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로 카봇에 등장하는 카봇 중 하나에 대한 내용은 카봇 K-캅스 문서 참고하십시오.
국산 특촬물 작품에 대한 내용은 출동 케이캅 문서 참고하십시오.
로봇수사대 K-캅스 (1994~1995) 勇者警察ジェイデッカー The Brave of Police J-DECKER |
|||
|
|||
{{{#212529,#e0e0e0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장르 | 거대로봇( 용자), 수사 | |
원작 |
야타테 하지메 타카라 |
||
감독 | 타카마츠 신지 | ||
시리즈 구성 | 카와사키 히로유키 | ||
캐릭터 디자인 | 이시다 아츠코 | ||
디자인 협력 | 스튜디오 G-1 | ||
메카 디자인 | 오오카와라 쿠니오 | ||
메카 작화감독 |
야마네 마사히로 이타쿠라 카즈히로(板倉和弘) |
||
미술 | 오카다 토모아키(岡田有章) | ||
색채 설계 | 이와사와 레이코(岩沢れい子) | ||
촬영 |
마츠자와 히로아키(松沢宏明) 모리 나츠코(森 夏子) |
||
편집 |
YA 스태프 후세 유미코(布施由美子) 노지리 유키코(野尻由紀子) |
||
음향 | 치바 코이치 | ||
음향 제작 | 센다 케이코(千田啓子) | ||
녹음 | 정음 스튜디오(整音スタジオ) | ||
음악 | 이와사키 야스노리(岩崎文紀) | ||
음악 제작 | 빅터 엔터테인먼트 | ||
프로듀서 |
카코 히토시(加古 均)
나고야 테레비 오바라 마미(小原麻美) 도큐 에이전시 후루사와 후미쿠니(古澤文邦) 선라이즈 |
||
애니메이션 제작 | 선라이즈 | ||
제작 |
나고야 테레비 도큐 에이전시 선라이즈 |
||
방영 기간 | 1994. 02. 05. ~ 1995. 01. 28. | ||
방송국 |
나고야 테레비 MBC, 투니버스 外 |
||
한국 정식발매 | 손오공 ( VHS) | ||
편당 러닝타임 | 24분 | ||
화수 | 48화 | ||
시청 등급 | 연소자 관람가 ( VHS) | ||
관련 사이트 |
[clearfix]
1. 개요
일찍이 장밋빛 미래라 불리던 21세기, 하지만 과학의 발전은 인류에게 밝은 미래만을 안겨 주지는 않았다. 최신 과학기술은 로봇을 사용한 흉악범죄나 바이오 괴물의 출현이라는 하이테크 사건을 낳고, 또한 지금까지 생각하지 못한 재해까지도 일으켰다. 이러한 사건에 대해 경시청은 새로운 경찰조직의 설립을 결정했다. 그것이 초AI를 탑재한 로봇 형사 팀, '브레이브 폴리스'이다. (원판)
[clearfix]
예전엔 21세기가 되면 장밋빛 현실이 펼쳐질 줄 알았다. 하지만 과학의 발전은 인류에게 밝은 미래만을 안겨 주지는 않았다. 첨단의 과학기술은 로봇을 사용한 흉악범죄와 유전공학을 이용한 하이테크 괴물을 만들어냈다. 또 20세기에는 상상도 하지 못했던 재앙도 잇따라 일어났다. 이런 사건 사고에 대처하기 위해 경찰청에서는 새로운 수사대 조직을 창설하기로 결정했다. 이 조직이 바로 초인공지능을 탑재한 로봇 경찰팀 로봇수사대, K캅스이다. (MBC판)
- 오프닝 내레이션( 오오토모 류자부로/ 김기현)
'
공무원(경찰공무원)'인 용자들이 최초로 등장한
용자 시리즈 다섯 번째 작품. 1994년 2월 5일 ~ 1995년 1월 28일까지 총 48화가 방영됐다. 30주년 기념으로
2024년 블루레이가 발매된다.[clearfix]
예전엔 21세기가 되면 장밋빛 현실이 펼쳐질 줄 알았다. 하지만 과학의 발전은 인류에게 밝은 미래만을 안겨 주지는 않았다. 첨단의 과학기술은 로봇을 사용한 흉악범죄와 유전공학을 이용한 하이테크 괴물을 만들어냈다. 또 20세기에는 상상도 하지 못했던 재앙도 잇따라 일어났다. 이런 사건 사고에 대처하기 위해 경찰청에서는 새로운 수사대 조직을 창설하기로 결정했다. 이 조직이 바로 초인공지능을 탑재한 로봇 경찰팀 로봇수사대, K캅스이다. (MBC판)
- 오프닝 내레이션( 오오토모 류자부로/ 김기현)
이른바 타카마츠 용자 3부작 중 2번째에 해당하는 이 작품은 이때까지 로봇의 모티브로서의 순찰차 등, 부분적으로 채용되어 온 ' 경찰'이 본격적으로 모티브로 설정되어 있다. 제목의 ' 데카'(데커)는 형사를 의미하는 일본어다. 앞에 'J'가 붙은 것은 1993년 개막하여 당시까지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던 J리그의 영향이라고 한다.[1]
작중 시대적 배경은 2010년.[2] 제작 시기인 90년대 중반의 시점에서 바라본 2010년도를 배경으로 만든 작품인 듯하다. 그러나 괴도 라이어편에서는 2014년이라고 나오는데, 20년 전 활동한 라이어의 자료가 1994년이다.
용자 시리즈 최고의 평균시청률을 자랑한다(4.8%). 주연 로봇들의 개성과 인간적인 모습들을 잘 살렸고, 깊이있는 내용과 개그신을 절묘하게 융화시킨 덕분인듯.
2. 특징
용자 시리즈 중에서는 최초로 자체적 원인으로 합체를 실패한다든지, 동료끼리의 불화를 주요 소재로 다룬다든지 하는 여러모로 참신한 시도를 한 작품이다.이야기의 구성으로는 전작들과 마찬가지로 1화에 1개의 사건을 다루는 1화 완결의 에피소드가 많으나, 종반부인 4쿨 이외에도 1개의 사건에 여러 화를 할애하거나 초반 사건이 이후의 사건들에 많은 영향을 끼치는 복선을 까는 등 전설의 용자 다간처럼 복잡한 구성이 되어 있다. 또한 시리즈 최초로 CG가 아이캐치 영상에 도입되었으며 최종회에서는 오프닝 영상을 배제하고 처음부터 이야기를 진행하는 시도를 보였다.
2.1. 경찰이라는 소재
용자가 '미지의 생명체'나 '개인의 소유물'로 설정된 전작들과 달리 이 작품은 시리즈 최초로 용자들이 '정부의 국가기관(여기선 경찰)에 소속된 존재'로서 설정되어 있다.[3] 본작의 용자들은 공무원인 경찰이라는 입장이라서 당당하게 신분을 드러내고 활동하며, 브레이브 폴리스(로봇수사대) 프로젝트 자체가 정부와 지자체에서도 지원하는 프로젝트라 홍보도 잘 되어 있고 심지어 TV인터뷰까지 한다. 이들의 활약으로 민간인은 물론 소중한 경찰 인력들까지 보호할 수 있고, 경찰에 대한 신뢰도까지 쌓으니 일석삼조다. 당연히 정부 관계자들도 대만족하여 이들에 대한 물적지원을 아끼지 않으며, 각국에서도 이들을 벤치마킹한 로봇경찰대를 도입하기에 이른다. 브레이브 폴리스의 설립의 이유로 미래기술의 부정적인 면에 의한 각종 하이테크 범죄에 대항하기 위해서라고 밝히고 있는데, 설명대로 미래 기술을 이용한 각종 로봇 범죄가 많이 벌어지며, 로봇뿐만 아니라 고도의 생명공학을 통한 바이오 괴물이나 복제인간 등과 연관된 범죄들도 일어나서 용자들이 수사에 나선다.그래서 작품의 적들은 후반부의 대기업인 엑셀런트 사나 외계인을 제외하고 대부분은 지구인 범죄자, 그것도 대부분은 각개 인물이다. 전작들에서는 적 로봇을 조종하는 파일럿이 메카의 폭발 등으로 죽는 일이 많았지만, 이 작품에서는 용자들이 전부 경찰이다보니 적(범죄자)을 사살하지 않고 체포하는 것이 목적이라 최대한 적 파일럿을 죽이지 않고 체포하려고 노력한다. 그래서 적으로 나오는 인간 중 죽는 사람은 거의 없다시피하며, 중반부의 해상 감옥 화에서는 이전에 체포된 악역들이 감옥에 수감된 모습도 보여준다. 심지어는 최종보스인 노이바 포르초이크와 에바 포르초이크마저 사살당하지 않는다. 물론 자살을 암시하는 듯한 선택으로 끝이 났지만, 적어도 주인공 일행이 이 둘을 체포하려고 시도한 것은 사실이다.
에피소드의 대부분은 범죄자들을 제압하여 체포하기 위해 싸우는 대결이라서 지구를 벗어나는 일이 없고, 악당들도 지구인 범죄자라서 작중 스케일이 전작들과 비교해보면 소박해 보이기까지 한다. 후반부에 들어서면 외계인도 등장하고 지구가 전우주적인 위기에 휘말리는 등 이야기의 스케일이 커진다. 그렇다고 모든 화마다 범죄자와 싸우는 건 아니고, 건물 붕괴나 거대 팬더 출현 등 재난 상황이나 괴생명체에 대처하는 대민지원 에피소드들도 나왔고, 아예 범죄자가 안 나오고 일상을 다룬 에피소드도 있다.
사실 순수 지구 기술로 만들어졌고 감정을 가진 로봇들이 시민을 지키기 위해 인간 악당들에 맞서 싸운다는 내용은 전작인 용자특급 마이트가인에서 그대로 가져온 것이다. 차이점이라면 마이트가인의 용자들은 센푸지 마이토 개인 소유의 회사 소속이지만 제이데커의 용자들은 국가 공공기관인 경시청 소속이라는 것 정도이다.
용자들이 경시청 소속 사법경찰이라는 점에 맞게 사건이 벌어지면 바로 수사에 투입되며 민간인들의 신고도 받는다. 그 밖에 범죄예방을 위해 순찰도 돌며 피의자를 심문하는 등 단순히 적들과 싸우는 것에만 치중하지 않고 수사물로서의 특징도 드러내고 있다.
2.2. 조연 용자들의 높은 비중
역대 용자물 작품들 중 주인공 용자 뿐만 아니라 조연 용자들의 비중도 높고 개성도 두드러진다. 타카마츠 신지 감독은 전작 용자특급 마이트가인에서 조연 용자의 비중이 지나치게 없던 것을 반성하고 이번 작품은 모두에게 비중을 나눠주는 군상극으로 하기로 했다고 한다. #기존의 용자들과는 달리 용자 한 명 한 명의 개성이 극대화될 수 있었던 것은 등장 용자의 수가 전작들보다 줄었기 때문이다. 전작까지는 주연급 용자, 세컨드 주역용자, 3+1합체 용자, 추가합체 없는 합체용자에 무기 용자 또는 라이벌 용자까지 포함해서 등장 용자의 수가 10명 정도였는데, 본작에서는 기존 작품의 추가 합체 없는 합체 용자[4]를 삭제함으로써 용자들의 수를 8명으로 줄였다.[5]
줄어든 만큼 각 용자에 대한 드라마를 키우고 개성을 더 부여함으로서 이 작품에 등장하는 용자들은 단순한 합체 부품이라는 인상을 희석시키고 하나의 등장인물로서 자리잡는 데 성공했다는 평을 받고 있다.[6] 비중만 높은 것이 아니라 활약상도 그만큼 챙겨줬는데, 일례로 슈퍼 빌드 타이거는 조연 용자 중 킬 수가 가장 많다. 바로 전작인 용자특급 마이트가인의 조연 용자들 비중이 너무 낮았고, 작중 대접도 안 좋았던 것과 대비된다.
사실 이는 제이데커만의 특징은 아니다. 초대 작품인 엑스카이저와 파이버드에서도 조연 용자들의 비중은 절대 낮은 편이 아니었고 개성도 확실했지만,[7] 다간부터 등장 용자 수가 늘어나면서 조연 용자들 개별의 비중이 급감했고 마이트가인에선 심할 정도로 비중이 없어진 것을 원점으로 회귀시키면서, 개인 서사의 깊이를 보다 더 늘린 것이라 볼 수 있다.
캐릭터 각각의 개성이 강해서인지 브레이브 사가 시리즈에서는 브레이브 폴리스의 전 기체를 활용할 수 있다. 다른 작품의 경우 주역 메인 메카를 제외하면 합체 유닛의 부품유닛들은 활용할 수 없는 점을 감안하면 매우 특별 대우.[8]
2.3. 작품의 주제
저연령을 주요 대상으로 한 애니메이션인 데에 비해 꽤나 심오한 이야기들이 많이 깔려있다. 사람 마음 속에 공존하는 선과 악의 양면성, 인간들이 마음에 악을 가지고 있지만 그것을 극복해나가겠다는 의지(맨 마지막 하이저스와의 대화에서), 감정이 없어짐으로써 범죄가 일어나지 않고 완벽해졌지만 감정이 매말라 아무것도 못 느끼는 사람들의 이야기, 팀원들의 우정과 신뢰, 인간적인 감정을 가진 로봇으로서의 정체성, 훨씬 발전된 신형기가 나옴으로써 도태될 운명에 처한 구형 모델이 가지는 고뇌 등 파고들다보면 내용이 깊고 심오하며 감성적인 측면이 강하다. 이 부분이 극대화되는 부분이 섀도우마루와 카게로우의 일화. 초인공 두뇌를 장착한 덕분에 기억말소라는 사실상 죽음에 가까운 것이 가까워졌다는 것을 알고 탈주한 카게로우와 그를 저지해야 하는 섀도우 마루의 고뇌가 생생히 묘사되어 있다. 결국 신죠 켄에게 납치되어 이용당한 끝에 사망하게 되는 꽤나 비극적인 최후를 맞는다. 그리고 그 사건은 섀도우마루가 사망할 때 자신의 마이너 버전이었던 카게로우를 기억하며 사망하는 만큼 트라우마가 되었다. 타카마츠 감독은 후일담에서 '어린이용으로 보이기 위해 주인공의 연령은 낮췄지만 드라마적으로 대상연령은 더 넓어졌다'라고 술회했다.이 작품을 관통하는 가장 큰 주제는 마음이라고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로봇들은 풍부한 감정을 지니고 있고 인간적인 면이 크게 부각되어 있다. 가령 인간에게 우정을 포함한 다양한 감정을 갖는다든지, 적의 손아귀에 떨어져 아군과 싸우는 가운데 고통 받는 모습을 그리는 등등. 용자들은 로봇이라기보단 덩치 크고 교통수단으로 변신할 수 있는 인간처럼 행동하며, 이를 살리는 연출들이 많이 나온다. 용자들은 격납고가 아니라 로봇 사이즈에 맞춘 사무실에서 대기하며 신고도 전화로 받고, 연료를 보급 받을 때 배꼽 주유구를 놔두고 굳이 입으로 연료를 마시며, 인간의 욕망을 증폭시키는 광선에 맞자 욕망이 증폭된다. 또한 로봇이면서 꿈을 꾸기까지 하는데, 꿈 속에서 브레이브 폴리스가 해체되자 제각각 축구선수나 영화배우나 체육교사 등 자기 갈 길을 찾아간다. 그만큼 이들이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단순한 기계가 아니라 감정을 지닌 인격체이며 인간과 차이가 적다는 점을 강조하려는 연출이 수두룩하게 나온다.
