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 음악사의 주요 인물·기록물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고대 | 메소포타미아 음악 | <colbgcolor=#FFF,#1C1D1F>후르리인의 닌갈 찬가 | |
그리스 음악 | 세이킬로스의 노래 · 델포이 찬가 | |||
중세 음악 | 노트르담 악파 | 레오냉 · 페로탱 | ||
아르스 노바 | 비트리 · 마쇼 | |||
기타 | 란디니 · 던스터블 · 빙엔 | |||
르네상스 음악 | 부르고뉴 악파 | 뒤파이 · 뱅슈아 | ||
플랑드르 악파 | 오케겜 · 프레 · 이자크 | |||
이탈리아 | 팔레스트리나 · 라수스 · 카치니 · 가브리엘리 | |||
스페인 | 빅토리아 | |||
영국 | 탈리스 · 버드 · 다울런드 | |||
독일 | 루터 · 스벨링크 · 프레토리우스 · 하슬러 | |||
프랑스 | 샹보니에르 · 륄리 · 레벨 · 마레 · 캉프라 · 샤르팡티에 · 라모 · 쿠프랭 · 드 라 게르 · 르클레어 · 루아예 | |||
이탈리아 | 몬테베르디 · 알레그리 · 프레스코발디 · 카발리 · 카리시미 · 스트로치 · 스트라델라 · 코렐리 · 스테파니 · 토렐리 · A. 스카를라티 · 비탈리 · 로티 · A. 마르첼로 · 칼다라 · G. 보논치니 · 알비노니 · A. M. 보논치니 · 비발디 · 사로 · D. 스카를라티 · B. 마르첼로 · 포르포라 · 제미니아니 · 빈치 · 페오 · 타르티니 · 로카텔리 · 레오 · R. 브로스키 · 로그로시노 · 셀리토 · 파리넬리 · 페르골레지 | |||
중부 유럽 | 비버 · 쉿츠 · 산즈 · 프로베르거 · 파헬벨 · 툰더 · 북스테후데 · 젤렌카 · 마테존 · 하이니헨 · 텔레만 · J. S. 바흐 · 파슈 · 피젠델 | |||
영국 | 퍼셀 · 헨델 · 애비슨 | |||
고전주의 | 전고전(로코코) | 하세 · J. G. 그라운 · C. H. 그라운 · 마르티니 · 아라야 · F. 벤다 · 루소 · W. F. 바흐 · 보이스 · C. P. E. 바흐 · 글루크 · 욤멜리 · J. 슈타미츠 · L. 모차르트 · 아벨 | ||
초기 고전파 | G. 벤다 · 베르토니 · 트라에타 · 하이든 · 고세크 · M. 하이든 · C. 슈타미츠 · J. C. 바흐 · 파이지엘로 · 보케리니 | |||
후기 고전파와 과도기 | 치마로사 · 살리에리 · 클레멘티 · 모차르트 · 케루비니 · 카룰리 · 베토벤 · 훔멜 · 소르 · 줄리아니 · 쿨라우 · 리스 · 카르카시 | |||
낭만주의 | 전기 낭만주의 | 초기 낭만파 | 아구아도 · 베버 · 파가니니 · 레냐니 · F. 모차르트 · 슈베르트 · 글린카 · 슈포어 · 메르츠 | |
독일, 오스트리아 낭만주의 |
멘델스존 · 슈만 · C. 슈만 | |||
미국, 프랑스 낭만주의 |
베를리오즈 · 코스트 · 구노 · 포스터 · 고트샬크 | |||
비르투오소 피아니스트 | 체르니 · 쇼팽 · 리스트 · 탈베르크 · 알캉 · 헨젤트 · 루빈시테인 | |||
오페라 | 로시니 · 마이어베어 · 도니체티 · 벨리니 | |||
빈 왈츠 | 라너 · J. 슈트라우스 1세 · 주페 · J. 슈트라우스 2세 · 페피 · E. 슈트라우스 · 치러 · J. 슈트라우스 3세 | |||
후기 낭만주의 |
독일, 오스트리아 후기 낭만 |
바그너 · 라이네케 · 브루크너 · 뷜로 · 브람스 · 브루흐 · 로트 · 볼프 · 말러 · R. 슈트라우스 · 레거 · 라블 · 크라이슬러 · 푸르트뱅글러 · 코른골트 · 슈레커 · 라프 · 라인베르거 | ||
이탈리아 낭만주의 오페라 |
베르디 · 폰키엘리 · 푸치니 · 레온카발로 · 마스카니 | |||
프랑스 후기 낭만 |
