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9f51 {{{#!wiki style="padding: 5px 0 0; margin:-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582d2d, #663334, #663334, #582d2d)"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20세기 ] {{{#!wiki style="margin:-5px -1px -5px; word-break:normal" {{{#555,#aaa |
<rowcolor=#cd9f51> 1901 | 1902 | 1903 | 1904 |
에밀 폰 베링 | 로널드 로스 | 닐스 핀센 | 이반 파블로프 | |
<rowcolor=#cd9f51> 1905 | 1906 | 1907 | ||
로베르트 코흐 | 카밀로 골지 | 산티아고 카할 | 샤를 라브랑 | |
<rowcolor=#cd9f51> 1908 | 1909 | 1910 | ||
일리야 메치니코프 | 파울 에를리히 | 에밀 코허 | 알브레히트 코셀 | |
<rowcolor=#cd9f51> 1911 | 1912 | 1913 | 1914 | |
알바르 굴스트란드 | 알렉시 카렐 | 샤를 리셰 | 로베르트 바라니 | |
<rowcolor=#cd9f51> 1919 | 1920 | 1922 | ||
쥘 보르데 | 아우구스트 크로그 | 아치볼드 힐 | 오토 마이어호프 | |
<rowcolor=#cd9f51> 1923 | 1924 | 1926 | ||
프레더릭 벤팅 | 존 매클라우드 | 빌럼 에인트호번 | 요하네스 피비게르 | |
<rowcolor=#cd9f51> 1927 | 1928 | 1929 | ||
율리우스 야우레크 | 샤를 니콜 | 크리스티안 에이크만 | 프레더릭 홉킨스 | |
<rowcolor=#cd9f51> 1930 | 1931 | 1932 | ||
카를 란트슈타이너 | 오토 바르부르크 | 찰스 셰링턴 | 에드거 에이드리언 | |
<rowcolor=#cd9f51> 1933 | 1934 | |||
토머스 모건 | 조지 휘플 | 조지 마이넛 | 윌리엄 머피 | |
<rowcolor=#cd9f51> 1935 | 1936 | 1937 | ||
한스 슈페만 | 헨리 데일 | 오토 뢰비 | 얼베르트 센트죄르지 | |
<rowcolor=#cd9f51> 1938 | 1939 | 1943 | ||
코르네유 하이만스 | 게르하르트 도마크 | 카를 담 | 에드워드 도이지 | |
<rowcolor=#cd9f51> 1944 | 1945 | |||
조지프 얼랭어 | 허버트 개서 | 알렉산더 플레밍 | 하워드 플로리 | |
<rowcolor=#cd9f51> 1945 | 1946 | 1947 | ||
에른스트 체인 | 허먼 멀러 | 칼 퍼디낸드 코리 | 거티 코리 | |
<rowcolor=#cd9f51> 1947 | 1948 | 1949 | ||
베르나르도 우사이 | 파울 뮐러 | 발터 헤스 | 에가스 모니스 | |
<rowcolor=#cd9f51> 1950 | 1951 | |||
필립 헨치 | 에드워드 켄들 | 타데우시 라이히슈타인 | 막스 타일러 | |
<rowcolor=#cd9f51> 1952 | 1953 | 1954 | ||
셀먼 왁스먼 | 핸스 크렙스 | 프리츠 리프먼 | 존 앤더스 | |
<rowcolor=#cd9f51> 1954 | 1955 | 1956 | ||
토머스 웰러 | 프레더릭 로빈스 | 악셀 테오렐 | 앙드레 쿠르낭 | |
<rowcolor=#cd9f51> 1956 | 1957 | 1958 | ||
베르너 포르스만 | 디킨슨 리처즈 | 다니엘 보베 | 조지 웰스비들 | |
<rowcolor=#cd9f51> 1958 | 1959 | |||
에드워드 테이텀 | 조슈아 레더버그 | 세베로 오초아 | 아서 콘버그 | |
<rowcolor=#cd9f51> 1960 | 1961 | 1962 | ||