초AI 설정은 바로 전작인 마이트가인에서 도입된 것이지만, 마이트가인에선 조연 용자들의 비중이 너무나도 낮아서 로봇들의 인간성은 없다시피 했다. 하지만 본작은 초AI 설정을 "마음을 가진 로봇"으로 심화시켜서 로봇들도 각각 자기 나름대로 고뇌하고, 전투 뿐만 아니라 일상 생활에서도 인간과 마찬가지로 고난에 부딪히는데 이를 극복하며 성장해 가는 모습이 반복적으로 나온다. 특히 합체에서는 꼭 한번은 실패하거나 위험이 따르는 것을 초AI를 성장시키는 것으로 극복하려 하고 있다.[9][10]
특히 건퓰레이터 시스템 도입을 다룬 35화는 불완전해보이는 것이 인간적인 것이라는 메시지를 설파해서 작품 전체를 관통하는 주제(인간성)를 다루는 최고의 에피소드 중 하나이다.
인간적인 면을 강조하는 연출 중 하나로 로봇이 (심한) 손상을 입으면 기름이 혈액처럼 흘러나온다(대표적으로 13화, 25화, 47화 등). 다른 로봇 애니메이션에서 이런 연출이 드문 편이라는 것을 감안할 때,[11] 이것도 로봇의 인간적인 면을 부각시키기 위한 요소로 보인다.[12] 이것도 용자왕 가오가이가에서 GGG 소속 용자들이 큰 대미지를 입을 때 G리퀴드가 흘러나오는 연출의 모티브가 된 듯하다.[13]
로봇들과 교감을 나누는 인간들도 이들을 단순 기계 취급하지 않고 인간과 똑같은 인격체로 대우를 해주는데, 가령 유우타의 누나들이 고생이 많다면서 쿠키를 잔뜩 구워 형사로봇들과 먹으라는 등 로봇과 인간의 구분이 힘들 정도로 감정을 나누고 있다. 또 작중에서 한번은 아야코가 연락이 되지 않자 덤프슨이 아야코가 일하는 신문사를 찾아간 적이 있는데 신문사 직원들도 전혀 놀라지 않고 정말 그냥 일반 사람 손님이 온 것처럼 대한다. 수사 중에도 지나가는 일반 시민에게 정보를 묻거나 하는 등 일반적인 인간 경찰과 전혀 다를 바 없는 행동들을 해도 모두가 자연스럽게 받아들인다. 이렇게 인간과 로봇이 나누는 감정은 우정에서 그치지 않고 남녀간의 사랑에 가까운 교감으로까지 이어지기도 한다. 특히 오노우에 세이아와 맥클레인의 관계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부분.
전작들에선 인간과 로봇의 교감이 주인공 메카에 한정되거나 주인공 소년과 그의 주변인들만 로봇들과 교감을 나눴지만, 본작에서는 보조 용자들도 인간과 깊은 교감을 가지며, 그 대상이 주인공에만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도 특징이다.
- 데커드 - 유우타
- 듀크 - 레지나
- 맥클레인 - 세이아
- 파워죠 - 유우타의 학급 친구들 (마사키, 에미리, 키쿠마로)
- 덤프슨 - 아야코
-
드릴보이 - 다른 동료들과 달리 유우타나 경찰청 인원들 말고 따로 친해진 사람은 없다. 특히 유우타를 좋아하기에 초AI를 정지시키기 전 유우타와 대화를 나눴다.
페이[14] - 섀도우마루 - 유우타의 누나들(아즈미, 쿠루미)
-
건맥스 - 토도 주임,
키리사키[15]
작품의 핵심 주제인 "인간성을 비롯한 마음"에 걸맞게 작품의 최종적인 주제는 '인간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고찰이다. 데커드의 초AI를 초기화하는 과정에서 데커드는 스스로 의식을 차단함으로써 무의식적으로 초기화를 거부하고 기술진들은 이를 두고 인간과 똑같다고 평한다. 카피아의 고향별은 하이저스에 의해 감정이 제거되어 매마른 별이 되었는데 그들에게 감정을 다시 가르쳐주는 역할은 지구에서 만든 AI로봇이 맡게 된다. 유우타의 가족들은 데커드를 지키기 위해 기꺼이 목숨을 바치려 하고 듀크의 초AI로부터 악한 마음(분노, 질투, 호승심 등)을 제거하려던 레지나는 신죠 켄으로부터 인간에게서 악한 마음을 없애는 게 가능하겠냐는 일침을 받는다. 심지어 범죄를 저지른 로봇(치프턴)에 대해서는 초기화나 폐기처분이 아닌 인간 범죄자에 준하는 처벌을 내려야 한다는 작중 주장도 나온다. 즉 마음과 감정을 가진 기계는 인간과 마찬가지로 독립되고 존중받아야 할 인격을 가진 걸로 묘사되고 사회 인식과 제도도 그에 맞춰 개선되어야 한다는 것이 작중 내내 드러나고 있다.
디자인면에서도 이전은 물론 이후의 용자물보다 한층 인간적인 면을 의도했다.[16] 물론 전작들의 용자들도 작화에 따라 좀 더 인간스러운 얼굴이 되기도 했으나, 브레이브 폴리스의 얼굴은 디자인부터 기본적으로 각을 줄이고, 눈가의 마스크 각과 다크서클을 의도적으로 없앴다. 또 눈 위 눈썹두덩과 이마쪽이 두드러지는 것도 특징으로 한층 인간적인 인상이 되었다. 덩치도 전작들에선 소형 용자들도 박력을 위해 키워 그리는데 반해, 브레이브 폴리스는 오히려 어깨를 줄이고 체형을 상당히 인간스럽게 한 작화가 많이 나오는 것도 특징.[17]
종교적인 문제도 아주 살짝이지만 다루었고, 복제인간의 자기 인식과 정체성에 관한 문제도 다룬 적 있다. 그 밖에 애니메이션 특성상 깊게 파고 들지는 않았지만 경찰이란 행정조직으로서 월권 행위를 할 수 없는 정치적인 딜레마도 나왔다.
2.4. 오마주 및 패러디
전작 용자특급 마이트가인이 5~60년대 닛카츠 영화를 주로 오마주했다면 이 용자경찰 제이데커는 7~80년대를 풍미한 형사 드라마 ' 태양을 향해 외쳐라!'[18] 등의 오마주가 많다.[19] 또한 경찰용 로봇이 사람들을 만나며 점점 인간성을 깨달아가는 이야기 진행을 보면 로보캅의 오마주도 느낄 수 있다.전설의 용자 다간의 주인공 타카스기 세이지의 어머니 타카스기 미스즈가 뉴스에 카메오로 등장하고 듀크의 후배인 런던 브레이브 폴리스는 용자특급 마이트가인에 등장하는 다이버즈의 리파인인 등[20] 전작들을 본 팬을 위한 서비스도 조금씩 엿보인다.
다른 작품의 패러디도 종종 나오는데, 브레이브 폴리스 대원들이 독수리 오형제 코스튬 플레이를 하는 에피소드(22화)도 있고,[21] 슬램덩크의 송태섭과 정대만을 패러디한 인물들이 나오는 시나리오도 있다.[22]
경찰 로봇이 나오는 또 다른 메카물인 기동경찰 패트레이버[23]에게 영향을 받거나 의도적으로 오마주한 부분들도 다소 보인다. 용자경찰 제이데커의 중후반부에서 정부와 초거대 기업인 엑셀런트 사의 대결을 다루는데, 엑셀런트사는 패트레이버의 샤프트 엔터프라이즈와 포지션이 비슷하다. 군용 로봇인 치프턴 시리즈와 대치하는 에피소드도 패트레이버의 브로켄, 그리폰과 잉그램의 대결을 방불케 하며, 후반부 전세계 AI로봇이 포르초이크 모자[24]에게 조종당하게 한 하멜른 시스템도 패트레이버 극장판의 HOS를 떠올리게 한다. 사실 디자인적으로도 관절에 부분적으로 천을 사용하고, 제이데커의 컬러와 컨셉 등 패트레이버에 영향을 받거나 의도적으로 오마쥬한 부분들이 다소 보인다.
13화에서 X JAPAN의 리더 Yoshiki를 모티브로 한 "요시키"라는 단역 악역이 나오는데, 그가 조종하는 로봇은 프로그램 쿠레나이 X.[25]를 탑재한 데스메탈이란 로봇이다.
2.5. 기타 특징들
- 개그 요소가 많이 들어가 있어서 모든 이들이 한번씩 이상하게 망가지는 모습이 있다. 아예 '작은 용자(덤프와 드릴보이가 작아졌어요)'는 개그로 시나리오 하나를 가득 채웠다.[26] 단, 듀크는 유일하게 망가지는 모습이 안 나왔다.[27]
- 특이하게도 이 작품의 성우진에 질풍! 아이언리거에 출연했던 성우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국내판도 일본판만큼은 아니지만 아이언리거에 출연한 성우진이 몇몇 포진되어 있는 편. 심지어 각본가 중에 질풍! 아이언리거를 집필했던 작가(아이카와 노보루)도 참여해서였는지 로봇들 개성이 비슷하게 강한 편이다.
- 이 작품에서는 모든 로봇들의 출력이 들쑥날쑥한데 이 설정은 각자 마음에 따라 행동하기 때문이다. 상대편에 감정을 가지고 전투를 하면 약한 모습을 많이 보여주며[28] 반대로 정말 극노하거나 빡친 모습을 보여줄때는 출력 이상의 힘을 내기도 한다. 묘사를 보면 정해진 출력에 따라 딱히 제한받지 않는다는 걸 쉽게 눈치챌 수 있다.
- 위의 설명에 더불어 만화적인 허용답게 멤버들의 전투력이 의도적으로 너프된 적이 매우 많다. 가장 심하게 너프를 받은 메카는 슈퍼 빌드 타이거로 빌드팀 멤버들이 주인공이 아닌 에피소드에서는 딱 조연 및 보조 역할만 한다. 출력상으로 제이데커를 앞서지만 제이데커가 더 강하게 묘사되는경우가 많으며, 육체파 멤버들이 절반 이상임에도 불구하고[29] 매번 총질만 해대며 절제하는 모습을 보여준다.[30] 듀크 파이어도 소드로 쉽게 이길 수 있는 전투를 칼 대신 멀리서 총질만 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한다. 이것은 승리 그 자체보다는 승리하는 과정이 이 만화에서 더 중요하기 때문으로 그 과정에서 세 멤버들의 파워가 소개되거나 아니면 어떤 다른 요소로 승리를 거두게 하는 방식으로 그려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 이 작품은 새로운 멤버가 합류할 때마다 기존 멤버들한테 한 번씩 까인다는 점으로도 유명하다. 농담이 아니고, 초반 3화에 합류한 빌드팀 3인방 이후에 들어온 용자들은 들어올 당시에는 기존 용자들로부터 좋은 평가를 못 받았다.[31] 이는 새로 들어온 용자들이 성격적으로 문제가 다 하나씩 있었기 때문이다. 단독 행동을 즐겨하는 섀도우마루[32], 어린아이같고 재멋대로인 미숙한 성격의 드릴보이, 기본적으로 막가파인데다가 심지어 유우타를 인질로 잡고 도망치기까지 했던 건맥스를 보면... 그나마 듀크는 성격이 멀쩡한 편이지만 얘는 기막히게 타이밍이 안 좋았다.[33][34] 이는 용자 한 명 한 명의 개성을 뚜렷하게 살려 낸 결과, 개성과 개성이 부딪히다보면 자연스럽게 갈등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을 표현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 브레이브 폴리스 멤버들을 모아보면 무지개 색깔을 이룬다.[35] 8번째 대원인 듀크가 들어오기 전에는 덤프슨이 빨간색, 드릴보이가 주황색, 파워죠가 노란색, 건맥스가 초록색, 데커드가 파란색, 맥클레인이 남색, 섀도우마루가 보라색으로 7인 7색 체제였다. 마지막으로 배속된 멤버 듀크가 빨간색이 된 건 그가 구급차+소방차기 때문도 있겠지만, 리더인 데커드가 파란색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부리더가 될 듀크를 빨간색으로 결정하여 대비효과를 주려는 의도인 것 같기도 하다.[36] 실제로 듀크는 마지막으로 들어온 멤버지만 브레이브 폴리스가 쭉 서있는 장면에서는 늘 데커드 바로 옆에 서 있다.