비외탕 · 생상스 · 비제 · 오펜바흐 · 발퇴펠 · 뒤카 · 포레 · 프랑크 · 랄로 · 이자이 · 사티 | |||
러시아 후기 낭만 |
차이콥스키 · 라흐마니노프 · 스크랴빈 · 메트네르 · 아렌스키 · 글라주노프 · 칼리니코프 · 보르트키에비치 | |||
영국 낭만주의 |
엘가 · 홀스트 · 브리지 · 본 윌리엄스 · 블리스 · 핀치 | |||
폴란드 낭만주의 |
봉다제프스카 · 모슈코프스키 · 호프만 · 시마노프스키 | |||
미국 후기 낭만 |
와이먼 · 수자 · 오르트 · 고도프스키 | |||
루마니아, 크로아티아 낭만주의 |
이바노비치 · 페야체비치 | |||
국민악파 | 러시아 | 무소륵스키 · 보로딘 · 림스키코르사코프 · 발라키레프 · 큐이 · 글리에르 · 랴푸노프 | ||
중부 유럽 | 스메타나 · 드보르자크 · 야나체크 · 에네스쿠 · 도흐나니 · 흐리스토프 · 블라디게로프 · 모니우슈코 · 비에니아프스키 · | |||
북유럽 | 닐센 · 그리그 · 시벨리우스 · 알벤 | |||
스페인 | 사라사테 · 타레가 · 알베니스 · 라라 · 그라나도스 · 파야 · 요베트 · 투리나 · 토로바 · 사인스 데 라 마사 · 로드리고 | |||
프랑스, 이탈리아 | 쇼송 · 당디 · 레스피기 | |||
20세기음악 | ||||
인상주의 | 드뷔시 · 라벨 · 고베르 · 이베르 · 호세 | |||
신고전주의 | 부조니 · 스트라빈스키 · 힌데미트 · 바체비치 | |||
제2 빈 악파 | 쇤베르크 · 베베른 · 베르크 | |||
프랑스 근현대 음악 | 풀랑크 · 불랑제 · 미요 · 테유페르 · 오네게르 · 메시앙 · 뒤티외 · 불레즈 · 뒤사팽 · 졸리베 · 디앙 · 페송 | |||
영국 근현대 음악 | 소랍지 · 월튼 · 티펫 · 브리튼 · 두아르테 | |||
앵글로아메리카 근현대 음악 |
바레즈 · 조플린 · 아이브스 · 거슈윈 · 그로페 · 바일 · 코플런드 · 앤더슨 · 카터 · 바버 · 케이지 · 낸캐로우 · 배빗 · 해리슨 · 번스타인 · 로렘 · 펠드먼 · 무친스키 · 크럼 · 존 윌리엄스 · 테니 · 라일리 · 영 · 라이히 · 글래스 · 다비도브스키 · 제프스키 · 볼컴 · 애덤스 · 에바즌 · 랭 · 체르노빈 · 리버만 · 히그던 · 캐시디 · 노먼 · 비비에 · 아믈랭 | |||
라틴 아메리카 근현대 음악 |
로사스 · 폰세 · 브라우어 · 라우로 · 레쿠오나 · 망고레 · 빌라로부스 · 히나스테라 · 피아졸라 | |||
소련-러시아 근현대 음악 |
프로코피예프 · 쇼스타코비치 · 하차투리안 · 시닛케 · 카발레프스키 · 먀스콥스키 · 스비리도프 · 구바이둘리나 · 셰드린 · 카푸스틴 · 스코릭 · 아르투니안 | |||
헝가리 근현대 음악 | 버르토크 · 코다이 · 리게티 · 쿠르탁 · 외트뵈시 | |||
폴란드 현대 음악 | 루토스와프스키 · 펜데레츠키 · 구레츠키 | |||
독일-오스트리아 현대 음악 |
슈토크하우젠 · 치머만 · 라헨만 · 헨체 | |||
이탈리아 현대 음악 | 카스텔누오보테데스코 · 로타 · 노노 · 달라피콜라 · 베리오 · 샤리노 · 페델레 | |||
한국 현대 음악 | 백병동 · 강석희 · 나인용 · 나운영 · 이만방 | |||
기타 | 크세나키스 · 바인 · 아브라함센 · 김순남 · 윤이상 · 라우타바라 · 카잔지예프 · 탄 · 타케미츠 · 진은숙 · 박-파안 영희 · 요시마츠 · 첸 · 도이처 | }}}}}}}}} |
요제프 요아힘 라프(Joseph Joachim Raff)(1822 5. 27~1882 6. 24/25)
1. 개요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6개의 소품 Op.85 중 3곡, 카바티나[1] |
독일계 스위스인 작곡가, 교사, 피아니스트.
