 후기 낭만파에 영향을 받았지만, 이후 동양 음악과 인상주의의 영향을 받아 색채감이 넘치는 곡을 작곡한다. 자신이 뛰어난 피아니스트였기 때문에[8] 피아노곡들을 많이 작곡하기도 했다.그럼에도 이후 프랑스 6인조, 스트라빈스키, 쇤베르크 등 새로운 음악이 대두하고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인상주의 음악이 맥이 끊기면서 그와 모리스 라벨 외에 이렇다 할만한 인상주의 음악가가 없게 됐다.[9] 이 점에서 드뷔시를 설명할 때 자주 인용되는 '인상주의 음악의 창시자이자 완성자'라는 수식어가 붙는다.
4. 주요 작품
일련번호는 L 번호로 정리된다. 프랑스의 음악학자인 프랑수아 르쉬르(François Lesure)가 1977년에 정리한 목록이다.르쉬르가 2001년에 새로 발표한 목록의 번호도 쓰이는 일이 있다.[10]
4.1. 오페라
펠레아스와 멜리장드 |
- 펠레아스와 멜리장드 L. 88 (1893~1902)[11]
4.2. 관현악
목신의 오후 전주곡 | 교향시 '바다' 악보출판 표지인 "파도" 그림으로 유명한 곡 |
- 교향 모음곡 '봄' L. 61 (1887)
- 교향시 《 목신의 오후에의 전주곡》 L. 86(1894)
- 3개의 야상곡 L. 91(1897~9)
- 교향시 《 바다》 L. 109 (1903~5)
- 관현악을 위한 영상 L. 122 (1902~12, 1905~8, 1905~9)
4.3. 발레
- 유희 L. 126(1912~3)
- 장난감 상자 L. 128(1913)
4.4. 협주곡
- 첼로와 관현악을 위한 간주곡 L. 27(1882)
- 피아노와 관현악을 위한 환상곡 L. 73(1889~90)
- 알토색소폰과 관현악을 위한 광시곡 L. 98(1901~11)
- 클라리넷과 관현악을 위한 제1 광시곡 L. 116 (1909~10)
4.5. 실내악
첼로 소나타 | 바이올린 소나타 |
- 피아노 3중주 G장조 L. 3(1879)
- 현악 4중주 G단조 L. 85 Op. 10(1893)[12]
- 독주 플루트를 위한 시링크스 L. 129(1913)
- 첼로 소나타 D단조 L. 135(1915)
- 플루트·비올라·하프를 위한 소나타 F장조 L. 137(1915)
- 바이올린 소나타 G단조 L. 140(1916~7)
4.6. 피아노
아라베스크 1번 | 베르가마스크 모음곡 중 '달빛' |
판화 중 '탑' | 영상 중 '물에 비친 그림자' |
La plus que lente | 기쁨의 섬 |
- 교향곡 L. 10(1880~81): 연탄곡으로 되어 있으며, 드뷔시가 이 곡을 관현악곡으로 옮긴 적이 있는지는 불명이다.
- 작은 모음곡 L. 65 (1886~9): 연탄곡으로 되어 있으며, 대부분 관현악으로 편곡된 버전을 연주한다.
- 2개의 아라베스크 L. 66(1888, 91): 1번이 널리 알려져 있다.
- 꿈 L. 68 (1890)
- 발라드 L. 70 (1890)
- 낭만적 왈츠 L. 71 (1890)
- 베르가마스크 모음곡 L. 75(1890~1905): 전주곡, 미뉴에트, 달빛(Clair de Lune)[13], 파스피에로 구성되어 있다.
- 녹턴 L. 82(1892)
- 잊힌 영상 L. 87(1894): 3개의 곡(Lent (mélancolique et doux), Souvenir du Louvre, Quelques aspects de Nous n'irons plus au bois parce qu’il fait un temps insupportable)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번째 곡인 Souvenir du Louvre (루브르의 추억)은 L95 의 사라방드의 첫번째 버전이다. 원제는 "영상" 이었으나, 출판하면서 제목이 "잊힌 영상 (Images Oubliées)" 으로 바뀌었다.