- 그레이트 합체 기준으로 용자 시리즈 중 유일하게 주인공 메카가 차량으로만 구성된 작품이다.[37]
3. 등장인물
3.1. 주인공 및 선역, 협력자
- 토모나가 유우타(최종일)
- 사에지마 쥬조(유명한 경찰청장)
- 아즈마 카즈토(마상일 차장)
- 토도 슌스케(김 박사)
- 오노우에 세이아(차세라)
- 레지나 아르진
- 키미즈카 아야코(박나영)
- 용자경찰 제이데커/기타 등장인물
3.2. 악역
용자경찰 제이데커의 범죄자들 | |||
엑셀런트 사 | 물주 |
에바 포르초이크 노이바 포르초이크 |
|
과학자 | 신죠 켄 |
빅팀 오랜드 카이조 나이트 |
|
기체 | 치프턴 시리즈 | ||
빅 마더 | |||
그 외 범죄자들( 인티/ 키리사키/ 갓 웨일) |
3.2.1. F.O.E 재단
3.2.2. 기타
나머지는 용자경찰 제이데커/범죄자 문서 참조.4. 설정
4.1. 브레이브 폴리스
용자 시리즈/용자 | |||||
용자 엑스카이저 | 태양의 용자 파이버드 | 전설의 용자 다간 | |||
카이저스 | 우주경비대 | 전설의 용자 | |||
용자특급 마이트가인 | 용자경찰 제이데커 | 황금용자 골드란 | |||
용자특급대 | 브레이브 폴리스 | 레젠드라의 용자 | |||
용자지령 다그온 | 용자성전 반간 | 용자왕 가오가이가 | |||
다그온 | 성용자 |
초록별 GGG |
브레이브 폴리스 |
||||||
리더 | ||||||
토모나가 유우타 | ||||||
대원 | ||||||
용자형사 | 기사형사 | 싸이카형사 | 빌드팀 | 닌자형사 | ||
단신 | 데커드 | 듀크 | 건맥스 |
맥클레인 파워죠 덤프슨 |
드릴보이 |
섀도우마루 브레이브 캐논 |
합체 | 제이데커 | 듀크 파이어 | 빌드 타이거 | |||
초합체 |
파이어 제이데커 |
슈퍼 빌드 타이거 | ||||
기타 관계자 | ||||||
카게로우 사에지마 쥬조/ 레지나 아르진/ 토도 슌스케 |
본작에 등장하는 경시청 소속의 전문 부서. 한국판 명칭은 본작의 한국판 제목과 동일한 '로봇수사대 K-캅스'다. 원래는 일종의 전투 병기 개념의 경시청 내부 프로젝트 명이었으나, 유우타와의 교감으로 데커드가 마음을 얻고 상황 판단력, 운동신경 등 본래 기본 성능을 월등히 뛰어넘게 되자, 이에 신선한 충격으로 다가온 경시총감인 사에지마 쥬조가 주위의 반대를 무릅쓰고 경찰채용기준을 바꾸는 등 파격적인 정책으로 신설되었다.
주된 임무는 메카나 바이오 괴물 등의 하이테크놀로지를 이용한 범죄 해결 및 인간의 힘으론 해결할 수 없는 대재해 등의 구호활동이다. 첫 신설당시 초등학생이 이끄는 초AI 로봇 경찰 부서라는 점에서 이에 대한 기대감과 불신감이 주를 이루었으나, 극이 진행될수록 전세계적으로 가장 믿을 수 있는 경찰조직으로 성장한다. 이후 레지나 아르진이 있는 영국을 비롯하여 각국에 브레이브 폴리스 지부가 신설되었다.
기지는 경시청 외곽의 데커 룸(decker room)이라는 거대 건물로, 몸체를 점검하는 메카닉 정비소도 겸하고 있다. 특히 8명의 용자들이 대기하는 데커 룸은 본래 일반적인 로봇의 격납고처럼 철제 행거나 정비 시설이 갖추어진 공장같은 외관으로 만들 것이 예정되어 있었으나, 유우타를 포함한 맴버들의 의견에 따라 로봇 사이즈로 키운 거대한 책상과 의자, 심지어 사무용품까지 갖춘 그야말로 실제 인간들의 형사과와 같은 모습이다. 브레이브 폴리스 멤버들은 출동이 없을 때에는 로봇 형태로 이 데커 룸에서 사무일을 하고 있다.[38] 물론 유우타용 인간사이즈 책상도 함께 존재한다. 이 데커 룸은 상품판촉용 샘플로 실제로 제작되었으며, 이후 상품화하여 일반판매됐다. 다만 DX 완구는 본편과 달리 용자들 간의 스케일이 제각각이기 때문에 다소 위화감이 있다. 특히 DX 섀도우마루는 압도적으로 거대하기 때문에, 데커 룸에 들어오지도 못한다.(...)
용자들은 초인공두뇌를 옮길 수 있어서 거대로봇 사이즈에서 인간 크기로도, 초소형 사이즈로도 변환이 가능하다. 두뇌를 원래 몸체에서 빼서 축소시킨 신체에다 이식하면 그만이기 때문. 덤프슨이 인간 크기의 바디로 축소한 후 키미즈카 아야코에게 고백하러 양복 차려입고 꽃다발 들고 찾아가는 꿈을 꿀 정도.
이 포르초이크론은 실제로 엄청나게 작은 사이즈인지 튀김재료 수준의 몸체에도 옮길 수 있다. 그런 사이즈로 기억정보와 중앙처리, 메모리 등 모든 컴퓨터의 기능을 구현해낸 기술력이 놀라울 따름이다.
브레이브 폴리스의 눈은 녹색이지만 데커드와 건맥스는 주황색 눈을 가지고 있다. 건맥스의 눈은 고글 속에서 푸른색과 녹색으로 빛이 난 적은 있지만 작중에서 고글과 얼굴의 틈으로 건맥스의 눈이 노출 되었을 때의 색은 주황색. 단, 합체했을 때 제이데커, 듀크 파이어, 파이어 제이데커, 빌드 타이거, 슈퍼 빌드 타이거 등은 모두 녹색 눈이다. 초AI를 가진 악역들[39]의 눈색은 붉은색이다.
합체 전의 소형 용자들의 목과 어깨와 겨드랑이 안쪽이 천으로 된 듯한 묘사가 있다. 합체 후 대형 용자들도 목 부위 표현은 마찬가지. 마침 직업도 같고, 제이데커의 무장들과 함께 패트레이버를 오마쥬한 듯한 부분. 다만 일반적인 용자의 특성을 깨지 않기 위해서인지 천으로 된 부위는 잘 드러나지 않는 곳으로 한정한 듯하다.
4.1.1. 영국의 브레이브 폴리스
영국에도 브레이브 폴리스가 존재한다. 일본 브레이브 폴리스는 레지나 아르진이 개발한 듀크 파이어를 양도받고, 런던 브레이브 폴리스는 토도 주임이 영국에 파견되어 브레이브 폴리스 개발을 돕는 방식으로 기술교류가 이루어진 덕분이다. 경시청 소속인 일본의 브레이브 폴리스처럼 이들은 런던광역경찰청 소속으로 추측된다.파일:external/orig03.deviantart.net/sybps_ace__ten_and_jack_by_perceptorsfembot-d3932z5.png
41화에서 공개되었을 때는 총 세 명으로 전작들에 나온 경찰차 용자들의 색놀이로 구성되어 있었는데[40], 나중에 가면 언제 그랬냐는듯 네 명으로 인원이 늘어났는데 전부 바로 전작인 마이트가인에 나온 다이버즈의 색놀이로 모습이 바뀌었다.[41]
멤버들의 이름은 조지, 폴, 존, 링고로 모두 비틀즈 멤버들에서 따왔다. 듀크(나이트), 레지나(퀸)처럼 이들도 체스 기물을 본떠서 배당받은 코드네임이 있다.[42] 46화에서 에바 포르초이크의 빅 마더가 런던에 등장하자 싸우러 갔지만, 하멜른 시스템에 조종당해버려서 블랙 치프턴들의 조롱을 받으면서 서로 죽고 죽이는 비참한 최후를 맞는다.
이 장면은 참 짠한 장면이기도 한데 스크린 너머로 이 광경을 보던 듀크는 저들이 서로 싸우는 걸 보면서 애타게 부르짖고,[43] 레지나는 결국 울음을 터뜨렸다. 다른 브레이브 폴리스들은 포르초이크 모자의 의도대로 하멜른 시스템에 넘어가면 자신들도 저렇게 될 수 있다는걸 인지하고 그 자리에서 얼어붙었다.
4.2. 기타 로봇
-
SPCQ
본작에 등장하는 로봇. 탱크 형태에서 변형되는 로봇이며 2등신 같은 형태를 하고 있는 로봇으로 머리쪽에 있는 주포가 무기이다. 발에 달린 캐터필러로 움직이며 경찰 로봇과는 달리 AI로 움직이는듯한 묘사가 있다. 처음에 등장했을 때는 브레이브 폴리스와 협력해서 가완을 없애는데 도움을 주기도 하지만 카이조나이트에 의해 합체당해 브레이브 폴리스를 공격하다가 듀크 파이어에게 쉽게 당하는 모습을 보이고 블랙 치프턴들에게 쉽게 파괴당하기도 하며 하멜른의 피리에 조종당하다가 브레이브 폴리스에 의해 파괴당하는등 야라레메카 같은 모습을 보인다. 일본뿐만 아니라 에토니아 공화국에도 있는 것을 보면 일종의 제식 군용병기인 듯하다.
-
경찰 로봇
본작에 등장하는 로봇. 경찰차를 연상시키며 2등신 같은 형태를 하고 있는 로봇으로 왼쪽 어깨에 진압 방패같은 방패가 있으며 오른손이 리볼버로 되어있으며 그 리볼버가 무기이다. 발에 달린 바퀴로 움직이며 SPCQ와는 달리 경찰이 직접 움직이는듯한 묘사가 있다. 데스마그네, 카게로우에게 쉽게 파괴당하거나 강철거병 마르스에 의해 전투불능이 되는등 야라레메카 같은 모습을 보인다.
사에지마 쥬조가 젊은 시절 이 로봇의 파일럿이었다.[44]
5. 음악
5.1. 주제가
5.1.1. 일본판
5.1.1.1. OP
OP Heart to Heart |
|||
|
|||
TV ver. | |||
|
|||
Full ver. |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212529,#e0e0e0> 노래 | 쿠와타 야스코(桑田靖子)[45] | ||
작사 | 와타나베 나츠미(渡辺なつみ) | ||
작곡 | 츠루 요시오(鶴 由雄) | ||
편곡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212529,#e0e0e0> 원화 | 오오바리 마사미, 나카자와 카즈토, 히사유키 히로카즈, 사사키 마사카츠, 테라오카 이와오, 스즈키 히로후미 등 | |
작화감독 |
이시다 아츠코(캐릭터) 야마네 마사히로(로봇)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멤버가 추가될 때마다 영상이 달라진다. 위 영상은 멤버가 전부 모였을 때의 오프닝. 그리고 짤막한 소개 장면의 마지막 부분도 멤버 수에 따라 다른 편(단, 국내 방영 시 이 소개 장면이 빠져있었다). 더불어 위 영상에서
슈퍼 빌드 타이거가 나오는 부분은
드릴보이 등장 이전에는 모조리
빌드 타이거가 나왔으며, 1절 후렴구의
제이데커 합체 장면은
파이어 제이데커 등장 이후에는 위 영상 마지막 후렴구의 파이어 제이데커 합체 장면으로 대체되었다. 국내판의 경우 모두 모인다 해도 영상이 변하지 않는다. 국내판 영상은
데커드와
빌드팀 3인조만 나온다. 더불어 성우진도 유우타와 데커드만 제대로 공개.
상술하였듯이 명작 형사드라마 시리즈 태양을 향해 외쳐라의 오마주가 강하게 반영된 오프닝이다. 타이틀 로고 배경으로 석양이 지는 도시가 비치는 장면이나, 브레이브 폴리스 멤버들의 활약상이 한 명씩 지나가고 정지화로 전환된 후 하단부에 별명[46]과 이름이 자막으로 지나가는 연출[47][48], 또한 새로운 멤버가 추가되면 해당 멤버의 소개 컷이 추가되는 것도 태양을 향해 외쳐라의 오마주이다. #
시리즈 20주년 기념 앨범에서 오프닝 Heart to Heart를 부른 가수는 기동전사 건담: 제08MS소대의 주제가를 부른 것으로도 유명한 베테랑 애니송 싱어 요네쿠라 치히로.
5.1.1.2. ED
ED 笑顔は君の忘れ物 웃는 얼굴은 너의 분실물 |
|||
|
|||
TV ver. | |||
|
|||
Full ver. |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212529,#e0e0e0> 노래 | 사토 유카(佐藤有香)[49] | ||
작사 | 요코야마 타케시(横山武) | ||
작곡 | 츠루 요시오(鶴 由雄) | ||
편곡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212529,#e0e0e0> 엔딩 애니메이션 | 이시다 아츠코, 야마네 마사히로, 히라오카 마사유키(平岡正幸)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5.1.2. 한국판
5.1.2.1. OP
한국판 OP 로봇수사대 K-캅스 |
||
|
||
TV ver. |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212529,#e0e0e0> 노래 | 이형석 | |
작사 | 성우석 | |
작곡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힘차게 달려가자 빛나는 태양이 우릴 부른다 K캅스 로봇수사대 승리는 우리의 것 무적의 힘에는 당할 자 없다 나쁜 악당 문제없다 우리의 영웅 무적의 용사 로봇수사대 출동이다 언제 어디서나 정의를 위해 싸우는 로봇수사대 K캅스 |
한국판 오프닝은 일본판 오프닝에서 앞부분 전주만 약간 가져다가 아예 새로 만든 것이다.[50][51]( 일본판 오프닝에 한국판 전주를 넣어본 영상) 작사/작곡은 성우석, 노래는 이형석이 맡았다.
하지만 가사도 곡의 분위기도 일본판과는 차이가 꽤 있으며, 경쾌하고 간결하면서 작품의 주제의식을 잘 살리는 가사와 괜찮은 편곡 멜로디로 호평을 받았다. 용자 시리즈 작품들이 국내에서 방영될 때는 용자특급 마이트가인을 제외하면 아예 노래를 새로 만들었는데도 반응이 좋지 않았던 것에 비해 나름대로 괜찮은 편. 그래서인지 용자 시리즈 중에서 골드런의 국내 OP, ED곡들과 함께 괜찮은 곡으로 뽑힌다.[52] 지금도 로봇수사대 K캅스 주제가를 기억하는 사람들이 많다. 또한 이 한국판 오프닝은 웃음을 찾는 사람들의 한 코너인 '아파트경비대'의 테마곡으로 쓰이기도 했다.
5.2. OST
참고로 삽입된 BGM 곡들의 퀄리티가 상당히 뛰어나다.[53] 용자물 중 최고로 꼽는 사람도 있을 정도. 공식적으로는 2장의 OST 음반이 발매되었다. 각종 음원 사이트에서도 찾을 수 있다. 특히 삽입곡인 '당신을 만나지 않았다면(もしもあなたに会わなければ)'은 상당한 명곡이다.[54]- Brave Police J-Decker Original Motion Picture Soundtrack, Vol. 1 (총 32곡 수록)
- Brave Police J-Decker Original Motion Picture Soundtrack, Vol. 2 (총 23곡 수록)
6. 회차 목록
- 작화감독이 이시다 아츠코, 야마네 마사히로, 타카야 히로토시인 편은 선라이즈 본사 제작 편으로 1군 애니메이터를 쓰므로 작화가 가장 좋다.