2. 약력
1822년: 취리히의 라헨에서 태어났다.1832년: 교회의 오르간 반주자로 일하였다.
1834년: 로텐부르크 김나지움에 입학하여 철학과 수학을 배웠지만, 가정형편이 어려워 중도에 스위스로 돌아와 슈비츠에 있는 예수회 신학교에서 학업을 마쳤다.
1840년: 라헨 근처의 라퍼스빌에 교사로 채용되었다.
1843년: 독학으로 쓴 피아노곡을 멘델스존에게 보내었는데, 멘델스존은 상당히 긍정적으로 평가했으며, 출판사 브라이트코프 운트 헤르텔에 소개해 주었다. 멘델스존의 친구였던 슈만도 “장래가 촉망된다.”고 평가했다.
1844년: 프란츠 리스트의 연주회를 듣기 위해 폭우를 맞으면서 75km나 떨어진 곳까지 가서 들었다. 리스트는 이 사람에게 연주 여행도 시켜주고 쾰른의 악보 가게에 취직시켜주었다.
1847년: 자기의 우상이었던 멘델스존이 사망했다.
1849년: 리스트는 이 사람을 어시스턴트로 고용했으며, 하루에 11시간씩 악보 사보 및 편곡 작업을 도와주었다.
1851년: 오페라 <알프레드 왕>을 작곡했다. 리스트의 도움으로 바이마르 궁전 극장에서 2차례 상연되었다.
1856년: 바그너의 악극 <니벨룽의 반지>를 비판했다가 물의를 빚었다. 그래서 바이마르를 떠나 비스바덴에서 피아노 교사로 일하였다.
1857년: 협주 소품 <봄의 찬가>를 한스 폰 뷜로의 독주로 초연하였다.
1859년: 결혼했고, <알프레드 왕>이 다시 상연되어 성공을 거두었다.
1861년: 빈 악우협회가 주최하는 작곡 콩쿠르에 교향곡 1번 아버지의 땅으로를 제출하여 1등상을 차지하였다.
1877년: 프랑크푸르트로 거주지로 옮겨 새로 개교한 호흐 음악원 원장으로 취임하였다.
1882년: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3. 작품 경향
- 절충주의적 작풍으로 썼다. 관현악 편성은 고전주의 시대와 비슷하면서도 표제를 적극적으로 이용했으며, 바로크적 대위법, 고전파적 형식미, 초기 낭만파적인 선율, 후기 낭만파적인 화성진행 등 여러 시대의 요소를 활용한 작풍을 띤다.
- 다양한 장르에 걸쳐서 썼으나 특히 관현악곡에 집중했다.
4. 주요 작품
4.1. 교향곡
- 그의 작품군 중 가장 중요한 장르로 평생에 걸쳐 총 12곡(1곡은 유실, 1곡은 미완성)을 작곡하였다. 교향곡 2번과 4번을 제외하면 모두 표제음악이다. 이중 3번 "숲속에서"와 5번 "Leonore"는 그의 교향곡들 중에 가장 중요한 작품들이며 그 다음으로는 7, 8번 교향곡이 주로 꼽힌다. 후기 4교향곡인 8~11번 교향곡은 각각 사계절을 표현한 곡이다. 라프의 교향어법은 차이코프스키에게 큰 영향을 주었으며 그 외에도 브람스, 슈만, 드보르작, 바그너, 리스트, 비외탕 등 여러 작곡가들과 교류하였다.
교향곡 3번 F장조 "숲속에서" Op.153 | 교향곡 5번 E장조 "Leonore" Op.177 |
교향곡 7번 B♭장조, "알프스에서" Op.201 | 교향곡 8번 A장조 "봄의 소리" Op.205 |
- E단조의 교향곡 WoO 18(유실)
- 교향곡 1번 D장조 “아버지의 땅으로” Op.96 (1859~1861)
- 교향곡 2번 C장조 Op.140 (1866)
- 교향곡 3번 F장조 “숲속에서” Op.153 (1869)
- 교향곡 4번 G단조 Op.167 (1871)
- 교향곡 5번 E장조 “Leonore” Op.177 (1870~1872)
- 교향곡 6번 D단조 “생애” Op.189 (1874)
- 교향곡 7번 B♭장조 “알프스에서” Op.201 (1875)
- 교향곡 8번 A장조 “봄의 소리” Op.205 (1876)
- 교향곡 9번 E단조 “여름에” Op.208 (1878)
- 교향곡 10번 F단조 “가을 시간에” Op.213 (1879~1881)
- 교향곡 11번 A단조 “겨울” Op.214 (1876~, 미완성)
4.2. 실내악
- 그의 작품군 중 교향곡과 더불어 가장 중요한 작품이 많다. 1853~1866년 사이에 중요한 작품이 많이 몰려있다. 8개의 현악 4중주, 5개의 바이올린 소나타, 4개의 피아노 3중주, 피아노 5중주 등이 대표적이며 볼드체로 된 작품들은 특별히 완성도가 높은 작품들에 해당한다.