프랭크 맥팔레인 버넷 | 피터 메더워 | 게오르크 폰 베케시 | 제임스 왓슨 | |
<rowcolor=#cd9f51> 1962 | 1963 | |||
프랜시스 크릭 | 모리스 윌킨스 | 앨런 호지킨 | 앤드루 헉슬리 | |
<rowcolor=#cd9f51> 1963 | 1964 | 1965 | ||
존 커루 에클스 | 콘라트 블로흐 | 페오도르 리넨 | 프랑수아 자코브 | |
<rowcolor=#cd9f51> 1965 | 1966 | |||
앙드레 루오프 | 자크 모노 | 페이턴 라우스 | 찰스 브렌턴 허긴스 | |
<rowcolor=#cd9f51> 1967 | 1968 | |||
랑나르 그라니트 | 핼던 케퍼 하틀라인 | 조지 월드 | 로버트 윌리엄 홀리 | |
<rowcolor=#cd9f51> 1968 | 1969 | |||
마셜 니런버그 | 하르 고빈드 코라나 | 막스 델브뤼크 | 앨프리드 허시 | |
<rowcolor=#cd9f51> 1969 | 1970 | |||
살바도르 에드워드 루리아 | 버나드 카츠 | 울프 폰 오일러 | 줄리어스 액설로드 | |
<rowcolor=#cd9f51> 1971 | 1972 | 1973 | ||
얼 서덜랜드 | 제럴드 모리스 에덜먼 | 로드니 로버트 포터 | 카를 폰 프리슈 | |
<rowcolor=#cd9f51> 1973 | 1974 | |||
콘라트 로렌츠 | 니콜라스 틴베르헌 | 알베르 클로드 | 크리스티앙 드뒤브 | |
<rowcolor=#cd9f51> 1974 | 1975 | |||
조지 에밀 펄레이드 | 데이비드 볼티모어 | 레나토 둘베코 | 하워드 마틴 테민 | |
<rowcolor=#cd9f51> 1976 | 1977 | |||
바루크 새뮤얼 블럼버그 | 대니얼 칼턴 가이듀섹 | 로제 기유맹 | 앤드류 빅터 섈리 | |
<rowcolor=#cd9f51> 1977 | 1978 | |||
로절린 옐로 | 베르너 아르버 | 다니엘 네이선스 | 해밀턴 O. 스미스 | |
<rowcolor=#cd9f51> 1979 | 1980 | |||
앨런 코맥 | 고드프리 하운스필드 | 바루 베나세라프 | 장 도세 | |
<rowcolor=#cd9f51> 1980 | 1981 | |||
조지 데이비스 스넬 | 로저 울컷 스페리 | 데이비드 헌터 허블 | 토르스텐 닐스 비셀 | |
<rowcolor=#cd9f51> 1982 | 1983 | |||
수네 베리스트룀 | 벵트 잉에마르 사무엘손 | 존 로버트 베인 | 바바라 매클린톡 | |
<rowcolor=#cd9f51> 1984 | 1985 | |||
세사르 밀스테인 | 게오르게스 쾰러 | 닐스 카이 예르네 | 마이클 스튜어트 브라운 | |
<rowcolor=#cd9f51> 1985 | 1986 | 1987 | ||
조지프 골드스타인 | 스탠리 코언 | 리타 레비몬탈치니 | 토네가와 스스무 | |
<rowcolor=#cd9f51> 1988 | 1989 | |||
제임스 화이트 블랙 | 거트루드 B. 앨리언 | 조지 히칭스 | 존 마이클 비숍 | |
<rowcolor=#cd9f51> 1989 | 1990 | 1991 | ||
해럴드 엘리엇 바머스 | 조지프 에드워드 머리 | 에드워드 도널 토머스 | 에르빈 네어 | |
<rowcolor=#cd9f51> 1991 | 1992 | 1993 | ||
베르트 자크만 | 에드먼드 헨리 피셔 | 에드윈 크레브스 | 리처드 로버츠 | |
<rowcolor=#cd9f51> 1993 | 1994 | 1995 | ||
필립 앨런 샤프 | 앨프리드 길먼 | 마틴 로드벨 | 에드워드 루이스 | |
<rowcolor=#cd9f51> 1995 | 1996 | |||
에릭 위샤우스 | 크리스티아네 뉘슬라인폴하르트 | 피터 C. 도허티 | 롤프 칭커나겔 | |
<rowcolor=#cd9f51> 1997 | 1998 | |||
스탠리 프루지너 | 로버트 퍼치곳 | 루이스 이그내로 | 페리드 머래드 | |
<rowcolor=#cd9f51> 1999 | 2000 | |||
귄터 블로벨 | 폴 그린가드 | 아비드 칼손 | 에릭 캔들 | |