- 작화감독이 히사유키 히로카즈인 편은 나카무라 프로덕션 하청 편으로 히사유키도 실력이 좋아 작화가 괜찮다.
- 작화감독이 테라오카 이와오인 편은 애드 코스모(アド・コスモ) 하청 편으로 테라오카가 이시다 아츠코의 작화를 잘 따라해서 작화가 괜찮다.
<rowcolor=#212529,#e0e0e0> 회차 | 제목 | 각본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방영일 | 슈로대[55] | |
<rowcolor=#212529,#e0e0e0> 캐릭터 | 메카닉 | |||||||
제1화[56] |
ロボット刑事登場 로봇경찰 탄생 |
카와사키 히로유키 | 타카마츠 신지 |
히시카와 나오키 (菱川直樹) |
이시다 아츠코 | 야마네 마사히로 |
日: 1994.02.05. 韓: |
30 |
제2화[57] |
その名はジェイデッカー 합체 제이데커 |
키쿠치 카즈히토 (菊池一仁) |
미나미 야스히로 (南 康宏) |
타카야 히로토시 |
日: 1994.02.12. 韓: |
|||
제3화 |
心ある仲間たち 마음이 있는 동료들 |
와타나베 신이치 | 사사카도 노부요시[1인원화] |
日: 1994.02.19. 韓: |
||||
제4화 |
ボスは小学4年生 우리 대장은 초등학생 |
카네마키 켄이치 (金巻兼一) |
스기시마 쿠니히사 | 테라오카 이와오 |
日: 1994.02.26. 韓: |
|||
제5화 |
人造巨龍ガワン 드래곤의 비밀 |
아이카와 쇼 | 히다카 마사미츠 | 히사유키 히로카즈 |
日: 1994.03.05. 韓: |
|||
제6화 |
トレンドにご用心 유행에 민감하세요? |
아미야 마사하루 (あみやまさはる) |
와타나베 신이치 | 사사카도 노부요시[1인원화] |
日: 1994.03.12. 韓: |
|||
제7화 |
大倒壊 무적 타이거로 합체하라 |
카와사키 히로유키 | 키쿠치 카즈히토 | 미나미 야스히로 | 타카야 히로토시 |
日: 1994.03.19. 韓: |
30 | |
제8화 |
完成! ビルドタイガー 빌드 타이거 완성되다 |
히시카와 나오키 | 테라오카 이와오 |
日: 1994.03.26. 韓: |
30 | |||
제9화 |
消えた彫像の謎 사라진 조각의 비밀 |
야마다 야스노리 (山田靖智) |
스기시마 쿠니히사 | 사사카도 노부요시[1인원화] |
日: 1994.04.02. 韓: |
|||
제10화 |
影の刑事 미러의 비밀을 파헤쳐라 |
아이카와 쇼 | 타카마츠 신지 | 히시카와 나오키 | 히사유키 히로카즈 |
이타쿠라 카즈히로 (板倉和弘) |
日: 1994.04.09. 韓: |
30 |
제11화[61] |
激闘! シャドウ丸 로봇대원의 눈물 |
히다카 마사미츠 | 이시다 아츠코 | 야마네 마사히로 |
日: 1994.04.16. 韓: |
|||
제12화 |
よみがえる古代昆虫 고대 곤충의 부활 |
카네마키 켄이치 | 와타나베 신이치 | 테라오카 이와오 |
日: 1994.04.23. 韓: |
|||
제13화[62] |
ロボット強盗団を追え 은행털이 로봇강도단 |
스기시마 쿠니히사 | 타카야 히로토시 |
日: 1994.04.30. 韓: |
||||
제14화 |
6人目の仲間 여섯번째 대원 드릴보이 |
카와사키 히로유키 | 키쿠치 카즈히토 | 미나미 야스히로 | 사사카도 노부요시[1인원화] |
日: 1994.05.07. 韓: |
||
제15화 |
3万年の友情 3만년의 우정 |
히시카와 나오키 | 히사유키 히로카즈 | 이타쿠라 카즈히로 |
日: 1994.05.14. 韓: |
|||
제16화 |
帰ってきた宿敵 괴도라이어와 수사과 고반장 |
야마다 야스노리 카와사키 히로유키 |
미나미 야스히로 | 테라오카 이와오 |
日: 1994.05.21. 韓: |
|||
제17화[64] |
邪神インティ 욕망의 악신 인티 |
아이카와 쇼 | 히다카 마사미츠 | 이시다 아츠코 | 야마네 마사히로 |
日: 1994.05.28. 韓: |
||
제18화 |
パンダ注意報!? 판다 경보! |
아미야 마사하루 | 와타나베 신이치 | 사사카도 노부요시[1인원화] |
日: 1994.06.04. 韓: |
|||
제19화[66] |
爆走! 白バイ刑事 오토바이 순찰대원 건맥스 |
카네마키 켄이치 | 스기시마 쿠니히사 | 타카야 히로토시 |
日: 1994.06.11. 韓: |
|||
제20화 |
狂った砂時計 망가진 모래시계 |
키쿠치 카즈히토 | 미나미 야스히로 | 테라오카 이와오 |
日: 1994.06.18. 韓: |
|||
제21화 |
手錠の逃亡者 도망자 |
야마다 야스노리 | 히시카와 나오키 | 히사유키 히로카즈 | 이타쿠라 카즈히로 |
日: 1994.06.25. 韓: |
||
제22화 |
仮面勇者ダンプソン 복면용자 덤프슨 |
아미야 마사하루 | 와타나베 신이치 | 사사카도 노부요시[1인원화] |
日: 1994.07.02. 韓: |
|||
제23화[68] |
ぼくの[ruby(妖精, ruby=フェアリー)] 드릴보이와 요정 |
카네마키 켄이치 | 히다카 마사미츠 | 이시다 아츠코 | 야마네 마사히로 |
日: 1994.07.09. 韓: |
||
제24화 |
七人の刑事 7인의 로봇수사대원 |
카와사키 히로유키 | 타카마츠 신지 | 히시카와 나오키 |
야마모토 사와코 (山本佐和子) |
日: 1994.07.16. 韓: |
||
제25화 |
デッカード殉職 일어나라 데커드 |
키쿠치 카즈히토 | 미나미 야스히로 | 테라오카 이와오 |
日: 1994.07.23. 韓: |
30 | ||
제26화[69] |
新しいリーダー 영국에서 온 기사 듀크 |
아이카와 쇼 | 스기시마 쿠니히사 | 타카야 히로토시 |
日: 1994.07.30. 韓: |
|||
제27화 |
完璧な涙 분노와 증오를 넘어서 |
히시카와 나오키 | 히사유키 히로카즈 | 이타쿠라 카즈히로 |
日: 1994.08.06. 韓: |
|||
제28화 |
デッカード再び 데커드의 부활 |
카네마키 켄이치 | 와타나베 신이치 | 테라오카 이와오 |
日: 1994.08.13. 韓: |
|||
제29화[70] |
合体!ファイヤージェイデッカー 합체! 파이어 제이데커 |
카와사키 히로유키 | 히다카 마사미츠 | 나카자와 카즈토 | 야마네 마사히로 |
日: 1994.08.20. 韓: |
30 | |
제30화 |
地下都市SOS! 긴급구조 지하도시 |
카네마키 켄이치 | 키쿠치 카즈히토 | 미나미 야스히로 | 사사카도 노부요시[1인원화][72] |
日: 1994.08.27. 韓: |
||
이시다 아츠코[E] | 야마네 마사히로[E] | |||||||
제31화 |
姿なき犯罪者 모습이 없는 범죄자 |
카와사키 히로유키 | 스기시마 쿠니히사 | 히사유키 히로카즈 | 이타쿠라 카즈히로 |
日: 1994.09.10. 韓: |
||
제32화 |
台風が来た! 위험한 태풍의 눈 |
야마다 야스노리 | 히시카와 나오키 | 테라오카 이와오 |
日: 1994.09.17. 韓: |
|||
제33화 |
小さな勇者 덤프와 드릴보이가 작아졌어요 |
아미야 마사하루 | 와타나베 신이치 | 타카야 히로토시 |
日: 1994.09.24. 韓: |
|||
제34화 |
パワージョーの恋 파워죠의 사랑 |
아이카와 쇼 | 히다카 마사미츠 | 사사카도 노부요시[1인원화] |
日: 1994.10.01. 韓: |
|||
제35화[76] |
[ruby(勇者警察, ruby=ブレイブポリス)]パワーアップ計画 명중률 98.91% |
카와사키 히로유키 | 키쿠치 카즈히토 | 미나미 야스히로 | 야마네 마사히로 |
日: 1994.10.08. 韓: |
||
제36화 |
故郷は遠く 복제인간의 슬픔 |
야마다 야스노리 | 스기시마 쿠니히사 | 테라오카 이와오 |
日: 1994.10.15. 韓: |
|||
제37화 |
鯨神狩り 분노한 고래의 노래 |
아이카와 쇼 | 히시카와 나오키 | 히사유키 히로카즈 | 이타쿠라 카즈히로 |
日: 1994.10.22. 韓: |
||
제38화 |
オバケだよ全員集合 귀신소동 |
아미야 마사하루 | 와타나베 신이치 | 타카야 히로토시 |
日: 1994.11.05. 韓: |
|||
제39화 |
マシンの魂 박사님이 사랑한 아들 |
타카야마 카츠히코 카와사키 히로유키 |
미나미 야스히로 | 사사카도 노부요시[1인원화] |
日: 1994.11.12. 韓: |
|||
제40화 |
ブレイブポリス解散! 로봇수사대가 해체된다 |
카네마키 켄이치 | 히다카 마사미츠 | 테라오카 이와오 |
日: 1994.11.19. 韓: |
|||
제41화 |
レジーナ・追憶 레지나의 추억 |
카와사키 히로유키 | 타카마츠 신지 | 히시카와 나오키 | 야나기사와 테츠야 | - |
日: 1994.11.26. 韓: |
|
제42화 |
宇宙からの侵略者 우주에서 온 침략자 |
야마다 야스노리 | 스기시마 쿠니히사 | 히사유키 히로카즈 | 이타쿠라 카즈히로 |
日: 1994.12.003. 韓: |
||
제43화[78] |
[ruby(シャドウ丸大砲変化, ruby=おおづつへんげ)]! 必殺!!ブレイブキャノン 정의의 사도 우주경찰 |
히시카와 나오키 | 이시다 아츠코 | 야마네 마사히로 |
日: 1994.12.10. 韓: |
|||
제44화 |
奪われたボス! 빼앗긴 보스 |
카와사키 히로유키 | 와타나베 신이치 | 사사카도 노부요시[1인원화] |
日: 1994.12.17. 韓: |
|||
제45화 |
ビッグ・マザー 위대한 어머니 |
키쿠치 카즈히토 | 미나미 야스히로 | 테라오카 이와오 |
日: 1994.12.24. 韓: |
|||
제46화 |
史上最大の犯罪 하멜룬의 피리 |
스기시마 쿠니히사 | 야나기사와 테츠야 | - |
日: 1995.01.07. 韓: |
|||
제47화[80] |
ハートtoハート 마음에서 마음으로 |
히다카 마사미츠 | 히사유키 히로카즈 | 이타쿠라 카즈히로 |
日: 1995.01.14. 韓: |
|||
제48화[81] |
さよなら[ruby(勇太, ruby=ボス)] 출동이다 데커드! |
타카마츠 신지 | 히시카와 나오키 | 이시다 아츠코 | 야마네 마사히로 |
日: 1995.01.21. 韓: |
7. 에피소드 가이드
국내미방영은 |
#1 | 범죄자 | 닥터 가우스 with 데스마그네 | |
주요 등장인물 첫 등장 / 프롤로그 | |||
#2 | 범죄자 | 캐트 with 바르바로사 | |
데커드 첫 합체 시전 | |||
|
범죄자 | 카이조나이트(한:카이저나이트) | |
빌드팀 합류 및 카이조나이트 첫 등장. | |||
#4 | 범죄자 | 무슈 몬드(한:무슈 몽드) with 블랙 루시안 | |
- | |||
#5 | 범죄자 | 가완(한:드래곤) | |
- | |||
#6 | 범죄자 | 도잉크 with 피에로로봇 | |
- | |||
#7~8 | 범죄자 |
|
|
빌드팀 첫 합체 시전 | |||
#9 | 범죄자 |
사와카바야시(한:박우남) 브론즈 콩 |
|
- | |||
#10~11 | 범죄자 | 신죠 켄(한:신두수) with 어비스 | |
쉐도우마루 합류 | |||
#12 | 범죄자 | 바라메르 | |
- | |||
#13 | 범죄자 | 키카이다 3형제 with 데스메탈 | |
- | |||
#14~15 | 범죄자 | 에리히 3세 with 기가젝트 | |
빌드팀, 파워업 | |||
#16 | 범죄자 | 라이어 jr with 마르스 | |
- | |||
#17 | 범죄자 | 인티 | |
- | |||
#18 | 범죄자 |
|
|
- | |||
#19~20 | 범죄자 |
시설 모래시계 바보로봇 |
|
건맥스, 합류 | |||
#21 | 범죄자 | 키리사키(한:기차도) with 바이크로스 | |
데커드, 신 필살기 첫 시전 | |||
|
범죄자 | 미르 아미고 with 투우로보 | |
- | |||
#23 | 범죄자 | 아돌프 with 자이로봇 | |
- | |||
#25~27 | 범죄자 | 빅팀 with 카이조나이트 | |
데커드, 리타이어 | |||
#28 | 범죄자 |
빅팀 메카 자우라 |
|
데커드, 복귀 | |||
#29 | 범죄자 | 빅팀 with 카이조나이트 | |
데커드, 파워업 | |||
#30 | 레지나, 귀국 | ||
|
범죄자 | 시스터 나나세 with 사이코 건너 | |
- | |||
#32 | 범죄자 | 웨저드(한:위저드) | |
- | |||
#33 | [비고] | ||
#34 | 범죄자 | 버블검 자매 with 야누스 | |
- | |||
#35 | 범죄자 |
에드거 홉킨스 암건 |
|
- | |||
#36 | 범죄자 | 쿠제[87] with 생체병기 | |
- | |||
#37 | 범죄자 |
헤모 레빈 갓 웨일 |
|
- | |||
#38 | 범죄자 |
마기 데몬(한:매기 데몬) 누에(feat 귀신군단) |
|
- | |||
#39 | 범죄자 | 엔수지 야스코(한:오숙희) with 트레일러 로봇 | |
초반부 이후 유일하게 빌드팀 미등장 | |||
#40 | 아시발꿈 | ||
#42~43 | 범죄자 | 바락 성인 with 바라크론 | |
브레이브 캐논 첫 시전 및 하이저스 성인 첫 등장 | |||
#44~47[88] | 범죄자 |
포르초이크 모자 with 빅 마더 빅팀 |
|
최종결전 | |||
#48 | 에필로그 | ||
유튜브에 영어 자막이 입혀진 일본판이 전편 업로드되어있다. |
8. 해외 공개
8.1. 대한민국
1990년대 중반까지도 경찰의 이미지는 그리 좋지 않았다. 어른들은 아이가 울면 "경찰이 너 잡아간다"라는 말을 흔히 했고, 이런 협박조로 아이의 울음을 그치게 만들었다. 그리고 '전경'하면 뿌연 최루탄 가스와 진압경찰의 모습이 떠올랐다. 1993년
강우석 감독의 영화 '
투캅스'도 부정한 경찰을 희화화했다. 나는 아이들에게 언제나 주위 가까이에 있는 경찰에 대한 좋은 이미지를 심어주고 싶었다. 평소 불만을 가지고 있다가도 어려운 일이 생기면 먼저 찾는 것이 경찰이다.