현악 4중주 1번 Op.77 | 바이올린 소나타 2번 Op.78(4악장) |
피아노 5중주 Op.107 | 피아노 3중주 3번 Op.155 |
-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2중주 Op.59 (1848, 개작: 1852)
- 바이올린 소나타 1번 E단조 Op.73 (1853~1854)
- 첼로와 피아노를 위한 2개의 환상 소곡 Op.86 (1854)
- 현악 4중주 1번 D단조 Op.77 (1855)
- 현악 4중주 2번 A장조 Op.90 (1857)
- 바이올린 소나타 2번 A장조 Op.78 (1858~1859)
-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6개의 소품 Op.85 (1859)
- 3개의 바이올린 소나티나 Op.99 (1861)
- 피아노 3중주 1번 C단조 Op.102 (1861)
- 피아노 5중주 A단조 Op.107 (1862)
- 피아노 3중주 2번 G장조 Op.112 (1863)
- 바이올린 소나타 3번 D장조 Op.128 (1865)
- 바이올린 소나타 4번 G단조 "반음계적" Op.129 (1866)
- 현악 4중주 3번 E단조 Op.136 (1866)
- 현악 4중주 4번 A단조 Op.137 (1867)
- 현악 4중주 5번 G장조 Op.138 (1867)
- 바이올린 소나타 5번 C단조 Op.145 (1868)
- 피아노 3중주 3번 A단조 Op.155 (1870)
- 피아노 3중주 4번 D장조 Op.158 (1870)
- 현악 8중주 C장조 Op.176 (1872)
- 현악 6중주 G단조 Op.178 (1872)
- 호른과 피아노를 위한 2개의 로망스 Op.182 (1873)
- 첼로소나타 D장조 Op.183 (1873)
- 신포니에타 F장조 Op.188 (목관 10중주, 1873)
- 현악 4중주 6번 C단조 "변형된 스타일의 모음곡" Op.193-1 (1874)
- 현악 4중주 7번 D장조 "아름다운 물방앗간의 아가씨" Op.193-2 (1874)
- 현악 4중주 8번 C장조 "카논 형태의 모음곡" Op.193-3 (1874)
- 피아노 4중주 1번 G장조 Op.202 No.1 (1876)
- 피아노 4중주 2번 C단조 Op.202 No.2 (1876)
- 피아노 5중주를 위한 환상곡 G단조 Op.207b (1877)
-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모음곡 Op.210 (1879)
4.3. 협주곡
- 피아노와 관현악을 위한 '봄의 찬가'와 1개의 피아노 협주곡, 2개의 첼로 협주곡, 2개의 바이올린 협주곡 등이 있으며 이중 가장 대표적인 두 작품은 각각 초기와 후기를 대표하는 작품으로 서로 스타일이 많이 다르다.