- 피아노를 위하여 L. 95(1894~1901): 전주곡, 사라방드, 토카타로 구성되어 있다.
- 판화 L. 100 (1903): 탑(Pagodes), 그라나다의 황혼(La soirée dans Grenade), 비오는 정원(Jardins sous la pluie) 으로 구성되어 있다.
- 가면 L. 105 (1904)
- 기쁨의 섬 L. 106(1904)[14]: 유부녀이자 제자의 어머니인 애인과 섬에 여행 갔을 때 쓴 곡이라고 한다(...). 프랑스 화가 장-앙투안 와토의 < 시테르섬으로의 순례>에서 영감을 받아 작곡했다고 한다. 온음음계와 A장조 및 리디안 음계가 사용되어 오묘한 느낌을 준다.[15]
- 영상 1권 L. 110 (1905): 물에 비친 그림자(Reflets dans l'eau), 라모를 찬양하며(Hommage à Rameau), 움직임(Mouvement) 으로 구성되어 있다.
- 영상 2권 L. 111 (1907): 잎새를 스치는 종소리(Cloches a travers les feuilles), 황폐한 사원에 걸린 달(Et la descend sur le temple qui fut), 금빛 물고기 (Poissons d'or) 로 구성되어 있다.
- 어린이 차지 L. 113(1906~8)[16]: 그라두스 아드 파르나수스 박사[17], 짐보의 자장가, 인형의 세레나데, 눈은 춤춘다, 작은 양치기, 골리워그의 케이크워크[18]로 구성되어 있다.
- 작은 깜둥이(Le petit nègre/Le petit noir) L. 114 (1909): 원제목에는 현대적인 관점에서 차마 말할 수 없는 그 단어가 들어가기 때문에, 제목을 검열하고 공연하거나, 과격한 "깜둥이(nègre/negro)" 라는 말 대신 "흑인(noir/black)"이라는 상대적으로 점잖은 단어로 출판한다.
- 전주곡 1권 L. 117(1909~10): 총 12개의 곡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중 2번 돛(Voiles), 8번 아마빛 머리의 소녀(La fille aux cheveux de lin)[19], 10번 가라앉은 성당(La cathédrale engloutie)이 대중적으로 알려져 있다.
- 느린 것 그 이상의 것 L. 121 (1910): 원제는 'La plus que lente'로, "렌토보다 느리게"라는 곡명으로 더 알려져 있다. 그러나 여기서의 lente는 렌토를 가리키기 보다는 당시 프랑스에 유행하던 느린 왈츠를 의미한다고 해석하는 것이 옳다.[20] 즉, 보통의 느린 왈츠를 뛰어넘는 왈츠 작품이라는 뜻. 바이올린 편곡 버전의 인기가 높으며 오케스트라를 위해서 편곡된 버전도 있다.
- 전주곡 2권 L. 123(1912~3): 전주곡집 1권과 마찬가지로 12개의 곡으로 구성되어 있다. 안개(Brouillards)가 대중적으로 알려져 있으며 마지막 곡인 불꽃(Feux d'artifice)은 매우 격정적인 난곡이다.
- 오래된 비문(碑文) L. 131(1914~5): 연탄곡(131a)과 독주곡(131b)의 두 가지 판이 있으며, 6개의 곡으로 구성되어 있다.
- 영웅적인 자장가(Berceuse héroïque) L. 132
- "부상병들의 의복" 모금 활동을 위한 소품 L. 133(1915):"Page d'album"이라고 많이 불리는 이 곡은 1915년(1차 세계대전 당시) WWI 구호 단체인 "Le Vêtement du Blessé"를 위해 경매에 내놓을 목적으로 작곡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이 곡의 사본을 만들어 자신의 아내에게 선물했는데 그 사본이 첫 번째 출판의 기초가 되었다고 한다.