최신규(손오공 사장)
용자 시리즈 중에서 유일하게
MBC에서 방영된 작품이다. 그래서 출연 성우들은 두 명(
홍시호,
이진화) 빼고 전부
MBC 성우극회 소속 성우들이며 이 때문에 용자 시리즈 국내 더빙판 중
KBS 성우들의 비중이 가장 적다.[89]최신규(손오공 사장)
로봇수사대 K캅스라는 제목으로[90] 1996년 3월 21일부터 < 나디아>의 후속으로 편성되어 6월 4일까지 매주 월~목 오후 5시 20분마다 방영했다. 제작은 MBC프로덕션, 녹음 연출은 <팬텀 2040> 더빙 제작을 맡았던 염영돈 PD. 후에 손오공에서 MBC 버전 판권을 구입해 대여점용 비디오로도 출시했다.
첫 방영 때 호응 및 시청률이 괜찮게 나와서 1998년 3월 13일부터 < 날아라 호빵맨> 후속으로 6월 25일까지 오후 5시 35분마다 재방송했고[91] 2000년에도 두 차례 재방영됐다. 그리고 투니버스에서도 1990년대 후반과 2004년에 방영해 화제가 됐다.
국내 방영 자체가 무산된 용자 엑스카이저를 제외하고 보면 파이버드(선가드), 다간, 골드런 등 한국에서 인기를 끈 용자 시리즈 작품은 본국인 일본에서의 인기가 미묘하고, 반대로 일본에서 인기를 끌었던 마이트가인은 한국에서 인기가 미묘하다. 다그온은 일본과 한국 두 나라에서 모두 인기가 시원찮았고 가오가이가도 한국에서나 방영 당시에 인기를 끈 것이지 일본에서는 차후에 재평가된 케이스일 뿐 방영 당시에 아주 큰 인기를 끌었다고 보기에는 어렵다. 반면 제이데커(K캅스)는 일본과 한국에서 모두 크게 인기를 끈 작품이기도 하다.
한국에 수입된 다른 용자물들은 원판의 이름과 뜻을 유지하면서 로컬라이징을 하는 기조를 보인데 반해 용자경찰 제이데커는 원판의 이름과는 딴판인 로봇수사대 K캅스라는 제목으로 로컬라이징된 것에는 뒷이야기가 있다. 그 당시 한국에서는 과거 군사 독재 시절로 인해 경찰에 대한 안 좋은 이미지가 강했기 때문. 당시 서울화학(현 손오공) 사장인 최신규 사장은 이를 좋게 바꾸고 싶은 마음에서 용자경찰 제이데커를 한국 배경으로 로컬라이징해 방영하고 싶었다고 한다. 관련 링크. 당시 군사독재 시절을 오랫동안 경험한 국민들 입장에서 시위대를 무자비하게 진압하고, 걸핏하면 단속을 가했던 경찰에게 좋은 이미지가 있을 리가 없었다. 선라이즈에서는 처음에 회의적이었지만 결국 수용하여 제목이 크게 바뀌었으며 극중에 나오는 BP(브레이브 폴리스)마크가 전부 태극 무늬 CG로 처리되어 방영된 것은 이 때문.[92] 안 되는 CG질 하느라 고군분투하는 모습이 CG를 보는 것 만으로도 전해져 온다. 덤으로 한국판에서는 청사에 세계 속의 우리 경찰[93]이라는 현수막(?)이 걸려 있는데, 일본판에서는 아무것도 없다. 즉, 현수막이 없는 것이 원본.[94] 이는 당시 주목받던 세계화 흐름과 이를 의식한 정부의 이미지 변화를 잘 포착한 훌륭한 연출이다.[95]
참여 성우들의 명연기 덕분에 지금도 많이 회자되고 있는 전설의 작품인데 대표적으로 유명한 경찰청장 역의 김기현의 댄디한 미중년 연기, 데커드 역의 김관철과 듀크 역의 이병식의 콤비 연기는 "환상의 콤비란 이런 것이다"를 몸소 보여주는 것으로 유명하다. 다른 용자 로봇들의 연기 또한 전부 훌륭한 편. 다른 용자물 더빙판처럼 성우들의 중복 배역이 좀 있긴 한데[96] 로봇수사대를 맡지 않은 최원형과 권혁수, 이영달이 엄청난 일인 다역을 맡았으며, 일회성 여자 캐릭터들은 대부분 기경옥, 박영희, 조예신 등이 전담하다시피 했다. 하지만 잘 들어보면 정말 경악을 금할 수 없을 정도로 연기 톤이 거의 극과 극이다. 자세히 듣지 않으면 구분하기가 힘들 정도이고, 거의 변조 수준의 연기를 보여준다(특히 최원형 성우는 저 당시엔 신인성우임에도 중복 배역들을 다 소화한 셈이었다)[97]. 다른 악역들도 주연 성우들이 번갈아가며 연기했는데 이 역시 크게 위화감이 느껴지는 부분은 없다. 인간이 기계와 융합하는 다그온을 제외한 나머지 용자 시리즈 더빙판 중 지구용사 선가드와 더불어 각 로봇들간의 중복 캐스팅이 없는 작품이기도 하다.[98] 물론, 이는 이 애니메이션에서 로봇들의 비중이 상당히 높기 때문이다.[99]
아쉽게도 모든 에피소드가 전부 더빙된 건 아닌데, 당시 사회 통념과 심의에 걸리는 장면들이 있는 에피소드가 통째로 빠졌기 때문. 가령 주인공인 토모나가 유우타가 세일러복을 입고 여장 한 것으로 유명한 에피소드는 탈의실 장면과 범죄자 옷차림 때문에 결방 되었고, 빌드팀이 갓챠맨을 흉내 내고 덤프는 복면 로봇 레슬링을 하는 에피소드도 유우타가 일본식 복장을 입고 나오는 데다 카미카제라는 링네임을 사용하는 등의 사유로 결방. 그리고 빅팀 오랜드의 인간형 몸이 손상되어 뼈대가 드러나는 44화와 빌드팀의 첫 등장 편인 3화도 짤렸는데, 이 에피소드는 추후 스토리 및 설정과 이어지는 부분이 크기 때문에 더빙판만 정주행했다면 이해가 안 가는 부분이 나올 수 밖에 없는 구조가 되어버렸다. 참고로 파워죠와 학교 친구들과의 교우가 그려지는 4화는 MBC 첫 본방 땐 결방됐는데[100] 재방송 시엔 무사히 방송됐고 비디오판에서도 수록됐다. 그리고 결방되지 않고 방송된 화들도 당시 심의 기준 상 부적절한 장면들이 내용 전개 상 큰 제약을 받지 않게끔 편집 됐을 뿐만 아니라[101] 편성 시간을 맞추기 위해[102] 전투신이 다 잘려나갔다. 싸우는 장면이 잘려나가서 합체 장면이 나온 뒤 바로 필살기 외치고 적한테 승리해서 폼 잡는 장면만 남겨 놨을 정도.
상술했듯이 케이블 애니메이션 채널인 투니버스에서도 종종 틀어주었는데, 1990년대 후반에는 비디오판을 틀어줬고 그 이후 2004년에 재방했을 때에는 MBC판을 틀어줬다.[103] 더불어 23화는 아예 결방됐다.
9. 미디어 믹스
9.1. 게임
게임 복이 없는 편. 브레이브 사가 시리즈에서 나오기도 했지만 이 게임에서도 그렇게 빛을 보지 못했다.제이데커가 나오는 게임 중에서 그나마 할만한 건 신세기 용자대전이라는 평. 이것도 하기가 영 괴로운 게임이지만 그래도 제작진이 제이데커의 팬인지 재현도는 높고 시나리오 비중도 편애라 할 수 있을 정도로 몰아놔서 팬이라면 해볼 만하다.
9.1.1. 슈퍼로봇대전 시리즈
일본에서는 용자 시리즈 중 마이트가인 다음으로 슈퍼로봇대전 시리즈에 시켜달라는 얘기가 많이 나온 작품이지만 오랫동안 기약이 없었다. 테라다 타카노부 프로듀서 말로는 기동경찰 패트레이버, 제이데커, 풀 메탈 패닉!, 가사라키 4작품을 섞어 슈퍼 경찰대전을 만드는 기획을 추진했는데 반다이 윗선에서 기각됐다고 한다. 그러다가 결국 2021년 슈퍼로봇대전 30에 첫 참전을 확정지었고 한동안 은퇴설이 많았던 데커드 성우도 유지되었다.[104]립서비스일수도 있지만, RURICON21 당시 인터뷰에 따르면 VXT 3부작 당시 진행했던 설문조사에서 한국 팬들의 요청이 높았기에 넣었다고 한다. 다만 이것이 단순히 립서비스라고만은 볼 수 없는데, MODEROID 상품화 희망 투표 때의 결과[105]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제이데커는 일본 이외에서는 상당히 인기가 높은 용자물이기 때문이다. 한국만 콕 집은 건 립서비스라 치더라도, 결국 제이데커의 참전은 해외시장을 의식한 결과라고 볼 수도 있다. 이후 30 출시 기념 방송에서도 "이 작품이 한국에서 '로봇수사대 K캅스'로 방영됐는데 엄청 인기있었어요."하면서 한국 방영 당시의 인기를 언급했다.[106]
스토리는 용자왕 가오가이가 FINAL 이후 신세대 용자 계획의 일환으로 브레이브 폴리스가 창설되었다는 설정인데, 프로그램 코딩이 아니라 GGG팀의 초AI 데이터를 이용해 데커드를 만들었다는 설정이 되었다. 실제로는 가오가이가 FINAL이 제이데커보다 6년 뒤에 나온 작품이지만, 슈로대 30 세계관에선 패계왕 ~가오가이가 대 베터맨~ 시점을 다루면서 반대로 시대 배경이 10년 뒤로 변경된 것. 이 때문에 아마미 마모루와 토모나가 유우타의 나이 차이가 10살이 되었고, 마모루를 동경해 그를 형이라고 부르게 해 달라는 유우타의 모습에서 카이도 이쿠미가 과거 시시오 가이를 동경하던 마모루의 모습을 떠올린다. 덧붙여 마법기사 레이어스 쪽과도 접점이 있는데, 둘째 누나인 쿠루미가 시도우 히카루와 같은 학교 친구였다는 설정 때문이다. 다시 말해 마법기사 레이어스 차원의 일본이 용자 시리즈 차원의 일본과 같은 세계관이고, 30의 주무대 차원과 같은 세계관이 된다.
이 작품의 특징이라 할 수 있는 "데커 룸"은 원작에서는 경찰청 내부에 설치되었으나 30에서는 전함 드라이스트레가에 설치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 드라이스트레가의 전장이 2021m라는 무식하게 거대한 사이즈여서 가능한 일. 덧붙여 드릴 보이가 '축구 형사'라는 컨셉이 된 이유를 '작년의 월드컵으로 축구 붐이 다시 일어났다'고 유타가 설명하는 부분도 추가해 놓았는데, 이 부분이 원래 그리드맨의 배경과 전혀 다른 서술[107]인데다 슈로대 30의 스토리 기획 연도로 추정되는 2019년의 상황[108]에 대입하면 대충 맞아떨어져서, 작중 나오는 '신우주정력'의 현재 상황에 대한 유추를 어느 정도 해 볼 수 있는 근거로 거론되고 있다.
10. 완구
제이데커 관련 완구로는 섀도우마루, 제이데커, 건맥스, 듀크 파이어, 슈퍼 빌드 타이거[109]가 출시되었다. 종합적으로 다른 용자 시리즈에 비해 퀄리티가 아쉽다는 평이 많다. 특히 이 중 최종 합체 형태인 파이어 제이데커를 보면 확실하며, 섀도우마루는 이 중 가장 구하기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있다. 섀도우마루의 경우 독자적인 디자인은 아니고 트랜스포머의 식스샷에서 약간의 디자인과 색상을 변경한 것이다. 식스샷은 총으로 변하는 기믹이 있는데, 이것도 설명서엔 변신 방법이 나와있지 않지만 총으로 변신시킬 수 있다.제이데커 완구 CF
국내판 제이데커 완구 CF[110]
출처
출처
출처
가오가이가를 제외한 용자로봇의 모형화가 더딘 덕분에 제이데커의 DX 완구는 상당한 프리미엄을 자랑했으나 반다이 초합금으로 제이데커가 발매되고 2020년에 코토부키야에서 제이데커와 데커드(맥스 캐논 포함) 프라모델이 발매됐으며 22년에는 파이어 제이데커 합체 파트가 들어간 듀크가 발매됐다. 애니의 프로포션을 그대로 재현했고 색분할도 준수하지만 모두 구매하면 2만엔(한화 20만원)대로 가격이 상당한 편.
2024년엔 SMP(식완 모델링 프로젝트)를 통해 제이데커가 발매됐으며, 섀도우마루를 제외한 나머지 용자들도 모두 공개됐다.