봄의 찬가 Op.76 | 피아노 협주곡 c단조 Op.185 |
- 사랑의 요정 A단조 Op.67(바이올린)
- 봄의 찬가(서정시) G장조 Op.76(피아노) (1857)
- 바이올린 협주곡 1번 B단조 Op.161 (1870~1)
- 바이올린과 관현악을 위한 모음곡 G단조 Op.180 (1873)
- 피아노협주곡 C단조 Op.185 (1873)
- 첼로협주곡 1번 D단조 Op.193 (1874)
- 피아노와 관현악을 위한 모음곡 E♭장조 Op.200 (1875)
- 첼로협주곡 2번 G장조 WoO 44 (1876)
- 바이올린 협주곡 2번 A단조 Op.206 (1877)
4.4. 관현악
축전 서곡 Op.117 | 서곡 '우리의 하나님은 굳센 성이시다' Op.127 |
- 벤하르트 폰 바이마르의 음악 WoO 17 (1854)
- 연주회 서곡 F장조 Op.123 (1862)
- 관현악 모음곡 1번 C장조 Op.101 (1863)
- 축하 서곡 Op.103 (1864)
- 축전 서곡 Op.117 (1864)
- 서곡 '우리의 하나님은 굳센 성이시다' Op.127 (1865)
- 축전 행진곡 Op.139 (1867)
- 이탈리아 모음곡 E단조 WoO 35 (1871)
- 저녁의 광시곡 E♭장조 Op.163b (1874)
- 관현악 모음곡 2번 F장조 '헝가리풍' Op.194 (1874)
- 관현악 모음곡 3번 B♭장조 '튀링겐인' WoO 45 (1877)
- 비가(悲歌) WoO48 (1879)
- 서곡 셰익스피어의 '템페스트' WoO 49 (1879)
- 서곡 셰익스피어의 '맥베스' WoO 50 (1879)
- 서곡 셰익스피어의 '로미오와 줄리엣' WoO 51 (1879)
4.5. 피아노
3개의 피아노 솔로 Op.74 중 1번, 발라드 | 네 손을 위한 왈츠 형태의 유모레스크 Op.159[2] |
- 3개의 소품 Op.2 (1842, 1876: 개작)
- 변주곡 Op.6 (1843, 1878: 개작)
- 피아노 소나타 Op.14 (1844, 1881: 개작)
- 3개의 피아노 솔로 Op.74 (1852)
- 모음곡 1번 A단조 Op.69 (1857)
- 모음곡 2번 C장조 Op.71 (1857)
- 모음곡 3번 E단조 Op.72 (1857)
- 모음곡 4번 D단조 Op.91 (1859)
- 즉흥곡-왈츠 Op.94 (1860)
- 스페인 광시곡 Op.120 (1864)
- 3개의 소품 Op.125 (1865)
- 3개의 소품 Op.126 (1865)
- 알레그로 아지타토 Op.151 (1868)
- 티롤 풍의 왈츠-즉흥곡 WoO 28 (1868)
- 화려한 왈츠 E♭단조 Op.156 (1870~1871)
- 2개의 소품 Op.157 (1870)
- 네 손을 위한 왈츠 형태의 유모레스크 Op.159(1871)
- 모음곡 5번 G단조 Op.162 (1870)
- 모음곡 6번 G장조 Op.163 (1871)
- 2개의 소품 Op.166 (1871)
- 2개의 소품 Op.169 (1871)
- 3개의 소품 Op.164 (1872)
- 4개의 소품 Op.196 (1875)
- 모음곡 7번 B♭장조 Op.204 (1876)
4.6. 오페라
오페라 "유령 숙녀" 서곡 Op.154 |
- 알프레드 왕 WoO 14 (1848~1849)
- 삼손 WoO 20 (1853~1854)
- 비밀번호 WoO 29 (1868)
- 유령 숙녀 Op.154 (1870)
- 베네데토 마르첼로 WoO 46 (1877~1878)
- 질투하는 사람 WoO 54 (1881~1882)
4.7. 합창
'깊은 곳에서' - 시편 130 Op.141 |
- 시편121 WoO 8 (1848)
- 테 데움 WoO 16 (1853)
- 들장미 WoO 19 (1855)
- 깨어라 Op.80 (1858)
- 독일의 부활 칸타타 Op.100 (1862~1863)
- '깊은 곳에서' - 시편 130 Op.141 (1867)
- 아침의 노래와 사라져버린 사람 Op.186 (1873)
- 하루의 시간들 Op.209 (1877~8, 피아노&합창&관현악)
- 칸타타 ‘별’ WoO 53 (1880)
- 오라토리오 종말-심판-신세계 Op.212 (1879~1881)
4.8. 가곡
세레나데 WoO 21 | 6개의 노래 Op.184 중 5곡 '쉬운 느낌' |
- 3개의 노래 Op.47 (1848)
- 2개의 노래 Op.48 (1848)
- 3개의 노래 Op.49 (1848)
- 2개의 노래 Op.53 (1849)
- 5개의 노래 Op.51 (1849~50)
- 3개의 노래 Op.52 (1850)
- 봄의 노래 Op.98 (1855~63)
- 세레나데 WoO 21 (1859)
- 연가곡 마리아 스튜어트 Op.172 (1872)
- 8개의 노래 Op.173 (1868~1870)
- 6개의 노래 Op.184 (1873)
- 꽃들의 말 Op.191 (1874)
- 연가곡 블론델 데 네슬레 Op.211 (1880)
- 꿈의 노래 WoO 56C (18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