王 임금 왕, 성 왕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玉, 0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4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オウ
|
||||||
일본어 훈독
|
きみ
|
||||||
-
|
|||||||
표준 중국어
|
wáng, wàng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王은 '임금 왕'이라는 한자로, '임금', ' 왕(王)'을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임금 | |
음 | 왕 | ||
중국어 | 표준어 | wáng | <colbgcolor=#fff,#1f2023>wàng |
광동어 | wong4 | wong6 | |
객가어 | vòng | vong | |
민북어 | uâng | uāng | |
민동어 | uòng | uông | |
민남어 | ông | ōng | |
오어 | hhuaan (T3) | hhuaan (T3) | |
일본어 | 음독 | オウ | |
훈독 | きみ | ||
베트남어 | vương | vượng |
유니코드 상에서는 U+738B에 배정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에서는 一土(MG)로 입력한다.
갑골문에서는 주로 세 가지 자형이 관찰되는데, 1. 현재의 王 자 형태 2. 현재의 大 자 형태 밑에 一 자가 붙어 있는 형태 3. 2의 형태 위에 一 자가 또 붙어 있는 형태가 있다. 이에 대해서는 주로 도끼의 모양을 본뜬 상형자라고 해석한다. 고대 사회에서는 최고형벌이 사형인만큼, 사형에 사용되는 도끼가 권력의 집행을 의미하므로 최고 권력인 왕의 의미로 사용되는 것으로 보인다. 갑골문이 발견되지 않았던 고대에는 주로 三(석 삼) 자를 중간의 세로 획이 꿰뚫고 있는 모양을 바탕으로 해석을 내놓았다. 예를 들어 한나라 때의 관료 동중서(董仲舒)는 "옛날에 글자를 만들었던 사람은 획 세 개를 긋고 가운데를 이어 王이라고 했다. 세 획은 각각 하늘, 땅, 사람을 말한다. 즉 참선하여 이 세 가지를 두루 꿰뚫는 사람을 왕이라고 하는 것이다."라고 했다. 설문해자에도 이 설이 수록되어 있다.
임금을 뜻하는 글자로, 주나라 때부터 중국에서 국가 최고 통치자의 호칭이었으나,[1] 진시황이 황제라는 제도를 도입하자 중원에서는 제후를 뜻하는 말이 되었고, 그 이후 황제국보다 한 등급 낮은 제후국의 최고 통치자가 갖는 명칭이 되었다.
이외에도 크다, 뛰어나다고 할 때 왕○○하다-, 왕○○ 등의 표현을 쓰곤 하는데 이건 현대에 와서 생긴 속어가 아니고 원래 이 한자가 옛날부터 가지고 있던 뜻 중 하나였다.
부수는 구슬 옥( 玉)부. 본래 설문해자에서는 王부가 별도로 존재했는데 강희자전에서 부수 체계를 고치면서 王부를 해체, 王부에 속해 있던 閏(윤달 윤)은 門(문 문)부에, 皇(임금 황)은 白(흰 백)부에 편입되었다. 그리고 王은 玉이 부수로 쓰일 때는 王으로 변형된다는 점 때문에 玉부에 편입되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다음자이며, 명사로서 '왕'의 뜻으로 쓰일 때는 평성, 동사로서 '왕이 되다', '다스리다' 등의 뜻으로 쓰일 때는 거성으로 읽는다.
3. 용례
3.1. 단어
- 왕(王)
- 국왕( 國王)
- 군왕( 君王)
- 근왕( 勤王)
- 대왕( 大王)
- 명왕성( 冥王 星)
- 번왕( 藩王)
- 법왕( 法王)
- 선왕( 先王)
- 성왕( 聖王)
- 시왕( 十王)
- 여왕( 女王)
- 왕가(王 家/王 駕)
- 왕국(王 國)
- 왕궁(王 宮)
- 왕권(王 權)
- 왕기(王 氣)
- 왕도(王 道)
- 왕도(王 都)
- 왕릉(王 陵)
- 왕명(王 命)
- 왕모(王 母)
- 왕백(王 白)
- 왕비(王 妃)
- 왕성(王 城)
- 왕세자(王 世 子)
- 왕실(王 室)
- 왕위(王 位)
- 왕자(王 子)
- 왕좌(王 座/ 佐)
- 왕저(王 鴡)
- 왕조(王 朝)
- 왕족(王 族)
- 왕후(王 侯)
- 왕창(王 昌)
- 용왕( 龍王)
- 인왕경( 仁王 經)
- 제왕( 帝王)
- 천왕성( 天王 星)
- 해왕성( 海王 星)
3.2. 고사성어/ 숙어
- 왕고좌우이언타(王 顧 左 右 而 言 他)
- 왕공거경(王 公 巨 卿)
- 왕공대인(王 公 大 人)
- 왕자무외(王 者 無 外)
- 왕자무친(王 者 無 親)
- 왕자승세(王 者 乘 勢)
- 왕자승시(王 者 乘 時)
- 왕자지민(王 者 之 民)
- 왕정복고(王 政 復 古)
- 왕좌지재(王 佐 之 才/王 佐 之 材)
3.3. 인명
한국의 성씨 한자 상위 100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ont-size:.9em" |
100위까지 성씨는 내국인 인구의 99.16%입니다 (2015년 통계청 자료) 인구 비율이나 100위 아래의 성씨 등은
한국의 성씨별 인구 분포 문서 참고 |
||||||||||||||||||||||||||||||||||||||||||||||||||||||||||||||||||||||||||||||||||||||||||||||||||
## 🔶🔶 0는 정렬의 위한 배경색의 안보이는 0
|
}}}}}}}}} |
- 왕씨인 인물들 전부
- 니마이야 오에츠( 二 枚 屋 王 悦)
- 단군왕검( 檀 君王 儉)
- 미야코노죠 오도( 都 城 王 土)
- 시노지 린도( 汐王 寺 竜 胆)
- 시노지 마츠리카( 汐王 寺 茉 莉 花)
- 오도 유히(王 道 遊 飛)
- 오도로키 호스케(王 泥 喜 法 介)
- 오마 코키치(王 馬 小 吉)
- 왕오춘(王 獒 春)
- 왕발(王 勃)
- 왕지환(王 之 渙)
- 왕위푸(王 玉 普)
- 왕샤오훙(王 小 洪)
- 자오우 타이시( 蔵王 大 志)
- 쥬오인 카케루( 十王 院 カケル)
- 토키타 오우마( 十 鬼 蛇 王 馬)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4. 유의자
5. 상대자
- 臣(신하 신)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7. 여담
- 식스팩의 모양과도 닮아 배에 '왕' 자가 있다는 표현을 쓰곤 한다.
- 2021년 국민의힘 제20대 대통령 후보 경선에 출마한 윤석열이 손바닥에 王자가 적힌 채로 TV 토론회에 참가했다가 구설에 올랐다. 윤석열은 지지자 중 한 명이 손바닥에 적어 준 것이며 의미는 잘 모르겠다고 해명하였으며, 홍준표 등 당내 경선 경쟁자들은 주술적인 의미가 있을 것이라며 비난하였다. 관련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