10.1. 완구 정발
손오공에서 변신 합체가 되는 DX 완구들을 정발해서 그 당시 어린이들에게 변신과 합체의 로망을 충족시키면서[111] 많은 판매고를 올렸다. 해당 제품들은 타카라의 라이센스를 받아 국내에서 생산했지만 유일하게 섀도우마루만은 중국에서 수입했다.[112] 로컬화를 위해 경시청(警視庁) 로고를 없애고 경찰 독수리 마크를 독수리 가운데 부분에 두툼한 태극 스티커를 부착하는 식으로 수정했다. 또한 차체 외장의 지정된 부위에 붙이는, 경찰청 한글이 쓰인 투명 스티커를 동봉했다. 그래서 일본에서는 라이센스판의 취급이 좋지 않은 편.[113]이 외에도 합체시 쓰는 경찰수첩도 국내 정발했다. 일본에서 발매된 브레이브 폴리스 기지(경시청) 세트는 정발되지 않았다. 신판 장난감 광고 나레이션은 최원형이 담당했는데 여기서 최원형이 빅팀 뿐만 아니라 다수의 악당 역할을 맡았던 걸 생각하면 기분이 참으로 묘하다.
11. 기타
-
작중 주역기체인
제이데커는 필살기로 빔 라이플을 사용하기에
리얼로봇이라는 오명 아닌
오명(?)을 쓰고 있다. 필살기 주제에 단사와 점사 모드로 바꿔서 쏠 수 있다. 총기의 외양도 필살 무기라기보단 그냥 일반적인 총처럼 생겼고, 큼지막한 제이데커에 비해 여러모로 가늘고 짧은지라 쏘는 자세도
기관단총을 쏘는 자세와 비슷하다. 출력을 높일 때 총구 밑의 소염기가 장착되며 좀 더 세지는 식.
듀크 파이어와
건맥스가 등장하기 전까지는 이 빔 라이플과 3단 진압봉으로 열심히 쏘고 때려야 했다.[114]
경찰이 소총을 쏘는 게 이미 필살기 아닌가 싶지만 넘어가자
위와 같은 이유에 더해서, 거창한 타이틀을 지닌 다른 작품의 용자들[115]과는 달리 본작의 용자들은 순수 지구 기술로 만들어지고 직함이 공무원인데다 인간 범죄자들을 주로 상대하는 지라 브레이브 폴리스는 용자 시리즈의 로봇들 중에서 최약체라고 여겨지는 경우가 많다.
다만 작중의 업적을 보면 마냥 이들이 최약체라고 보기엔 비범한 경우들도 많다. 분명 얼핏 보기엔 리얼로봇급 스펙인 것 같은데, 가만 보면 웬만한 슈퍼로봇도 엄두도 못 내는 일을 태연히 저지르는 경우도 많다. 일례로 극초반부 제이데커와 빌드 타이거는 자력으로 대기권 밖으로 날아가서 추락하는 궤도 엘리베이터를 단 둘이서 파괴했다. 이러고도 지구에는 아무런 피해가 없었다. 타 로봇물에 이와 유사한 사례는 리얼로봇인 기동전사 건담 00의 브레이크 필러 사건이 있는데, 절대 이렇게 손 쉬운 일이 아니었다. 무너지는 궤도 엘리베이터를 수습하기 위해 전쟁을 벌이던 5개 세력도 일시 휴전하고 무너지는 궤도 엘리베이터를 파괴하는 데에 각 군대의 전력을 총동원했을 정도였고, 이러고도 어마어마한 인명피해가 발생했다. 슈퍼로봇대전 시리즈에서도 아군의 모든 슈퍼로봇들이 총집결해서 틀어막아야 하는 피말리는 미션으로 등장한다. 물론 더블오의 경우 퍼지돼서 산산조각나던 상태라는 조건의 차이는 있으나, 요점은 그 막대한 질량을 일개 기동병기들이 커버하는 것 자체가 어려운 일이었다는 것을 생각해 볼 때, 그걸 단 둘이서 해낸 브레이브 폴리스의 전력은 결코 범상치 않다. 궤도 엘리베이터가 꽤 작았던 게 아니냐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제이데커가 격추한 궤도 엘리베이터의 경우 작중에서 구체적인 크기가 공개되어 있다. 더블오에서는 수많은 파편들을 하나하나 간신히 빔라이플로 요격해야 했는데, 브레이브 폴리스의 경우 작중에서 제이데커는 그 점사 쏘는 딱총이라는 제이버스터를 연사하는 것만으로 약 75km 이상의 질량을 지워버렸고, 이후 도착한 빌드 타이거는 타이거 캐논 몇 방으로 남은 궤도 엘리베이터를 소멸시켰다.더블오의 것보다 크기가 작았을 확률은 높지만 이러나 저러나 로봇 2기의 무장으로 쉽게 소멸시킬만한 질량이 아니다.
후반부에도 섀도우마루를 제외한 멤버들은 중간에 보급 한번 안 받고, 보조장비나 추가 합체 없이 자신들의 기본 부스터만으로 대기권을 돌파해서 토성권까지 날아간데다 그 상태로 외계인 함대와 싸웠다.[116] 그 GGG도 온갖 오버 테크놀로지를 떡칠하고도 ES 윈도우 없이는 목성권까지 가기만 해도 엄청난 준비와 고생을 하는데(...).[117] 그러고도 거기서 끝이 없는 난전을 한참동안 거친 후 그제야 에너지 잔량부족 경고가 뜰 정도였다. 에너지 잔량 묘사 같은걸 넣을 정도면 이런 소모같은 걸 제작진이 생각 안한 것도 아닌 거 같은데, 그야말로 엄청난 효율이다.
또한 최종전 당시에도 제이데커는 혼자서 최종 보스의 본거지까지 날아가 그 곳을 호위하는 수많은 치프턴들을 상대로 일기당천의 무쌍을 찍었다. 위의 토성전에 비하면 임팩트는 약하지만 단기로 수많은 적들을 격파하고도 최종 보스와 결전을 치를 수 있을 정도로 큰 소모가 없었단 것 자체가 말도 안되는 언밸런스다. 제이데커가 진짜 리얼로봇이었다면 이런 자원과 에너지 소모로 인한 한계가 드러나지 않을 리가 없다.[118]
또 한 가지 잊어서는 안 되는 점이 있는데, 브레이브 폴리스는 순수 지구 기술로만 만들어진데다 석유로 움직인다.대체 뭘 어떻게 했길래 석유로 저런 미친 효율을...[119] 로봇의 AI도 (아마 BASIC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프로그래밍 언어로 코딩되었다. #
결국 제이데커는 최약체 용자는 몰라도 리얼로봇이라 부를 정도는 아니다. 무장 자체가 외견은 수수하고 적들도 고만고만한 범죄자들이 많아서 얼핏 보기엔 얕볼 수도 있으나, 저런 엄청난 성능 묘사는 다른 어지간한 슈퍼로봇들도 받지 못한 버프임을 떠올리면 더욱 그렇다. 이는 제이데커의 작품으로써의 추구하는 방향이 타 용자들과 다르기 때문이다. 제이데커는 표면적으로는 범죄로부터 사회를 지키는 경찰이고, 심화적으로 들어가면 인간의 마음과 만들어진 인격에 대해 진지하게 고찰하는 철학적인 드라마이다.[120] 그렇기에 단순히 강력한 적을 상대해서 무위를 떨치는 것이 주 목적이 아니기 때문에 외계에서의 강력한 외적을 상대로 분투하는 타 용자들에 비해 상대하는 적의 스케일도, 전투의 목적도 꽤나 차이날 수밖에 없다. 분명 제이데커 내에서도 강력한 적은 많으나,[121] 대부분은 그게 크게 드러나지도 않으며, 힘 이외의 요소에 의해 무너진다.[122] 결국 제이데커에서 가장 위험한 빌런들은 빅팀 오랜드, 신죠 켄, 에바 포르초이크같이 몸은 나약하지만 강한 욕망과 똑똑한 두뇌를 지닌 범죄자, 즉 인간들이다. 작품 자체가 그러한 경향을 띄고 있었기에 자연히 범죄자와의 대립에 포커스를 맞추고, 파워의 묘사는 크게 공을 들이지 않았을 뿐이지 제이데커 역시 약한 로봇이라서 스펙 묘사가 수수한 것이 아니란 것.
또한 제이데커의 최약체설에 크게 기여한 부분이 바로 설정집상의 출력이다. 제이데커의 출력은 12900마력인데, 이는 타 용자와 비교하면 다간[123]의 출력 125000마력의 약 10분의 1 정도에 불과하며, 현실의 신칸센보다 못한 마력이다.[124] 오죽하면 이런 짤도 존재한다. 이는 과거 용자물들의 설정이 공개되던 시절 설정놀음하는 사람들 사이에서 제이데커가 최약체 용자, 리얼용자라는 근거로 주로 사용되어 왔으며 아직까지 정설로 믿고 있는 사람이 적지 않다. 하지만 이는 그냥 신뢰성 없는 가상의 설정 정도로만 보는 것이 좋다. 원래 일본 만화에서는 로봇의 출력 스펙이 지나치게 비현실적으로 기재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125] 당연하지만 만화의 로봇들은 현실에 존재하지도 않고, 애니메이션을 만드는 사람들도 애니메이션의 전문가지 과학의 전문가가 아니라 이런 걸 현실에 근접하게 책정할 수 있는 능력이 있을 턱이 없기 때문이다. 초일류 과학자들도 이를 완벽하게 현실에 대입하여 스펙을 책정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로봇물처럼 파워계급이 존재하는 경우라면 더더욱 그렇다. 결국 제이데커의 출력 설정은 그냥 크게 신경 쓰지 않으면 되는 부분이나, 세계관이나 작가가 일치하지도 않는 타 작품과의 설정이나 현실의 설정들과도 연계해서 끼워맞추던 팬덤 덕에 지나치게 평가절하되는 큰 요인이 되었다. 애초에 제이데커가 다른 높은 마력의 로봇들과 나란히 나와서 함께 싸우는 브레이브 사가나 슈퍼로봇대전 시리즈를 봐도 제이데커가 약하다는 언급 같은 건 나오지도 않는다.[126]
-
위의 특징 문단에 상술했듯이 '로봇도 뭔가 마신다'라는 개념을 도입해서 브레이브 폴리스는 연료보충을 입으로 한다. 파티에서도 사람들이 음식을 먹을 때 이들은 기름을 마시며, "따뜻한 기름 좀 마실래?"라는 대사가 존재하고, 닌자형사 섀도우마루는 경찰견 형태로 변형한 상태에서도 섭취가 가능해서 말 그대로 밥그릇에 열중하는 강아지 같은 모습을 보여준 적이 있다. 데커드는 배꼽 부위에 주유구가 있는걸로 보아 다른 용자들도 주유구가 있을텐데 용자들마다 위치는 다를 것이다.[127][128] 다른 작품들마냥 뭔가 초월적인 에너지원을 사용하는게 아니라 일반적인 석유(그것도
가솔린 아니면
디젤)로 연료보충을 하고[129] 연료가 부족해 쫄쫄 굶는듯한 묘사가 자주 나오는 것도 다른 용자물과 비교되는 포인트.[130] 그래도
연비는 의외로 좋은 듯하다.
그 영향인지는 모르겠지만 이후 시리즈 최종작품인 용자왕 가오가이가에서는 로보 오일이란 음료가 등장한다. 서빙을 전담하는 웨이트리스 로봇이 나오고 GGG 대원들은 로봇인 주제에 이게 몇 년 산 기름이니 하면서 제조일을 따지는 데에까지 이른다. 단 GGG 대원들의 에너지원은 G스톤이고 이를 G리퀴드를 매개로 전신에 공급받으니 로보 오일은 그냥 기호식품 정도인 듯하다.
- 용자들의 브라이싱크론이 가장 심한 것으로 유명하다. 그나마 다른 작품들은 일부 디테일이 생략 되던가 크기 묘사가 제각각인게 전부지만 이쪽은 아예 변형 합체 묘사를 지나치게 생략해버리고 작화는 각 용자들의 로봇 형태 디자인에만 치중되어있어 파츠 자체가 아예 사라지는게 한 두곳이 아니라 변형 자체가 말이 안되다 못해 뻔뻔하다는 소리를 듣는 정도. 거의 대부분이 제이로더가 변형되는 제이데커의 경우 브라이싱크론이 가장 적고 완구도 DX의 품질은 훌륭했고[131] 섀도우마루도 6단 변형과 프로포션을 제법 잘 살린 편[132]이었으나 빌드 팀과 건맥스, 듀크 파이어는 극중 변형 묘사부터 제대로 나오지 않아[133] 차량을 줌인하면 어느새 로봇형태가 되어 있고 부속파츠들은 어디론가 사라져있으며 비클 형태의 흔적조차 찾을 수 없는 로봇 형태로 변해 있다. 이렇게 된 원인은 타카라가 무능해서가 아니라 작화팀이 지나치게 폭주한 것으로, 용자 시리즈는 원래 완구를 만들 디자인부터 정한 뒤에 완구 개발을 하고 그와 동시에 애니메이션을 제작하는데 작화 팀이 그리기 어렵단 이유와 더불어 로봇으로서의 드라마성을 중시하다보니 비클 상태를 생각하지 않고 작화를 지나치게 생략 해서다. 그런데 완구는 사이렌과 발광기믹을 위해 건전지가 잔뜩 들어갈 공간까지 필요했으니 본래 디자인보다 두꺼워졌는데 정작 애니메이션 디자인은 지나치게 슬림해져 두 사이의 괴리감이 굉장히 커진 것. 이러한 이유로 변형 씬은 제대로 묘사되어있지 않아 완구를 어떻게 변형 시켜야 하는지 보여줘야 할 작품에서 완구 변형을 알 수도 없고 극중 모습과 제품의 모습간 괴리가 굉장히 심해져 타카라가 대신 욕을 푸짐하게 먹어버리는 일이 생겼고, 타카마츠 감독은 이에 대해 작화진들의 폭주를 조율하지 못해 타카라에게 미안함을 느꼈다고 하며 후속작인 골드란에서는 기획 단계부터 변형 합체가 상세하고 작화의 과장된 비율과 지나친 축소된 파츠는 많이 없게 되었다.[134] 그래도 사이렌과 발광 기믹이 아주 잘 먹혀 들어서 완구자체의 판매량은 상당히 좋았다고 한다.
12. 외부 링크
- 용자경찰 제이데커 - 일본 위키피디아
- 용자경찰 제이데커 - 홈페이지
- 용자경찰 제이데커에 관련된 비화: #1 / #2
[1]
J리그 붐에 따른 축구 붐을 반영하여 만들어낸 캐릭터가 바로
드릴보이이며, 담당 성우인
유우키 히로는
캡틴 츠바사 J에서 청년기의
미사키 타로 역을 맡기도 했다.