- 백과 흑으로 L. 134 (1915): 연탄곡으로 되어 있다. 본래는 Caprices en blanc et noir(백과 흑으로 이루어진 기상곡)이라는 제목이 붙었다가 후에 Caprices가 떨어져 나갔다. 여기서의 백과 흑이란 물론 피아노 건반.
- 연습곡 L. 136 (1915): 모두 12곡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초반 6곡은 인상주의를 제외하고도 피아노 기교를 훈련하는 데에 초점을 둔다면, 후반 6곡은 본격적으로 인상주의 곡을 연주하기 위한 테크닉들을 훈련하는 데에 초점이 맞춰 있다.[21] 그런데 드뷔시의 악풍이 말기로 갈수록 화음적으로 풍부하지만 이를 위한 기교를 가감 없이 때려박았는데 이 연습곡집도 그렇기 때문에, 알캉이나 아믈랭과 같은 수준은 아니지만 매우 복잡한 것은 변함이 없다.
- 비가(悲歌) L. 138 (1915)
4.7. 가곡
잊힌 노래 중 Green | 달빛 |
- 별의 밤 L. 4 (1880)
- 아름다운 저녁 L. 6 (1880)
- 잊힌 노래 L. 60 (1885~7)
- 보들레르의 5개의 시 L. 64(1887~9)
- 말라르메의 3개의 시 L. 127 (1913)
4.8. 합창
- 칸타타 방탕한 아들(L'enfant prodigue) L. 57 (1884)
- 칸타타 선택된 여자(La Damoiselle élue) L. 62 (1887~8)
5. 기타
- 여러 일화를 보면 인성 개차반나기로는 프로코피예프와 쌍벽을 이룬다. 특히 사생활 문제로 당대에 욕을 엄청 먹었던 인물이다. 아이러니 한 점은 드뷔시의 악풍이 천진난만하고 순수하며 몽환적인 전형적인 프랑스 인상주의 스타일. 즉, 음악 스타일과 본인의 성격이 정 반대인 셈.
- 굉장한 바람둥이였다고 한다. 이혼과 재혼을 밥 먹듯이 하면서 수많은 여자들과 연애를 했다고 한다. 연애중에 양다리를 걸치는 건 기본이고, 이때문에 그와 사귀던 여자들은 크게 상심해 자살 시도를 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혼후 여자에게 위자료도 주지않아 비난을 받았으며 익명으로 투서가 날아올 정도였다. 결혼한 후에도 바람을 피우다 한 번은 단단히 잘못 걸려 총으로 위협을 받아 죽을뻔 하기도.
- 취향이 꽤 사치스러운 편이었다고 한다. 미식가에다 패션에도 관심이 많아 항상 최신 유행하는 옷을 입고 다녔고, 거기에 비싼 그림, 서적 등을 자주 사들이곤 했다고. 그 결과 빚더미에 올라앉아 신용 불량자가 되었다.
- 오귀스트 로댕과 헤어진 카미유 클로델과 깊은 우정을 나눴다고 한다. 하지만 머지않아 카미유 클로델이 결별을 요구했기에 헤어졌다고 한다. 다만 까미유 끌로델의 조각 중 '왈츠'의 모델이라 카더라는 소문이 있는데, 드뷔시에게 선물로 주었고 평생 간직했다고 한다.
- 일본의 무그 신디사이저 연주자인 토미타 이사오는 드뷔시의 곡을 리메이크하기도 했다. 이때 만든 작품들은 1980~1990년대 방송이나 광고 BGM으로 우려먹을 정도로 쓰여졌다.[22]
- 클로드 드뷔시처럼 연주하는 방법. 한국계 클래식 작곡가인 Nahre Sol이 " 생일 축하합니다" 를 드뷔시 스타일로 편곡했다. 바쁜 사람들은 영상의 5분 10초부터 보자.
