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7:25:07

신격화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밈에 대한 내용은 패러디 종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2. 역사와 양상3. 사례
3.1. 농담(밈)적 사례3.2. 가상의 사례

1. 개요

신격화(, deification[1])는 본래 신격(神格)이 없는 개념을 두고 신처럼 절대시하는 신앙 행위이다.

2. 역사와 양상

고대부터 왕정국가에서는 왕권신수설 등 왕의 권위를 절대시하기 위한 수단으로 신격화가 이루어지곤 했다. 민주주의 국가에선 그 사례를 보기 힘든데 요구가 다원화되어 개인에 대한 숭배가 절대화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현대사회에서는 주로 문화적인 부분에서 특정 분야에 한해 신과 다름없는 대접을 받는 사람들이 있다. 대표적으로 대중음악에서의 비틀즈, 마이클 잭슨[2], 롤에서의 페이커, 축구에서의 펠레,[3] 디에고 마라도나, 리오넬 메시 등이 있다.

현대에선 주로 독재 국가에서 발생하며 독재자의 권위를 절대시하거나 정치적 목적을 위해 특정 인물을 신격화하는 경향이 있다.

개인적 차원의 신격화는 주로 사이비 종교 단체에서 발생하거나 개인의 자존감 충족을 위해 과한 신격화가 이뤄지기도 한다. 이 경우 특정인물을 객관적으로 평가하지 못하는 부정적인 면이 강하게 나타난다. 민간신앙에선 어떤 분야에서 보통 사람을 뛰어넘는 탁월한 능력을 보였거나 자신의 재주를 다 펼쳐보지도 못하고 원통한 최후를 맞이했다고 전해진 사람을 무속의 신으로 모시는 경우가 많았는데 주로 (신으로 모셔지는) 당사자의 능력에 대한 동경과 경외를 넘어 그 능력을 자신도 나누어 받고자 하는 욕구[4] 또는 그들이 최후를 맞으면서 세상에 남긴 강렬한 원한이 인간 세상에 끼치는 악영향을 줄이고자 하는 염원에서 나온 것으로, 이런 경로로 신으로 모셔지는 경우는 한국뿐 아니라 중국[5] 일본[6]에서도 흔히 볼 수 있다.

한국의 무속에서는 이러한 형태의 신을 인격신이라고 하며 대표적인 인력신으로 고려 말기의 최영, 조선 초기의 남이장군이나 사도세자(뒤주대왕)를 들 수 있다. 여수 지역에서 용장군으로 모셔지는 이순신이나[7] 태백산 산신령으로 모셔진 단종[8] 역시 넓은 의미의 인력신이라고 할 수 있다. 후삼국시대 순천 지역에서 성황신으로 모셔졌던 박영규 김총처럼 지방 호족이 그가 다스리던 지역에서 신으로 모셔진 경우도 존재했다.

3. 사례

3.1. 농담(밈)적 사례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9
, 4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9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3.2. 가상의 사례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1] 기독교에서 말하는 신화(神化, 테오시스(Theosis). 인간 하느님처럼 거룩하게 변화된다는 개념.)를 일컫는 단어인데 영어에서는 본 문서에서 설명하는 신격화라는 개념 역시 이 단어로 지칭한다. [2] 실제로 90년대 초반에 언론들은 마이클 잭슨을 신격화된 아티스트라고 수식했다. [3] 이쪽은 축구 황제라는 별명이 더 유명하다. [4] 후술할 현대사회에서 문화적인 부분에서 특정 분야의 일가를 이룬 사람을 신이나 다름없는 대접을 하는 것과 비슷하다. [5] 대표적인 예로 관우가 있다. [6] 대표적으로 헤이안 시대의 학자이자 정치인이었던 스가와라노 미치자네 호겐의 난으로 실권을 잃고 사누키로 유배되어 죽은 스토쿠인. [7] 이순신은 심지어 적이었던 일본 군인들에게조차 군신(軍神)으로 숭상받았다는 카더라가 존재할 정도다. 여담으로 이순신은 바다에서 죽음을 맞았기 때문에 신으로 모셔지게 된 점도 어느 정도 있는데 전근대에 물에서 죽는다는 것은 가장 비극적인 형태의 죽음의 형태였기 때문에 그만큼 망자의 한도 깊어진다고 믿었다. [8] 어떤 실정도 없었고 정통성은 삼종의 혈맥을 이어 조선 왕들을 통틀어 가장 완벽했음에도 어린 나이에 숙부에게 왕위를 빼앗기고 그것도 모자라 그에게 죽임까지 당했다. [9] 임진왜란 당시 명나라 지원군들을 통해 들어왔다고 한다. 참고로 숙종이 관우의 빅팬이어서 관우한테 자주 제사를 지냈다고 한다.

분류