[2]
기존 각주에 "16화 후반에 6월 달력을 보아 2011년 거다. 35화 초반에는 데이터 화면에 2010년이라고 하는데 어느 쪽이 오타인지 불명."이라고 기재되어 있었는데, 16화의 달력에는 연도가 표시되어 있지 않고, 또한 본 애니메이션이 방영된 1994년 달력과 일치한다.
[3]
이 설정은 이후
용자왕 가오가이가의
GGG와 그에 소속된 용자들로 이어진다.
[4]
전작의
울트라 레이커,
썬더 바론,
랜드 바이슨,
가드 다이버, 후속작의
섀도우 다그온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5]
유의할 것은 용자경찰 제이데커가 등장 용자의 수가 가장 적은 시리즈는 아니라는 것. 등장 용자의 수가 가장 적은 시리즈는
용자 엑스카이저와
태양의 용자 파이버드로 둘 다 용자는 6명이다. 엑스카이저는 주역인 엑스카이저 1명+레이커 브라더스 2명+맥스팀 3명의 조합이며 세컨드 주역 메카는 인격이 없어서 엑스카이저가 퍼스트 주역 메카 뿐만 아니라 세컨드 주역메카, 그레이트 합체의 주체가 된다. 파이버드는 주역인 파이버드(
카토리 유우타로) 1명+가드팀 4명+바론팀 1명의 조합이며, 파이버드 또한 퍼스트, 세컨드, 그레이트 합체 전 주체가 된다. 또한, 썬더바론을 이루는 바론팀에서 인격을 가진 기체는 리더인 에이스바론 뿐이고 나머지는 인격이 없고 타 용자의 명령대로만 움직이는 서포트메카에 가깝다. 후속작인 용자지령 다그온도 모두 합쳐 등장 용자의 수는 7명 뿐이다. 여기도 주역인 다그 파이어(
다이도우지 엔)가 퍼스트, 세컨드, 그레이드 합체 모두의 주체가 되며, 섀도우 다그온에서도 메인 인격은 다그 섀도우인
하시바 류 1명 뿐이고 나머지는 다그 섀도우의 서포트 메카이기 때문.(다그 파이어+라이너 팀 4명+다그 섀도우+다그 썬더)
[6]
실제로 기존과는 달리 3+1합체용자인
빌드팀도 합체 후 인격이 통합되지 않고 리더 외에 다른 인원이 메인 인격으로 활약하기도 한다. 게다가 그레이트 합체를 하는 주역 용자의 경우에도 전작에선 다간과 가온 둘 다 인격이 있지만
그레이트 다간 GX로 합체한 뒤엔
가온의 존재감이 없던 것과는 달리,
파이어 제이데커는
듀크의 인격도 합체 후에 남아 있어서 대화를 하고 메인으로 나서기도 하는 등 합체 후에도 각 용자들의 개성을 드러내는 방식을 보여주고 있다.
[7]
가령 파이버드의 경우 에이스 바론은 물론이고 가드팀 멤버가 각각 주연이 되는 에피소드를 최소 하나씩은 모두 가지고 있다.
[8]
예외적으로
브레이브 사가 2에서 추가된 GGG 역시 전 멤버들의 활용이 가능하다.
[9]
합체 실패하는 경우가 다른 용자물에 비해 꽤 많이 등장한다. 빌드 타이거의 경우 애초에 합체가 안되어서 성공하기 위한 노력이 한 에피소드(Ep 8)를 차지할 정도였다. 다른 용자물에서도 전 에피소드 중에 어쩌다 한번 합체가 방해받는 모습이 나오긴 하지만 유독 브레이브 폴리스는 그 빈도가 높은데다가 상대방이 합체를 방해하지 않더라도 자신들에게 원인이 있어서 실패해버리는 경우가 더 많다.
[10]
다만 이 때문에 합체실패나 합체확률 낮추는 걸 자주 우려먹는다는 평도 있다.
[11]
엑스카이저와 파이버드, 골드란, 다그온에선 이런 연출이 없었다. 다간은 17화와 최종화, 마이트가인 작품은 44화에서 이런 연출이 나왔다. 이 중 전설의 용자 다간 17화는 아예 이 장면을 붉은색 배경으로 처리했다.
[12]
즉, 이러한 장면에서 기름은 피와 동일시된다고 볼 수 있다. 처음 보여준 에피소드는 카게로우와 관련된 에피소드부터였다.
[13]
킹 제이더도
완원종에게 당해서
존다 크리스탈을 뺏기고 복부에 큰 부상을 입었을 때 J리퀴드가 흘러나오는 연출을 보여줬다.
[14]
드릴보이가 처음으로 유우타나 동료들이 아닌 다른 누군가에게 진정한 관심을 준 대상. 하지만 그 에피소드에서 드릴보이를 지키려다 레이저에 맞고 사망한다.
[15]
한때 동료였지만 배신하면서 범죄자로 타락하기까지 했다. 오히려 토도 슌스케가 현재로선 더 어울린다 볼 수 있다.
[16]
사족이지만 메카디자인 뿐 아니라 인물 디자인 또한 지금 다시봐도 세련되고 예쁘다는 생각이 절로 들 정도로 수려하게 뽑았다. 특히 이 작품은 특유의 형사물 버디무비같은 진행방식과 동인계열 부녀자들 입맛에 딱 들어맞는 그림체에 이런 반응을 의도적으로 노린 듯한 캐릭터간 인물관계 설정들 덕에 2020년대에도 간간히 동인 팬아트가 나온다.
[17]
물론 작화에 따른 오락가락은 있고, 전투나 박력이 필요한 때 키우는 건 이 작품 역시 마찬가지다. 그래도 일상 파트에서는 인간적인 체형이 두드러지는 편.
[18]
원제 <太陽に吠えろ!>. 72년부터 86년까지 NTV 계열에서 방영된 형사 드라마. 일본을 대표하는 형사 드라마로 한국으로 치면
수사반장 정도의 프로그램. 여담으로 197~80년대의 일본의 국민 배우였던
마츠다 유사쿠의 데뷔작이기도 하다.
[19]
예를 들어 유우타가 사는 동네나 학교 이름이 '태양을 향해 외쳐라!'에 나오는 경찰서 이름인 '나나마가리'라든가... 또 개발 주임 이름이 '태양을 향해 외쳐라!'의 '보스' 토도 슌스케라든가(한자도 같다).
[20]
게다가 멤버들 이름은 '
존,
폴,
링고,
조지'로 비틀즈 멤버에서 따왔다.
[21]
국내
MBC에서 방영할 때는 해당 에피소드가 방영되지 않았다.
[22]
정대만과 맥크레인의 일본 성우는
동일 인물이다.
[23]
레이버라는 인간형 작업 기계로 일어나는 범죄에 대응하기 위해 경찰용 레이버를 사용하는 부서를 다루고 있다.
[24]
에바 포르초이크와
노이바 포르초이크
[25]
참고로 X JAPAN의 유명곡 중 하나가
쿠레나이(紅)이다.
[26]
참고로 해당 에피소드에 잠깐 나온 브레이브 폴리스 건물 모형은
일본에서 타카라제로 발매 되었었다. 다만 국내에선 미발매.
[27]
단, 망가지는 모습이 안나왔다 뿐이지 듀크도 나름 개그를 했다. 유령출현 에피소드에서
건맥스와 콤비로
사에지마 쥬조 총감을 놀리는 모습은 나름 소소하게 재미있는 부분. 정확히는 듀크는 평소 성격답게 정론을 말했지만, 이 정론에 찔린 사에지마 총감의 반응에 건맥스가 맛깔나게 마무리를 지으면서 개그가 성립됐다.
[28]
치프턴 시리즈를 처음 만났을 때라던지, 사람이나 감정을 가진 기계를 상대로 할 때라던지.
[29]
드릴보이도 축구가 특기라서 어찌보면 그렇다고 볼 수 있다.
[30]
이 점은 사격이 특기인 맥클레인이 주 인격을 맡기 때문이다.
[31]
사실 빌드팀도 첫 등장시 이미지는 별로 좋지 않았다. 데커드의 초인공지능의 데이터가 아직 쓰이지 않아 꼭두각시 수준의 인공지능을 보였고, 그것도 모자라 카이조나이트에게 조종당해 데커드를 공격하는 추태를 보였다. 이건 기계로써 컨트롤 당했던거라 자의적으로 트러블을 일으켰던 후의 멤버들과는 다른 문제다.
[32]
단, 섀도우마루는 첫 등장시
카게로우 때문에 주변을 신경 쓸 여유가 없는 상황인지라 어느 정도 변호가 된다. 이후에 들어오는 셋에 비하면 당시에는 욕을 먹었어도 사건 해결 직후에는 다른 대원들로부터 훈훈하게 환영받았다.
[33]
데커드가 작살난 상황에서 데커드의 빈 자리를 꿰차는 듯 들어와서 안 그래도 미운털이 박혔는데 거기에 리더랍시고 지휘하려 들어서 반발을 심하게 받았다.
[34]
다만 듀크도 융통성이 없고 고지식해서 반감을 자초한 부분도 있다. 물론 이건 듀크의 원래 성격이라기보단 그렇게 성장하기 원했던 레지나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35]
비슷하게는
용자왕 가오가이가도 주인공인 가오가이가만 제외하면 3G 로봇 전원들이 무지개색들을 이루기도 한다.
[36]
그래도 기존의 빨간색인 덤프슨과의 구분을 주기 위해
RGB의 정통 빨간색인 덤프슨과 달리 듀크는
마젠타가 섞인
카민에 가까운 색이다.
[37]
그레이트 합체가 아닌 일반적인 합체 사례로는
킹 엑스카이저도 구성 메카가 자동차로만 이루어진 사례다.
[38]
여담이나 멤버들끼리 돌아가면서 청소도 겸하고 있는 듯하다. 15화에서 드릴보이가 벌청소로 데커 룸의 책상을 걸레로 닦고 있었고, 23화에선 데커드가 혼자서 양동이와 대걸레를 들고 청소중이였으며, 33화에선 완구 사이즈인 소형 바디 상태던 덤프슨이 지금 본인이 할 수 있는 건 이것뿐이라면서 걸레로 열심히 책상을 닦거나 빗자루와 쓰레받기를 들고 청소를 하고 있었다. 이 때 덤프슨이 사용한 청소도구는 사에지가 총감이 준비한 미니어처 데커 룸 인형놀이 세트의 부속품인 듯하다.
[39]
치프턴, 갓 웨일.
[40]
왼쪽부터
엑스카이저,
가드스타,
다간의 색만 바꾼 것으로, 셋 다 용자 시리즈 1~3편 감독인
야타베 카츠요시의 작품들에 나온 용자들이다.
[41]
그나마
엑스카이저 도안은 최종화에서
빅팀 오랜드의 4번째 몸으로 사용되긴 했지만.
[42]
46화에서 네 명 중 둘의 코드 네임이 루크 (Rook), 비숍 (Bishop)으로 밝혀졌다. 나머지 둘의 코드네임은 폰 (Pawn), 킹 (King)으로 추정된다.
[43]
듀크가 감정을 드러내며 철저하게 부르짖는 정말 보기 드문 장면이다.
[44]
쥬죠의 자기 전에 본 사진들 속에 있다. 성격은 젊었을 때부터 그랬는지 사진 속의 쥬죠는 괴이쩍은 포즈(...)를 취하고 있다.
[45]
1967년 10월 20일생으로 본명은 이케다 사에코. 이 곡을 부를 당시에 사이쿄라는 5인조 록밴드에서 Ayako라는 예명으로 활동하였다.
[46]
토모나가 유우타는 보스,
데커드는 용자 형사 같은 식으로.
[47]
태양을 향해 외쳐라 오프닝의 경우, 배역이 윗부분에 작게 표기되고 배우명이 하단부에 커다랗게 표기된다.
[48]
여담으로 이 연출을 위해서, 제이데커는 선라이즈 로봇 애니메이션으로써는 매우 드물게 오프닝 영상에 가사 표기가 생략되었다.
[49]
전설의 용자 다간의 오프닝/엔딩곡을 담당하기도 했다. 용자 시리즈 두 작품에 참여한 유일한 가수.
[50]
일본판을 잘 들어보면 처음 부분은 비슷하나 뒷부분 멜로디부터 달라진다.
[51]
이 한국판 오프닝곡은
영화 돌려차기에서 삽입곡으로도 나온다.
[52]
가사가 덜 유치한 것도 이유에 포함되는 듯. 선가드 오프닝이나 다간의 비디오판-KBS판 오프닝에 비하면 훨씬 나은 편이다. 클라이막스 부분이 상당히 높은 고음을 요구하지 않는 무난한 멜로디라 따라 부르기도 쉬운편이다. 클라이막스에서 높은 고음의 옥타브(이건 사실 남자아이가 불렀기 때문에 이렇게 나온 것)를 요구하는 선가드의 오프닝과, 아예 도입부부터 미친 듯한 고음으로 다간을 외쳐대는 다간 비디오판-KBS판 오프닝에 비하면 난이도가 훨씬 낮은 편.
[53]
전설의 용자 다간도 같은 사람이 음악을 담당했다.
[54]
빌드팀 합체시에 어레인지 버전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55]
일부라도 재현한 것 포함. 일본 슈로대 위키 참조
[56]
원화
스즈키 타츠야, 이토지마 마사히코(糸島雅彦),
스즈키 타쿠야,
키쿠치 아키라,
고토 케이지,
니시다 아사코 등.
[57]
원화
타카야 히로토시, 우에다 요이치(植田洋一),
시노 마사노리,
이와네 마사아키,
우마코시 요시히코 등.
[1인원화]
[1인원화]
[1인원화]
[61]
원화 이토지마 마사히코,
니시다 아사코,
스즈키 타츠야,
스즈키 타쿠야,
고토 케이지,
이시다 아츠코 등.
[62]
원화
나카타니 세이이치,
아이자와 마사히로,
이와네 마사아키, 우에다 요이치,
타카야 히로토시 등.
[1인원화]
[64]
원화
니시다 아사코, 이토지마 마사히코,
스즈키 타츠야,
스즈키 타쿠야,
고토 케이지 등.
[1인원화]
[66]
원화
나카타니 세이이치,
타카야 히로토시, 우에다 요이치,
이와네 마사아키 등.
[1인원화]
[68]
원화
스즈키 타츠야,
스즈키 타쿠야,
히사유키 히로카즈,
니시다 아사코, 이토지마 마사히코,
고토 케이지 등.
[69]
원화
타카야 히로토시, 우에다 요이치,
이와네 마사아키,
나카타니 세이이치 등.