- 1913년 작품인 시링크스는 1927년 첫 출판 당시 끝에서 2소절째의 B♮에 악센트가 붙어있었으나 이는 오기로, 실제로는 셈여림이었다는 게 장장 60여년 뒤인 1993년에 자필 팩시밀리판이 발견되면서 밝혀졌다. 실제로 많은 연주가들이 위화감을 느끼고 있던 부분이었다고 한다.
6. 대중문화
- 트란 안 홍 감독의 영화 그린 파파야 향기에서 대표곡 달빛이 아름다운 영상미의 영화 분위기에 잘 녹아들었다.
- 이와이 슌지 감독의 영화 《 릴리 슈슈의 모든 것》에서 대표곡으로 드뷔시의 음악이 끊임없이 재생된다. 그러나 아름다운 선율과 달리, 작품 속 현실은... (릴리 슈슈라는 이름은 드뷔시의 아내 릴리와, 릴리에게서 드뷔시를 빼앗은 엠마 바르닥 사이에 난 딸 슈슈의 이름을 합친 것이라고 한다.)
- 이자벨 아자니가 주연한 카미유 클로델의 전기 영화에서도 까미유의 지인이자 연인으로 짤막하게 등장한다.
- 뉴 단간론파 V3 -모두의 살인 신학기-의 아카마츠 카에데가 좋아하는 곡으로 Clair de Lune이 클라이맥스의 BGM으로도 등장.
- 패밀리 가이의 한 장면에서도 드뷔시가 언급된다. 좌측의 인물이 작곡가의 이름을 실제와는 매우 동떨어진 발음으로 말하는데,[23] 하필이면 Debussy(드뷔시)가 De pussy(디푸씨)로 들리는 바람에 섹드립 확정이다. 내용 자체도 난 드뷔시가 정말 좋다. 어쩔땐 드뷔시말곤 아무것도 생각할수 없다. 드뷔시가 어릴때가 가장 좋을때다 등등.
- Untitled Goose Game의 배경음악들이 바로 드뷔시의 작품들이다. 덕분에 유튜브 댓글란이 뜬금없이 거위 이야기들로 가득차고 있다.
- 슈퍼커브의 OST로 클로드 드뷔시의 음악이 자주 사용되고 있다. 1~5화까지 빠짐없이 총 5곡이 등장하며 곡명과 상황이 맞는 상황이 자주 연출된다. 연주자는 이치카와 토모히사.
- 만분의 일초에서는 2개의 아라베스크(L. 66) 중 1번이 삽입곡으로 쓰였고, 극 중에서 여러 차례 흘러나온다.
7. 관련 문서
8. 저서
《안티 딜레탕트 크로슈 씨》(이세진 역, 포노, 2017). 한국어판. 《Monsieur Croche, Antidilettante》 전편과 《크로슈 씨 외 여러 글Monsieur Croche et Autres Écrits》 가운데 두 편을 뽑아 엮은 책.
[1]
Saint-Germain-en-Laye라고 쓴다. 이곳에는 그를 기념하는 박물관이 관광사무소와 함께 운영되고 있으니, 기회가 있다면 꼭 찾아가보자. 이곳에는 크고 아름다운 숲도 있다.
[2]
악보를 보고 연습 없이 한 번에 연주하는 것.
[3]
파리 음악원에서 주는 권위 있는 상이다.
[4]
이 때 그가 했던 말로 '바그너는 새벽으로 오해받은 황혼이다.'가 있는데, 바그너가 새로운 음악의 선구자인 줄 알았는데 그도 구시대 음악에 묶여있다는 의미이다.
[5]
바그너 음악에 대한 드뷔시의 위트 섞인 조롱은,
어린이 차지(Children's Corner) 마지막 곡인 'Golliwog's Cakewalk'에 드러나 있다. 곡 중반부에
트리스탄과 이졸데 주제를 재치있게 변주한다.