}}}}}}}}}
- [ 21세기 ]
-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3> 2001 || 2002 ||
}}}}}} ||
Илья́ Ильи́ч Ме́чников 일리야 일리치 메치니코프 |
|
|
|
<colbgcolor=#000000> 본명 | 일리야 일리치 메치니코프 |
출생 | 1845년 5월 15일 |
러시아 제국 하리코프 (現 우크라이나 하르키우) |
|
사망 | 1916년 7월 15일 (향년 71세) |
프랑스 파리 | |
국적 |
[[러시아 제국| ]][[틀:국기| ]][[틀:국기| ]] |
분야 | 생물학, 면역학, 세균학 |
[clearfix]
1. 개요
러시아의 생물학자이자 세균학자. 1908년 식세포작용을 발견한 공로로 파울 에를리히와 노벨생리학·의학상을 공동 수상했다.2. 생애
1845년 러시아 제국의 하리코프 현[1]에서 태어난 그는 어릴 때부터 과학에 관심이 많았다.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1863년 하르키우 대학교에서 생물학을 배우다가 1864년 헬리고랜드로 넘어가 해양 생물에 대해 연구하고자 했다.1867년 오데사대학에서 강의를 시작했으며 동물학 교수로 임명되었다. 1875년 Olga Belokopytova와 재혼했으며[2] 계속되는 연구활동을 행했다. 1882년에 오데사 대학을 퇴임했으며 개인 실험실을 운영했다. 그 후 1886년에는 오데사에 백신 연구소를 설립했지만 재정상의 어려움으로 2년 뒤 문을 닫고 말았다.
그 후 1908년 식세포작용을 발견한 공로로 파울 에를리히와 노벨생리학·의학상을 공동 수상했으며 이후로도 유산균과 그 효능을 발견하는 등 계속적으로 미생물을 연구했다. 그러다가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이 일어나자 모든 연구 활동을 중단했으며 2년 뒤인 1916년 프랑스 파리에서 사망했다.
3. 연구
1888년 그는 불가리아에 유독 장수하는 사람이 많다는 사실을 발견했고, 곧바로 그 원인을 알아보기 위해 연구를 시작했다. 그는 불가리아인들이 요거트를 많이 먹는다는 것을 알고, 그 요거트에 어떠한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했다. 그 결과 특정 세균이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고, 그 세균은 노화 방지, 외부의 해로운 물질 분해 등의 작용을 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는 이 세균을 유산균(Bifidobacterium infantis)이라고 명명했으며 1907년 유산균의 섭취로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는 "생명 연장"이라는 논문을 발표했다.그러나 메치니코프의 진가는 요거트 연구가 아닌 면역학에서 드러난다.
1882년, 로베르트 코흐가 결핵균을 찾아내는 데 성공하자, 전처가 결핵으로 사망했던 메치니코프는 이에 감명을 받고 면역에 대한 연구를 착수한다. 이후 연구에 적합한 해양생물들이 많은 이탈리아 메시나에서 연구 끝에 '몸 속에서 단세포생물이 병원체를 소화한다'는 사실을 현미경으로 관찰한다. 단세포생물같은 원시적인 생명체는 침입한 물질을 먹으면서 자기소화를 하는데, 이게 진화하면서 인간의 면역계가 되었다는 것.
메치니코프는 추가 연구를 통해 불가사리에 가시를 찔러넣자 특정한 세포가 병균을 잡아먹는 현상을 발견, 곧바로 연구에 착수했고 이러한 세포를 포식세포(phagocyte)라고 명명했다. 이를 토대로 메치니코프는 '세포가 면역작용을 한다'라는 사실을 세상에 알렸고, 클라이넨버그와 피르호 등의 지원으로 이같은 사실이 세상에 퍼진다. 당시에는 염증반응에 식세포가 붙어있는 것을 보고 식세포가 병의 원인이라고 생각했으나 정반대의 의견을 내놓은 혁신이었다.