[70]
원화
스즈키 타츠야,
야마네 마사히로,
스즈키 타쿠야,
고토 케이지,
니시다 아사코, 모리시타 히로미츠(森下博光), 이토지마 마사히코 등.
[1인원화]
[72]
에필로그 작화만
이시다 아츠코,
야마네 리히로가 담당.
[E]
에필로그
[E]
[1인원화]
[76]
원화 이토지마 마사히코,
니시다 아사코,
고토 케이지,
스즈키 타츠야,
스즈키 타쿠야 등.
[1인원화]
[78]
원화 이토지마 마사히코,
니시다 아사코,
야마네 마사히로,
치바 미치노리,
스즈키 타쿠야,
미츠이 요이치,
스즈키 타츠야,
나카타니 세이이치 등.
[1인원화]
[80]
원화
히사유키 히로카즈,
오오츠카 켄,
사이토 히사시 등.
[81]
원화
니시다 아사코,
스즈키 타츠야, 이토지마 마사히코,
스즈키 타쿠야,
치바 미치노리,
야마네 마사히로 등.
[82]
한국판의 경우 4회 결방. 다만 전작인 마이트가인에 비하면 양호한 편이다. 그리고 3화와 44화를 제외하면 대부분 연관성이 없는 1회성 에피소드였다. 다만 국내 방영시엔 결방 에피소드로 인해 그것을 채우기 위해 편수를 앞당기다보니 약간 뒤섞여 있었다.
[83]
일본풍 복장의 목수 오오무라 다이사쿠가 메인이 되는 에피소드라 결방. 그때문에 빌드팀이 합류한건 그냥 덤
[84]
유우타의 일본식 복장 때문에 결방
덤프슨이 로봇 레슬러로 위장잠입하며 쓴 링네임이
가미카제인 것도 한몫 한듯하다.
[85]
탈의실 장면과 시스터 나나세의 노출도 높은 복장 때문에 결방.
[비고]
유일한 흑역사인 욱일기가 나온다. 유명한 경찰청장이 육체미를 뽐내는 장면 배경이, 원작에선 욱일기로 나오지만 국내방영 땐 무지개 별로 편집되었다.
[87]
한국판에서 쿠제는 이름이 나오지 않음.
[88]
단 44화는 아쉽게도 이 에피소드는 국내에서 결방이며 빅팀의 피부가 녹아내리는 장면 및 중반 총격 장면 때문에 결방된 것으로 보인다.
[89]
SBS에선 다간과 다그온을 방영했으나 다간은
KBS에서 방영한 적이 있어서 SBS 순수 방영인 다그온과 MBC 순수방영인 제이데커를 빼면 모두 KBS에서 방영.
[90]
한국에서 더빙된 용자 시리즈들의 역대 한국어 더빙판 제목들 중
용자지령 다그온의 한국어 더빙판 제목인 로봇용사 다그온(원판에서부터 주역 메카만을 가리키는 명칭이 들어가지 않는 제목이었음)을 제외하면 유일하게 주역 메카 만을 가리키는 명칭이 들어가지 않는 제목이자
K리그와 함께 한류 이전에 대한민국을 뜻하는
K-라는 단어를 사용한 몇 안되는 애니메이션이다.
[91]
4월 17일까진 매주 금요일 오후마다 했다. 동월 16일부터 목요일에도 편성되기 시작해 22일부터 수~목 오후로 변경됐으며, 이에 따라 <
전설의 마법 쿠루쿠루>가 월~화만 하게 됐다.
[92]
이러한 연유 덕분에 자세한 내막을 알지 못하고 어린 시절의 추억으로 기억하는 사람들은 용자경찰 제이데커가 국산 만화인 줄 알고 있었던 경우가 많다.
[93]
1996년 국내방영 당시 실제
경찰청 표어는 봉사 질서 및 국법질서확립이었다.
[94]
현재 넷상에 등록된 더빙판 영상에 현수막이 없거나 원판 경시청 마크가 그대로 나오는 건 영상을 녹화작업한 사람이 일본판 영상에 한국판 음성을 합쳐 편집해 업로드했기 때문이다.
[95]
실제로 1990년대 중반에
김영삼 정권 시절부터 세계화가 정부와 기업을 비롯한 사회 전반에 걸쳐 슬로건으로 떠올랐다.
[96]
심지어 김관철도 18화에 중복으로 출연했고, 이선주도 1회성으로 여성 아나운서 역할로 출연하였다. 이 외에도 김강산 성우가 여기서 단역으로 출연한 바 있었다.
[97]
사실 이 작품의 한국판 성우들 중 단역들 조금 맡은 것까지 포함하면 김기현을 제외하고 모두 일인 다역이 기본인 셈이었다.
[98]
물론 건맥스와 카게로우를
같은 성우가 맡긴 했지만 카게로우는 고정으로 출연하는 캐릭터가 아니라 게스트 캐릭터인 데다, 건맥스가 등장하기 한참 전에 리타이어했기에 논외.
[99]
마이트가인이나 다간의 경우 몇몇 용자들은 한 두마디 내지는, 심하면 변신 구호나 한 번 외치고 끝나는 경우가 많음을 감안한다면 상당히 비중이 높은 편.
[100]
이 때문에 한국 방영 시에는 맥클레인부터 빌드팀의 개별 에피소드가 나온 것으로 기억하는 사람이 많다.
[101]
사실 지상파에서 방영했던 로봇 애니메이션 대다수가 그랬다. KBS판 그레이트 다간과 역시 KBS에서 방영한 지구용사 선가드도 편집을 피할 수가 없었다.
[102]
편성 시간이 30분이 아닌 25분이었다.
[103]
이외에 2000년대에 재방영된 용자 작품으론 파이버드(2005년 투니버스), 골드런(2004년 투니버스), 다그온(2006년
재능TV)가 있다.
[104]
덤으로 DD에서
잉그램 프리스켄 영입 이벤트도 열렸는데 잉그램과 데커드의 성우는 같은 사람이다. 다만 30에서는 잉그램이 참전하지 못했다.
[105]
제이데커는 일본 내에서는 30위 안에도 들어가지 못하는데, 일본 외 투표(특히 한국, 중국, 대만의 목소리가 세다)에서는 항상 높은 순위 안에 있다.
[106]
그러나
그랑죠나 참전시켜 달라는 몰지각한 팬들도 있어서 당연히 몰지각한 팬들이 욕 먹는 상황이 벌어졌다.
[107]
SSSS.GRIDMAN의 작중 배경은
2018년이라 '올해 월드컵'이라는 서술이 나와야 맞다.
[108]
패계왕 스토리 구현이 날림인 이유에 대해 여러 분석글이 나왔었고, 대략적으로 2019년이 시대 배경이 아닌가 하는 의견으로 모이고 있었다.
한국에서도 거의 비슷한 결론을 낸 분석글이 있었다.
[109]
빌드 타이거 세트, 드릴보이 단품식으로도 발매했다. 덤으로 중국산 짝퉁 완구도 나왔다.
[110]
일본판 CF 영상을 재사용하지 않고, 자체 제작한 미니어처와 한국판 완구를 사용해서 아예 새로 촬영했다. 상술했듯 일본판 완구엔 태극 마크나 한글 경찰청 글씨 스티커가 붙어 있지 않았기에 일본 광고를 그대로 사용할 수 없었기 때문. 잘 보면 한국판은 도시 미니어처의 디테일이 일본판에 비해 다소 조잡한 것이 눈에 띈다. 경찰차 모드의 데커드가 출동하는 장면 역시 스톱모션이 아니라 그냥 경사진 길에서 차체를 오른쪽 벽에 딱 붙인 채 굴린 것. 그리고 본 광고의 제품은 DX인데 마지막엔 STD로 잘못 표기했다.
[111]
파이어 제이데커는 제외. 현시창이 뭔지 보여주는 완구다.
[112]
2000년과 2004년도에 섀도우마루가 유일하게 재판되지 않았던 이유이기도 하다. 그리고 초판 발매 당시에도 유독 섀도우제트만 적은 수량이 시중에 풀렸다.
[113]
그도 그럴 것이 일본 측에서도 앙숙인 한국의 문화는 반감을 설 수밖에 없다. 입장바꿔 한국으로 치면 일본에서 한국산 캐릭터에 일장기 등 왜색을 덧붙인거나 다름 없기 때문.
[114]
사실 듀크 파이어의 파이어 버스터 자체가 제이 버스터의 개량형인 만큼 경시서가 바보가 아니라면 당연히 제이데커에게도 제이 버스터의 개량형을 보급했을 가능성도 있다. 실제로 47화에서 포르초이크 모자와 싸울 때
파이어 제이데커가 제이 버스터를 연사하는 장면도 있으니 말이다. 물론 정확히 밝혀진 건 없다. 사실 파이어 제이데커로 합체한 뒤엔 맥스 캐논과 파이어 소드만 신나게 써서 딱히 제이 버스터를 쓸 일도 없었다.
[115]
지구의 분신, 외계인, 외계의 기술을 적용해서 만든 로봇 등.
[116]
지구에서 토성까지의 거리는 12억 킬로미터가 넘는다. 전문 우주 탐사선조차도 년 단위로 날라가야 하는 거리이고 광속으로도 1시간 20분이 좀 안되게 걸리는 거리인데 브레이브 폴리스는 그걸 순식간에 도착했다. 우주 중계기지같은게 있을 턱이 없으니 추가 보급을 받았을 리도 없고, 출격할 때의 묘사를 보면 예비 프로펠런트 탱크같은 것도 없다.
[117]
다만 이건 목성권까지 이동 자체가 문제가 아니라 그 쪽에 있는 적이
규격 외의 상대였기 때문에 준비가 엄청나게 걸렸던 것이다. 하나하나가
위성급인 적들을 상대했으니 스케일 자체가 차원이 다르다.
[118]
리얼로봇에서 제일 중요하게 여겨지는 묘사 중 하나가 현실적인 내구도와 자원의 한계다. 리얼로봇계에서도 최강급의 남자들인
샤아 아즈나블이나
키리코 큐비조차도 이를 정면으로 거스르진 못 했다. 에에잇! 파워 다운이라고?
[119]
가솔린 엔진의 열효율은 지금도 40%가 채 안된다. 그나마 최근들어 50%를 목표로 연구가 진행중이지만 그 전에 훨씬 더 효율이 좋은 전기모터를 필두로 하는 차세대 엔진 등에 자리를 내줄 판.
[120]
나이들어서 다시 제이데커를 정주행하는 사람들이 놀라는 부분. 어릴 때는 분명 경찰이 나쁜 악당 때려잡는 수준의 만화영화로만 봤던 것 같은데 막상 커서 다시 보니 이게 정말 애들 보라고 만들었던 거라고???라고 놀라는 경우가 적지 않다. 웬만한 영화 이상으로 철학적으로 생각할 부분이 많기 때문.
[121]
대표적으로
인티의 경우에는 타 용자였다면 최종보스 자리를 잡고 있어도 전혀 이상하지 않다. 실제로
인티와 상당히 유사한 용자물 최종보스는 이미 존재한다.
[122]
상술한 인티조차도 힘을 겨루는 시리즈였다면
그레이트 다간 GX나
제네식 가오가이가같은 최정상급 용자가 와도 고전을 면치 못할 상대이나, 정작 마음을 주 소재로 다루는 제이데커에서는 합체도 하지않은 맥클레인의 욕망이라는 마음에 의해 쓰러졌다.
[123]
합체하지 않은 상태의 일반적인 코어유닛인 다간이다!
[124]
대표적으로
신칸센 N700S계 전동차의 경우 22,904마력이다.
[125]
대표적으로
건담의 경우 출력이 고작 1400 킬로와트에 불과하다! 마력으로 환산하면 2천마력도 채 되지 않는다.당연히 전함 주포급 무장을 갖고다니는 건담에겐 말도 안되는 비현실적인 설정이라 건담 팬덤에서는 아예 밈 소재로 승화된 지 오래다.
[126]
또한 제이데커의 경우에는 카탈로그 스펙과 별개로 마음이라는 변수 때문에 항상 기본 이상의 스펙을 종종 내기 때문에 자신의 카탈로그 스펙이 거의 의미가 없다. 당장 작중에서도 제이데커는
빌드 타이거에 비해 한참 파워가 떨어져야 정상이나, 현실은 빌드 타이거는 커녕
슈퍼 빌드 타이거와 비교해 봐도 크게 밀리는 모습을 보여주지 않는다.
듀크 파이어 역시 설정상으론 제이데커보다 강력하나, 실제로는 둘 다 거의 동급으로 묘사된다.
후대의
G스톤과 거의 유사한 부분이나, 명확히 테크놀러지가 해석되어 공식적인 시스템으로 정착한 G스톤과는 달리 원리의 실체가 명확하지 않을 뿐이다.
[127]
드릴보이의 경우 23화에서 밝혀졌듯이 배 부분이 주유구 대신 작은 물건을 수납하는 공간이다.
[128]
데커드가 배꼽으로 주유를 하는 모습을 보고 건맥스가 "이렇게 먹는게 훨씬 맛있다"며 입으로 마시는 걸 추천하고, 데커드도 따라서 입으로 연료를 마시는 장면도 나온다. 입으로 마시는건 개인취향의 문제인 듯.
[129]
21화에서 연료가 부족해
데커드와
건맥스가 주유소 서리를 하는 장면이 나온다.
[130]
데커드의 꿈 에피소드와 덤프슨과 드릴보이가 작아진 에피소드에서 이런 장면이 나온다.
[131]
다만 이쪽도 제이데커는 완벽에 가깝지만 소체인 데커드의 상태는 심각한 편이다. 동일한 변신 구조를 가진
다간이나
다그 파이어와 비교하면 그 처참함을 알 수 있다.
[132]
이쪽은 대신 원래 금형인
식스샷의 영향을 너무 크게 받은 완구가 되어버렸다는 게 문제.
[133]
가령 건맥스 아머는 통상 건맥스 형태의 다리가 아머의 팔이 되는 구조로 최종적으로 디자인이 결정되었고 당연히 완구도 이것을 따라가는데 애니메이션 뱅크신에서는 그 부분을 아예 묘사하지 않고 마치 전신에 갑옷을 입는 것 마냥 묘사되어 구조 자체를 완전히 날려버렸다.
[134]
실제로 골드란 시리즈의 완구들은 작품 내 모습과 큰 차이가 없고 프로포션도 준수하다. 특히 주역 메카인 골드란은 그 정점에 달했다고 봐도 좋을 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