[6]
당시 유행하던 작품으로
장 시벨리우스, 가브리엘 포레,
아르놀트 쇤베르크도 같은 소재로 작품을 썼다. 물론 제목도 같다.
[7]
참고로 드뷔시가 죽기 불과 이틀 전인 그해 3월 23일,
파리는 독일군이 막 배치한
파리 대포의 공격을 받기 시작한 상태라서 드뷔시의 죽음을 더욱 비극적으로 만들었다. 파리 대포의 공격으로 인한 파리의 어수선한 분위기 때문에, 드뷔시의 장례식도 매우 간소하게 거행되었다.
[8]
무대 연주가로는 자처하진 않았지만 초견력은 거의 리스트 급이었다고 하며(두 대의 피아노를 위한
봄의 제전 초연을 돕기 위해
스트라빈스키와 같이 연주했는데, 초연으로 완벽하게 연주해내서 스트라빈스키가 극찬했다), 파리 음악원 입학시험의 심사위원을 몇 번 맡기도 했다.
[9]
'인상주의 음악가'라고 공식적으로(?) 딱지가 붙은 작곡가는 이 둘뿐인 게 맞지만, 단순히 작곡 경향만 놓고 보자면 영국의 프레드릭 딜리어스나 레녹스 버클리 등도 인상주의 작곡가로 볼 수 있다.
[10]
이 문서의 곡들은 1977년의 목록에 따라 번호가 매겨져 있다.
[11]
원작 희곡은 한국에는
파랑새의 저자로만 알려져 있는 모리스 마테를링크의 작품이다.
[12]
그의 작품 중 유일하게 Opus번호가 붙어있다.
[13]
관현악을 위하여 편곡된 버전도 있다. 국내에서는 CF에 자주 쓰여 드뷔시의 음악 중 가장 유명하다.
[14]
여담이지만 이 곡은
2018년도
서울예술고등학교
피아노과 입시곡으로 지정되어 많은 입시생들에게
충격과 공포를 줄 정도로 까다로운 곡이다.
[15]
여담으로
동명의 만화를 원작으로 한 일본 드라마
노다메 칸타빌레에서 노다메가 콩쿠르에서 이 곡을 연주하는 장면이 나온다.
[16]
자기의 딸 슈슈에게 헌정했으며, 각 제목이 모두 영어로 되어 있다. 슈슈가 영국인 보모에게 자라 프랑스어를 못 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17]
무치오 클레멘티를 풍자하기 위해 붙인 제목.
[18]
6곡 중 가장 유명한 곡으로, 래그타임의 영향을 받은 작품이다.
[19]
윈도우 7의
샘플 음악중 하나인 'Maid With Flaxen Hair'의 원곡이 이 노래다.
[20]
실제로도 들어보면 템포가 렌토라고 하기에는 한참 빠르다.
[21]
초반에는 한 손 네다섯 손가락의 유창성과, 3도, 4도, 6도, 옥타브 등 카푸스틴의 "
다른 음정에 의한 5개의 연습곡(Op. 68)"처럼 특정 음정에 대한 연습곡도 마련해 놓았다. 그 뒤에는 반음계, 꾸밈음, 연타, 역(逆)공명, 합성된 펼침화음, 화음에 대한 연습곡들로 구성되어 있다.
[22]
한국에서는 토미타 이사오의 드뷔시 음악 편곡앨범 "Snowflakes Are Dancing"에서 특히 아라베스크 1번의 인기가 무척 높았다.
[23]
Bach를 바흐가 아니라 '바크'로,
Mozart를 모차르트가 아니라 '모(우)자트'로 발음한다. 그런데, 미국인들은 유럽인들의 이름을 원어로 부르지 않고 영어식으로 부르기 때문에, 그들의 이름이 그렇다고 인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