메치니코프는 이후 광견병 백신을 개발한 파스퇴르를 만나 1886년 6월, 오데사에서 파스퇴르가 추진한 세균학 연구소의 대표직을 맡았다. 당시 메치니코프는 러시아 당국에 반동분자로 찍혀서 연구소를 구하기 어려워서 대표직을 환영했다고. 백신 연구 중 판카예프 사건 등 잇따른 부작용이 튀어나오고, 콜레라로 수슬리키(땅다람쥐)의 개체수를 조절하려는 연구가 중단당하는 등 갖은 문제로 세균학 연구소를 떠난다.
이후 프랑스 파리의 파스퇴르 연구소에서 연구를 이어나가다가 파스퇴르로부터 연구소를 물려받고 연구를 계속한다.
두 학파는 팽팽하게 맞서 싸웠다. 왜냐하면 동물에 병원균을 주입할 때마다 결과가 달라졌기 때문이었다. 에밀 아돌프 폰 베링이 디프테리아 혈청을 발견하고, 유기화학자 출신 파울 에를리히가 항체의 구조를 밝혀내고 디프테리아를 항체를 이용해 최초의 화학요법으로 치료해내는 등 상당한 위협을 받았다. 그러나 메치니코프는 공격을 받을 때마다 자신의 이론이 옳다고 계속 고수하며 연구를 수행해 이론을 지켜냈다. 메치니코츠와 면역
그러나 대세는 체액설로 기울고, 메치니코프에게 노화가 찾아오면서 메치니코프는 노화 연구에 빠져들게 된다. 이때 나온 게 발효유 연구. 아이러니하게도 면역학이 아니라 발효유로 더 유명해졌다.
메치니코프 사후 몇십년 동안 세포설은 체액설에게 뒷전으로 밀렸다. 체액설(항체)에 기반한 치료제가 더 만들기 쉬웠던 게 한 몫 했다. 대신 T세포와 B세포 등이 발견되는 성과를 거둔다. 그리고 2011년 세포설을 연구한 학자들이 노벨상을 탄 시점을 전후로 메치니코프의 세포설은 다시 부활하게 된다.
4. 여담
- 부계 조상이 루마니아계이다.
- 그의 형 이반 일리치 메치니코프는 러시아 툴라 지방 법원의 검사였는데, 심한 화농성 감염증에 걸려 1881년 6월 2일에 45세를 일기로 숨졌다. 그의 죽음에 얽힌 이야기가 모티프가 되어 창작된 소설이 바로 톨스토이의 대표작 중 하나인 이반 일리치의 죽음이다.
- 한국야쿠르트의 제품 중 그의 이름을 따서 만든 요구르트를 생산, 판매한다. 메치니코프 문서 참고.
- 유산균에 대해 발표를 한 이후 실제로 그는 매일 요거트를 섭취했으며, 그 결과 71살에 사망했다. 그 당시의 평균 수명이 60살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71살은 상당히 장수한 편이다. 물론 이게 요거트 덕분이라는 증거는 없지만 말이다.
- 아돌프 히틀러의 주치의 테오도어 모렐이 그의 제자이다.
- 현재 대한민국 등 해외에서는 메치니코프를 면역에 대한 연구 성과는 다 잊어버리고 요거트 정도로만 알고 있다. 나무위키에서도 한때 문서의 절반이 요거트 관련 내용이었다.
- 다만 모국 소련에서는 메치니코프를 사실인데도 의심스러울 정도로 과대포장하듯 띄워주며 가르쳤다고 한다. 레닌이 구국의 영웅이라고 띄워주고 연구소마다 메치니코프의 초상화가 걸렸으며, 그의 이름을 딴 연구소와 병원도 생기고 지역 이름을 '메치니코보'로 붙이기도 했다. 러시아의 1세대 면역학자들이 죄다 메치니코프의 제자였고, 러시아의 노벨상 수상자가 메치니코프랑 파블로프밖에 없던 것도 이유 중 하나. 다만 실제로는 돈 많은 부르주아에 가까웠기 때문에 소련 건국 때까지도 살아있었다면 부르주아라며 숙청당했을 거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